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669B1 -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669B1
KR102092669B1 KR1020190044333A KR20190044333A KR102092669B1 KR 102092669 B1 KR102092669 B1 KR 102092669B1 KR 1020190044333 A KR1020190044333 A KR 1020190044333A KR 20190044333 A KR20190044333 A KR 20190044333A KR 102092669 B1 KR102092669 B1 KR 102092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ed
bar
pulle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진
Original Assignee
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진 filed Critical 지용진
Priority to KR102019004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022/0076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라테스 운동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필라테스 동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됨과 동시에 종래의 필라테스 기구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있던 문제점에 대하여, 쉽게 접을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여 실용성을 증대시킨 필라테스 운동용 기구이다.

Description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A foldable pilates exercise machine that enables efficient pilates operation}
본 발명은 필라테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운동기구보다 필라테스 운동의 다양한 자세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운동 효과를 배가시키는 한편, 기존의 필라테스 운동기구가 상당히 무겁고 큰 부피를 차지함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있었던 점을 보완하여, 접기가 가능하게 개선된 것이다.
필라테스(pilates)는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라테스는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데, 근육 크기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근력은 증대돼 체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몸매의 유지관리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그 인기에 따라 관련 서적이나 비디오 등이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7089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7559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67861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633884호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필라테스 운동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필라테스 운동을 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들이 고안되어 있으나, 그 중 리포머(Reformer)는 요셉 필라테스가 고안해낸 기구 중 가장 대표적인 기구로서 자세 개선과 코어 근력발달, 균형감각 및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저항 운동이 가능하다. 다만, 종래의 리포머 기구는 부피가 크고 원목으로 만들어 무게가 무거웠으며, 필라테스 운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를 개선한 운동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7089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7559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67861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6338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필라테스 운동기구보다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고, 종래의 운동기구가 이를 사용하는 운동공간의 활용이 쉽지 않았던 점을 개선하여 기구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라테스 운동기구는, 내부가 빈 형태의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에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오픈된 상부 면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 프레임의 마주 보는 양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와상기 레일 부재 일단의 상면에 인접하여 고정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갖는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와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홈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의 돌기가 형성되어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스프링 걸이 부재;와 상기 본체부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고 하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과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 부재의 상면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블록;과 상기 본체부의 제1프레임 상부의 홈에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발판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4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된 막대 부재로서, 상기 막대 부재의 가운데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된 높이 조절바;와 상기 높이 조절바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과하는 수동조작 스크루에 의해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도르래;와 일단이 상기 상판의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래를 지나 배치되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단은 손잡이 밴드와 연결된 와이어 운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방부에 위치하며,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 부재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의 외측에 회전하도록 고정된 풋바(foot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중간이 절단되어 제1본체부 및 제2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는 힌지결합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절단부에 설치되어 절단 부분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체결과 해제가 자유로운 체결구; 및 상기 제2본체부의 프레임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바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라테스 운동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운동기구를 제공함과 동시에 접기 가능한 구성을 구비 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필라테스 동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한편, 필라테스 운동이 끝난 후에는 접어서 운동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같은 공간을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기구의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레일 부재 및 완충 부재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바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하면 및 와이어 고정부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풋바(foot bar)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접기 전과 접은 후의 리포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접기 전과 접은 후의 리포머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라테스 리포머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라테스 리포머 기구는 세밀한 수작업에 의해 제작 가능하여 고급스런 느낌을 주고, 다양한 부속을 구비하여 필라테스 운동을 즐기는 사용자가 효율적인 운동 동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본체부(10), 레일 부재(20),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21), 스프링 걸이 부재(22), 와이어 고정부(34)를 포함하는 상판(30), 상판(30)에 탈착 가능한 고정 블록(31), 발판부(40), 높이 조절바(50), 도르래(51), 와이어 운동부(60) 및 풋바(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포머 기구의 외관을 이룬다.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7)를 가지며, 제1프레임(11), 제2프레임(12), 제3프레임(13) 및 제4프레임(14)이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뼈대를 구성한다.
본체부(10)의 재료는 강성을 가진 것이어야 하며, 상부에서 운동하는 사람의 동작에 따른 외력에 버틸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하고 무게감이 있는 목재나 그 밖의 재료가 가능할 것이다.
본체부(10)의 지지부(17)는 지면을 지지하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가 형성되거나 미끄럼 방지 재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의 프레임 내부에는 레일 부재(20)를 설치할 수 있다. 레일 부재(20)는 상판(30)의 레일 바퀴(32)가 직선 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레일 부재(20)는 레일 길이 방향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멍(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완충 부재(24)를 상기 구멍(23)에 탈착 가능하여 상판(30)의 직선운동을 구속하고, 상판 운동에 의한 충격과 타격음을 줄일 수 있다. 완충 부재(24)는 상기 구멍(23)에 삽입 가능한 막대 부재와 상기 막대 부재를 둘러싼 완충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21)와 스프링 걸이 부재(22)가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21)는 스프링 걸이 부재(22)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레일 부재(20) 후방부(16)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스프링 걸이 부재(22)는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21)의 홈에 탈착되는 것으로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돌기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포머 기구의 사용자는 상기 스프링 걸이 부재(22)의 돌기에 스프링(33) 고리를 걸어 필라테스 동작에 걸리는 저항의 세기를 설정할 수 있다. 상판은 복수의 스프링(33)을 구비할 수 있으며, 탄성이 다른 스프링을 조합하여 다양한 저항값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와이어 운동부(60)를 도시하고 있다. 탄성 와이어(61)의 일단이 상판 하부의 와이어 고정부(34)에 고정되며, 높이 조절바(50)에 고정된 도르래(51)를 지난다. 상기 탄성 와이어(61)의 타단은 밴드 손잡이(62)와 연결되어 있다.
리포머의 사용자는 상판 위에서 필라테스 동작을 취하며, 상기의 밴드 손잡이(62)를 이용하여 탄성 와이어(61)를 당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근력과 상판 스프링(33)의 탄성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근력 운동의 강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판(30)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31)이 결합할 수 있다. 고정 블록(31)은 사용자가 누웠을 때 어깨 부분이나 사용자의 무릎, 발 등 신체를 접촉하여 상판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쉽게 지지할 수 있다.
상판(30)의 상면과 고정 블록(31)은 운동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닿는 부분에 해당하므로, 적당한 쿠션과 질감을 가지면서, 땀에 강하고 내구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고하면, 상판(30) 하면의 바퀴(32)가 설치되어 레일 부재(20)를 따라 상판의 직선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직선운동 과정에서 상판(30)의 측면이 본체부(10)의 프레임과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과 맞닿는 측면방향의 바퀴(32)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판(30) 하면에 와이어 고정부(34)가 설치되어 탄성 와이어(61)의 일단을 고정한다. 종래에 탄성 와이어를 상판이나 프레임에 단순 매듭에 의해 고정하는 방식은 운동 과정에서 매듭이 풀릴 가능성이 존재하고 단단히 매듭짓기 위해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나, 와이어 고정부(34)는 쉽고 단단하게 탄성 와이어(61)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판(30)뿐만 아니라 하판도 포함할 수 있다. 하판은 본체부(10)의 상부에 위치하고, 탈착이 가능하다. 하판은 본체부(10) 상부에서 고정된 운동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자리에서 운동하려고 할 때, 하판을 사용하여 그 위에서 운동이 가능할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와이어 고정부(34)는 홈이 형성된 브라켓(35)과 회전 탄성을 가진 회전 부재(36) 및 와이어 가이드(37)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와이어(61)의 일단은 상기 브라켓(35)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감긴 뒤, 와이어 가이드(37)의 고리를 통과하여 한 쌍의 탄성 회전 부재(36) 사이로 지나가며, 한 쌍의 탄성 회전 부재(36)의 회전 탄성에 의해 탄성 와이어(61)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발판부(40)를 도시하고 있다. 본체부(10)의 제1프레임(11) 상부는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발판부(40)는 상기의 홈에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발판부(40)는 기구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발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찰 테이프 또는 이와 동일한 효과를 같은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발판부(40)는 기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여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판부(40)의 형상에 따라 기구 사용자가 발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어 운동 시 자극되는 근육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넓은 판 형으로 구성된 발판을 제1프레임(11)의 상부 홈에 수직으로 결합 시, 상판(30) 위에 누워있는 기구 사용자는 다리를 90도 정도로 구부린 채 수직으로 형성된 발판에 발을 지지하고 운동함으로써 둔부와 대퇴부의 근육을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높이 조절바(50)와 도르래(51)를 도시한다. 높이 조절바(50)는 본체부(10)의 제4프레임(14) 외측에 고정 설치된다. 높이 조절바(5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부(53)가 형성되고, 도르래(51)는 상기 관통부(53)를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동조작 스크루(52)가 관통부(53)를 통과하여 도르래(51)에 연결되며, 상기 높이 조절바(5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관통부(53) 상에서 도르래(5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높이 조절바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도르래를 고정하는 방식은 기구 사용자의 신체에 딱 알맞은 도르래의 높이를 설정하는 데 불편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자유롭게 도르래 높이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풋바(70)를 도시하고 있다. 풋바(70)는 발판부(40)와 마찬가지로 기구 사용자의 운동 중 발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기구 사용자의 발의 놓이는 수평바(71)와 수평바의 지지부재(7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72)의 일단은 수평바(71)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본체부(10)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다. 지지부재(72)는 상기 본체부 프레임에 고정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되며 경사 조절이 가능하다.
지지부재(72)는 본체부(10) 프레임의 외측에서 회전하도록 함이 다른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부에 설치된 레일 부재(20),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21) 및 스프링 걸이 부재(22)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지지부재(72)를 최대한 눕혔을 때 본체부의 제1프레임(11)에 걸리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발판부(40)와 간섭도 방지 가능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72)의 경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경사 조절부(73)가 설치된다. 경사 조절부(73)는 일정한 각도마다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72)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가 경사 조절부(73)의 홈에 걸리는 방식에 의해 지지부재(72) 경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보조 운동 장치(80)가 도시된다. 보조 운동 장치(80)는 상판(30) 위에서 운동하는 사용자가 추가적인 운동 효과를 얻기 위해 설치할 수 있다. 스프링 또는 탄성 와이어를 당기는 운동의 경우, 당기는 각도에 따라 근육이 자극받는 부위가 달라지므로, 보조 운동 장치(80)를 활용하여 당기는 각도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여러 부위를 단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운동 장치(8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인 수직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파이프는 일단이 지면에 닿아 지면을 지지하고, 상단에서 수평 파이프가 수직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보조 운동 장치(80)의 수직 파이프 또는 수평 파이프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멍에 고리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여러 종류의 보조구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보조구로는 스프링 또는 구조체 등 필라테스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다양한 물건이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 운동 장치(80)는 지지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파이프의 일단은 운동하는 장소의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보조 운동 장치(80)의 수직 파이프 또는 수평 파이프에 연결되어 운동에 의한 외력에 의해 보조 운동 장치(8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접기가 가능한 필라테스 리포머 기구의 사시도와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체부(10)는 절단되어 제1본체부(91)와 제2본체부(9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본체부(91)와 제2본체부(92)는 절단된 부위에서 서로 힌지로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 결합은 경첩(99) 등에 의할 수 있다.
제1본체부(91)는 바퀴(94)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94)는 본체부(10)가 접히는 과정에서 지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접히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수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제1본체부(91)와 제2본체부(92)의 절단부(90)에는 체결구(93)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구(93)는 본체부(10)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하는 장치이다. 운동기구를 접을 때는 체결구(93)를 풀어두었다가, 운동기구를 펼쳐서 사용할 때는 체결하는 것으로 제1본체부(91)와 제2본체부(92)를 서로 일체화하는 효과가 있다. 체결구(93)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체결과 해제가 자유로운 것이며, 매미 고리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힘 속도 제어부(95)를 도시하고 있다. 접힘 속도 제어부(95)는 기구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을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기구의 급격한 움직임을 제어한다. 특히, 접혀있는 기구를 펼치는 과정에서 기구가 그 무게에 의해 급격하게 펼쳐지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한다. 따라서, 무거운 재질의 기구라도 1~2명의 사람이 손쉽게 기구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접힘 속도 제어부(95)의 일단은 제2본체부(92)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은 보조 운동 장치(80)와 연결될 수 있다. 접힘 속도 제어부(95)는 기구가 접히고 펴지는 속도를 제어하며,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압실린더는 작용하는 힘의 크기에 상관없이 실린더를 압축할 때와 팽창시킬 때 속력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구 자체가 무겁더라도 본체부(10)를 접거나 펼치는 속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사용자가 제어하기 편리할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접힘 보조 부재(96)가 도시된다. 접힘 보조 부재(96)는 제2본체부(92)에 고정되며, 접힘 보조 부재(96)의 적어도 한 면이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접힘 보조 부재(96)는 본체부(10)를 접거나 펼 때 접힘 보조 부재(96)의 곡면이 지면에 닿아 동작이 부드럽게 되도록 한다. 또한, 제2본체부(92)가 지면과 경사져 있을 때, 접힘 보조 부재(96)의 곡면이 제2본체부(92)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기구가 설치된 실내의 바닥재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트랩(98)과 스트랩 고리(97)를 확인할 수 있다. 스트랩 고리(97)는 제1본체부(91) 또는 제2본체부(92)의 양 측면에 고정되며, 스트랩(98)의 양 끝이 상기 스트랩 고리(97)에 체결될 수 있다.
스트랩(98)과 스트랩 고리(97)는 기구가 접힌 상태일 때 상판(30) 또는 하판이 본체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본체부 40: 발판부
11: 제1프레임 50: 높이 조절바
12: 제2프레임 51: 도르래
13: 제3프레임 52: 스크루 부재
14: 제4프레임 53: 관통부
15: 전방부 60: 와이어 운동부
16: 후방부 61: 탄성 와이어
17: 지지부 62: 손잡이 밴드
20: 레일 부재 70: 풋 바(Foot bar)
21: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 71: 수평바
22: 스프링 걸이 부재 72: 지지부재
23: 구멍 73: 경사 조절부
24: 완충 부재 80: 보조 운동 장치
30: 상판 90: 절단부
31: 고정 블록 91: 제1본체부
32: 레일 바퀴 92: 제2본체부
33: 스프링 93: 체결구
34: 와이어 고정부 94: 바퀴
35: 브라켓 95: 접힘 속도 조절부
36: 회전 부재 96: 접힘 보조 부재
37: 와이어 가이드 97: 스트랩 고리
98: 스트랩
99: 힌지 연결 부재

Claims (7)

  1. 삭제
  2. 필라테스 운동용 기구에 있어서,
    내부가 빈 형태의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에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오픈된 상부 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의 마주 보는 양면에 각각 고정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
    상기 레일 부재 일단의 상면에 인접하여 고정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갖는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홈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의 돌기가 형성되어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고 하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과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블록;
    상기 레일 부재의 구멍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탈착되며 상기 상판의 직선운동을 구속하는 완충 부재;
    상기 본체부의 제1프레임 상부의 홈에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발판부;
    상기 본체부의 제4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된 막대 부재로서, 상기 막대 부재의 가운데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된 높이 조절바;
    상기 높이 조절바의 관통부를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도르래;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도르래와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동조작 스크루;
    일단이 상기 상판의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래를 지나 배치되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단은 손잡이 밴드와 연결된 와이어 운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방부에 위치하며,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의 외측에 회전하도록 고정된 풋바(foot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용 기구.
  3. 필라테스 운동용 기구에 있어서,
    내부가 빈 형태의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에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오픈된 상부 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의 마주 보는 양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
    상기 레일 부재 일단의 상면에 인접하여 고정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갖는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홈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의 돌기가 형성되어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고 하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과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블록;
    상기 본체부의 제1프레임 상부의 홈에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발판부;
    상기 본체부의 제4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된 막대 부재로서, 상기 막대 부재의 가운데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된 높이 조절바;
    상기 높이 조절바의 관통부를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도르래;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도르래와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동조작 스크루;
    일단이 상기 상판의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래를 지나 배치되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단은 손잡이 밴드와 연결된 와이어 운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방부에 위치하며,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의 외측에 회전하도록 고정된 풋바(foot bar);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가장자리에 홈을 구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와 동일한 면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용 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필라테스 운동용 기구에 있어서,
    내부가 빈 형태의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에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오픈된 상부 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의 마주 보는 양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
    상기 레일 부재 일단의 상면에 인접하여 고정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갖는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홈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의 돌기가 형성되어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고 하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과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블록;
    상기 본체부의 제1프레임 상부의 홈에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발판부;
    상기 본체부의 제4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된 막대 부재로서, 상기 막대 부재의 가운데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된 높이 조절바;
    상기 높이 조절바의 관통부를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도르래;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도르래와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동조작 스크루;
    일단이 상기 상판의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래를 지나 배치되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단은 손잡이 밴드와 연결된 와이어 운동부;
    상기 본체부의 후방부에 위치하며,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의 외측에 회전하도록 고정된 풋바(foot bar);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 외측에 위치한 복수의 수직 파이프와 상기 수직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 파이프 및 수평 파이프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보조 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중간이 절단되어 제1본체부 및 제2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는 힌지결합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절단부에 설치되어 절단 부분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체결과 해제가 자유로운 체결구;와
    상기 제2본체부의 프레임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바퀴;와
    일단이 상기 제2본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 운동 장치의 수직 파이프에 연결된 접힘 속도 조절부;와
    상기 제2본체부에 고정되고, 부재의 적어도 한 면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 보조 부재; 및
    상기 제1본체부 또는 제2본체부에 고정되는 스트랩 고리 및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용 기구.
KR1020190044333A 2019-04-16 2019-04-16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092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33A KR102092669B1 (ko) 2019-04-16 2019-04-16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33A KR102092669B1 (ko) 2019-04-16 2019-04-16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669B1 true KR102092669B1 (ko) 2020-03-24

Family

ID=7000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333A KR102092669B1 (ko) 2019-04-16 2019-04-16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66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552B1 (ko) 2021-02-08 2021-08-20 주식회사 이에스테크놀러지 필라테스용 리포머
KR102312252B1 (ko) * 2020-10-29 2021-10-13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30036B1 (ko) * 2021-03-23 2021-11-24 최태수 폴딩 타입 리포머
KR20210157548A (ko) 2020-06-22 2021-12-29 임화목 신체 교정용 운동 도구
KR200496807Y1 (ko) * 2022-06-29 2023-04-28 주식회사 바디녹스인터내셔널 접이식 다용도 운동 기구
KR102539712B1 (ko) * 2022-11-03 2023-06-02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WO2024005467A1 (ko) * 2022-06-29 2024-01-04 주식회사 바디녹스인터내셔널 접이식 다용도 운동 기구
US11904203B2 (en) 2020-07-21 2024-02-20 Aspen Integrative Kinetics, LLC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KR102649689B1 (ko) * 2023-04-26 2024-03-20 주식회사 바디녹스인터내셔널 접이식 다용도 운동 기구 및 그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625Y1 (ko) * 2004-03-31 2004-09-22 박진만 철봉대가 부설된 러닝머신
KR200470891Y1 (ko) 2013-06-24 2014-01-15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200475591Y1 (ko) 2014-03-31 2014-12-12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1627359B1 (ko) * 2014-03-03 2016-06-07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KR101633884B1 (ko) 2016-03-07 2016-07-08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1678614B1 (ko) 2016-03-07 2016-12-06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1965387B1 (ko) * 2018-09-27 2019-04-03 정기석 필라테스 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625Y1 (ko) * 2004-03-31 2004-09-22 박진만 철봉대가 부설된 러닝머신
KR200470891Y1 (ko) 2013-06-24 2014-01-15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1627359B1 (ko) * 2014-03-03 2016-06-07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KR200475591Y1 (ko) 2014-03-31 2014-12-12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1633884B1 (ko) 2016-03-07 2016-07-08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1678614B1 (ko) 2016-03-07 2016-12-06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1965387B1 (ko) * 2018-09-27 2019-04-03 정기석 필라테스 기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548A (ko) 2020-06-22 2021-12-29 임화목 신체 교정용 운동 도구
KR20220053543A (ko) 2020-06-22 2022-04-29 임화목 신체 교정용 운동 도구
US11904203B2 (en) 2020-07-21 2024-02-20 Aspen Integrative Kinetics, LLC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KR102312252B1 (ko) * 2020-10-29 2021-10-13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291552B1 (ko) 2021-02-08 2021-08-20 주식회사 이에스테크놀러지 필라테스용 리포머
KR102330036B1 (ko) * 2021-03-23 2021-11-24 최태수 폴딩 타입 리포머
KR200496807Y1 (ko) * 2022-06-29 2023-04-28 주식회사 바디녹스인터내셔널 접이식 다용도 운동 기구
WO2024005467A1 (ko) * 2022-06-29 2024-01-04 주식회사 바디녹스인터내셔널 접이식 다용도 운동 기구
KR102539712B1 (ko) * 2022-11-03 2023-06-02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KR102649689B1 (ko) * 2023-04-26 2024-03-20 주식회사 바디녹스인터내셔널 접이식 다용도 운동 기구 및 그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669B1 (ko)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CA2796270C (en) Exercise apparatus
US6220995B1 (en) Exerciser
US6315702B1 (en) Exercise machine
US4844448A (en) Stand up exerciser
KR101166981B1 (ko) 멀티 다관절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US20020091043A1 (en) Space efficient multi-use exercise apparatus
CN109152941B (zh) 具有可调节阻力带系统的运动椅
US5674168A (en) Multiple exercise device
US912607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TWM433851U (en) Vertical type auxiliary device with both inversion and rehabilitation functions
US7172539B1 (en) Abdominal exercising support apparatus
US7601109B2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KR101390876B1 (ko) 운동 장치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EP1587587A1 (en) Chair type exercise apparatus
KR102312252B1 (ko)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KR101392056B1 (ko) 체중을 이용한 복합 운동기구
TWM549641U (zh) 健身器材
KR101386260B1 (ko) 근력 운동기구
WO2019185752A1 (en) Exercise device
US20140228188A1 (en) Yoga Framework Assis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