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259B1 - 운동용 스프링보드 - Google Patents

운동용 스프링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259B1
KR102186259B1 KR1020200044972A KR20200044972A KR102186259B1 KR 102186259 B1 KR102186259 B1 KR 102186259B1 KR 1020200044972 A KR1020200044972 A KR 1020200044972A KR 20200044972 A KR20200044972 A KR 20200044972A KR 102186259 B1 KR102186259 B1 KR 10218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pring
profile
exercise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관
서홍석
Original Assignee
서민관
서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관, 서홍석 filed Critical 서민관
Priority to KR102020004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2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i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신의 운동하는 모습을 보며 정확한 자세로 교정할 수 있는 운동용 스프링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에 고정되는 보드와, 상기 보드의 전면에 부착되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관통공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격자 모양의 그리드가 새겨진 스테인리스 재질의 거울, 상기 거울의 관통공으로 관통되어 일단부가 상기 보드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거울을 통해 보면서 좌우 또는 상하 자세가 올바르고 정확하게 움직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세 교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동용 스프링보드{SPORTS SPRING BOARD}
본 발명은 운동용 스프링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신의 운동하는 모습을 보며 정확한 자세로 교정할 수 있는 운동용 스프링보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운동용 스프링보드는 벽에 고정되는 보드의 전면 양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코일스프링을 연결하여, 간단한 스트레칭부터 팔이나 다리 또는 코어 부위의 근육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기구로서, 반복된 동작을 하여 연속적으로 근육을 운동시키면서 통증 없이 근육을 강화하는 필라테스(pilates)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운동용 스프링보드는 벽에 고정되는 보드와, 보드의 전면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 또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며, 한 쌍의 코일스프링은 수직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양측 코일스프링의 외측 단부는 가로 방향으로 긴 연결바로 연결되어 롤백(roll back) 따위의 근력 운동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운동용 스프링보드는 벽에 고정되는 보드가 나무 재질로 이루어져 자신의 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없어서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자세로 교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8581호(공개일자 2003년11월2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의 운동하는 모습을 보며 정확한 자세로 교정할 수 있는 운동용 스프링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에 고정되는 보드와, 상기 보드의 전면에 부착되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관통공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격자 모양의 그리드가 새겨진 스테인리스 재질의 거울, 상기 거울의 관통공으로 관통되어 일단부가 상기 보드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그리드의 중앙에는 높이를 나타내는 높이표시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높이표시부와 동일한 수평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보드의 전면 양측에 고정되어 수직의 가이드레일을 갖는 프로파일, 상기 프로파일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스프링홀더, 상기 스프링홀더를 상기 프로파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은 삼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부,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로파일의 전면을 관통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선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레일부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상기 프로파일의 일측면에 형성된 볼트슬롯과 상기 스프링홀더를 관통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프로파일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탭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거울을 통해 보면서 좌우 또는 상하 자세가 올바르고 정확하게 움직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세 교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파일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스프링홀더가 승강되어 코일스프링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부합되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드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절단 부분만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로파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프링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운동용 스프링보드(100)는, 벽에 고정되는 보드(110)와, 보드(1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관통공(121)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격자 모양의 그리드(122)가 새겨진 스테인리스 재질의 거울(120), 거울(120)의 관통공(121)으로 관통되어 일단부가 보드(110)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130), 코일스프링(130)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는 그립(140)을 포함한다.
보드(110)는 납작하고 수직으로 긴 직사각 나무 판재로 형성되어 벽에 앵커볼트로 견고히 고정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드(110)의 전면 하단에는 로워바(lower bar, 111)가 설치되어 발을 걸어서 고정하거나 다양한 운동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거울(120)은 보드(1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운동하는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정확한 자세로 교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거울(120)은 가공이 용이하고 반사 기능이 좋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져 운동 중 사용자가 부딪치는 외력에 대하여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며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3의 하부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확대도를 참조하면, 거울(120)의 좌우 양측 단부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보드(110)의 양측을 감싸므로 부착력이 증대된다.
그리고 거울(120)에는 가로와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도록 짜여진 격자 모양의 그리드(grid, 122)가 새겨져, 자신의 운동하는 모습을 보며 좌우 또는 상하 자세를 올바르고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다. 그리드(122)의 중앙에는 높이를 일정 단위마다 단계별로 표시하기 위한 높이표시부(123)가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자신의 신체 조건에 부합되도록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높이표시부(123)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조건에 따라 "1" 내지 "10" 단위로 운동 기준높이를 단계별로 확인하면서 자세 교정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거울(120)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관통공(121)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보드(110)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130)의 일단부가 관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관통공(121)은 높이표시부(123)와 동일한 수평선 상에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30)의 높이를 측정하지 않고도 시각적으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130)은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인장 하중을 작용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코일스프링(130)의 일단부는 거울(120)의 관통공(121)을 관통하여 보드(110)에 고정되는 원판형의 스프링홀더(150)에 의해 설치된다. 코일스프링(130)의 일단부는 고리 따위의 조인트(joint)에 의해 스프링홀더(150)에 사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립(140)은 코일스프링(13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손으로 잡는 핸들(141), 발을 거는 풋링(foot ring, 142), 한 쌍의 코일스프링(130)을 좌우로 연결하는 롤백바(roll back bar, 143)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동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거울(120)을 통해 보면서 좌우 또는 상하 자세가 올바르고 정확하게 움직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세 교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거울(120)의 관통공(121)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3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부합되는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표시부(123)와 관통공(121)이 동일한 수평선 상에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30)의 높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동용 스프링보드(100)는, 보드(110)의 전면 양측에 고정되어 수직의 가이드레일(163)을 갖는 프로파일(160), 프로파일(160)의 가이드레일(163)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153)가 구비되어 코일스프링(130)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스프링홀더(150), 스프링홀더(150)를 프로파일(16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프로파일(1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긴 강재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T’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형강(166)이 연결되어 보드(110)의 후면에 나사(167)로 고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파일(160)에는 전면을 관통하는 수직의 가이드레일(163)이 형성되어 슬라이더(153)의 승강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가이드레일(163)은 삼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부(161)와,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프로파일(160)의 전면을 관통하는 레일부(161)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로파일(160)의 외측면에는 레일부(161)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수직으로 긴 볼트슬롯(16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부재의 고정볼트(170)가 관통되고, 내측면에는 볼트슬롯(164)을 관통한 고정볼트(17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탭홀(165)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스프링홀더(150)는 코일스프링(130)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스프링홀더(150)에는 슬라이더(153)가 구비되어 프로파일(160)의 가이드레일(163)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프링홀더(150)의 전면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되어 코일스프링(130)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면에는 슬라이더(153)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더(153)는 가이드부(16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삼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부(151)와, 레일부(161)를 따라 슬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선형부(152)를 포함하며, 선형부(152)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의 고정볼트(170)가 관통되도록 볼트홀(154)이 형성된다.
고정부재는 승강 조절된 스프링홀더(150)를 프로파일(160)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고정부재는 볼트슬롯(164)과 볼트홀(154)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70)와, 고정볼트(170)가 나사결합되도록 프로파일(16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탭홀(165)을 포함한다. 고정볼트(170)에는 회전노브(171)가 구비되어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서 탭홀(165)에 용이하게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프로파일(160)의 가이드레일(163)을 따라 스프링홀더(15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높이 조절한 후, 고정볼트(170)와 탭홀(165)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코일스프링(130)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부합되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스프링보드 110 : 보드
111 : 로워바 120 : 거울
121 : 관통공 122 : 그리드
123 : 높이표시부 130 : 코일스프링
140 : 그립 141 : 핸들
142 : 풋링 143 : 연결바
150 : 스프링홀더 151 : 슬라이딩부
152 : 선형부 153 : 슬라이더
154 : 볼트홀 160 : 프로파일
161 : 가이드부 162 : 레일부
163 : 가이드레일 164 : 볼트슬롯
165 : 탭홀 170 : 고정볼트
171 : 회전노브

Claims (5)

  1. 벽에 고정되며, 전면 하단에 로워바(111)가 설치된 보드(110);
    상기 보드(1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관통공(121)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격자 모양의 그리드(122)가 새겨지며, 상기 그리드(122)의 중앙에는 높이를 나타내는 높이표시부(123)가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121)은 높이표시부(123)와 동일한 수평선 상에 형성된 스테인리스 재질의 거울(120);
    상기 거울(120)의 관통공(121)으로 관통되어 일단부가 상기 보드(110)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130);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그립(140)을 포함하되,
    상기 그립(140)은
    코일스프링(13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손으로 잡는 핸들(141);
    발을 거는 풋링(foot ring, 142);
    한 쌍의 코일스프링(130)을 좌우로 연결하는 롤백바(roll back bar, 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스프링보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드(110)의 전면 양측에 고정되어 수직의 가이드레일(163)을 갖는 프로파일(160);
    상기 프로파일(160)의 가이드레일(163)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153)가 구비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스프링홀더(150);
    상기 스프링홀더(150)를 상기 프로파일(16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스프링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63)은
    삼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부(161);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로파일(160)의 전면을 관통하는 레일부(162)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153)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부(151);
    상기 레일부(162)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선형부(152);
    상기 선형부(152)에는 고정볼트(170)가 관통되는 볼트홀(1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스프링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레일부(162)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상기 프로파일(160)의 일측면에 형성된 볼트슬롯(164);
    상기 볼트슬롯(164)과 볼트홀(154)를 관통하는 고정볼트(170);
    상기 고정볼트(170)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프로파일(16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탭홀(1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스프링보드.
KR1020200044972A 2020-04-14 2020-04-14 운동용 스프링보드 KR102186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972A KR102186259B1 (ko) 2020-04-14 2020-04-14 운동용 스프링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972A KR102186259B1 (ko) 2020-04-14 2020-04-14 운동용 스프링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259B1 true KR102186259B1 (ko) 2020-12-03

Family

ID=7377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972A KR102186259B1 (ko) 2020-04-14 2020-04-14 운동용 스프링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2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581A (ko) 2002-05-13 2003-11-20 유대식 진동수단이 구비된 운동용구
KR200385444Y1 (ko) * 2005-03-17 2005-05-27 신현진 수평 및 수직선이 형성된 거울을 구비한 운동기구
KR20120040897A (ko) * 2010-10-20 2012-04-30 이태영 다리의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
KR200470891Y1 (ko) * 2013-06-24 2014-01-15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WO2017149182A1 (es) * 2016-03-02 2017-09-08 Pitk Pelotas, S.L. Aparato gimnástic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581A (ko) 2002-05-13 2003-11-20 유대식 진동수단이 구비된 운동용구
KR200385444Y1 (ko) * 2005-03-17 2005-05-27 신현진 수평 및 수직선이 형성된 거울을 구비한 운동기구
KR20120040897A (ko) * 2010-10-20 2012-04-30 이태영 다리의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
KR200470891Y1 (ko) * 2013-06-24 2014-01-15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WO2017149182A1 (es) * 2016-03-02 2017-09-08 Pitk Pelotas, S.L. Aparato gimnástic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658B2 (en) Strength training and stretching system
US5066005A (en) Enhanced core movement training bench
US4861020A (en) Exercise device for installation in a doorway
US9498664B2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US20180036571A1 (en)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US9446284B2 (en) Squat exercising
US9168417B2 (en) Abdominal exercising apparatus
US7955181B2 (en) Device for practicing a sequence of movement in the golf swing
US9302149B1 (en)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KR102454363B1 (ko) 운동기구의 수평 이동 장치
KR102186259B1 (ko) 운동용 스프링보드
US20060148624A1 (en) Bench press
US8827882B2 (en) Proprioception balance and coordination enhancement system
KR100994815B1 (ko) 웨이트 운동기구
US8105216B2 (en)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WO2013187421A1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90094588A (ko) 하지재활 운동기구를 이용한 시각적 운동기구
US11198030B2 (en) Ped-A-Pull exercise apparatus
US4231570A (en) Safetied exercising board apparatus, and method of safetying exercising board apparatus
KR101238094B1 (ko) 보행 교정기
US9814933B1 (en) Pedal exerciser mounting frame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US20210260438A1 (en) Exercise apparatus
US20200171350A1 (en) Automatic salmon ladder training device
KR20120121059A (ko) 교정 보행기
CN209828090U (zh) 一种迷你肌肉训练器及肌肉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