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712B1 - 리포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리포머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712B1
KR102539712B1 KR1020220144944A KR20220144944A KR102539712B1 KR 102539712 B1 KR102539712 B1 KR 102539712B1 KR 1020220144944 A KR1020220144944 A KR 1020220144944A KR 20220144944 A KR20220144944 A KR 20220144944A KR 102539712 B1 KR102539712 B1 KR 10253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arriage
foot bar
elastic member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원
Original Assignee
장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원 filed Critical 장경원
Priority to KR1020220144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각 틀의 형상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활주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와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캐리지가 활주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와, 하단이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단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서포터를 일체로 연결하는 풋 바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풋 바를 상기 캐리지의 활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풋 바 무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리포머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for reformer}
본 발명은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풋 바의 위치 및 탄성부재의 인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 알려진 필라테스(pilates)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법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 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이러한 필라테스용 운동기구의 선행기술로 미국 특허 제1,621,477호는 앉거나 기댄 자세에서 사용자의 몸통, 다리 및/또는 팔의 주요 근육을 운동시키는 리포머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각형의 나무 또는 금속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올려지는 바퀴 달린 캐리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0) 위를 주행하는 캐리지(2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일련의 평행 스프링(30)들 또는 탄성 부재들에 연결된다.
그리고, 캐리지(2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장변측의 내부에 장착되는 평행한 레일 또는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는 평평한 매트리스(21)가 구비된다.
또한, 캐리지(20)는 사용자가 매트리스(21)에 누워 있을 때, 사용자의 어깨 및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한 쌍의 이격된 패드가 부착된 직립된 어깨 숄더레스트(shoulderrest)(23) 및 헤드레스트(headrest)(22)가 마련된다.
또한, 헤드레스트(22)와 대향하여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는 풋 바(foot bar)(40)가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되고, 사용자는 상기 풋 바(40)를 밀어 베이스 프레임(10)의 트랙을 따라 캐리지(20)를 주행시키게 되며, 이때 캐리지(20)와 베이스 프레임(10)을 연결하는 평행 스프링(30)들의 저항에 따라 다리와 발 등의 하체 근육을 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된 풋 바(40)와 대향하여 캐리지(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팔 및 어깨 등의 상체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게 로프(60)가 장착되는데, 캐리지(20)의 일측에 고정된 로프(6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폴대(50)의 가이드 롤러(52)를 경유하며 로프(60)의 끝단은 사용자가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손잡이(6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로프(60)는 사용자가 손잡이(62)를 잡고 당기는 것에 의해 캐리지(20)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팔 및 어깨 근육을 사용하게 되며, 사용자가 로프(60)를 당기는 것을 중단하는 것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0)과 캐리지(20)를 연결한 평행 스프링(30)에 의해 캐리지(20)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풋 바(40)와 평행 스프링(30)을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풋 바(40)의 위치와 평행 스프링(30)의 장력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운동 전에 풋 바(40)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위치시키기 위해 풋 바(4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에 형성된 힌지 블록(12)과 회전핀(14)으로 연결되며 풋 바(40)의 끝단에 다수의 홈(42)이 회전핀(14)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 블록(12)에 풋 바(40)의 끝단에 형성된 홈(42)과 일치하는 가이드 슬롯(1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16)에 결속핀(18)이 관통되어 가이드 슬롯(16)과 홈(42)이 일치했을 때 결속핀(18)이 가이드 슬롯(16)에서 홈(42)으로 이동하여 풋 바(4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풋 바(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결속핀(18)을 홈(42)으로부터 해체시킨 후 풋 바(40)의 각도를 조절한 후 결속핀(18)을 다시 홈(42)에 결속시켜야 하기 때문에 풋 바(40)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평행 스프링(3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프레임(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평행 스프링(30)이 고정된 조절판(31)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데, 조절판(31)의 양 끝단이 걸릴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조절판 삽입홈(3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절판(31)을 적정한 위치에 있는 조절판 삽입홈(32)에 끼워 고정시켜 평행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평행 스프링(30)의 장력 조절 구조는 사용자가 조절판(31)을 조절판 삽입홈(32)에서 분리한 후 조절판(31)을 적정 위치로 이동시킨 후 조절판 삽입홈(32)에 끼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A 10-2004-0014496 (2004.02.14) KR A 10-2007-0004557 (2007.01.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풋 바, 평행 스프링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부터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리포머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활주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와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캐리지가 활주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와, 하단이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단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서포터를 일체로 연결하는 풋 바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풋 바를 상기 캐리지의 활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풋 바 무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풋 바 무빙유닛은 상기 서포터와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를 유압 또는 공압으로 진퇴시키는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된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포터가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가이드핀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핀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서포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캐리지의 활주방향으로 진퇴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당기는 장력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절유닛은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결속판과, 상기 결속판과 연결되는 푸시바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바를 유압 또는 공압으로 진퇴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리지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로드셀이 마련되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장력 조절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의 신호에 따라 장력 조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리지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로드셀이 마련되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풋 바 무빙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의 신호에 따라 풋 바 무빙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풋 바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캐리지와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탄성부재의 인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더 큰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 중 풋 바 무빙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갖고 지면에 안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는 캐리지(200)와, 상기 캐리지(200)와 베이스 프레임(100)을 연결하여 캐리지(200)가 슬라이딩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300)와, 하단이 상기 탄성부재(300)와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단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서포터(410)를 일체로 연결하는 풋 바(400) 및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풋 바(400)를 캐리지(200)의 활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풋 바 무빙유닛(500)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베이스 프레임(100)은 사용자가 운동할 때 위치하는 캐리지(200)가 설치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갖게 되는데, 바람직하게 베이스 프레임(100)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게 된다.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00)을 이격시키는 다리(110)가 형성되는데, 다리(1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각 코너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베이스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다리(110)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캐스터와 같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이동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0)은 캐리지(200)와 사용자 등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베이스 프레임(100)은 바람직하게 편백나무, 자작나무, 물푸레나무 등과 같은 친환경 소재의 목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면에는 캐리지(20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20)이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120)은 베이스 프레임(100)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캐리지(20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캐리지(200)의 상면에 누웠을 때 불편함이 없도록 쿠션력을 갖는 매트리스가 형성된다. 또한, 캐리지(200)의 하부에는 수평 롤러가 설치되는데, 수평 롤러는 캐리지(200)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캐리지(200)가 수평으로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캐리지(200)의 하부에는 캐리지(200)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마찰을 최소화시키며 캐리지(200)와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하중지탱 롤러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리지(200)의 선단과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은 탄성부재(300)에 의해 연결되어 캐리지(200)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으로 활주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켜 캐리지(20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부연하자면, 탄성부재(300)는 인장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과 같은 형태를 갖는 다수로 이루어져 각각의 탄성부재(300) 기단이 캐리지(200)의 하면에 고정된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에는 사용자의 발을 지탱하는 풋 바(400)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이 풋 바(400)와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리 근력을 사용하는 것에 따라 캐리지(200)를 풋 바(400)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그리고, 풋 바(400)와 대향하는 캐리지(200)의 기단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220)가 구비된다. 헤드레스트(220)는 캐리지(200)의 상부에 마련된 매트리스와 같이 쿠션감을 갖도록 상면이 형성되며 캐리지(200)의 기단에서 상하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22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풋 바(400)의 위치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00)에 풋 바(400)를 캐리지(200)의 활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풋 바 무빙유닛(500)이 설치된다. 풋 바 무빙유닛(500)은 서포터(410)와 연결되는 로드(510) 및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로드(510)를 유압 또는 공압으로 진퇴시키는 작동 실린더(520)로 구성된다.
또한, 서포터(4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에 마련된 회전축(42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서포터(410)가 회동될 수 있게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작동 실린더(520)는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서포터(410)가 회전축(42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실린더(520)가 로드(510)를 진퇴시키는 것에 의해 서포터(410)가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풋 바(400)가 캐리지(200)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위치가 변하게 되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의 조작으로 편리하게 풋 바(400)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서포터(4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과 회전축(420)으로 연결될 수 있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핀과 가이드 홈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 중 풋 바 무빙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포터(4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가이드핀(430)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핀(430)에 대응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에 가이드 홈(101)이 형성된다.
이렇게, 서포터(410)에 가이드핀(430)이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100)에 가이드 홈(101)이 형성되면 작동 실린더(520)가 로드(510)를 진퇴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서포터(410)가 이동하여 풋 바(400)의 위치를 변화시키게 되며, 이때 서포터(410)의 가이드핀(430)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가이드 홈(101)에 안내되어 서포터(41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캐리지(200)와 연결되는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을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조절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00)은 캐리지(200)의 활주방향으로 진퇴하여 탄성부재(300)를 당기는 장력 조절유닛(600)이 설치된다.
장력 조절유닛(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결속판(610)과 상기 결속판(610)과 연결되는 푸시바(620) 및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푸시바(620)를 유압 또는 공압으로 진퇴시키는 액추에이터(63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탄성부재(300)의 선단은 구의 형태를 갖는 걸림 돌기(310)가 형성되며, 각각의 걸림 돌기(310)는 결속판(610)에 형성된 걸이 홈(611)에 걸림된다. 이때, 걸이 홈(611)의 폭은 탄성부재(30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 돌기(3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렇게 결속판(610)에 형성된 걸이 홈(611)은 필요에 따라 탄성부재(300)를 탈착할 수 있도록 걸이 홈(611)이 결속판(610)의 상부로 개방된 형태를 갖게 되어 개방된 걸이 홈(611)의 상부를 통해 탄성부재(300)의 선단이 출입하여 캐리지(200)가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필요로 하는 인장력이 발휘될 수 있게 탄성부재(300)의 연결 수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300)의 걸림 돌기(310)가 걸림되는 걸이 홈(611)이 형성된 결속판(610)은 푸시바(620)와 연결된다. 또한, 푸시바(620)를 캐리지의 활주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액추에이터(63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액추에이터(630)는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결속판(610), 푸시바(620), 액추에이터(630)로 구성되는 장력 조절유닛(600)이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630)가 푸시바(620)를 캐리지(200)의 활주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것에 의해 결속판(610)이 액추에이터(630)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위치가 변하게 되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의 조작으로 편리하게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결속판(610)이 액추에이터(630)와 가깝게 위치했을 경우 탄성부재(300)에서 발휘되는 인장력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가 캐리지(200)를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운동을 할 때 더 많은 근력을 사용해야 하므로 더 큰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풋 바(400)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캐리지(200)와 베이스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더 큰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가 캐리지(200)에 올라서는 것으로 풋 바(400)의 위치와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각각의 체형 및 근력운동에 적합하게 풋 바(400)의 위치 및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캐리지(200)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로드셀(700)이 마련된다.
이때, 로드셀(700)은 캐리지(200)와 매트리스 사이에 설치되는데, 매트리스는 사용자와 접촉하게 되는 상부에 쿠션력이 발휘되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평탄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스테이지(미도시)로 구성되어 로드셀(700)은 스테이지와 캐리지(200)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캐리지(200)와 매트리스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셀(7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200)의 중앙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캐리지(200)의 상면 둘레를 따라 다수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캐리지(200)에 설치된 로드셀(700)은 장력 조절유닛(600), 풋 바 무빙유닛(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로드셀(700)의 신호에 따라 장력 조절유닛(600), 풋 바 무빙유닛(5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캐리지(200)에 올라서게 되면 로드셀(700)은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체중에 따라 장력 조절유닛(600), 풋 바 무빙유닛(5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로드셀(700)에서 감지된 체중이 60㎏ 이상인 경우 성인 남성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그에 적합하게 장력 조절유닛(600) 및 풋 바 무빙유닛(5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로드셀(700)에서 감지된 체중이 60㎏ 이하인 경우 성인 여성 또는 아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그에 적합하게 장력 조절유닛(600) 및 풋 바 무빙유닛(5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체형 및 근력에 적합하게 풋 바(400)의 위치 및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01 : 가이드 홈
110 : 다리 120 : 가이드 레일
200 : 캐리지
220 : 헤드레스트 220 : 헤드레스트
300 : 탄성부재 400 : 풋 바
410 : 서포터 420 : 회전축
430 : 가이드핀 500 : 풋 바 무빙유닛
510 : 로드 520 : 작동 실린더
600 : 장력 조절유닛 610 : 결속판
611 : 걸이 홈 620 : 푸시바
630 : 액추에이터 700 : 로드셀

Claims (5)

  1. 사각 틀의 형상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활주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와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캐리지가 활주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하단이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단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서포터를 일체로 연결하는 풋 바;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풋 바를 상기 캐리지의 활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풋 바 무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캐리지의 활주방향으로 진퇴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당기는 장력 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력 조절유닛은,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결속판; 상기 결속판과 연결되는 푸시바;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바를 유압 또는 공압으로 진퇴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로드셀이 마련되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장력 조절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의 신호에 따라 장력 조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풋 바 무빙유닛은
    상기 서포터와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를 유압 또는 공압으로 진퇴시키는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된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포터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가이드핀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핀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서포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5. 삭제
KR1020220144944A 2022-11-03 2022-11-03 리포머 운동기구 KR102539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944A KR102539712B1 (ko) 2022-11-03 2022-11-03 리포머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944A KR102539712B1 (ko) 2022-11-03 2022-11-03 리포머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712B1 true KR102539712B1 (ko) 2023-06-02

Family

ID=8675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944A KR102539712B1 (ko) 2022-11-03 2022-11-03 리포머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7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496A (ko) 2001-04-12 2004-02-14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접이식 리포머 운동장치
KR20070004557A (ko) 2003-11-25 2007-01-09 밸런스드 바디, 인크. 리포머 운동 장치의 앵커 바아와 캐리지 정지 조립체
KR20150103539A (ko) * 2014-03-03 2015-09-11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US20170368398A1 (en) * 2011-03-16 2017-12-28 Mad Dogg Athletics, Inc. Exercise Table
KR102092669B1 (ko) * 2019-04-16 2020-03-24 지용진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291552B1 (ko) * 2021-02-08 2021-08-20 주식회사 이에스테크놀러지 필라테스용 리포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496A (ko) 2001-04-12 2004-02-14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접이식 리포머 운동장치
KR20070004557A (ko) 2003-11-25 2007-01-09 밸런스드 바디, 인크. 리포머 운동 장치의 앵커 바아와 캐리지 정지 조립체
US20170368398A1 (en) * 2011-03-16 2017-12-28 Mad Dogg Athletics, Inc. Exercise Table
KR20150103539A (ko) * 2014-03-03 2015-09-11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KR102092669B1 (ko) * 2019-04-16 2020-03-24 지용진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291552B1 (ko) * 2021-02-08 2021-08-20 주식회사 이에스테크놀러지 필라테스용 리포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941B2 (en) Exercise apparatus
US7686750B2 (en) Seated abdominal exerciser
US5692997A (en) Exercise machine
US5346447A (en) Exercise machine
US4858915A (en) Weight-biased fitness machine
US3446503A (en) Pull type exercising device
US10343014B2 (en) Exercise devices
US7056224B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1627359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102878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US20120077653A1 (en) Exercise apparatus
US7670270B2 (en) Exercising machine
US11213717B2 (en) Power rowing machine with pivoting weight arm
KR20090094588A (ko) 하지재활 운동기구를 이용한 시각적 운동기구
WO1998011952A1 (en) Combination slant board and abdominal rocker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KR102539712B1 (ko) 리포머 운동기구
GB2346808A (en) Exercise apparatus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2305928B1 (ko) 리포머 운동기구
EP2346581B1 (en) Exercise apparatus
JP6345365B1 (ja) 運動具
KR101392056B1 (ko) 체중을 이용한 복합 운동기구
CN112245859A (zh) 一种健美操跳跃训练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