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836B1 -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836B1
KR101782836B1 KR1020160001033A KR20160001033A KR101782836B1 KR 101782836 B1 KR101782836 B1 KR 101782836B1 KR 1020160001033 A KR1020160001033 A KR 1020160001033A KR 20160001033 A KR20160001033 A KR 20160001033A KR 101782836 B1 KR101782836 B1 KR 101782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ser
arm
connection frames
pivot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885A (ko
Inventor
오세영
이건희
박근형
Original Assignee
오세영
이건희
박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영, 이건희, 박근형 filed Critical 오세영
Publication of KR2017006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일반인들이 장소적 제한이나 경제적 부담없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효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는, 절곡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절곡부재로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재의 하단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1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상박부착용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2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하박부에 착용되는 하박부착용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EXERCISE APPARATUS FOR REINFORCING PYSICAL STRENGTH OF ARM}
본 발명은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팔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팔근력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 유지를 위한 운동과 재활치료 등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신체부위에 맞는 운동기구 또는 근력강화기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팔의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도 많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팔근력강화용 운동기구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23014호(2015.05.26)에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팔을 지지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지 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지 운동부는 사용자가 좌우 팔을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 반전할 수 있는 상지 근력 강화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38407호(2015.07.22)에는 팔의 근력 강화를 보조하기 위한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몸통과 팔의 상박을 기대어 거치할 수 있는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하박을 거치할 수 있고, 팔꿈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제 1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박이 상기 지지 부재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하여, 사용자의 팔꿈치가 관절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팔의 근력 강화를 보조하고, 상기 회전 부재에는 상기 사용자의 근력 강화 운동을 돕기 위한 보조원이 파지할 수 있는 보조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설치장소에서만 사용 가능한 장소적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 자체가 복잡하여 누구나 경제적인 부담없이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팔에 직접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팔근력강화용 운동기구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팔근력강화용 운동기구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815477호(2008.03.20. 공고)에는 강직증상이 있는 환자의 상지 또는 하지를 반복적으로 접고 펼치는 동작을 통해 해당 신체부위의 재활 및 치료를 수행하는 물리치료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상박부 또는 상퇴부를 지지하는 제1받침대와, 환자의 하박부 또는 하퇴부를 지지하며, 환자가 상지 또는 하지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제1받침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를 제1받침대에 대하여 양방향 회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제2받침대의 동작범위 설정시에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환자의 상지 또는 하지가 접혀질 때 해당 신체부위의 강직도에 따라 부하되는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센서와, 상기 모터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토크센서로부터 입력된 토크값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받침대의 최대펼침위치값과 최소펼침위치값을 검출하여 이 값들 범위 내에서 상기 제2받침대가 회동되도록 모터의 회전범위를 설정 및 저장하고, 치료시에 설정된 회전범위 내에서 양방향 회전되도록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통한 모터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지 강직 환자용 물리치료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착용형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는 건강관리를 운동이 아니라 고령자나 환자의 재활을 위한 것으로, 특히 비교적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일반인들이 운동 목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일반인들이 장소적 제한이나 경제적 부담없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효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곡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절곡부재로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재의 하단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1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상박부착용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2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하박부에 착용되는 하박부착용프레임을 포함하는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재의 힌지결합부위는 사용자의 팔꿈치 위치에 대응되게 착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의 하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1 절곡부재의 상단 내로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상기 하박부착용프레임의 하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2 절곡부재의 상단 내로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의 상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상박하부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 상에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상측을 둘러싸는 상박상부지지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에 의하면, 마치 손 근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악력기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일반인들이 장소적 제한이나 경제적 부담없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효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작동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는 사용자가 팔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곡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 13)로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과,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의 하단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20)과,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절곡부재(11)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상박부착용프레임(30)과,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2 절곡부재(13)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하박부에 착용되는 하박부착용프레임(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가 사용자가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차후에 설명될 상박부착용프레임(30)에 대해 하박부착용프레임(40)이 상대회동될 수 있도록 상박부착용프레임(30)과 하박부착용프레임(40)를 연결하는 구성부재이다.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은 각각 절곡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 13)로 각각 형성되는데, 이 때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 13)의 힌지결합부위는 사용자의 팔꿈치 위치에 대응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은 통상 성인의 팔 두께에 대응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어, 사용자의 팔을 기준으로 양측에 내측면이 접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의 하단에는 각각 코일스프링(20)의 양단이 결합되는데, 이 코일스프링(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가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의 힌지결합부위에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코일스프링(2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의 하단에는 코일스프링(20)의 양단 후크부가 걸려지는 걸이링부재(21)가 구비된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절곡부재(11)의 상단에 걸쳐 상박부착용프레임(30)가 삽입연결되는데, 이 상박부착용프레임(30)은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부재이다.
상박부착용프레임(30)은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절곡부재(11)의 상단 내에 하측이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2개의 평행봉 형태로 형성된다. 상박부착용프레임(30)의 길이조절가능한 삽입결합을 위해 제 1 절곡부재(11)에는 제 1 절곡부재(11)를 관통한 단부가 상박부착용프레임(30)에 가압지지되는 제 1 삽입길이고정용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의 상박부에 대한 착용을 위해, 상박부착용프레임(30)의 상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상박하부거치대(31)가 구비되고 상박부착용프레임(30) 상에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상측을 둘러싸는 상박상부지지대(33)가 구비된다.
상박하부거치대(31)는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박부착용프레임(30)이 사용자의 상박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박상부지지대(33)는 조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2 절곡부재(13)의 상단에 걸쳐 하박부착용프레임(40)가 삽입연결되는데, 이 하박부착용프레임(40)은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박부착용프레임(30)과 함께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부재이다.
하박부착용프레임(40)은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2 절곡부재(13)의 상단 내에 하측이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2개의 평행봉 형태로 형성된다. 하박부착용프레임(40)의 길이조절가능한 삽입결합을 위해 제 2 절곡부재(13)에는 제 2 절곡부재(13)를 관통한 단부가 하박부착용프레임(40)에 가압지지되는 제 2 삽입길이고정용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의 하박부에 대한 착용을 위해, 하박부착용프레임(40)의 상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박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하박하부거치대(41)가 구비되고 하박부착용프레임(40) 상에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박부의 상측을 둘러싸는 하박상부지지대(43)가 구비된다.
하박하부거치대(41)는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하박부착용프레임(40)이 사용자의 하박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박상부지지대(43)는 조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팔 길이 등에 맞게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에 대한 상박부착용프레임(30) 및 하박부착용프레임(40)의 삽입길이를 조절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상박하부거치대(31)와 상박상부지지대(33)를 통해 상박부착용프레임(30)을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함과 동시에 하박하부거치대(41)와 하박상부지지대(43)를 통해 하박부착용프레임(40)을 사용자의 하박부에 착용한다. 이 때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 13)의 힌지결합부위는 사용자의 팔꿈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의 하단에 양단이 결합되는 코일스프링(20)으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는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혔다 폈다 하면 코일스프링(20)에 의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됨에 따라 팔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는 마치 손 근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악력기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를 사용할 경우 일반인들이 장소적 제한이나 경제적 부담없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효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10 : 제 1 회동연결프레임
10' : 제 2 회동연결프레임
11 : 제 1 절곡부재
13 : 제 2 절곡부재
20 : 코일스프링
21 : 걸이링부재
30 : 상박부착용프레임
31 : 상박하부거치대
33 : 상박상부지지대
40 : 하박부착용프레임
41 : 하박하부거치대
43 : 하박상부지지대

Claims (5)

  1. 절곡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절곡부재로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용자의 팔꿈치 위치에 대응되게 착용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재의 힌지결합부위의 하단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1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상박부착용프레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2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하박부에 착용되는 하박부착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의 상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상박하부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 상에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상측을 둘러싸는 상박상부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하박부착용프레임의 상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박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하박하부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하박부착용프레임 상에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박부의 상측을 둘러싸는 하박상부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의 하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1 절곡부재의 상단 내로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상기 하박부착용프레임의 하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2 절곡부재의 상단 내로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4. 삭제
  5. 삭제
KR1020160001033A 2015-12-11 2016-01-05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KR101782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82 2015-12-11
KR20150176982 2015-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885A KR20170069885A (ko) 2017-06-21
KR101782836B1 true KR101782836B1 (ko) 2017-09-29

Family

ID=5928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033A KR101782836B1 (ko) 2015-12-11 2016-01-05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907B1 (ko) 2021-10-26 2022-08-22 주식회사 지아이 아령 들어올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93B1 (ko) * 2018-01-08 2019-11-27 박종완 팔 근력 보조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014B1 (ko) 2014-04-24 2015-05-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상지 근력 강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014B1 (ko) 2014-04-24 2015-05-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상지 근력 강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907B1 (ko) 2021-10-26 2022-08-22 주식회사 지아이 아령 들어올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885A (ko)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934B2 (en) Upper and lower limb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KR101261650B1 (ko) 운동 장치
US7048704B2 (en) Orthotic device
KR101099078B1 (ko)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KR101325066B1 (ko) 뇌졸중 환자의 보행재활 치료용 로봇
US9616284B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upright body stretching apparatus
EP3586808A1 (en) Knee joint stimulation device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KR20110066567A (ko) 공압근육을 이용한 양팔 재활 운동 기구
JP2017524410A (ja) 脚矯正器具及び矯正器具
KR101316840B1 (ko) 상지 재활 훈련용 외골격 장치
KR101694848B1 (ko)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행 재활 로봇
KR101782836B1 (ko)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RU265381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аботки подвижности плечевого сустава
CN106176136B (zh) 儿童用全身力线矫正训练装置
RU2629738C1 (ru) Экзоскелет верх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CN112775932A (zh) 脚踝辅助外骨骼设备
KR102091227B1 (ko) 요추운동 보조장치
KR100817531B1 (ko) 유니버셜 엘보우 힌지 브레이스
KR20150049848A (ko) 노약자 및 장애인 근력회복을 위한 주관절 재활장치
KR20210030564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84450A (ko) 팔 근력 보조기구
JP3047035B2 (ja) 腰部伸長用具
RU89387U1 (ru) Тренажер
KR200405261Y1 (ko) 척추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