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473A - 복근 운동 겸용 의자 - Google Patents

복근 운동 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473A
KR20120066473A KR1020100127833A KR20100127833A KR20120066473A KR 20120066473 A KR20120066473 A KR 20120066473A KR 1020100127833 A KR1020100127833 A KR 1020100127833A KR 20100127833 A KR20100127833 A KR 20100127833A KR 20120066473 A KR20120066473 A KR 20120066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rame
exercise
user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곤
Original Assignee
이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곤 filed Critical 이재곤
Priority to KR102010012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6473A/ko
Publication of KR2012006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rectilinear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근 운동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사무용 또는 작업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운동을 필요로 할 시에는 발걸이 프레임의 발걸이에 발을 지지시키고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을 통해 복근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근 운동 겸용 의자{Chair supporting abdominal muscles exercise}
본 발명은 복근 운동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사무용 또는 작업용 의자로 사용하고, 사용자가 운동을 필요로 할 시에는 발을 지지시켜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을 행할 수 있는 복근 운동 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사무직 근로자나 학생은 업무 또는 학업을 위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가 많은데, 같은 자세로 오랜 시간 앉아 있으면, 근육이 경직되어 피로를 느끼게 된다. 따라서 수시로 스트레칭이나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을 통해 근육을 풀어줄 필요가 있다. 특히 윗몸 일으키기는 복근을 단련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인 운동이 된다.
하지만 윗몸 일으키기는 운동의 특성상 사용자의 발을 지지시켜야만 한다. 즉 헬스클럽 등의 별도 장소를 찾아가 그 곳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사용해야만 효과적인 윗몸 일으키기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하던 중이더라도 언제든지 윗몸 일으키기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의자로 사용하되, 사용자가 운동을 필요로 할 시에는 발을 지지시켜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복근 운동 겸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부; 및 상기 의자부의 하단 전방에 돌출하여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발걸이 프레임;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걸이 프레임은 상기 의자부 하단의 양 옆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전방에서 위로 돌출되어 연결된 발걸이부와, 상기 연장부 양 옆의 일 지점을 연결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부의 하단 후방에 돌출하여 구비되는 후방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의자부를 바닥에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 프레임은 전후방이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걸이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이 상기 받침 프레임의 관통부 전방 및 후방으로 입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발걸이 프레임 또는 후방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근 운동 겸용 의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간단한 의자 구조에 발걸이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의자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필요시에는 언제든지 발걸이 프레임에 발을지지 시키고 윗몸 일으키기 등의 복근 운동을 할 수가 있다. 즉, 윗몸 일으키기 운동은 그 특성상 발을 지지시켜야 하는데, 사용자가 의자부의 시트부에 앉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발걸이 프레임의 발걸이부에 발을 걸어 지지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윗몸 일으키기를 행하여 복근 단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발걸이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받침 프레임의 관통부에 삽입하여 완전히 넣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면, 발걸이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완전히 집어 넣어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동이 편리하며 발의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도 않게 되어 의자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여기서 본원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에는 등 받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윗몸 일으키기 동작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윗몸 일으키기를 위해 사용자가 누웠을 시 의자부의 후방으로 무게가 실리게 되는데, 후방으로 실린 무게 중심을 후방 프레임에서 지탱해줄 수가 있어서 안전한 운동이 가능하다.
더불어 발걸이 프레임의 연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판이 있어서, 발뒤꿈치가 지면 대신 지지판을 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지면을 밀면서 생기는 반발력에 의해 복근 운동 겸용 의자가 뒤로 넘어질 수 있는 우려를 없애줄 수가 있다.
한편, 복근 운동 겸용 의자의 모든 구성을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가 있어서 제작 단가를 낮추고 대량 생산도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복근 운동 겸용 의자를 사용하여 윗몸 일으키기를 수행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복근 운동 겸용 의자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복근 운동 겸용 의자에서 의자부의 받침 프레임과 발걸이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200)는 의자부(210), 발걸이 프레임(220) 및 후방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통상의 간이 의자 형상인 의자부(21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211)와, 시트부(211)를 소정의 높이에 지지시켜주는 다수의 다리부(2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의자부(210)에는 사용자가 착석할 시 등을 기댈 수 있는 등 받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즉, 사용자가 복근 운동 겸용 의자(200)를 이용하여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한다면, 사용자의 상체는 의자부(210)의 후방과 전방으로 반복하여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등 받침이 있다면, 상체를 후방으로 젖혔을 때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등 받침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자부(210)의 다리부(213) 하단에는 전방으로 발걸이 프레임(220)이 연장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고, 후방으로는 후방 프레임(230)이 연장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의자부(210)의 다리부(213)와 발걸이 프레임(220) 및 후방 프레임(230)은 한번의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시트부(211)까지도 포함하여 한번의 사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작 단가를 낮추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발걸이 프레임(220)은 의자부(210)의 다리부(213) 전방 양 옆으로 평행하게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22)와, 연장부(222)의 전방 일 지점에서 상방으로 굴곡되어 연결된 발걸이부(221)로 이루어진다. 또한 발걸이부(221)와 인접한 위치에는 지지판(223)이 구비되어 있다. 즉 소정의 넓이를 갖는 지지판(223)은 발걸이부(221) 하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후방까지, 더욱 구체적으로는 발걸이부(221) 하단에 사용자의 발 앞부분을 걸칠 때 발뒤꿈치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에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판(223)은 사용자가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할 때 복근 운동 겸용 의자(200)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발걸이 프레임(220)의 발걸이부(221)에 발 앞부분을 걸친 후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하면, 발뒤꿈치는 지면을 밀게 되는데, 이때 지지판(223)이 없다면 발뒤꿈치는 지면을 직접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복근 운동 겸용 의자(200)는 뒤로 넘어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지지판(223)이 구비되면, 사용자의 발뒤꿈치 힘은 지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지지판(223)을 통해 발걸이 프레임(220)에 분산되고, 지면과의 반발력은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반발력에 의한 넘어짐 가능성이 없어지는 것이다.
후방 프레임(230)은 의자부(210)의 다리부(213) 후방 양 옆으로 평행하게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200)의 사용예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복근 운동을 수행하고자 할 시, 의자부(210)의 시트부(211)에 앉은 상태에서 발걸이 프레임(220)의 발걸이부(221)에 양발을 걸어 고정시킨 후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하면 된다. 이때 의자부(210)에는 등 받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상체의 전후방 왕복 운동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의 상체가 후방으로 누워지면서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후방으로 이동한 무게 중심은 후방 프레임(230)에서 지탱해줄 수가 있다. 또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 시에 발생하는 사용자 발뒤꿈치의 힘은 지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지지판(223)을 통해 분산되기 때문에 반발력에 의한 넘어짐 가능성도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상시에는 복근 운동 겸용 의자(200)를 통상의 의자로 사용하되,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이 필요할 시에는 별도의 장소를 찾아가거나 기구가 없더라도 즉시 발걸이 프레임(220)에 양발을 지지시켜 복근 운동을 수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근력이 약하여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힘든 사용자라면, 발걸이 프레임(220)의 발걸이부(221)에 줄(미도시)을 체결해 두고, 줄을 잡은 상태로 윗몸 일으키기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3은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를 단순한 의자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이고, 도4는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위해 발걸이 프레임(120)과 후방 프레임(130)을 받침 프레임(114)으로부터 빼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5는 받침 프레임(114), 발걸이 프레임(120) 및 후방 프레임(13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는 의자부(110), 받침 프레임(114), 발걸이 프레임(120), 후방 프레임(130), 조임부(141,142) 및 미끄럼방지패드(151,152)를 포함한다.
의자부(11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111)와, 시트부(111)를 소정의 높이에 지지시켜주는 다수의 다리부(113)와,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걸이부(1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팔걸이부(112)는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가 사용되는 장소 및 용도에 따라 제외될 수도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의 의자부(110)에는 사용자가 착석할 시 등을 기댈 수 있는 등 받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즉, 사용자가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를 도4의 상태로 놓고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한다면, 사용자의 상체는 의자부(110)의 후방과 전방으로 반복하여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등 받침이 있다면, 상체를 후방으로 젖혔을 때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등 받침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등 받침(미도시)이 의자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제작되어, 도3의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시에는 의자부(110)에 등 받침을 장착하고, 도4의 복근 운동을 위한 기구로 사용할 때에는 등 받침을 떼어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의자부(110)의 다리부(113) 하단에는 받침 프레임(114)이 구비되어 있다. 받침 프레임(114)은 의자부(110) 하단의 양 옆에 각각 위치하며 다리부(113)와 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받침 프레임(114)은 전후방이 관통된 관통부(1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부(114a)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발걸이 프레임(120)과 후방 프레임(130)이 끼워져 조립된다.
발걸이 프레임(120)은 양 옆으로 받침 프레임(114)의 관통부(114a) 전방으로 삽입되는 전방 삽입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삽입부(122)의 전방으로는 상방으로 굴곡되어 연결된 발걸이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를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시에는 발걸이 프레임(120)의 전방 삽입부(122)를 받침 프레임(114)에 완전히 삽입시켜 발걸이부(121)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받침 프레임(114)의 전방 일 지점에는 전방 조임공(11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방 조임공(114b)에 나사 조임되는 전방 조임부(141)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발걸이 프레임(120)이 받침 프레임(114)의 관통부(114a)에 삽입되거나 적절한 길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방 조임부(141)를 돌리면 전방 조임부(141)가 발걸이 프레임(120)의 전방 삽입부(122)를 강하게 밀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후방 프레임(130)은 양 옆으로 받침 프레임(114)의 관통부(114a) 후방으로 삽입되는 후방 삽입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 삽입부(131)의 후방은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받침 프레임(114)의 후방 일 지점에는 후방 조임공(114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후방 조임공(114c)에 나사 조임되는 후방 조임부(142)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 프레임(130)이 받침 프레임(114)의 관통부(114a)에 삽입되거나 적절한 길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방 조임부(142)를 돌리면 후방 조임부(142)가 후방 프레임(130)의 후방 삽입부(131)를 강하게 밀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발걸이 프레임(120)의 전방 삽입부(122)는 후방이 개방된 관 형태이다. 즉, 도5를 참조하면 발걸이 프레임(120)의 전방 삽입부(122)의 내경은 후방 프레임(130)의 후방 삽입부(131)의 외경보다 크게 제작되어 전방 삽입부(122)에 후방 삽입부(131)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발걸이 프레임(120)과 후방 프레임(130)을 모두 받침 프레임(114)의 관통부(114a)에 완전히 삽입 시키면, 발걸이 프레임(120)의 전방 삽입부(122) 내로 후방 프레임(130)의 후방 삽입부(131)가 삽입되어 일정 길이를 공유함으로써 도3에서와 같이 매우 간결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발걸이 프레임(120)의 전방 삽입부(122) 전방 하단 및 후방 프레임(130)의 후방 삽입부(131) 후방 하단에는 각각 미끄럼방지패드(151,152)가 구비되어 있어서,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가 바닥에서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의 사용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를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시에는 도3에서처럼 발걸이 프레임(120)과 후방 프레임(130)을 받침 프레임(114)에 완전히 밀어 넣은 상태로 사용하면 된다. 이때 도5를 참조하면, 발걸이 프레임(120)의 전방 삽입부(122) 내측으로 후방 프레임(130)의 후방 삽입부(131)가 삽입됨으로써 이들을 합친 길이가 최소화된다. 또한 전방 조임부(141)와 후방 조임부(142)를 조여 발걸이 프레임(120) 및 후방 프레임(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시 발걸이 프레임(120)에 의해 발의 활동 제약을 받지 않는다.
사용자가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를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위한 기구로 사용할 시에는 도4에서와 같이 발걸이 프레임(120)과 후방 프레임(130)을 각각 전후방으로 잡아 당겨 돌출시킨다. 이후 적절한 길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전방 조임부(141)와 후방 조임부(142)를 조여 발걸이 프레임(120)과 후방 프레임(130)을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부(110)의 시트부(111)에 앉아 발걸이 프레임(120)의 발걸이부(121)에 양발을 걸어 고정시킨 후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하면 된다. 이때 의자부(110)에는 등 받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상체의 전후방 왕복 운동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의 상체가 후방으로 누워지면서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후방 프레임(130)이 받침 프레임(114)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후방으로 이동한 무게 중심은 후방 프레임(130)에서 지탱해줄 수가 있다.
또한, 발걸이 프레임(120) 및 후방 프레임(130)에 구비된 미끄럼방지패드(151,152)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복근 운동 겸용 의자(100)가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200 : 복근 운동 겸용 의자
110, 210 : 의자부
111, 211 : 시트부
112 : 팔걸이부
113, 213 : 다리부
114 : 받침 프레임
114a : 관통부
114b : 전방 조임공
114c : 후방 조임공
120, 220 : 발걸이 프레임
121, 221 : 발걸이부
122 : 전방 삽입부
222 : 연장부
223 : 지지판
130, 230 : 후방 프레임
131 : 후방 삽입부
141 : 전방 조임부
142 : 후방 조임부
151,152 : 미끄럼방지패드

Claims (4)

  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부; 및
    상기 의자부의 하단 전방에 돌출하여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발걸이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 겸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걸이 프레임은 상기 의자부 하단의 양 옆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전방에서 위로 돌출되어 연결된 발걸이부와, 상기 연장부 양 옆의 일 지점을 연결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 겸용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의 하단 후방에 돌출하여 구비되는 후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 겸용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를 바닥에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 프레임은 전후방이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걸이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이 상기 받침 프레임의 관통부 전방 및 후방으로 입출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발걸이 프레임 또는 후방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 겸용 의자.
KR1020100127833A 2010-12-14 2010-12-14 복근 운동 겸용 의자 KR20120066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833A KR20120066473A (ko) 2010-12-14 2010-12-14 복근 운동 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833A KR20120066473A (ko) 2010-12-14 2010-12-14 복근 운동 겸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473A true KR20120066473A (ko) 2012-06-22

Family

ID=4668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833A KR20120066473A (ko) 2010-12-14 2010-12-14 복근 운동 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64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05Y1 (ko) * 2014-03-12 2014-09-29 장경원 레더바렐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05Y1 (ko) * 2014-03-12 2014-09-29 장경원 레더바렐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953B2 (en) Exerciser
US8696534B2 (en) Total abs office chair
US7766804B2 (en) Abdominal exerciser and method
JP2007524487A5 (ko)
US20110294633A1 (en) Exercise apparatus
US6368260B1 (en) Rehabilitation chair
US20130005550A1 (en) Exercise chair
KR101864661B1 (ko) 운동 기기
KR101905367B1 (ko) 스쿼트 운동 기구
US6814690B1 (en) Torso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US10272289B2 (en) Lower extremity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enhanced leg mobility during lower body exercise
KR101260642B1 (ko) 발목 운동 기구
KR100759174B1 (ko) 탄성체를 이용한 근력 운동기구
JP2007259972A (ja) トレーニング椅子
US11511147B2 (en) Workout station
KR20120066473A (ko) 복근 운동 겸용 의자
CN105664423A (zh) 腿挂杠铃负重器
JP3182658U (ja) 筋トレ用具およびそれを有する筋トレ椅子
KR20210131123A (ko) 뱃살 운동기구
CN205268917U (zh) 一种健身装置
CN208893559U (zh) 新型健身器
TWM556617U (zh) 深蹲訓練器
KR101344091B1 (ko)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080004920U (ko) 전신 운동기구
KR200447805Y1 (ko) 사이클이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