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907B1 - 아령 들어올리기 - Google Patents

아령 들어올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907B1
KR102434907B1 KR1020210143391A KR20210143391A KR102434907B1 KR 102434907 B1 KR102434907 B1 KR 102434907B1 KR 1020210143391 A KR1020210143391 A KR 1020210143391A KR 20210143391 A KR20210143391 A KR 20210143391A KR 102434907 B1 KR102434907 B1 KR 102434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handle
frame
frame par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
Priority to KR102021014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8Sitting on the buttocks with stretched legs, like on a b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아령 들어올리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며, 일단부에 제1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링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에 제2 발받침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의자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과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 일,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의자의 후방인 상기 기초 프레임부 상에 위치된 회전 기점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아령을 들어올리는 동작이 구현되되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 프레임부에 제1 발받침대가 구비되고, 본체 프레임부에 제2 발받침대가 구비되어, 여성이나 어린이 또는 노인 등이 아령을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는 경우 제1 발받침대에 발을 올려놓고 운동하고, 남성이 아령을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는 경우 제2 발받침대에 발을 올려놓고 운동하게 하고, 핸들 프레임부에 이격된 제1, 2 손잡이가 구비되어 파지 위치에 따라 강도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령 들어올리기 {DUMBBELL LIFTING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아령 들어올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등에 설치되며, 아령을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운동자 자신의 몸을 들어올리면서 운동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놀이터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야외에 설치하여 손 쉽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가 널리 개발되어 있다.
종래,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는 아령 들어올리기용 운동기구, 자전거타기 운동기구, 상체 운동기구, 파도타기 운동기구, 런닝 운동기구 등 여러 가지의 운동기구가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아령 들어올리기용 운동기구는 베이스부재의 중앙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지주부재를 고정 설치하며, 좌대에 장치된 노가 전후로 작동되는 아령 들어올리기운동구를 지주부재의 좌우 측에 각각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체 운동기구 중 아령 들어올리기 운동기구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782836호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강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여성이나 노인 등이 운동하기엔 무리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782836호(2017.09.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아령을 반복적으로 들어올리는 운동 과정에서 운동 강도 조절이 가능한 아령 들어올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령 들어올리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며, 일단부에 제1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링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에 제2 발받침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의자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과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 일,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의자의 후방인 상기 기초 프레임부 상에 위치된 회전 기점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아령을 들어올리는 동작이 구현되되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 프레임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이웃한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초 프레임부는 이격 배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과,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수평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핸들 프레임부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정지프레임이 종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핸들 프레임부는 회전 기점에서의 거리가 상이한 제1, 2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면에 안착되며, 설치면에서 이격된 일단부에 제1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링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에 제2 발받침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의자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과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 일,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의자의 후방인 상기 기초 프레임부 상에 위치된 회전 기점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아령을 들어올리는 동작이 구현되되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발받침대는 저강도 운동시 운동자의 발이 놓이고, 상기 제2 발받침대는 고강도 운동시 운동자의 발이 놓이며,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수평프레임 상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부 일측의 사이에 연결대가 링크 연결되고,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후방 수직프레임 상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부 타측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핸들 프레임부는 손등이 아래쪽을 향하게 파지하는 제1, 2 손잡이를 포함하되, 단부 대향면에 상기 제1 손잡이가 각각 구비되고, 단부에서 직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프레임의 단부마다 상기 제2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 프레임부에 제1 발받침대가 구비되고, 본체 프레임부에 제2 발받침대가 구비되어, 여성이나 어린이 또는 노인 등이 아령을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는 경우 제1 발받침대에 발을 올려놓고 운동하고, 남성이 아령을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는 경우 제2 발받침대에 발을 올려놓고 운동하게 하고, 핸들 프레임부에 이격된 제1, 2 손잡이가 구비되어 파지 위치에 따라 강도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령 들어올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령 들어올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령 들어올리기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아령 들어올리기에서 연결대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령 들어올리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령 들어올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아령 들어올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령 들어올리기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아령 들어올리기에서 연결대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령 들어올리기(100)는 기초 프레임부(110), 본체 프레임부(120), 의자(130) 및 핸들 프레임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기초 프레임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 구조로 구비되고, 본체 프레임부(120) 및 핸들 프레임부(140)는 원형파이프 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가능하다.
기초 프레임부(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형상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직립 상태로 이격 배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과,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수평프레임(116) 및 수평프레임(116) 상에 핸들 프레임부(14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종방향으로 연결된 정지프레임(116b)을 포함한다.
더욱이, 기초 프레임부(110)는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의 하부에 설치면에 볼트로 고정 가능하도록 제1, 2 고정구(112a, 114a)가 각각 구비되고, 전방 수직프레임(112)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프레임(112b)에 제1 발받침대(118)가 수평프레임(116)과 직교방향인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 수직프레임(112)은 핸들 프레임부(14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정지프레임(116b)과 함께 아령 들어올리기(100)의 미사용시 본체 프레임부(120)의 전방 하부가 지지되므로 본체 프레임부(120)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제1 발받침대(118)는 운동자의 체중을 다리로 받친 상태에서 팔을 이용하여 아령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게 되므로 여성이나 어린이 또는 노인 등이 저강도 운동할 수 있도록 운동자의 발(F)이 선택적으로 놓이게 된다.
후방 수직프레임(114)은 상단에 핸들 프레임부(140)가 고정된 연결편(114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평프레임(116)에는 중앙부 상면에 제2 연장프레임(116a)이 직립 연결되어, 본체 프레임부(120)를 연결한 연결편(1140)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대(1120)는 전방 연결대(1130')와 후방 연결대(1140')로 분할 형성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전방 연결대(1130')는 후방 연결대(1140')와 이웃한 단부에 절개홈부(1132')가 형성되고, 절개홈부(1132')의 양측에 반복된 결속홈(1134')이 형성된다.
후방 연결대(1140')는 전방 연결대(113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단부가 삽입되며, 상면 중심부에 지지구(1142')가 구비되고, 지지구(1142')에 결속돌기(1144')가 축(114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결속돌기(1144')는 축(1146')에 권취된 부분이 결합되고 양단이 결속돌기(1144')와 지지구(1142')에 각각 지지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항시 결속홈(1134')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연결대(1120)의 길이를 줄여 운동자의 시선이 아래쪽을 향하게 하고, 연결대(1120)의 길이를 늘여 운동자의 시선이 위쪽을 향하게 하도록 길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결속돌기(1144')를 후방으로 젖혀 결속돌기(1144')가 결속홈(1134')에서 이탈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 후방 연결대(1130', 1140')의 길이를 조절한 후 결속돌기(1144')를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결속돌기(1144')가 해당 위치의 결속홈(1134')에 결합되면서 전후방 연결대(1130', 1140')의 길이가 쉽게 고정된다.
본체 프레임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기초 프레임부(110)에서 링크에 의해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 일단부에 제2 발받침대(122)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의자(130)가 구비된다.
제2 발받침대(122)는 운동자의 체중을 오로지 팔을 이용하여 받친 상태에서 아령을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게 되므로 남성 등이 고강도 운동할 수 있도록 운동자의 발(F)이 선택적으로 놓이게 된다.
더욱이, 본체 프레임부(120)는 하부에 제3 연장프레임(124)과 제4 연결프레임(126)이 각각 구비되어 기초 프레임부(110)의 수평프레임(116) 상부에 설치된 제2 연장 프레임(116a)의 사이에 링크 연결된 연결대(1120)와, 후방 수직프레임(114)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편(1140)의 타단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의자(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부(120)의 후방에 운동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본체 프레임부(120)의 후방 수평 부분에 고정되는 안장(132)과, 본체 프레임부(120)의 후방 단부에 경사진 부분에 고정되는 등받이(134)를 포함한다.
핸들 프레임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 형상은 절곡 형성되면서 기초 프레임부(110)의 후방 수직프레임(114)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평행한 연결편(1140)의 하부 타단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양단부에 제1 손잡이(144)가 구비된다.
더욱이, 핸들 프레임부(140)는 핸들 프레임부(140)의 단부에서 직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프레임(143)의 단부마다 제1 손잡이(142)와 평행한 제2 손잡이(144)가 구비된다.
이때, 핸들 프레임부(140)의 회전기점에서 제1 손잡이(144)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핸들 프레임부(140)의 회전기점에서 제2 손잡이(144)의 중심위치가 더 짧으므로 제2 손잡이(144)를 잡고 핸들 프레임부(140)를 회전시킬 때 제1 손잡이(144)를 잡고 핸들 프레임부(140)를 회전시킬 때보다 더 많은 힘이 요구된다.
또한, 핸들 프레임부(140)는 운동자가 팔을 뻗어 제1 손잡이(144) 또는 제2 손잡이(144) 중 어느 하나를 손(H)으로 파지한 후 팔꿈치가 접히도록 양팔을 올리는 과정에서 팔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핸들 프레임부(140)는 회전하기 전에는 연결편(1140)의 타단 상부에 고정된 몸체 프레임부(120)의 제4 연장프레임(126) 연결 기점과, 연결편(1140)의 일단에 고정된 후방 수직프레임(114)의 상부 연결 기점의 높이가 짧도록 하지만, 당기면서 회전시킨 후에는 연결편(1140)이 연동되면서 연결편(1140)의 타단 상부에 고정된 몸체 프레임부(120)의 제4 연장프레임(126) 연결 기점과, 연결편(1140)의 일단에 고정된 후방 수직프레임(114)의 연결 기점의 높이가 길어지게 함으로써 본체 프레임부(120)가 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아령 들어올리기(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자가 의자(130)에 착석한 상태에서 제1 발받침대(118) 또는 제2 발받침대(122) 중 어느 하나의 발받침대에 발(F)을 올려놓게 된다.
이때, 운동자가 제1 발받침대(118)에 발(F)을 올려놓는 경우 운동자의 체중을 다리로 받친 상태로 아령 들어올리기 운동을 하게 되므로 힘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또는 노인 등의 대상이 운동하기에 적합하고, 운동자가 제2 발받침대(122)에 발(F)을 올려놓는 경우 운동자의 체중을 오로지 팔을 이용하여 아령 들어올리기 운동을 하게 되므로 힘이 강한 남성 등의 대상이 운동하기에 적합하다.
더욱이, 위치가 다른 제1 손잡이(142) 또는 제2 손잡이(144)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를 잡고 운동하며, 제2 손잡이(144)를 잡고 운동하게 되면 제1 손잡이(142)를 잡고 운동할 때보다 좀더 큰 힘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제1 발받침대(118) 또는 제2 발받침대(122) 중 어느 하나의 발받침대에 발(F)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팔을 뻗어 손등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손(H)으로 제1, 2 손잡이(142, 144)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핸들 프레임부(140)를 팔꿈치가 접히도록 회전시켜 당기게 되면, 후방 수직프레임(114)과 연결편(1140)의 연결지점 그리고 본체 프레임부(120)의 제4 연장프레임(126)과 연결편(1140)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본체 프레임부(120)가 상승한다.
이와 동시에 본체 프레임부(120)의 제3 연장프레임(124)과 기초 프레임부(110)의 제2 연장프레임(116a) 연결지점을 연결한 연결대(1120)가 회전되면서 세워져 본체 프레임부(120)가 상승한다.
이 경우, 제1 발받침대(118)에 발(F)이 놓이면 운동자의 무릎이 가슴에서 거리가 멀어진 상태로 운동하게 되고, 제2 발받침대(122)에 발(F)이 놓이면 운동자의 무릎이 가슴에서 거리가 가까워진 상태로 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운동 종료시 기초 프레임부(110)의 하부와 후방 수직프레임(114)을 연결한 연결대(1120)가 하향 회전되면서 전방 수직프레임(112) 및 정지프레임(116b)에 의해 기초 프레임부(110)과 핸들 프레임부(140)의 하강 위치가 제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아령 들어올리기
110: 기초 프레임부
120: 본체 프레임부
130: 의자
140: 핸들 프레임부

Claims (4)

  1. 설치면에 안착되며, 설치면에서 이격된 일단부에 제1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링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에 제2 발받침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의자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과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 일,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의자의 후방인 상기 기초 프레임부 상에 위치된 회전 기점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아령을 들어올리는 동작이 구현되되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발받침대는 저강도 운동시 운동자의 발이 놓이고, 상기 제2 발받침대는 고강도 운동시 운동자의 발이 놓이며,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수평프레임 상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부 일측의 사이에 연결대가 링크 연결되고,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후방 수직프레임 상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부 타측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핸들 프레임부는 손등이 아래쪽을 향하게 파지하는 제1, 2 손잡이를 포함하되, 단부 대향면에 상기 제1 손잡이가 각각 구비되고, 단부에서 직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프레임의 단부마다 상기 제2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 들어올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프레임부는 이격 배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과,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수평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핸들 프레임부 및 상기 의자가 구비된 기초 프레임부의 하강 높이를 동시 제한하도록 정지프레임이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 들어올리기.
  4. 삭제
KR1020210143391A 2021-10-26 2021-10-26 아령 들어올리기 KR102434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91A KR102434907B1 (ko) 2021-10-26 2021-10-26 아령 들어올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91A KR102434907B1 (ko) 2021-10-26 2021-10-26 아령 들어올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907B1 true KR102434907B1 (ko) 2022-08-22

Family

ID=8310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391A KR102434907B1 (ko) 2021-10-26 2021-10-26 아령 들어올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9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42Y1 (ko) * 2005-06-02 2005-08-18 정길균 벤치 프레스형 공용 운동기구
KR100939095B1 (ko) * 2007-08-14 2010-01-28 조금제 체중 체감형 플라이 운동기구
KR101782836B1 (ko) 2015-12-11 2017-09-29 오세영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CN210331556U (zh) * 2019-07-23 2020-04-17 江苏杰威体育设施有限公司 一种推举训练器
KR102296498B1 (ko) * 2020-11-27 2021-09-01 (주)뉴텍웰니스 레터럴 레이즈 머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42Y1 (ko) * 2005-06-02 2005-08-18 정길균 벤치 프레스형 공용 운동기구
KR100939095B1 (ko) * 2007-08-14 2010-01-28 조금제 체중 체감형 플라이 운동기구
KR101782836B1 (ko) 2015-12-11 2017-09-29 오세영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CN210331556U (zh) * 2019-07-23 2020-04-17 江苏杰威体育设施有限公司 一种推举训练器
KR102296498B1 (ko) * 2020-11-27 2021-09-01 (주)뉴텍웰니스 레터럴 레이즈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US7670269B2 (en) Chest press exercise machine with self-aligning pivoting user support
US4880227A (en) Variable exerciser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4635926A (en) Weight lifting type exercising device
US6220990B1 (en) Jumping jack exercise machine
US5080353A (en) Aerobic exercise chair
US5941800A (en)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US7601187B2 (en) Rigid arm pull down exercise machine
US7549949B2 (en) Chest press exercise machine with self-aligning pivoting user support
AU2010100791B4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7569005B2 (en) Standing position exercise device
US20080113850A1 (en) Triceps dip exercise machine
US6245000B1 (en) Exercise device and body toner with adjustable inclined roller platform
US20040067830A1 (en) Exercise device
KR100651259B1 (ko)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KR102191270B1 (ko) 하체 운동기구
EP2907548B1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CN112999606A (zh) 一种多元化肌体功能训练器械
KR102434907B1 (ko) 아령 들어올리기
JP3202923U (ja) スクワット・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
CN110559600A (zh) 一种多功能健身椅
KR102434911B1 (ko) 역기 내리기
WO1992018204A1 (en)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