KR20210060379A -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379A
KR20210060379A KR1020210058730A KR20210058730A KR20210060379A KR 20210060379 A KR20210060379 A KR 20210060379A KR 1020210058730 A KR1020210058730 A KR 1020210058730A KR 20210058730 A KR20210058730 A KR 20210058730A KR 20210060379 A KR20210060379 A KR 20210060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equipment
pilates
smart device
pilates exercis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원
Original Assignee
장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원 filed Critical 장경원
Priority to KR102021005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379A/ko
Publication of KR2021006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제품 스펙정보, 필라테스 운동기구 상태 정보, 필라테스 운동기구 작동 데이터, 필라테스 운동기구 고장정보 및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 상기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며, 스마트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며, 운동정보를 제공받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 {Smart device based customized pilates exercise equipment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 알려진 필라테스(pilates)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법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 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필라테스에 사용되는 운동기구로는 크게 캐딜락(cadillac), 리포머(reformer), 레더바렐(ladder barrel)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필라테스용 운동기구는 그 형태에 따른 특성에 맞게 운동하게 된다. 특히, 캐딜락은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게 여러 종류의 운동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캐딜락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베드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어 어린이 등과 같은 체구가 작은 사용자가 운동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캐딜락은 사용자 맞춤별로 운동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으며, 다수의 캐딜락에 대한 구매이력, 사용상태 및 A/S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지 못하여 지속적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KR, A, 10-2004-0014496, (2004.02.1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맞춤별로 운동정보를 제공하며,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중앙 관리 서버에서 사용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지속적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제품 스펙정보, 필라테스 운동기구 상태 정보, 필라테스 운동기구 작동 데이터, 필라테스 운동기구 고장정보 및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
상기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며, 스마트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며, 운동정보를 제공받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베드 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맞춤별로 운동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필라테스 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수의 캐딜락 운동기구를 중앙 관리서버에서 구매이력, 사용상태 및 A/S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지속적인 사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1000), 다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000),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3000) 및 네트워크 통신망(4000)을 포함한다.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1000)는 네트워크 통신망(4000)을 통하여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3000)에 연결되며, 다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000) 예를 들면, 스마트폰은 네트워크 통신망(4000)을 통하여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3000)에 연결된다.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3000)는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1000)의 각각각 대한 제품 스펙정보, 필라테스 운동기구 상태 정보, 필라테스 운동기구 작동 데이터, 필라테스 운동기구 고장정보 및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3000)는 각 사용자에게 맞는 운동정보 및 스케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운동정보를 사용자의 신체정보나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운동정보를 전송한다.
스마트 디바이스(2000)에는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며,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3000)로부터 현재 자신의 신체정보 및 상태 정보에 맞는 운동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캐딜락은 사용자가 누워 운동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상판(1)과 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안치되는 베드 프레임(2)과 베드 프레임(2)의 일측과 타측에 지지되어 상판(1)의 상부로 연장되어 각 모서리가 연결되어 육면체를 형성하는 수직 포스트(3)와 수평 포스트(4) 및 수직, 수평 포스트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판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스프링 월(10), 푸시 스루바(20), 걸이대(30), 스프링 그네(40) 등이 설치된다.
상판은 사용자가 누웠을 때 불편함이 없도록 완충력을 갖는 매트리스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프링 월(spring wall)(10)은 상판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된 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한 수평 바에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는 스프링의 선단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기단은 사용자가 움켜쥘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된다.
또한, 푸시 스루바(push thru bar)(20)는 수직하게 설치되는 포스트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을 형성하고, 암이 회전하게 될 때 암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도록 암과 포스트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암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암이 자유단에 사용자가 잡거나 신체를 기댈 수 있는 바가 형성된다.
또한, 걸이대는 수평 포스트에 고리가 매달린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팔, 다리 등을 걸친 상태로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스프링 그네는 수평 포스트에 스프링을 매달고 스프링의 기단에 사용자가 신체를 기댈 수 있는 시트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는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회동하는 상판(100)과 상판(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을 지탱하는 베이스 프레임(200)과 베이스 프레임(200)의 측면을 감싸 지지하며 지면에 안치되는 베드 프레임(300)과, 베드 프레임(300)에 고정되고 상판(100)의 상부로 스프링 월(430), 푸시 스루바(440), 걸이대(450), 스프링 그네(460)를 설치할 수 있게 지지하는 포스트 유닛(400) 및 분할된 상판이 회동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 유닛(500)으로 구성된다.
상판(100)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데, 사용자가 누워 운동할 수 있는 면적을 갖되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부분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힌지(110)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110)를 중심으로 분할된 부분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판(100)은 상면이 평탄한 다수의 플레이트가 힌지(110)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110)를 중심으로 분할된 영역이 경사지게 회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판(100)은 사용자가의 머리가 상판의 일측을 향하도록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 영역(101)과, 등을 받치는 등받이 영역(102), 엉덩이를 받치는 엉덩이 영역(103), 허벅지를 받치는 허벅지 영역(104), 종아리를 받치는 종아리 영역(105)으로 분할되어 각 분할된 영역이 힌지(110)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판(100)은 사용자가 상판에 위치하였을 때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데, 바람직하게 상판(100)은 합성수지, 금속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단풍나무, 자작나무, 물푸레나무 등과 같은 친환경 소재의 목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판(100)의 상면에는 매트리스(130)와 같은 완충력이 발휘되는 소재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상판(100)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이때, 매트리스(130)는 상판(100)의 분할된 영역이 경사지게 회동하였을 때 상판(100)의 상면과 들뜨지 않도록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매트리스(130)와 상판(100) 사이에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온열작용을 일으키는 열선(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렇게 각 영역이 힌지(110)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동하는 상판(100)의 하부에는 상판(100)을 지탱하는 베이스 프레임(200)이 설치된다. 베이스 프레임(200)은 강재로 이루진 틀의 형상을 갖고 틀의 내부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210)가 형성되어 상판(100)의 하부에서 상판(100)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200)에 형성된 보(210)는 상판(100)이 힌지(110)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동할 때 상판(100)의 하면과 보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면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판(100)의 분할된 영역이 회동할 때 베이스 프레임(200)과 접촉한 상판(100)의 하면이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200)에 가이드 레일(220)이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활주하는 롤러(120)가 상판(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베드 프레임(300)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측면을 감싸 지지하는 것으로, 베드 프레임(300)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베드 프레임(300)을 이격시키는 고정 다리(310)가 형성되며, 고정 다리(310)는 베드 프레임(300)의 사각 코너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베드 프레임(3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베드 프레임(300)과 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 다리(310)에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캐스터와 같은 베드 프레임(3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이동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베드 프레임(300)의 측면에는 필라테스 운동에 필요한 소품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이 형성된 서랍(3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서랍(320)은 베드 프레임(300)으로부터 개폐가 쉽도록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또는 하트 캠을 이용한 원터치 개방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드 프레임(300)은 상판(100)과 마찬가지로 단풍나무, 자작나무, 물푸레나무 등과 같은 친환경 소재의 목재로 이루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고급스럽고 따듯한 감성을 일으켜 간접적인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주게 된다.
한편, 포스트 유닛(400)은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로 이루어지는데, 수직 포스트(4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의 형상을 갖고 기단이 베드 프레임(30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선단이 상판(100)의 상부로 연장된다. 즉, 수직 포스트(4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 프레임(300)의 외측면 중 코너와 인접하게 설치된 서포터(340)에 기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판(100)의 상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수직 포스트(410)는 베드 프레임(300)의 코너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4개의 수직 포스트(410)가 마련되며, 수직 포스트(410)의 선단은 수평 포스트(420)에 의해 연결되어 베드 프레임(300)의 상부로 직사각의 형태를 이루는 수평 포스트(420)가 마련된다.
이렇게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로 이루어진 포스트 유닛(400)에는 필라테스 운동에 사용되는 스프링 월(430), 푸시 스루바(440), 걸이대(450), 스프링 그네(460)가 설치된다.
스프링 월(spring wall)(430)은 상판(100)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포스트(410)를 수평으로 연결한 수평 바(431)에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는 스프링(432)의 선단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기단은 사용자가 움켜쥘 수 있도록 고리(433)가 형성된다.
또한, 푸시 스루바(push thru bar)(440)는 수직 포스트(410)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441)을 형성하고, 암(441)이 회전하게 될 때 암(441)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도록 암(441)과 수평 포스트(420)가 스프링(442)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암(44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암(441)이 자유단에 사용자가 잡거나 신체를 기댈 수 있는 바(bar)(443)가 형성된다.
또한, 걸이대(450)는 수평 포스트(420)에 고리가 매달린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팔, 다리 등을 걸친 상태로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스프링 그네(460)는 수평 포스트(420)에 스프링(461)을 매달고 스프링의 기단에 사용자가 신체를 기댈 수 있는 시트(462)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스트 유닛(400)에 설치된 스프링 월(430), 푸시 스루바(440), 걸이대(450), 스프링 그네(460)의 구조적 특성에 맞게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동력제공 유닛(500)은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판(100)의 분할된 영역에 설치되어 상판(100)의 분할된 영역이 경사지게 회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동력제공 유닛(500)은 작동 로드(510)와 실린더(520) 및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판의 분할된 영역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는 브라켓(530)으로 구성되어 작동 로드(510)의 선단이 상판의 분할된 영역에 설치된 브라켓(530)에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520)의 기단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된 브라켓(530)에 힌지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 필라테스 운동기구
2000 : 스마트 디바이스
3000 :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
4000 : 네트워크 통신망

Claims (4)

  1.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제품 스펙정보, 필라테스 운동기구 상태 정보, 필라테스 운동기구 작동 데이터, 필라테스 운동기구 고장정보 및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
    상기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며, 스마트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며, 운동정보를 제공받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서버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 각각은,
    사용자가 누워 운동할 수 있는 면적을 갖되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부분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을 지탱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을 감싸 지지하며 지면에 안치되는 베드 프레임;
    상기 베드 프레임에 기단이 고정되고 선단이 상판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포스트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선단을 연결하여 베드 프레임의 상면 외형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수평 포스트로 이루어져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걸이대, 스프링 그네이 설치되는 포스트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판의 분할된 영역에 설치되어 상판의 분할된 영역이 경사지게 회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동력제공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레스트는 동력제공 유닛에 의해 상판으로부터 경사지게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부에 완충력이 발휘되는 매트리스가 구비되되, 상기 매트리스는 상판의 분할된 영역이 경사지게 회동하였을 때 상판의 상면과 들뜨지 않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관리 시스템.

KR1020210058730A 2021-05-06 2021-05-06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 KR20210060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30A KR20210060379A (ko) 2021-05-06 2021-05-06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30A KR20210060379A (ko) 2021-05-06 2021-05-06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379A true KR20210060379A (ko) 2021-05-26

Family

ID=7613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30A KR20210060379A (ko) 2021-05-06 2021-05-06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3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669A (ko)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디지털 운동저항을 이용한 근력 운동기기 커넥티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496A (ko) 2001-04-12 2004-02-14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접이식 리포머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496A (ko) 2001-04-12 2004-02-14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접이식 리포머 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669A (ko)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디지털 운동저항을 이용한 근력 운동기기 커넥티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4448A (en) Stand up exerciser
CA2347789C (en) Exercise apparatus
US20130005550A1 (en) Exercise chair
KR20180123147A (ko) 조절이 가능한 저항 밴드 체계를 활용한 의자
US4193394A (en) Back walker and massage device
WO2017009729A1 (en) Abdominal strengthening apparatus
KR20210060379A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
US20190247713A1 (en) Machine for Performance of Front Squat Exercises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US2928675A (en) Therapeutic apparatus
KR10131536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 기구
CN206949933U (zh) 一种健身椅
CN110314331B (zh) 体育训练用肌肉舒展装置
CN105664423A (zh) 腿挂杠铃负重器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1770065B1 (ko) 높이조절식 철봉
KR102305928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20120121774A (ko) 운동기구
JP3206326U (ja) 腕力強化用トレーニング装置
KR100983293B1 (ko) 상체운동기구
KR200424860Y1 (ko) 보관이 용이한 헬스기구
KR101654760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2472866B1 (ko) 필라테스 운동기구
KR20200053265A (ko) 신체운동기구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