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891Y1 -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891Y1
KR200470891Y1 KR2020130005108U KR20130005108U KR200470891Y1 KR 200470891 Y1 KR200470891 Y1 KR 200470891Y1 KR 2020130005108 U KR2020130005108 U KR 2020130005108U KR 20130005108 U KR20130005108 U KR 20130005108U KR 200470891 Y1 KR200470891 Y1 KR 200470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lates
arm
ba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원
Original Assignee
장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원 filed Critical 장경원
Priority to KR2020130005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8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2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rigidly combin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63B23/03558Compound apparatus having multiple stations allowing an user to exercise different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다면체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월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는 푸시 스루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의 각 면에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수평 바 등이 구비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프레임을 중심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수평 바를 이용한 운동을 수행하거나 또는 순서를 돌아가며 연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의 효과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complex exercise equipment for pilates}
본 고안은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의 각 면에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수평 바가 구비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프레임을 중심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수평 바를 이용한 운동을 수행하거나 또는 순서를 돌아가며 연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의 효과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 알려진 필라테스(pilates)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법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 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도 1은 필라테스에서 사용되는 스프링 월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필라테스에서 사용되는 푸시 스루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프링 월(spring wall)(1)은 벽면에 플레이트(10)를 시공한 뒤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는 스프링(20)의 선단을 플레이트(10)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기단은 사용자가 움켜쥐거나 신체를 기댈 수 있는 바(30)가 형성된다.
또한, 푸시 스루바(push thru bar)(2)는 벽면에 시공된 플레이트(10)에 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50)을 형성하고, 암(50)이 회전하게 될 때 암(50)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도록 암(50)과 플레이트(10)가 스프링(20)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20)에 의해 연결되는 암(5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암(50)의 자유단에 사용자가 잡거나 신체를 기댈 수 있는 바(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 월(1) 또는 푸시 스루바(2)는 사용자가 바(30)를 움켜 잡은 상태에서 팔을 쭉 펴고 점프를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스프링(20)이 늘어나도록 당기는 등의 스프링 월(1) 또는 푸시 스루바(2)의 구조 특성을 이용한 다양한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근육을 강화시키는 한편 척추와 같은 근골격계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사각 틀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를 벽멱에 시공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다수의 수평 바가 고정되어 상기 수평 바를 잡고 근골격 교정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평 바를 이용한 교정 운동은 주로 척추측만증을 치료하기 위한 슈로스메소드(Schroth methode) 요법으로 실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프링 월(1), 푸시 스루바(2), 수평 바는 모두 벽면에 플레이트(10)를 시공하고, 상기 플레이트(10)를 지지면으로 하여 스프링(20), 암(50), 힌지(40)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스프링 월(1)을 이용한 운동, 푸시 스루바(2)를 이용한 운동, 수평 바를 이용한 운동을 같은 위치에서 병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프링 월(1) 및 푸시 스루바(2)가 벽면에 설치된 후에는 이를 변경하기 쉽지않아 공간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운동을 동시에 실시할 경우 옆 사람과의 공간적 제한성과 프라이버시적인 한계점으로 인해 운동수행능력의 저하와 방해를 가져올 수 있는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라테스의 운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게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수평 바와 같은 운동기구가 다면에 설치된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운동할 공간에 맞게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수평 바와 같은 운동기구를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이 편리한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다면체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월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는 푸시 스루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월은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 고리과 상기 고정 고리과 선단이 결속되는 제 1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제 1 코일 스프링의 기단에 결속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잡거나 팔 또는 발을 끼워 당기는 고리 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 스루바는 프레임의 배면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암과 상기 암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도록 암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2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암과 암의 자유단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잡거나 신체의 일부를 기댈 수 있게 형성되는 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잡거나 신체의 일부를 기댈 수 있게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 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 바가 형성된 프레임의 내측에 사용자의 운동 모습이 비추어지는 거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그 하부에 프레임이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회전 유닛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형성되고 회전축을 축받이 하는 저널과 상기 저널의 하부에 형성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베이스 및 상기 저널과 회전축을 결속하여 회전축이 무단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각 면이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프레임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의하면,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의 각 면에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수평 바 등이 구비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프레임을 중심으로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수평 바를 이용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한 사람의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수평 바를 이용한 운동을 멀리 가지않고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필라테스의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의 각 면이 전개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운동할 공간의 벽면에 맞추어 스프링 월 내지 푸시 스루바와 같은 운동기구를 배치할 수 있어 운동할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스프링 월 및 푸시 스루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중 스프링 월을 이용한 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중 푸시 스루바를 이용한 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중 수평 바를 이용한 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전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100)는 다면체로 이루어진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정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월(120) 및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구비되는 푸시 스루바(13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프레임(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갖는 다면체의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소정의 높이라 함은 사용자의 키보다 크거나 이와 유사한 높이를 의미하며 소정의 폭은 사용자가 양팔을 벌렸을 때의 너비보다 크거나 이와 유사한 너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는 프레임(110)의 전체 형상이 정면, 배면, 양 측면, 상면, 저면을 이루는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삼각, 오각, 육각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10)이 삼각, 오각, 육각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각 면의 높이와 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키와 양팔을 벌렸을 때보다 크거나 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은 프레임(110)의 각 면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정면과 배면에 각각 스프링 월(120) 및 푸시 스루바(13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프레임(110)의 정면과 배면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프링 월(120) 및 푸시 스루바(130)를 이용한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 월(120)과 푸시 스루바(130) 사이에 해당하는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는 다수의 수평 바(14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프레임(110)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평 바(140)를 이용한 운동을 하게 된다.
즉, 프레임(110)의 정면에는 스프링 월(120)이 구비되는데, 스프링 월(120)은 프레임(110)의 정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22)와 상기 플레이트(122)의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 고리(124)와 상기 고정 고리(124)와 선단이 결속되는 제 1 코일 스프링(126) 및 상기 제 1 코일 스프링(126)의 기단에 결속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잡거나 팔 또는 발을 끼워 당기는 고리 밴드(128)로 구성된다.
이때, 플레이트(122)는 프레임(110)의 정면에서 플레이트의 양 측면이 프레임(110) 고정되거나 또는 프레임(110)의 정면에서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 보(112)에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플레이트(122)의 외면에는 다수의 고정 고리(124)가 형성되어 제 1 코일 스프링(126)의 선단과 결속된다. 이때, 플레이트(122)의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 고리(1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22)의 외면에서 대략 사용자의 어깨 넓이와 유사한 간격으로 한 쌍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한 쌍으로 형성된 고정 고리(124)의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고리(124)가 배열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높이, 가슴 높이, 허리 높이, 무릎 높이 등에 맞추어 고정 고리(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122)의 외면에 형성된 고정 고리(124)에는 인장 시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제 1 코일 스프링(126)의 선단이 결속된다. 이때, 제 1 코일 스프링(126)의 선단은 고정 고리(124)와 결속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을 탄성력에 의해 폐쇄시키는 클립(1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선단이 플레이트(122)의 고정 고리(124)에 결속된 제 1 코일 스프링(126)의 기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잡거나 팔 또는 팔을 끼워 당기는 고리 밴드(128)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코일 스프링(126)의 기단에는 앞서 설명한 고리 밴드(128)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고리(124)에 결속된 제 1 코일 스프링(126) 중 어느 하나에는 연결봉(12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연결봉(121)을 움켜쥐고 당기는 등의 운동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고정 고리(124)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 고리(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2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지지봉(123)을 발 받침대로 하여 운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110)의 정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월(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코일 스프링(126)의 기단에 형성된 고리 밴드(128) 또는 연결봉(121)을 손으로 움켜잡거나 또는 팔 내지 발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을 고리 밴드(128)에 끼운 후 제 1 코일 스프링(126)이 인장되도록 당기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트(M)에 앉은 상태에서 지지봉(123) 또는 프레임(110)에 발을 지탱하여 복근 내지 팔과 같은 상체 근육을 단련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 월(120)에 대한 운동은 앞선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가 프레임(110)의 정면을 향하도록 바로 누운 상태에서 플레이트(122)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봉(123)을 손으로 잡은 후 다리를 들어올려 고리 밴드(128)에 끼워 하체의 근육만을 이용해 제 1 코일 스프링(126)이 인장되도록 당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프레임(110)의 배면에는 푸시 스루바(130)가 구비되는데, 푸시 스루바(130)는 프레임(110)의 배면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암(132)과 상기 암(132)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도록 암(132)과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제 2 코일 스프링(134) 및 상기 암(132)과 암(132)의 자유단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잡거나 신체의 일부를 기댈 수 있게 형성되는 바(136)로 구성된다.
이때, 암(132)의 기단은 프레임(110)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암(132)의 선단은 제 2 코일 스프링(134)의 기단과 결속된다. 또한, 제 2 코일 스프링(134)의 선단은 암(132)과 힌지 체결된 프레임(110)에 고정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수평 보(112)에 고정되어 암(132)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된다.
그리고, 암(132)과 암(132)의 자유단은 바(136)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바(136)를 손으로 움켜잡거나 팔 내지 발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을 바에 걸쳐 제 2 코일 스프링(134)이 인장되도록 당기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트(M)에 앉은 상태에서 바(136)를 손으로 움켜잡고 하부를 향해 회전시킴으로써 팔과 어깨의 상체 근육을 단련시키거나 또는 복근을 단련시키도록 발끝을 들어올리는 등의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근육의 단련과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평 바(140)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 바(140)를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잡거나 신체의 일부를 기대어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수평 바(140)를 정면에 두고 손으로 수평 바(140)를 움켜잡은 상태에서 허리를 숙이고 허리를 이완시키는 운동을 하거나 또는 발을 수평(140)에 걸쳐 다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짐볼(J) 등과 같은 기구에 앉은 상태에서 몸의 균형을 잃지 않도록 양손으로 수평 바(140)를 잡고 허리와 척추를 이완 및 교정시키는 허리 돌리기와 같은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수평 바(14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하게 될 때 사용자의 운동 모습이 비추어져 바른 자세로 근골격 교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수평 바(140)가 형성된 프레임(110)의 내측에 거울(190)이 구비된다.
이러한 거울(190)은 양측단이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수평 바(140)의 배면에서 직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 거울(190)의 배면에 프레임(110)과 고정되는 거울 지지대(192)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거울(19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거울 지지대(192)의 표면에 사물이 투영되는 재질을 적층 또는 코팅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모습이 비추어지는 거울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100)는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110)의 각 면에 스프링 월(120), 푸시 스루바(130), 수평 바(140) 등이 구비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프레임(110)을 중심으로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스프링 월(120), 푸시 스루바(130), 수평 바(140)를 이용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한 사람의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스프링 월(120), 푸시 스루바(130), 수평 바(140)를 이용한 운동을 멀리 가지않고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필라테스의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110)이 회전되거나 전개되도록 형성되어 운동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도 8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110)이 회전될 수 있게 프레임(110)의 하부에 회전 유닛(15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 유닛(150)은 프레임(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축(152)과 상기 회전축(152)의 하부에 형성되고 회전축(152)을 축받이 하는 저널(154)과 상기 저널(154)의 하부에 형성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베이스(156) 및 상기 저널(154)과 회전축(152)을 결속하여 회전축(152)이 무단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158)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회전축(152)은 프레임(110)의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게 되는데, 상기 회전축(152)은 프레임(110)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152)이 삽입되는 내경을 갖는 저널(154)이 회전축(152)의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축(152)을 축받이 하게 되며, 저널(154)은 지면과 맞닿는 베이스(156)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저널(154)의 내경과 회전축(152)의 외경은 그 표면에 마찰계수가 작게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널(154)과 회전축은 구리(Cu), 주석(Sn), 흑연분말을 사용한 소결(도자기처럼 굽는 것)분말 합금으로 다공성에 윤활유를 함유한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저널(154)의 내경과 회전축의 외경 사이에 유막이 형성되어 마찰계수가 작아지도록 저널(154)의 내경에 윤활유가 충진될 수 있으며, 이때 저널(154)의 외부에는 윤활유가 저널의 내경과 회전축(152)의 외경 사이로 급유될 수 있도록 윤활유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 유닛(150)에는 회전축(152)이 무단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스토퍼(158)가 마련된다. 스토퍼(158)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볼트와 같은 형상을 갖되 그 길이가 저널(154)의 측면을 관통하여 회전축(152)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저널(154)과 회전축(152)의 둘레로 각각 동일한 축선을 갖는 관통 홀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프레임(110)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저널(154)의 관통 홀에서 스토퍼(158)를 분리시킨 후 프레임(110)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이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된 후에는 저널(154)의 관통 홀에 분리되었던 스토퍼(158)를 끼워 스토퍼(158)의 기단을 회전축(152)에 형성된 관통 홀에 삽입시켜 프레임(110)이 무단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110)의 하부에 회전 유닛(150)이 형성되면, 프레임(110)에 구비된 스프링 월(120), 푸시 스루바(130), 수평 바(140)를 이용하여 운동하게 될 때 사용빈도가 높은 운동기구에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배치하거나 또는 다른 운동기구와 연계하여 연속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할 수 있어 필라테스의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전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면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10)이 전개될 수 있게 프레임(110)의 각 면에 경첩(160)이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각 면은 경첩(16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부연하자면,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에는 각각 제 1 내지 제 4 포스트(a)(b)(c)(d)가 형성되고, 제 1 내지 제 4 포스트(a)(b)(c)(d)는 프레임(110)의 각 면과 경첩(160)에 의해 연결된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정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 그리고 배면이 만나는 각 모서리에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제 1 내지 제 4의 포스트(a)(b)(c)(d)가 형성되고, 제 2 내지 제 4 포스트(b)(c)(d)와 프레임(110)의 정면, 좌측면, 배면, 우측면이 경첩(160)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서, 프레임(110)의 정면과 좌측면이 제 2 포스트(b)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프레임(110)의 좌측면과 배면이 제 3 포스트(c)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프레임(110)의 배면과 우측면이 제 4 포스트(d)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우측면의 일측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반원의 형상을 갖는 제 1 클램프(180a)가 형성되고, 제 1 포스트()에는 제 1 클램프(180a)와 합체되는 제 2 클램프(180b)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클램프(180a)와 제 2 클램프(180b)가 접하는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가 제 1 클램프(180a)와 제 2 클램프(180b)를 결속시켜 프레임(110)이 다면체를 이루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경첩(160)에 의해 프레임(110)이 다면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었을 때 다면체의 형상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프레임(11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170)가 형성된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정면 중 내측면과 프레임(110)의 우측면 중 내측면에 각각 지지대(170)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170)는 프레임(110)의 정면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 블록(172)과 상기 힌지 블록(17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걸이대(174) 및 각 힌지 블록(172)과 마주하게 프레임(110)의 배면과 프레임(110)의 좌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걸이대(174)의 자유단이 끼워지는 결속 홀(176)로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110)의 정면 중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대(170)와 프레임(110)의 우측면 중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대(170)는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정면과 프레임(110)의 배면이 서로 가까워지게 경첩(16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프레임(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이 서로 가까워지게 경첩(16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면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10)이 전개될 수 있게 프레임(110)의 각 면에 경첩(160)이 형성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램프(180a)와 제 2 클램프(180b) 및 지지대(170)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프레임(110)의 각 면이 전개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110)의 각 면이 전개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면 운동할 공간의 벽면에 맞추어 스프링 월(120) 내지 푸시 스루바(130)와 같은 운동기구를 배치할 수 있어 운동할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100 :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110 : 프레임
112 : 수평 보 120 : 스프링 월
121 : 연결봉 122 : 플레이트
123 : 지지봉 124 : 고정 고리
125 : 클립 126 : 제 1 코일 스프링
128 : 고리 밴드 130 : 푸시 스루바
132 : 암 134 : 제 2 코일 스프링
136 : 바 140 : 수평 바
150 : 회전 유닛 152 : 회전축
154 : 저널 156 : 베이스
158 : 스토퍼 160 : 경첩
170 : 지지대 172 : 힌지 블록
174 : 걸이대 176 : 결속 홀
180 : 클램프 180a : 제 1 클램프
180b : 제 2 클램프 190 : 거울

Claims (8)

  1. 다면체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월;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는 푸시 스루바;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그 하부에 프레임이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회전 유닛;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형성되고 회전축을 축받이 하는 저널;
    상기 저널의 하부에 형성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베이스; 및
    상기 저널과 회전축을 결속하여 회전축이 무단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2. 다면체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월;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는 푸시 스루바;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각 면이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월은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 고리;
    상기 고정 고리와 선단이 결속되는 제 1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제 1 코일 스프링의 기단에 결속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잡거나 팔 또는 발을 끼워 당기는 고리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루바는 프레임의 배면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암;
    상기 암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도록 암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2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암과 암의 자유단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잡거나 신체의 일부를 기댈 수 있게 형성되는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잡거나 신체의 일부를 기댈 수 있게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평 바가 형성된 프레임의 내측에 사용자의 운동 모습이 비추어지는 거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프레임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2020130005108U 2013-06-24 2013-06-24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200470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108U KR200470891Y1 (ko) 2013-06-24 2013-06-24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108U KR200470891Y1 (ko) 2013-06-24 2013-06-24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891Y1 true KR200470891Y1 (ko) 2014-01-15

Family

ID=5141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108U KR200470891Y1 (ko) 2013-06-24 2013-06-24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891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669B1 (ko) 2019-04-16 2020-03-24 지용진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186259B1 (ko) * 2020-04-14 2020-12-03 서민관 운동용 스프링보드
KR20210007427A (ko) 2019-07-11 2021-01-20 유지호 필라테스 월 및 이를 이용한 필라테스 월 시스템
KR20210044455A (ko) * 2019-10-15 2021-04-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발목 교정 강화 기구
KR102306345B1 (ko) 2021-02-19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06334B1 (ko) 2021-03-15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12252B1 (ko) 2020-10-29 2021-10-13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476518B1 (ko) 2022-04-16 2022-12-12 서민관 필라테스 도구 보관용 선반
KR20230060680A (ko)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20230168809A (ko)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649689B1 (ko) * 2023-04-26 2024-03-20 주식회사 바디녹스인터내셔널 접이식 다용도 운동 기구 및 그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8679B1 (en) * 2000-06-19 2001-12-11 Ellen Croft Wall-mountable exercise device
US20120214651A1 (en) 2011-02-18 2012-08-23 Exemplar Design, Llc Stability ba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8679B1 (en) * 2000-06-19 2001-12-11 Ellen Croft Wall-mountable exercise device
US20120214651A1 (en) 2011-02-18 2012-08-23 Exemplar Design, Llc Stability bar system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669B1 (ko) 2019-04-16 2020-03-24 지용진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20210007427A (ko) 2019-07-11 2021-01-20 유지호 필라테스 월 및 이를 이용한 필라테스 월 시스템
KR20210044455A (ko) * 2019-10-15 2021-04-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발목 교정 강화 기구
KR102275308B1 (ko) 2019-10-15 2021-07-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발목 교정 강화 기구
KR102186259B1 (ko) * 2020-04-14 2020-12-03 서민관 운동용 스프링보드
KR102312252B1 (ko) 2020-10-29 2021-10-13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06345B1 (ko) 2021-02-19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06334B1 (ko) 2021-03-15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20230060680A (ko)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476518B1 (ko) 2022-04-16 2022-12-12 서민관 필라테스 도구 보관용 선반
KR20230168809A (ko)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649689B1 (ko) * 2023-04-26 2024-03-20 주식회사 바디녹스인터내셔널 접이식 다용도 운동 기구 및 그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8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US76218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e using an omnidirectional roller
US8690742B1 (en) Resistance band physical train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190336821A1 (en) Studios, devices and methods for exercising or improving posture
RU17695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CN102802741A (zh) 旋转的可调节健身设备
KR101952162B1 (ko) 요가용 어셈블리
JP2007130368A (ja) 機能回復訓練装置
CN206852991U (zh) 一种健身座椅
JP7089111B2 (ja) 身体均衡補助器具
US20210038941A1 (en) Adjustable shoulder exercise device
US20210038940A1 (en) Adjustable shoulder exercise device
US20170304676A1 (en) Core exercise machine
CN110314331B (zh) 体育训练用肌肉舒展装置
CN209422837U (zh) 一种转盘式拉力健身器
US9427370B2 (en) Kit for rehabilitation apparatus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EP1955735B1 (de) Trampolin
RU2311217C2 (ru) Ножной тренажер
KR102006812B1 (ko) 체력단련을 겸한 의자
KR200450114Y1 (ko)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JP3202972U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404053B1 (ko) 굴림식 운동기구
KR20130009912A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