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245B1 - 하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245B1
KR101551245B1 KR1020140139831A KR20140139831A KR101551245B1 KR 101551245 B1 KR101551245 B1 KR 101551245B1 KR 1020140139831 A KR1020140139831 A KR 1020140139831A KR 20140139831 A KR20140139831 A KR 20140139831A KR 101551245 B1 KR101551245 B1 KR 10155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upled
shaft
p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표
Original Assignee
이덕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표 filed Critical 이덕표
Priority to KR102014013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 A63B2225/102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having a common resisting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력 단련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체 운동기구를 사용함에 있어, 다리의 좌,우 작동과 상,하 작동의 동시 사용이 가능하여 하체의 다양한 근력의 단련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통상의 의자나 상체 운동기구(벤치프레스)에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 효율성을 매우 향상시키기 위한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체 운동기구{Sport apparatus of lower body}
본 발명은 체력 단련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인 단순화와 의자나 상체 운동기구에 결합 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효율적으로 하체의 체력 단련이 가능하게 하는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운동량이 부족하여 이를 보충하기 위해 헬스를 즐기게 되는 데 특히 자가 운전 등으로 인해 하체의 운동량이 점점 더 부족하게 됨에 따라 하체의 근육이 빠지면서 점차 힘이 없어져 무기력하게 되고, 특히 장시간 의자에 앉아 일을 하는 현대인들은 하체가 매우 취약해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스트레칭을 하여 위축되어 있는 근육을 긴장시키도록 권유하고 있으나 이를 실행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또한 이러한 스트레칭만 가지고는 허약해진 하체 근력을 키울 수는 없다.
물론, 하체의 근력을 키워주기 위해 등산을 하거나, 헬스클럽과 같은 곳에서 웨이트트레이닝을 할 수도 있으나 이 역시 많은 시간 또는 비용을 들여야만 하는 것이므로 일부의 사람들만 실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 실용신안출원등록 제20-0335888호와 같이 실내에서 하체의 운동이 가능한 다리 운동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리 운동기구는, 그 구조상 좌판과 대형화 된 하중부가 일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인바, 그 취급이 매우 난해하여 헬스장 등 전문 시설 장소에서의 사용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함에 있어서도, 항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중량브럭을 교체 사용하여야 하였으며, 한가지 운동에 중점을 두는 단조로운 운동효과를 얻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등록 제20-03358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하체 운동기구를 사용함에 있어, 다리의 좌,우 작동과 상,하 작동의 동시 사용이 가능하여 하체의 다양한 근력의 단련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통상의 의자나 상체 운동기구(벤치프레스)에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 효율성을 매우 향상시키기 위한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수평 관통형 커버체;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커버체의 내측에 축 결합되고 타단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 및 단부 양측에 걸림편이 돌출 형성된 좌,우 회동판;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실린더가 상기 커버체의 내측에 축설되고, 로드가 상기 좌,우 회동판의 저면에 축설되는 좌,우 회동쇼바;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좌,우 회동판에 결합되며, 수직방향 길이로 장형을 이루는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편 후방으로 돌출되는 단형을 이루는 수평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대의 상단이 상기 각각의 좌,우 회동판의 걸림편 하부에 축 결합되는 상,하 회동대;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 회동대의 수직대 상단에 형성되는 제1 발걸이와, 상기 수평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 발걸이와, 상기 수평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3 발걸이로 된 발걸이부; 및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실린더가 상기 커버체의 저면에 축설되고, 로드가 상기 상,하 회동대의 수직대 하단에 축설되는 상,하 회동쇼바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는, 좌,우 회동판을 통해 다리의 좌,우 작동과, 상,하 회동대를 통해 상,하 작동이 가능하여 하체의 다양한 부위의 근력 단련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체를 통해 통상의 의자 좌판이나, 상체 운동기구의 등받이판에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이 가능하여 그 사용 범위가 현저히 확대되는 등 그 사용 효율성이 현격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동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당뇨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이어 운동을 함에 있어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장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제1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제2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에 요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에 요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1)는, 커버체(100)와, 좌,우 회동판(200)(200')과, 좌,우 회동쇼바(300)(300')와, 상,하 회동대(400)(400')와, 발걸이부(500)(500')와, 상,하 회동쇼바(600)(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체(100)는, 하부 일측이 개방된 수평 관통형 직사각형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하체 운동기구(1)의 기초를 이루게 된다.
상기 좌,우 회동판(200)(200')은, 사용자의 다리 상부 즉, 허벅지 부분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좌,우 회동판(200)(200')의 일단이 상기 커버체(100)의 내측에서 축(S) 결합되어 좌,우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타단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 및 그 각각의 단부 양측에는 운동시 허벅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편(210)이 후방 및 상방을 향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좌,우 회동쇼바(300)(300')는, 사용자의 좌,우 다리 운동시 저항력을 부여하게 되며, 통상의 쇼바와 같이 실린더(310)와 로드(320)로 구성된 것으로, 그 실린더(310)가 상기 커버체(100) 내측에 자유 회동력을 가지게 축설되고, 로드(320)가 상기 좌,우 회동판(200)(200')에 자유 회동력을 가지게 축설되게 구성된다.
즉, 좌,우 회동쇼바(300)(300')는, 상기 좌,우 회동판(200)(200')이 좌,우 회동시 벌어질때나 오므릴때 로드(320)의 출몰이 동일한 힘에 의해 인출 및 인입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하 회동대(400)(400')는, 사용자의 다리 하부 즉, 무릎 아래를 지지시켜주게 되는 것으로,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하 회동대(400)(400')는, "바" 형태의 수직대(410)와, 수평대(4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대(410)는, 수직방향 길이를 이루는 장형 형태로 구성되며, 그 상단이 상기 각각의 좌,우 회동판(200)(200')의 걸림편(210) 하부에 축(S) 결합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대(420)는, 수평방향으로 단형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대(4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편,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대(410)의 하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공(41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평대(420)가 결합공(411)에 선태적으로 결합되어 그 수평대(420)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발걸이부(500)(500')는, 사용자가 다리운동시 발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제1 발걸이(510)와, 제2 발걸이(520)와, 제3 발걸이(5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발걸이(510)는, 상기 상,하 회동대(400)(400')의 수직대(410)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무릎뒤 오금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발걸이(520)는, 상기 수평대(420)의 일단 즉, 수직대(410)와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발 뒷꿈치가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발걸이(530)는, 상기 수평대(420)의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발등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발걸이(510)와, 제2 발걸이(520)와, 제3 발걸이(530)는 각각 수평 방향을 이루게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샤프트(도면중 미도시함)를 통해 수직대(410) 및 수평대(420)에 고정 및 그 샤프트의 외둘레에는 쿳션재(도면중 미도시함)가 감싸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상,하 회동쇼바(600)(600')는, 사용자의 상,하 다리 운동시 저항력을 부여하게 되며, 통상의 쇼바와 같이 실린더(610)와 로드(620)로 구성된 것으로, 그 실린더(610)가 상기 커버체(100) 저면에 자유 회동력을 가지게 축설되고, 로드(620)가 상기 상,하 회동대(400)(400')의 수직대(410) 하단에 자유 회동력을 가지게 축설되게 구성된다.
즉, 상,하 회동쇼바(600)(600')는, 상기 상,하 회동대(400)(400')가 상,하 회동시 들어올릴때나 내릴때 로드(620)의 출몰이 동일한 힘에 의해 인출 및 인입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회동판(200)(200')의 동시 연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동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연동부(700)는, 연장대(710)와, 연동링크(720)와, 이동판(730)과, 제1 가이드장홈(740)과, 제2 가이드장홈(7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대(710)는, 상기 커버체(100)의 내측에서 상기 각각의 좌,우 회동판(200)(200')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게 구성된다.
상기 연동링크(720)는, 일단이 상기 연장대(710)의 단부와 축(S)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이동판(730)은, 상기 양측 연동링크(720)의 타단이 축(S)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는 가이드핀(73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장홈(740)은, 상기 커버체(100)의 내측 상부에서 중심으로부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연동링크(720)와 이동판(730)을 연결하는 축(S)이 단부가 수용및 가이드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장홈(750)은, 상기 커버체(100)의 내측 상부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동판(730)의 가이드핀(731)의 단부가 수용및 이동판(730)이 이동시 가이드되게 구성된다.
한편, 도 4의 도시와 같이 의자(1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하체 운동기구(1)의 커버체(100)를 이용하여 의자(10)의 좌판(11)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의 도시와 같이 하체 운동기구(1)의 장착 사용이 가능한 상체 운동기구(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체 운동기구(800)는, 지지프레임(810)과, 승강 프레임(820)과, 제1 승강작동대(830)(830')와, 제2 승강작동대(840)(840')와, 푸시레버(850)(850')와, 링크부(860)(8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810)은, 상체 운동기구(800)를 바닥에 지지하게 위한 수단으로 평면상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게 사용자의 상체가 위치하는 부분을 전방으로 두고 전,후방으로 길이방향을 이루는 프레임체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프레임(810)의 길이방향 전방 상부에는 하부 축설부(811)가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인데, 하부 축설부(811)는,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길이방향 후방 상부에는 하부 가이드편(812)이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인데, 하부 가이드편(812)은,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의 하부 가이드편(812)에는 길이방향을 이루는 하부 가이드장공(812a)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 프레임(820)은, 상기 지지프레임(810)의 상부로 대항되게 형성되고, 상체 운동기구(800)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사용자가 누울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평면상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게 사용자의 상체가 위치하는 부분을 전방으로 두고 전,후방으로 길이방향을 이루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승강 프레임(820)의 후방에는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1)의 장착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하체 운동기구(1)의 커버체(100)를 이용하여 승강 프레임(820)의 후방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 가능하다.
이때, 승강 프레임(820)의 상부에는 등받이판(820a)가 형서되고, 길이방향 전방 하부에는 상부 축설부(821)가 하향 돌출 형성된 것인데, 상부 축설부(821)는,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길이방향 후방 하부에는 상부 가이드편(822)이 하향 돌출 형성된 것인데, 상부 가이드편(822)은,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의 상부 가이드편(822)에는 길이방향을 이루는 상부 가이드장공(8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승강작동대(830)(830')는, 상기 승강 프레임(820)의 승강을 단속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전방 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810)의 하부 축설부(811)에 축(S) 결합게 구성되고, 후방 단부는 상기 승강 프레임(820)의 상부 가이드편(822)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장공(822a)에서 슬라이딩 되는 상부 가이드봉(831)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제2 승강작동대(840)(840')는, 상기 제1 승강작동대(830)(830')와 연동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820)의 승강을 단속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구성되며, 중간부가 상기 제1 승강작동대(830)(830')와 축(S)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제2 승강작동대(840)(840')의 전방 단부는 상기 승강 프레임(820)의 상부 축설부(821)에 축(S) 결합게 구성되고, 후방 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810)의 하부 가이드편(812)에 형성된 하부 가이드장공(812a)에서 슬라이딩되는 하부 가이드봉(841)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푸시레버(850)(850')는, 상체 운동기구(800) 작동시 사용자가 외력을 부여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상 "ㄴ"형 측면상 "ㄱ" 형태를 이루는 절곡 봉으로 구성되며, 폭 방향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푸시레버(850)(850')는, 그 하단이 "ㄱ"형 지지편(851)을 통해 상기 승강 프레임(820)의 상부 축설부(821)에 축(S) 결합되어 회동되게 구성되되, 지지편(851)에 결합시에는 상부를 통해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부(860)(860')는, 상기 푸시레버(850)(850')를 작동시 연동 작동하여 상기 승강 프레임(820)의 승강을 단속하게 위한 것으로, 제1 링크(861)와, 제2 링크(862)와, 제3 링크(863)로 구성되며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링크(861)는, 그 일단이 상기 지지편(851)의 하단에 축(S) 결합되어 지지편(851)과 연동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링크(862)는, 그 일단이 상기 제1 링크(861)의 타단에 축(S) 결합되어 제1 링크와 연동되게 구성되고, 그 중간부가 상기 제2 승강작동대(840)(840')의 전방에 축(S) 결합되어 제1 링크(861)와 연동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3 링크(863)는, 그 일단이 상기 제2 링크(862)의 타단과 축(S)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전방에 축(S) 결합되어 제2 링크(862)와 연동 및 제2 승강작동대(840)(840')를 연동 작동 시키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링크(861)의 일단과 타단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링크축공(861a)이 각각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일단의 어느 하나의 제1 링크축공(861a)에 의해 상기 지지편(851)에 축(S) 결합되고, 타단의 어느 하나의 제1 링크축공(861a)에 의해 사이 제2 링크(862)의 일단에 축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승강작동대(840)(840')의 전방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승강대축공(842)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862)의 중간부가 어느 하나의 제2 승강대축공(842)에 축(S)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링크(862)의 타단에는 하나 이상이 제2 링크축공(862a)이 형성된 것으로, 그 어느 하나의 제2 링크축공(862a)에 의해 상기 제3 링크(863)의 일단에 축(S)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전방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승강대축공(832)이 형성된 것으로, 그 어느 하나의 제1 승강대축공(832)에 상기 제3 링크(863)의 타단이 선택적으로 축(S)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후방에는 그 한 쌍의 제1 승강작동대(830)(830')를 연결축(833)으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축(833)과 하부 가이드봉(841)은 하나 이상의 인장스프링(835)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착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4의 도시와 같이 통상의 의자(10)를 구비하되, 그 의자(10)의 좌판(11)에 장착 사용이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1)의 장착은 커버체(100)를 통해 가능한 것으로, 커버체(100)의 내부에 의자(10)의 좌판(11) 선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등을 이용하여 커버체(100)와 좌판(11)을 고정 설치하면 된다.
이에, 하체 운동기구(1)를 이용한 하체의 근력 운동이 가능한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다리 운동시에 사용자는 좌판(11)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 다리의 허벅지를 좌,우 회동판(200)(200')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발걸이부(500)(500')에 걸어 고정하면 된다.
즉, 제1 발걸이(510)에는 사용자의 무릎 뒤 오금이 거치되게 하면 되는 것이고, 제2 발걸이(520)와 제3 발걸이(530)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발을 걸되, 제2 발걸이(520)에는 발의 뒷꿈치를 걸고, 제3 발걸이(530)에는 사용자의 발등을 걸어 고정하면 된다.
이에, 다리 운동을 수행하되,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1)는, 복수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도 5의 도시와 같이 좌,우 회동판(200)(200')을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다리를 양측으로 벌리며 운동을 수행하면 된다.
즉, 양측 다리에 힘을 가해 좌,우 회동판(200)(200')을 벌리게 되면, 좌,우 회동쇼바(300)(300')의 로드(320) 인출에 따른 저항력이 작용하는 것인바, 사용자는 이를 이겨내기 위해 다리에 더욱 힘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좌,우 회동판(200)(200')을 이용하여 좌,우 운동시 다리의 허벅지 안쪽에 힘이 가해지는 것인바, 허벅지 안쪽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양측 좌,우 회동판(200)(200')을 작동시에는 어느 한 측의 회동판(200)만을 작동시 다른 한 측의 회동판(200')이 연동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연동부(700)에 의해 가능하다.
즉, 양측의 좌,우 회동판(200)(200')은 연장대(710)와, 연동링크(720)를 통해 중앙의 이동판(730)과 연결되는 것인바, 어느 한 측의 연장대(710) 및 연동링크(720)의 연동 작동에 의해 이동판(730)을 전,후진 시키게 되는 것인바, 이에, 타측의 연장대(710) 및 연동링크(720) 또한 연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커버체(100)의 내측 양측에는 연동링크(720)와 이동판(730)을 연결하는 축(S)이 가이드 되는 제1 가이드장홈(740)이 형성된 것인바, 연동링크(720)와 이동판(730)의 링크 작동시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또한, 커버체(100)의 내측 중앙에는 이동판(730)의 가이드핀(731)이 가이드 되는 제2 가이드장홈(750)이 형성된 것인바, 이동판(73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하 회동대(400)(400')를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다리를 앞으로 들어 운동을 수행하면 된다.
즉, 양측 다리에 힘을 가해 상,하 회동대(400)(40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하 회동쇼바(600)(600')의 로드(620) 인출에 따른 저항력이 작용하는 것인바, 사용자는 이를 이려내기 위해 다리에 더욱 힘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상,하 회동대(400)(400')를 이용하여 운동시 다리의 허벅지 전면에 힘이 가해지는 것인바, 허벅지 전면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 회동대(400)(4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양측이 각각 작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1)는, 별도 구비되는 상체 운동기구(800)에 장착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도 7 내지 도 9의 도시와 같이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체 운동기구(800)를 구비하되, 그 상체 운동기구(800)의 승강 프레임(820)에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1)의 장착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승강 프레임(820)의 후단이 하체 운동기구(1)의 커버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등을 이용하여 커버체(100)와 승강 프레임(820)을 고정 설치하면 된다.
이에, 사용자가 다리 운동시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820)의 후방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 다리의 허벅지를 걸림편(210)의 사이에서 좌,우 회동판(200)(200')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발걸이부(500)(500')에 걸어 고정하면 되는 것이며, 이하에서 그 운동 하는 과정은 전술한바와 같이 동일 작동과정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체 운동기구(800)를 구비시에는 본 발명의 하체 운동과는 별도로 상체의 운동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체 운동시에는,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도 10의 도시와 같이 통상의 상체 운동기구(벤치프레스)와 같이 승강 프레임(820)의 등받이판(820a)에 누워서 사용하면 된다.
이후, 양팔을 이용하여 양측의 푸시레버(850)(850')를 파지 및 외력을 가해 상부로 밀어내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푸시레버(850)(850')를 밀게되면, 그 푸시레버(850)(850')와 연결된 지지편(851)이 축(S)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인바,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지지편(851)은, 링크부(860)(860')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먼저, 지지편(851)과 축(S) 연결된 제1 링크(861)를 밀어내게 되는 것으로, 제1 링크(861)는 지지편(851)과 연결된 축(S)으로부터 자유 회동됨과 동시에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또한, 밀려진 제1 링크(861)는, 타단부에 축(S) 연결된 제2 링크(862)를 밀어내어 그 제2 링크(862)에 회동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제2 링크(862)의 중간부가 축(S) 결합된 제2 승강작동대(840)(840')의 전방을 상부로 견인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2 승강작동대(840)(840')가 상부로 견인되는 과정에서 제2 링크(862)가 그 중간부의 축(S)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일단이 제2 링크(862)의 타단부에 축(S) 결합된 제3 링크(863)를 하방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며, 이때, 제3 링크(863)는 그 타단부가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전방에 축(S) 결합되는 것인바,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상승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 승강작동대(840)(840')가 상승시 그 제2 승강작동대(840)(840')와 중간부에서 축(S) 결합된 제1 승강작동대(830)(830')는, 전방이 제3 링크(863)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그 후방이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즉, 제2 승강작동대(840)(840')의 전방과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후방이 각각 상승하게 되는 것인바, 그 제1,2 승강작동대(830)(830')(840)(840')는 "X"자 형태를 이루게 되며, 이에, 승강 프레임(820)을 상부로 올려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 승강작동(830)(830')(840)(840')의 상승으로 "X" 형태를 이루게 되면, 그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전방과 제2 승강작동대(840)(840')의 후방은 그 폭이 좁아지게 되는 것인데, 이는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후방이 상부 가이드편(822)의 상부 가이드장공(822a)에 상부 가이드봉(831)으로 연결된 것인바, 그 상부 가이드봉(831)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제2 승강작동대(840)(840')는, 후방이 하부 가이드편(812)의 하부 가이드장공(812a)에 하부 가이드봉(841)으로 연결된 것인바, 그 하부 가이드봉(841)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2 승강작동대(830)(830')(840)(840')가 상승함은 사용자가 부여하는 외력이 자신의 체중을 이겨낼시 이루어짐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신을 체중을 넘어선 운동량을 요할시에는 인장스프링(835)을 이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양측의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후방을 연결하는 연결축(833)과, 하부 가이드봉(841)에 하나 이상의 인장스프링(835)을 설치함으로 가능한 것으로, 일예로 인장스프링(835)을 한개 설치하게 되면 비교적 작은 힘에의해 작동하게 되는 것이고, 그 설치 갯수가 증가할수록 큰 힘에 의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링크(861)의 일단과 타단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링크축공(86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승강작동대(840)(840')의 전방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승강대축공(8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862)의 타단에는 하나 이상의 제2 링크축공(86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전방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승강대축공(8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바, 이 또한 제1,2,3 링크(861)(862)(863)의 길이 조절에 따라 작용하는 힘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일 예로 각각의 제1,2,3 링크(861)(862)(863)를 길게 연결시에는 비교적 작은 힘이 필요로 하게 되고, 제1,2,3 링(861)(862)(863)를 짧게 연결시에는 비교적 큰 힘이 필요로 하게 되는 것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상체 운동기구(800)는, 팔을 이용하되,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가슴운동을 수행함으로, 가슴의 발달과 팔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하체 운동기구는, 하체의 다양한 근력의 단련이 가능하면서도, 통상의 의자나 상체 운동기구 등에 자유롭게 장착 사용이 가능하여 그 사용 효율성이 매우 높아 운동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당뇨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10 : 의자 11 : 좌판
100 : 커버체 200,200' : 좌,우 회동판
210 : 걸림편
300,300' : 좌,우 회동쇼바
400,400' : 상,하 회동대 410 : 수직대
411 : 결합공 420 : 수평대
500,500' : 발걸이부 510 : 제1 발걸이
520 : 제2 발걸이 530 : 제3 발걸이
600,600' : 상,하 회동쇼바
700 : 연동부 710 : 연장대
720 : 연동링크 730 : 이동판
740 : 제1 가이드장홈 750 : 제2 가이드장홈
800 : 상체 운동기구
810 : 지지프레임 811 : 하부 축설부
812 : 하부 가이드편 820 : 승강 프레임
821 : 상부 축설부 822 : 상부 가이드편
830,830' : 제1 승강작동대 831 : 상부 가이드봉
833 : 연결축 835 : 인장스프링
840,840' : 제2 승강작동대 841 : 하부 가이드봉
850,850' : 푸시레버 851 : 지지편
860,860' : 링크부 861 : 제1 링크
862 : 제 2링크 863 : 제3 링크

Claims (7)

  1.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수평 관통형 커버체(100);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커버체(100)의 내측에 축(S) 결합되고 타단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 및 단부 양측에 걸림편(210)이 돌출 형성된 좌,우 회동판(200)(200');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실린더(310)가 상기 커버체(100)의 내측에 축설되고, 로드(320)가 상기 좌,우 회동판(200)(200')에 축설되는 좌,우 회동쇼바(300)(300');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좌,우 회동판(200)(200')에 결합되며, 수직방향 길이로 장형을 이루며 하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공(411)이 형성되는 수직대(410)와, 상기 수직대(4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편 후방으로 돌출되는 단형을 이루며 결합공(4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게 수평대(420)가 구성되며, 상기 수직대(410)의 상단이 상기 각각의 좌,우 회동판(200)(200')의 걸림편(210) 하부에 축(S) 결합되는 상,하 회동대(400)(400');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 회동대(400)(400')의 수직대(410) 상단에 형성되는 제1 발걸이(510)와, 상기 수평대(42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 발걸이(520)와, 상기 수평대(4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3 발걸이(530)로 된 발걸이부(500)(500'); 및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실린더(610)가 상기 커버체(100)의 저면에 축설되고, 로드(620)가 상기 상,하 회동대(400)(400')의 수직대(410) 하단에 축설되는 상,하 회동쇼바(600)(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회동판(200)(200')의 동시 연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동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동부(700)는,
    상기 각각의 좌,우 회동판(200)(200')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대(710);
    일단이 상기 연장대(710)의 단부와 축(S) 결합되는 연동링크(720);
    양측에 각각 상기 연동링크(720)의 타단이 축(S)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는 가이드핀(731)이 형성된 이동판(730);
    상기 커버체(100)의 내측 상부에서 중심으로부터 양측에 형성되어 연동링크(720)와 이동판(730)을 연결하는 축(S)의 단부가 수용 및 가이드되는 제1 가이드장홈(740); 및
    상기 커버체(100)의 중심에서 상기 이동판(730)의 가이드핀(731)의 단부가 수용 및 가이드되는 제2 가이드장홈(7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의자(1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커버체(100)를 의자(10)의 좌판(11)에 결합하여 다리운동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하체 운동기구의 장착 사용이 가능한 상체 운동기구(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체 운동기구(800)는,
    바닥에 지지되며, 길이방향 상부 전방에는 폭 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하부 축설부(811)가 형성되고, 상부 후방에는 폭 방향으로 대칭되며 수평형 하부 가이드장공(812a)을 갖는 한 쌍의 하부 가이드편(812)이 형성된 지지프레임(810);
    상기 지지프레임(810)의 상부로 대항되게 형성되며, 상부에 등받이판(820a)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하부 전방에는 폭 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상부 축설부(821)가 형성되며, 하부 후방에는 폭 방향으로 대칭되며 수평형 상부 가이드장공(822a)을 갖는 한 쌍의 상부 가이드편(822)이 형성된 승강 프레임(820);
    전방 단부가 하부 축설부(811)에 축(S) 결합되고, 후방 단부가 상기 상부 가이드편(822)의 상부 가이드장공(822a)에서 슬라이딩 되는 상부 가이드봉(831)으로 설치되는 폭 방향 한 쌍을 이루는 제1 승강작동대(830)(830');
    중간부가 상기 제1 승강작동대(830)(830')와 축(S) 결합되며, 전방 단부가 상부 축설부(821)에 축(S) 결합되고, 후방 단부가 상기 하부 가이드편(812)의 하부 가이드장공(812a)에서 슬라이딩 되는 하부 가이드봉(841)으로 설치되는 폭 방향 한 쌍의 제2 승강작동대(840)(840');
    지지편(851)을 통해 상기 상부 축설부(821)에 축(S) 결합되어 회동하는 폭 방향 한 쌍의 푸시레버(850)(850'); 및
    일단이 상기 지지편(851)에 축(S) 결합되는 제1 링크(861)와, 일단이 상기 제1 링크(861)의 타단과 축(S)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전방에 축(S) 결합되는 제2 링크(862)와, 일단이 상기 제2 링크(862)의 타단과 축(S)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승강작동대(840)(840')의 전방에 축(S) 결합되는 제3 링크(863)로 된 폭 방향 한 쌍의 링크부(860)(86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상체 운동기구(800)의 승강 프레임(820) 후단에 상기 커버체(100)를 결합하여 다리운동과 상체운동의 병행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861)의 일단과 타단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링크축공(861a)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제1 링크축공(861a)에 의해 상기 지지편(851)과 제2 링크(862)의 일단에 축(S) 결합되며,
    상기 제2 승강작동대(840)(840')의 전방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승강대축공(842)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862)의 중간부가 어느 하나의 제2 승강대축공(842)에 축(S)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862)의 타단에는 하나 이상의 제2 링크축공(862a)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제2 링크축공(862a)에 의해 상기 제3 링크(863)의 일단에 축(S) 결합되며,
    상기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전방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승강대축공(832)이 형성되어 상기 제3 링크(863)의 타단이 어느 하나의 제1 승강대축공(832)에 축(S)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승강작동대(830)(830')의 후방에는 그 한 쌍의 제1 승강작동대(830)(830')를 연결축(833)으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축(833)과 하부 가이드봉(841)은 하나 이상의 인장스프링(835)으로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6. 삭제
  7. 삭제
KR1020140139831A 2014-10-16 2014-10-16 하체 운동기구 KR10155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831A KR101551245B1 (ko) 2014-10-16 2014-10-16 하체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831A KR101551245B1 (ko) 2014-10-16 2014-10-16 하체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245B1 true KR101551245B1 (ko) 2015-09-09

Family

ID=5424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831A KR101551245B1 (ko) 2014-10-16 2014-10-16 하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38B1 (ko) * 2019-12-26 2020-03-13 전은희 휴대용 발걸이용 방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021B2 (ja) 1989-07-13 2001-01-15 アクゾ ナー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耐酸腐食性コーティング
KR200352362Y1 (ko) * 2004-03-20 2004-06-05 정태근 운동구 기능을 가진 사무용 의자
KR100769329B1 (ko) * 2006-10-31 2007-10-24 김지성 의자용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021B2 (ja) 1989-07-13 2001-01-15 アクゾ ナー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耐酸腐食性コーティング
KR200352362Y1 (ko) * 2004-03-20 2004-06-05 정태근 운동구 기능을 가진 사무용 의자
KR100769329B1 (ko) * 2006-10-31 2007-10-24 김지성 의자용 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38B1 (ko) * 2019-12-26 2020-03-13 전은희 휴대용 발걸이용 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AU2015363271B9 (en) Exercise apparatus
US4880227A (en) Variable exerciser
US8177693B2 (en) Calf exercise machine with rocking user support
US20160082301A1 (en) Functional training equipment with multiple movement planes used for pull exercises
US5507711A (en) Leg stretcher
EP3246074B1 (en) Multifunctional leg training machine
EP2907548B1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KR102191270B1 (ko) 하체 운동기구
US11890504B2 (en) Arm curl fitness apparatus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1549450B1 (ko) 체중을 이용한 상체 운동기구
KR200463831Y1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CN203750094U (zh) 单双杠倒立组合健身器
ITMI20112184A1 (it) Macchina per esercizi ginnici, particolarmente per l'allenamento dei muscoli addominali.
KR200483889Y1 (ko) 복합 운동 기구
JP2006239395A (ja) 筋力訓練機
KR102434901B1 (ko) 노젓기
KR102434907B1 (ko) 아령 들어올리기
JP2007244578A (ja) 筋力訓練機
KR102434911B1 (ko) 역기 내리기
CN210543114U (zh) 一种运动健康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