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537Y1 -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537Y1 KR200477537Y1 KR2020150001384U KR20150001384U KR200477537Y1 KR 200477537 Y1 KR200477537 Y1 KR 200477537Y1 KR 2020150001384 U KR2020150001384 U KR 2020150001384U KR 20150001384 U KR20150001384 U KR 20150001384U KR 200477537 Y1 KR200477537 Y1 KR 2004775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support
- portable
- pair
- she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219 manual therapy Methods 0.000 title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36545 exerci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207 exercise therap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10000003484 anatomy Anatomy 0.000 abstract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6010002855 Anxie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666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3 Elbo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531 Knee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094 Chronic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820 Joint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67 Larynx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592 Musculoskele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91 Musculoskelet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836 Ne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613 Shoulder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04 rout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61H2201/1611—Holding mean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가 가능한 도수치료 보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를 줄에 지지한 상태에서 도수치료 내지 운동치료를 시행하기 위한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횡대와, 상기 횡대의 양 단에 조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가 직립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휴대가 가능한 지지틀체; 피시술자의 신체의 일부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떠받혀질 수 있도록 상기 횡대에 매달리게끔 설치되는 받침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밴드는, 일단은 상기 횡대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 쌍의 끈부재와, 양 단이 상기 한 쌍의 끈부재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신체를 편하게 받치기 위한 면적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양 단이 상기 받침밴드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밴드에 얹힌 신체의 일부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받침밴드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트랙션(traction)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가 가능한 도수치료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를 줄에 지지한 상태에서 도수치료 내지 운동치료를 시행하기 위한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슬링(sling) 운동 치료란 흔들리는 줄을 이용하여 환자 스스로 능동적인 운동을 시행함으로써 손상 부위를 치료하고 건강을 도모하는 치료법이다. 운동 방법은 환자의 특성에 따라 물리치료사가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슬링 운동 치료는 경추의 심부근을 강화 또는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경추 후면에 있는 판상근, 반극근, 후두하근 등의 운동을 돕기도 한다. 슬링의 위치와 운동하고자 하는 관절의 위치에 따라 근육과 관절에 가해지는 물리력이 달라진다. 따라서 치료사는 피시술자가 필요로 하는 운동에 따라 슬링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치료에 임하게 된다.
이러한 슬링 운동 치료를 위하여 통상 재활치료원 또는 병원에 기구가 비치되어 있으며 피시술자는 병원 등에 내방하여 치료를 받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70136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규모의 장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치료는 물리치료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 꾸준한 치료가 시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피시술자가 거동이 불편한 경우라든가 일상이 바빠서 치료시설에 내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없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링 운동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소규모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인 목적은 물리치료사가 휴대하면서 피시술자를 찾아가 도수치료와 슬링 운동치료를 시행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며, 규모가 작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횡대와, 상기 횡대의 양 단에 조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가 직립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휴대가 가능한 지지틀체;
피시술자의 신체의 일부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떠받혀질 수 있도록 상기 횡대에 매달리게끔 설치되는 받침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밴드는, 일단은 상기 횡대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 쌍의 끈부재와, 양 단이 상기 한 쌍의 끈부재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신체를 편하게 받치기 위한 면적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양 단이 상기 받침밴드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밴드에 얹힌 신체의 일부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받침밴드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트랙션(traction)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랙션 밴드는 일체형 띠부재로 되어 있으며, 일단은 상기 받침밴드의 끈부재 또는 시트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밴드의 끈부재 또는 시트의 타측에 연결되며, 시술자의 허리에 걸 수 있는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는 상기 횡대와 평면상 직각이 되도록 지주의 하단에 연결되는 종대와, 상기 종대의 양 단에 설치되는 다리봉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휴대가 가능한 간이한 기구를 이용하여 슬링 운동 치료를 시행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기구에 의하면, 목의 인대와 근육이 손상되는 편타 손상을 치료하는 데 특히 효과적인 수단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는 조립식으로 되어 있으며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피시술자는 시술소에 내방하지 않고서도 시술을 받을 수 있어 치료 내지 재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의 사용상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의 지지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의 사용상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의 지지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기본적으로 참조하겠으며 필요한 곳에서 도 3을 인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는 도수치료와 슬링 운동 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휴대가 가능한 규격으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정해진 치료방법 이외에 필요로 여겨지는 다양한 운동 방식을 본 고안의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는 기본적으로 지지틀체(10)와 받침밴드(20)를 포함한다. 받침밴드(20)는 신체의 일부를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떠받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지지틀체(10)는 받침밴드(20)를 그네처럼 유동 가능하게 매달 수 있게 한다.
지지틀체(10)는 횡대(11)와, 횡대(11)의 양 단에 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12,12')와, 지주(12,12')가 지면에 직립 설치될 수 있도록 각 지주(12,12')의 하단에 조립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받침대는 전술한 횡대(11)와 평면상 직각이 되도록 지주(12,12')의 하단에 연결되는 종대(14,14')와, 종대(14,14')의 양 단에 설치되며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다리봉(15,15')을 포함한다. 다리봉(15,15')의 하단에는 미끄럼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발판(15a)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안정적으로 지지틀체(10)를 직립 설치하는데 유리하다.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종대(14,14')와 다리봉(15,15')의 연결 부위에 스프링(18)이 개입될 수 있다. 이 스프링(18)은 지주(12,12')로 하여금 수직방향으로 완충 기능을 갖도록 한다. 또한 양 쪽 다리봉(15,15')에는 걸이밴드(50,50')가 끼워질 수 있다. 이 걸이밴드(50,50')는 시술자 또는 피시술자가 팔이나 다리를 끼우고 힘을 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사용하면 된다.
횡대(11)와 지주(12,12')는 엘(L)자형 연결구(13)를 이용하여 서로 엘자 형태로 연결되며, 지주(12,12')와 종대(14,14')는 티(T)자형 연결구(17)에 의해 티자 형태로 연결된다. 종대(14,14')와 다리봉(15,15') 역시 엘(L)자형 연결구(13)에 의해 엘자 형태로 연결된다. 이들 연결구(13,17)는 렌치 와 같은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지지틀체(10)를 조립할 수 있게 한다. 각 연결구(13,17)와 파이프 형태의 지주(12,12') 등은 도시된 것처럼 볼트로써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도 3 참조), 나사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고, 직접 끼운 상태에서 반바퀴 정도만 돌리면 찰칵하고 결합되는 원터치식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좀 더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대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된 각 부재의 조립 방식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된다.
횡대(11)의 길이에 대응되는 지지틀체(10)의 폭(W, 도 1 참조)은 일반 사용자의 어깨넓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폭(W)은 500 ~1,000mm가 될 수 있다. 또한 지지틀체(10)의 높이(H, 도 2 참조)는 사용자의 무릎높이, 예를 들어 400 ~ 1,000mm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휴대가 가능하고 케이스에 넣고 다닐 수 있는 정도면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횡대(10) 및 지주(12,12')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형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주(12,12')를 직선형으로 연결할 수 있는 몇개의 파이프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횡대(11)에는 필요한 경우 끈부재(미도시됨)를 걸어 다른 신체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걸고리(30,30')가 부수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피시술자의 턱부위를 고정시키기 위한 턱고정끈(미도시됨)을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걸고리(30,30')를 이용하여 지지틀체(10)를 고정된 장소에 연결하고 위치 고정시킬 수도 있다.
받침밴드(20)는 피시술자의 신체의 일부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떠받혀질 수 있도록 횡대(11)에 매달리게끔 설치된다(도 2 참조). 받침밴드(20)는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끈부재(22,22')와 신체의 일부를 편하게 받치기 위한 면적의 시트(21)를 포함한다. 한 쌍의 끈부재(22,22')는 일단은 횡대(11)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종 가방의 어깨끈이나 멜빵에 흔히 사용되는 끈조정구(23,23')에 의해 끈부재(22,22')의 길이는 자유로운 조정이 가능하다. 끈부재(22,22')는 탄성밴드일 수 있다.
신체를 편하게 받치기 위한 면적을 가지는 시트(21)의 양 단이 한 쌍의 끈부재(22,22')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다. 시트(21)의 양 단에는 연결고리(24,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원터치식으로 끈부재(22,22')와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된다. 시트(21)는 가령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머리를 편하게 받칠 수 있는 넓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양 단이 받침밴드(20)에 연결되는 트랙션 밴드(40, traction band)가 더 포함된다. 트랙션 밴드(40)는 받침밴드(20)에 얹힌 신체의 일부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받침밴드(20)에 연결되는 것이다. 트랙션 밴드(40)는 일체형 띠부재(41)로 되어 있으며, 일단은 받침밴드의 끈부재(22) 또는 시트(2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밴드의 끈부재(22') 또는 시트(21)의 타측에 연결된다. 트랙션 밴드(40)는 시술자의 허리에 걸 수 있는 길이(예를 들어 허리띠에 준하는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랙션 밴드(40)의 양 단은 클립(42,4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클립(42,42')을 시트의 연결고리(24,24')에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피시술자는 머리를 시트(21) 위에 대고 바닥에 누운 상태로 있으며,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머리맡에서 트랙션 밴드(40)를 허리에 차고 체중을 이용하여 트랙션 밴드(40)를 화살표 방향(K1)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피시술자의 목부위를 견인할 수 있게 된다. 피시술자는 이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두부(頭部)를 손으로 잡고 전후좌우 및 상하 등 다양한 방향으로 견인 또는 회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목, 머리, 어깨의 통증과 편타손상 등에 의한 통증을 치료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경추 심부근의 강화는 물론 감각운동능력을 회복시키거나 만성통증을 유발하는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지지틀체 11 : 횡대
12,12' : 지주 13,17 : 연결구
14,14' : 종대 15,15' : 다리봉
18 : 스프링 20 : 받침밴드
21 : 시트 22,22' : 끈부재
30,30' : 걸고리 40 : 트랙션 밴드(traction band)
50,50' : 걸이밴드
12,12' : 지주 13,17 : 연결구
14,14' : 종대 15,15' : 다리봉
18 : 스프링 20 : 받침밴드
21 : 시트 22,22' : 끈부재
30,30' : 걸고리 40 : 트랙션 밴드(traction band)
50,50' : 걸이밴드
Claims (4)
- 횡대와, 상기 횡대의 양 단에 조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가 직립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휴대가 가능한 지지틀체; 피시술자의 신체의 일부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떠받혀질 수 있도록 상기 횡대에 매달리게끔 설치되는 받침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밴드는, 일단은 상기 횡대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 쌍의 끈부재와, 양 단이 상기 한 쌍의 끈부재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신체를 편하게 받치기 위한 면적의 시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에 있어서,
양 단이 상기 받침밴드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밴드에 얹힌 신체의 일부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받침밴드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트랙션(traction)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 밴드는 일체형 띠부재로 되어 있으며, 일단은 상기 받침밴드의 끈부재 또는 시트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밴드의 끈부재 또는 시트의 타측에 연결되며, 시술자의 허리에 걸 수 있는 길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1384U KR200477537Y1 (ko) | 2015-03-04 | 2015-03-04 |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1384U KR200477537Y1 (ko) | 2015-03-04 | 2015-03-04 |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7537Y1 true KR200477537Y1 (ko) | 2015-06-22 |
Family
ID=5351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1384U KR200477537Y1 (ko) | 2015-03-04 | 2015-03-04 |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53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1495B1 (ko) | 2016-03-16 | 2017-09-27 | 주식회사 마르페 | 도수치료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5983A (ko) * | 2007-11-29 | 2009-06-03 | 양해완 | 다목적 조립식 운동기구 |
JP2011083460A (ja) * | 2009-10-16 | 2011-04-28 | Moritoh:Kk | スリングシート |
KR20120125082A (ko) * | 2011-05-06 | 2012-11-14 | 김영진 | 의자형 운동장치 |
-
2015
- 2015-03-04 KR KR2020150001384U patent/KR20047753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5983A (ko) * | 2007-11-29 | 2009-06-03 | 양해완 | 다목적 조립식 운동기구 |
JP2011083460A (ja) * | 2009-10-16 | 2011-04-28 | Moritoh:Kk | スリングシート |
KR20120125082A (ko) * | 2011-05-06 | 2012-11-14 | 김영진 | 의자형 운동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1495B1 (ko) | 2016-03-16 | 2017-09-27 | 주식회사 마르페 | 도수치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68163B1 (en) |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 |
US8257232B2 (en) | Device for the reeducation of motory deficiencies, particularly deficiencies when walking, in patients | |
US994988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 |
US9687406B1 (en) | Stretching device | |
US9216312B2 (en) | Antigravity spinal exerciser | |
US8597221B2 (en) | Traction exercise apparatus | |
JP2018532523A (ja) | 頸部トレーニング装置 | |
US20160228320A1 (en) | Inversion therapy spinal decompression accessory | |
US7976446B2 (en) | Exercise apparatus | |
RU183784U1 (ru) | Опора-тренажер | |
KR200477537Y1 (ko) |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 |
US11395755B2 (en) | Method for applying spinal traction | |
EP2902078B1 (en) | Equipment for treating and caring for the spinal column | |
EP2768462B1 (en) |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 |
US9868013B1 (en) | Stretching tool and method for post-surgery patient recovery | |
US20150094632A1 (en) | Apparatus for sacro-lumbar back support, reduction of load on vertebrae discs and stimulation of circulation and muscles through axial tensioning exercises | |
US20210298980A1 (en) | Spin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 |
WO2013088182A1 (en) | Apparatus for spine recovery | |
JP2015009133A (ja) | 重力を利用する腰痛又は配隋損傷痛改善具 | |
KR100942618B1 (ko) | 재활 운동기구 | |
US10245200B2 (en) | Traction device | |
KR101282206B1 (ko) | 척추교정기 | |
EP3842023A1 (en) | Therapeutic treatment kit | |
KR200293741Y1 (ko) | 가정용 자동 견인 치료기 | |
SK288856B6 (sk) | Trakčný hák na cvičenie a rehabilitáciu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