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605Y1 - 레더바렐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레더바렐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605Y1
KR200474605Y1 KR2020140001983U KR20140001983U KR200474605Y1 KR 200474605 Y1 KR200474605 Y1 KR 200474605Y1 KR 2020140001983 U KR2020140001983 U KR 2020140001983U KR 20140001983 U KR20140001983 U KR 20140001983U KR 200474605 Y1 KR200474605 Y1 KR 200474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horizontal
base frame
movement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원
Original Assignee
장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원 filed Critical 장경원
Priority to KR2020140001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6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4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더바렐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기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바렐이 수평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더바렐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베이스 프레임의 수직부와 바렐 사이의 간격과 바렐의 높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레더바렐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for ladder barrel}
본 고안은 레더바렐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베이스 프레임의 수직부와 바렐 사이의 간격과 바렐의 높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레더바렐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 알려진 필라테스(pilates)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법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 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필라테스에 사용되는 운동기구로는 크게 리포머(reformer), 캐딜락(cadillac), 레더바렐(ladder barrel)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필라테스용 운동기구는 그 형태에 따른 특성에 맞게 운동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레더바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레더바렐은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바(1)가 수직부(12)와 수평부(14)로 이루어진 "ㄴ"자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10) 중 수직부(12)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바(1)를 붙잡고 운동하거나 다리 등을 바(1)에 걸쳐 몸을 지탱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의 수평부(14)에 돔의 형태를 갖는 바렐(20)이 수평부(14)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수직부(12)와 바렐(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22)이 설치되며, 바렐(20)에는 완충력을 갖는 매트리스(24)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허리나 등을 지지하였을 때 불편함이 없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더바렐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바렐(20)과 수직부(1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직부(12)와 바렐(20)의 간격을 조절한 후 바렐(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야 한다.
즉, 수평부(14)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바렐(20)을 이동시켜 수직부(12)와 바렐(20)의 간격을 조절한 후에는 바렐(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용자가 고정 핀(30)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정 핀(30)은 바렐(20)의 양 측면과 수평부(14)을 관통시켜 바렐(2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 핀(30)에 의해 바렐(20) 고정은 바렐(20)의 위치를 조정한 후 수평부(14)에 형성된 위치고정 홀(16)과 바렐(20)의 측면에 형성된 결속 홀(26)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바렐(20)을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바렐(20)의 위치가 위치고정 홀(16)의 간격에 따라 제한을 받기 때문에 바렐(2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에 맞게 바렐(20)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레더바렐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즉, 종래의 레더바렐은 성인 표준 키에 맞게 바렐(20)의 위치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성인의 표준 키보다 작은 신장을 갖는 사용자의 경우 바렐(2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 적절한 운동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KR A 10-2013-0123939 (2013.11.1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바렐과 수직부 사이의 간격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레더바렐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키에 맞게 바렐의 높낮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있는 레더바렐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기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바렐이 수평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더바렐 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는 측면에 수평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바렐의 내측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바렐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 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를 가로지르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 이동유닛의 작동 로드는 상기 바렐에 연결되어 작동 로드가 수평 이동유닛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에 따라 바렐이 슬라이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 이동유닛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렐은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 바렐과, 상기 상부 바렐의 하부와 위치하여 상부 바렐과 분리된 구조를 갖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부 바렐 및 상기 하부 바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부 바렐이 승강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 바렐은 그 하부에 상기 하부 바렐을 수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둘레로 상부 바렐과 하부 바렐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베이스 프레임의 수직부와 바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때 사용자가 직접 바렐을 이동시키지 않고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키에 맞게 바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렐의 높낮이 조절을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레더바렐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는 다수의 바(112)가 설치된 수직부(110)와 수직부(110)의 기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120)로 이루어져 "L"자 형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00)과,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120)에 설치되는 바렐(200)과,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바렐이 수평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 이동유닛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수직부(110)와 수평부(120)로 이루어지는데, 수직부(1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각기둥이 직립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수직부(110) 사이에는 다수의 바(112)가 수직부(110)를 따라 배열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때 바를 붙잡고 운동하거나 다리 등을 바(112)에 걸쳐 몸을 지탱하게 된다.
수직부(110)의 기단에는 수직부(110)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부(120)가 지면에 안치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을 지탱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부(110)와 수평부(120)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00)은 수평부(120)에 마련되는 바렐(200)과 사용자 등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 단풍나무, 자작나무, 물푸레나무 등과 같은 친환경 소재의 목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120)에 마련되는 바렐(200)은 상부가 돔의 형태를 이루어지며 바렐(200)의 양측면이 수평부(1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수평부(120)의 측면을 지나 지면을 향해 연장된다.
또한, 돔의 형태를 갖는 바렐(200)의 상부는 사용자가 허리나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를 지지하였을 때 불편함이 없도록 완충력을 갖는 매트리스(220)가 마련된다. 이때, 매트리스(220)와 바렐(200)의 상부 사이에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온열작용을 일으키는 열선(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바렐(200)은 수평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평부(120)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수평부(120)의 측면에는 가이드 홈(122)이 수평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가이드 홈(122)에 대응하여 바렐(200)의 내측면에 가이드 돌기(210)가 형성되어 바렐(200)이 슬라이딩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210)에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되어 가이드 홈(122)을 따라 롤러가 구름하여 바렐(200)이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120)를 따라 바렐(200)이 슬라이딩하게 될 때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수직부(110)와 바렐(200) 사이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바렐(200)과 베이스 프레임(100)은 수평 이동유닛(300)에 의해 연결되어 수평 이동유닛(30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바렐(200)이 이동하게 된다.
즉, 수평 이동유닛(30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120)를 가로지르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유닛(300)의 작동 로드(310)가 바렐(200)에 연결되어 작동 로드(310)가 수평 이동유닛(30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에 따라 바렐(200)을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이러한 수평 이동유닛(300)은 예를 들어,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 로드(310)가 인출되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가 될 수 있으며, 수평 이동유닛(30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바렐(200)에 수평 이동유닛(30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미도시)이 설치되어 수평 이동유닛(30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바렐(200)을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 이동유닛(300)이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이동유닛(300)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바렐(200)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모터, 래크 및 피니언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이송 스크류의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바렐(200)을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의 작동을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직부(110)와 바렐(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수평 이동유닛(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모트 컨트롤러(400)를 조작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도 4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직부(110)와 바렐(200)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아 사용자가 운동하는 공간이 좁은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400)를 조작하여 수평 이동유닛(300)을 작동시킴으로써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바렐(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400)를 조작하여 전기적 신호를 수평 이동유닛(300)으로 전달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부(120)의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설치된 수평 이동유닛(300)의 작동 로드(310)가 수평 이동유닛(300)으로 인입되고 이에 따라 작동 로드(310)의 선단과 연결된 바렐(200)이 수평 이동유닛(300)을 향해 이동하여 바렐(200)과 수직부(110) 사이의 거리를 넓혀 사용자의 활동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레더바렐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직부(110)와 바렐(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때 사용자가 직접 바렐(200)을 이동시키지 않고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바렐(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바렐(200)이 상부 바렐(200a)과 하부 바렐(200b)로 분리된 구조를 갖고 상부 바렐(200a)과 하부 바렐(200b) 사이에 승강 이동유닛(5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도 6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더바렐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키에 맞게 바렐(20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바렐(200)은 상부 바렐(200a), 하부 바렐(200b), 승강 이동유닛(500)으로 구성된다. 즉, 상부 바렐(200a)은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 바렐(200a)의 하부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12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부 바렐(200b)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 바렐(200b)의 상면에는 상부 바렐(200a)의 하면과 연결되어 상부 바렐(200a)이 승강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이동유닛(500)이 설치된다. 또한, 하부 바렐(200b)의 내측면에는 수평부(120)의 가이드 홈(122)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10)가 형성되어 하부 바렐(200b)이 수평부(120)의 가이드 홈(122)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 이동유닛(500)은 앞서 설명한 바렐(200)과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120)를 연결하는 수평 이동유닛(300)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수평 이동유닛(300)과 달리 승강 이동유닛(500)은 수직한 상태로 작동 로드(510)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 상부 바렐(200a)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바렐(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바렐(200b)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바렐(200a)은 그 하부에 하부 바렐(200b)을 수납하는 중공부(200a-1)가 형성되어 승강 이동유닛(500)의 작동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바렐(200a)이 하강하면서 하부 바렐(200b)이 상부 바렐(200a)의 하부를 통해 수납되도록 하여 바렐(200)의 높이를 낮추거나 이와는 반대로 상부 바렐(200a)이 상승하여 바렐(200)의 높이를 사용자의 키에 맞게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상부 바렐(200a)이 하부 바렐(200b)의 상방에서 수직 이동하게 될 때 상부 바렐(200a)과 하부 바렐(200b)이 접하는 경계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사용자의 의복, 신체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바렐(200a)의 중공부(200a-1) 둘레로 스커트(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커트는 상부 바렐(200a)의 하단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고무 패드와 같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이물질이 상부 바렐(200a)의 중공부(200a-1)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수직부
112 : 바 120 : 수평부
122 : 가이드 홈 130 : 베이스 플레이트
200 : 바렐 200a : 상부 바렐
200b : 하부 바렐 200a-1 : 중공부
210 : 가이드 돌기 220 : 매트리스
300 : 수평 이동유닛 310, 510 : 작동 로드
400 : 리모트 컨트롤러 500 : 승강 이동유닛

Claims (6)

  1.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기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바렐이 수평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더바렐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측면에 수평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바렐의 내측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바렐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더바렐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를 가로지르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 이동유닛의 작동 로드는 상기 바렐에 연결되어 작동 로드가 수평 이동유닛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에 따라 바렐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더바렐 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유닛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더바렐 운동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렐은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 바렐;
    상기 상부 바렐의 하부와 위치하여 상부 바렐과 분리된 구조를 갖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부 바렐; 및
    상기 하부 바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부 바렐이 승강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더바렐 운동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렐은 그 하부에 상기 하부 바렐을 수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둘레로 상부 바렐과 하부 바렐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더바렐 운동기구.
KR2020140001983U 2014-03-12 2014-03-12 레더바렐 운동기구 KR200474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83U KR200474605Y1 (ko) 2014-03-12 2014-03-12 레더바렐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83U KR200474605Y1 (ko) 2014-03-12 2014-03-12 레더바렐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605Y1 true KR200474605Y1 (ko) 2014-09-29

Family

ID=5200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983U KR200474605Y1 (ko) 2014-03-12 2014-03-12 레더바렐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605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443A3 (en) * 2018-04-30 2020-01-02 Basi Systems Pilates Sanayi Ticaret A.S. A novel rail system in pilates exercise devices
KR102306345B1 (ko) * 2021-02-19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48532B1 (ko) * 2021-08-09 2022-01-07 최태수 접이식 바렐 운동기구
US20220008788A1 (en) * 2020-07-09 2022-01-13 Donna T. Parsons Electronic visual feedback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pilates equipment and exercises
KR20220025480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세움피엔에프 운동기구의 수평 이동 장치
KR20220098929A (ko) * 2021-01-05 2022-07-12 최순복 필라테스용 레더바렐
KR102454133B1 (ko) 2022-04-06 2022-10-14 장경원 바렐 운동기구
KR102472866B1 (ko) 2022-02-17 2022-11-30 박정열 필라테스 운동기구
KR200496501Y1 (ko) 2022-04-15 2023-02-10 박정열 매트부 이동 구조를 갖는 필라테스용 레더 바렐
KR102504476B1 (ko) 2022-05-27 2023-02-27 박정열 레더바렐과 콤비체어 겸용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570039B1 (ko) * 2023-01-25 2023-08-22 오정민 구멍을 활용한 자동 및 반자동 어셈블리
KR102636321B1 (ko) * 2023-06-23 2024-02-14 정경희 고관절 각도 조절과 알람기능을 갖는 헬스데스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982Y1 (ko) 2006-06-30 2006-09-20 김광일 하반신 전용 운동기구
KR20100006294U (ko) * 2008-12-12 2010-06-22 박권순 유산소 허리운동 기구
US8052586B2 (en) 2009-01-13 2011-11-08 Hart Wood, Inc. Ladder barrel with cam lock
KR20120066473A (ko) * 2010-12-14 2012-06-22 이재곤 복근 운동 겸용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982Y1 (ko) 2006-06-30 2006-09-20 김광일 하반신 전용 운동기구
KR20100006294U (ko) * 2008-12-12 2010-06-22 박권순 유산소 허리운동 기구
US8052586B2 (en) 2009-01-13 2011-11-08 Hart Wood, Inc. Ladder barrel with cam lock
KR20120066473A (ko) * 2010-12-14 2012-06-22 이재곤 복근 운동 겸용 의자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1150B2 (en) * 2018-04-30 2022-11-29 Basi Systems Pilates Sanayi Ticaret A.S. Rail system in pilates exercise devices
WO2019212443A3 (en) * 2018-04-30 2020-01-02 Basi Systems Pilates Sanayi Ticaret A.S. A novel rail system in pilates exercise devices
US20220008788A1 (en) * 2020-07-09 2022-01-13 Donna T. Parsons Electronic visual feedback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pilates equipment and exercises
KR20220025480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세움피엔에프 운동기구의 수평 이동 장치
KR102454363B1 (ko) * 2020-08-24 2022-10-14 주식회사 세움피엔에프 운동기구의 수평 이동 장치
KR20220098929A (ko) * 2021-01-05 2022-07-12 최순복 필라테스용 레더바렐
KR102491980B1 (ko) * 2021-01-05 2023-01-27 최순복 필라테스용 레더바렐
KR102306345B1 (ko) * 2021-02-19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48532B1 (ko) * 2021-08-09 2022-01-07 최태수 접이식 바렐 운동기구
KR102472866B1 (ko) 2022-02-17 2022-11-30 박정열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454133B1 (ko) 2022-04-06 2022-10-14 장경원 바렐 운동기구
WO2023195581A1 (ko) * 2022-04-06 2023-10-12 장경원 바렐 운동기구
KR200496501Y1 (ko) 2022-04-15 2023-02-10 박정열 매트부 이동 구조를 갖는 필라테스용 레더 바렐
KR102504476B1 (ko) 2022-05-27 2023-02-27 박정열 레더바렐과 콤비체어 겸용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570039B1 (ko) * 2023-01-25 2023-08-22 오정민 구멍을 활용한 자동 및 반자동 어셈블리
KR102636321B1 (ko) * 2023-06-23 2024-02-14 정경희 고관절 각도 조절과 알람기능을 갖는 헬스데스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605Y1 (ko) 레더바렐 운동기구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1394117B1 (ko) 케이블 운동기구
KR101627359B1 (ko) 리포머 운동기구
US9227106B2 (en) Weight lifting machine
US20170239518A1 (en) Hip Thrusting Exercise Machine
US9539462B2 (en) Functional training equipment with multiple movement planes used for pull exercises
US20110275499A1 (en) Push-up and dip assist exercise apparatus
KR10102878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2291552B1 (ko) 필라테스용 리포머
KR101177798B1 (ko) 운동기구
KR101627358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200481799Y1 (ko) 턱걸이 운동기구
CN103933706A (zh) 仰卧式引体向上装置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2491980B1 (ko) 필라테스용 레더바렐
CN203075543U (zh) 健身用具
KR102305928B1 (ko) 리포머 운동기구
US20160082300A1 (en) Functional training equipment with multiple movement planes used for press exercises
KR200450173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CN209437980U (zh) 一种锻炼腿力的体育器械
KR101594473B1 (ko)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ITMI20112184A1 (it) Macchina per esercizi ginnici, particolarmente per l'allenamento dei muscoli addominali.
CN112704845A (zh) 一字马拉伸装置
KR102539712B1 (ko) 리포머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