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680A - 필라테스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필라테스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680A
KR20230060680A KR1020210145156A KR20210145156A KR20230060680A KR 20230060680 A KR20230060680 A KR 20230060680A KR 1020210145156 A KR1020210145156 A KR 1020210145156A KR 20210145156 A KR20210145156 A KR 20210145156A KR 20230060680 A KR20230060680 A KR 20230060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fixing
spring hook
fix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14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680A/ko
Publication of KR2023006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빈 형태의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에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오픈된 상부 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의 마주 보는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 상기 레일 부재 일단의 상면에 인접하여 고정되는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에서 스프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2~10개의 제1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2~10개의 제2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고 하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과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블록; 및 상기 본체부의 제1프레임 상부의 홈에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라테스 운동기구{Pilates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필라테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개선하여 기존의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단점인 흔들림과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한 필라테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필라테스(pilates)는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라테스는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데, 근육 크기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근력은 증대돼 체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몸매의 유지관리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그 인기에 따라 관련 서적이나 비디오 등이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7089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7559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67861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633884호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필라테스 운동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필라테스 운동을 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들이 고안되어 있으며, 그중 대표적인 것이, 레더바렐, 콤비체어, 리포머 및 캐딜락으로 불리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위의 4가지 운동기구를 변형하거나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구들이 개발되고 판매되며, 상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목재로 제작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 중 리포머(Reformer)는 요셉 필라테스가 고안해낸 기구 중 가장 대표적인 기구로서 자세 개선과 코어 근력발달, 균형감각 및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저항 운동이 가능하다. 이 리포머는 침대형 프레임의 위에 상판이 결합되며, 상기 상판은 내부의 스프링과 연결되어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에만 상기 프레임을 전후로 왕복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리포머는 하체근력 향상 및 유연성 증가에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리포머 기구는 침대형 프레임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그 부피가 크고 원목으로 만들어 무게가 무거웠으며, 필라테스 운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행특허로서 10-2092669의 특허를 등록받고 있지만, 운동기구의 사용시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른 정확한 운동강도의 조절이 되지 않는 등 사용상에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891호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591호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7614호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3884호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개선하여 기존의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단점인 흔들림과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한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가 빈 형태의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에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오픈된 상부 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의 마주 보는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 상기 레일 부재 일단의 상면에 인접하여 고정되는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에서 스프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2~10개의 제1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2~10개의 제2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고 하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과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블록; 및 상기 본체부의 제1프레임 상부의 홈에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는, 일측단이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단이 상측 또는 상기 스프링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는, 일측단이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상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풋바(foot bar)를 포함하되, 상기 풋바는 상기 지지부재의 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바를 일정한 높이에 고정하는 보조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타측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각도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유지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에 형성된 각도 조절부의 각도 조절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바를 일정높이에 고정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각도 유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2~5개의 각도 조절홈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숄더 블록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숄더 블록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 고정손잡이가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숄더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손잡이는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거나 와이어 운동부의 밴드 손잡이가 고정되며, 상기 숄더 블록은 사용자의 어깨, 무릎, 또는 발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라테스 운동기구는 와이어 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운동부는, 일단이 상판 하부의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중단이 높이 조절바에 고정된 도르래 통과하며 타단이 밴드 손잡이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와이어;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도르레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바; 상기 높이 조절바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와이어가 통과하는 도르레; 상기 높이 조절바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높이 조절바를 일정위치에 고정하는 조절바 고정부; 및 상기 상판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서 상기 도르레로 연결된 탄성와이어를 고정하여 상기 탄성와이어의 길이를 유지하는 길이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라테스 운동기구는 스프링의 강도를 2단계로 조절할 수 있어 기존의 필라테스 운동기구에 비하여 사용자의 근력에 맞춘 정확한 강도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라테스 운동기구는 풋바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끼임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보조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풋바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풋바의 흔들림을 막을 수 있어 사용자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라테스 운동기구는 고정 블록의 형상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어깨와 손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숄더 블록을 고정 블록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밴드손잡이를 고정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필라테스 운동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상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하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고정블록을 상세히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후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후면부를 확대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전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판의 하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현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 또는"제2 "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방법 또는 제조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상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하면을 도3은 측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빈 형태의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에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오픈된 상부 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의 마주 보는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 상기 레일 부재 일단의 상면에 인접하여 고정되는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에서 스프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2~10개의 제1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2~10개의 제2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고 하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과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블록; 및 상기 본체부의 제1프레임 상부의 홈에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체부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필라테스 운동기구 즉 리포머 기구의 외관을 이룬다.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며, 전면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110), 좌측면을 구성하는 제2프레임(120), 우측면을 구성하는 제3프레임(130) 및 후면을 구성하는 제4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리포머를 바닥에 설치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면은 상판(200)이 설치되는 윗면 방향, 하면은 바닥면과 접촉하는 방향, 전면은 풋바(600)가 설치되는 방향, 후면은 고정블록(210)이 설치되는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이는 상부, 하부, 전면부 및 후면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재료는 강성을 가진 것이어야 하며, 상부에서 운동하는 사람의 동작에 따른 외력에 버틸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하고 무게감이 있는 목재나 그 밖의 재료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목재는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하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는 평판형 목재를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목재, 금속재 또는 고분자 수지로 제작되는 보강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사용되는 목재는 원목을 평판형으로 가공한 목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집성재, 합판, 파티클보드 또는 중밀도 섬유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리포머의 경우 실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인체와 접촉되어 사용되므로 땀이나 분비물에 의한 오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고습도의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습도 및 오염의 경우 목재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재의 추가 가공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에 사용되는 목재는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고분자수지에 함침되거나, 표면에 고분자수지가 도포되거나, 고분자수지 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부는 지면을 지지하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가 형성되거나 미끄럼 방지 재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리포머를 사용하는 중에도 상기 리포머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리포머의 이동에 따른 사용자의 부상이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 내부에는 레일 부재(300)를 설치할 수 있다. 레일 부재(300)는 상판의 레일 바퀴(240)가 직선 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설치되어 원활하게 상판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부재(300)는 레일 길이 방향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완충부재를 상기 구멍에 탈착 가능하여 상판의 직선운동을 구속하고, 상판 운동에 의한 충격과 타격음을 줄일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상기 구멍에 삽입 가능한 막대 부재와 상기 막대 부재를 둘러싼 완충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일측의 레일 부재에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양측 레일 부재(300)에 동일하게 설치되어 충격량을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230)는 제1 및 제2 스프링 걸이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레일 부재(300) 후방부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를 통하여 후술할 스프링(220)이 상기 스프링걸이 부재(231)와 결합되어 상기 상판에 일정한 탄성력을 가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상판(200)은 복수의 스프링(220)을 구비할 수 있으며(도 1, 도 2 및 도 8참조), 탄성이 다른 스프링을 조합하여 다양한 저항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230)에서 스프링(220)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2~10개의 제1 스프링 걸이 부재(231)와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230)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2~10개의 제2 스프링 걸이 부재(232)로 구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231)는 일측단이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단이 상측 또는 상기 스프링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231)는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230)에서 스프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231)의 노출부는 다각형을 구성하거나 원호를 구성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두께 0.1~3mm의 철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형성되 고리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231)의 타측단은 상측을 향하거나 상기 스프링에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이 결합되어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스프링(2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231)의 타측단은 구형으로 가공되거나 구형을 형성하는 캡이 결합되어 운동시 또는 상기 스프링의 탈착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232)는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23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231)와 동일하게 상기 스프링의 고리와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232)는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전면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232)는 상면을 향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232)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에 다른 강도의 탄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스프링을 일반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스프링중 하나 또는 다수개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상판을 이용한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리포머의 경우 단순히 스프링의 탈착만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1단, 2단과 같은 정수배의 운동강도 조절은 가능하지만 1.5단 2.5단과 같은 중간단계의 운동강도는 선택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를 설치함에 따라 제1 스프링 걸이 부재보다 강한 강도를 원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에서 인접한 제2 스프링 걸이 부재로 스프링의 고정부를 변경하는 것으로 스프링에 의한 강도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232)는 일측단이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상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스프링 걸이 부재(231)와 결합되기 위하여 고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232)는 단순히 기둥형으로 제작되는 것만으로도 상기 스프링의 고리부분을 끼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232)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232)를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23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형태는 상기 스프링의 고리부분에 끼워지는 크기와 형태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또는 팍각기둥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중단의 직경이 상단보다 작게 제작되어 상기 스프링의 고리가 운동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판(200)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210)이 결합될 수 있다(도 1 및 도 4 참조). 고정 블록(210)은 사용자가 누웠을 때 어깨 부분이나 사용자의 무릎, 발 등 신체를 접촉하여 상판 스프링(220)의 탄성력을 쉽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블록은 크게 숄더 블록(213)과 고정손잡이(212)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의 리포머의 경우 상기 고정블록만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판의 위에 등을 대고 누워서 운동할 때 손으로 잡을 것이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블록의 측면에 손을 대거나 본체 측면에 손을 지지하고 운동하게 되어 상판의 움직임에 따라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었다. 아울러 후술할 와이어 운동부의 경우에도 상기 고정블록에 걸어놓거나 단순히 매달려 있도록 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그 고정부위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운동을 위하여 상기 고정블록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잡을 부위 및 와이어 운동부를 고정할 부분이 완전히 사라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블록 내부에 고정식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블록을 제거한 경우에도 이 손잡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지지하거나 와이어 운동부를 고정하는 리포머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누워서 운동하는 경우에는 손잡이가 따로 존재하지 않아 고정블록의 측면으로 손을 지지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고정 블록(210)을 숄더 블록(213)과 고정손잡이(212)로 나누어 설치하되, 상기 숄더 블록(213)을 탈착식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 블록(210)은, 숄더 블록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숄더 블록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 고정손잡이가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숄더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1)는 상기 상판에 연결되어 상부에 상기 숄더 블록(213)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부분으로, 일측은 상기 숄더 블록(213)의 외부로 연장되어 고정손잡이(212)가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러한 고정부(211)는 숄더 블록(213)을 제거한 경우에도 사용자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1~5mm의 두께를 가지도록 납작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11)의 일측은 상기 숄더 블록(213)을 고정한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에 고정손잡이(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손잡이(212)는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거나 와이어 운동부의 밴드 손잡이(411)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때 상기 고정손잡이는 사용자의 은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숄더블록을 기준으로 할 때 본체의 후면방향에 1~10cm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숄더 블록과 동시에 설치되더라도 사용자의 어깨를 숄더 블록이 원활하게 지지하며, 사용자의 손은 상기 고정 손잡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손잡이는 사용자가 잡기 편하도록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사용자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 규칙적으로 새겨져 있거나 고분자 소재로 된 미끄럼방지부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숄더 블록(213)은 사용자가 누워서 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며 다른 자세로 상판에 위치하게 되면 무릎 또는 발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기존의 고정블록과 동일하게 원기둥형 또는 사각 기둥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200)의 상면과 상기 숄더 블록(213)은 운동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닿는 부분에 해당하므로, 적당한 쿠션과 질감을 가지면서, 땀에 강하고 내구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숄더 블록은 탈착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사용자가 숄더 블록이 필요하지 않은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손잡이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정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상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하거나, 후술할 와이어 운동부를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판(200) 하면에는 바퀴(240)가 설치되어 레일 부재(300)를 따라 상판의 직선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직선운동 과정에서 상판의 측면이 본체부의 프레임과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과 맞닿는 측면방향의 바퀴를 추가로 설치(241)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판(200)뿐만 아니라 하판도 포함할 수 있다. 하판은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탈착이 가능하다. 하판은 본체부 상부에서 고정된 운동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자리에서 운동하려고 할 때, 하판을 사용하여 그 위에서 운동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상판(200)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반은 이동 불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운동방법에 따라 상기 상판과 하판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 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및 도 6 참조). 상기 와이어 운동부는, 일단이 상판 하부의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중단이 높이 조절바에 고정된 도르래 통과하며 타단이 밴드 손잡이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와이어;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도르레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바; 상기 높이 조절바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와이어가 통과하는 도르레; 상기 높이 조절바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높이 조절바를 일정위치에 고정하는 조절바 고정부; 및 상기 상판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서 상기 도르레로 연결된 탄성와이어를 고정하여 상기 탄성와이어의 길이를 유지하는 길이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포머의 사용자는 상판 위에서 필라테스 동작을 취하며, 상기의 밴드 손잡이를 이용하여 탄성 와이어를 당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근력과 상판 스프링(220)의 탄성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근력 운동의 강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탄성와이어(410)는 일단이 상기 상판 하부의 와이어 고정부(430)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밴드 손잡이(411)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이 상기 밴드 손잡이(411)를 잡고 운동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와이어(410)는 중단이 높이 조절바(420)에 연결된 도르레(412)를 통과함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바(420)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도르레(412)가 전면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바(42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높이 조절바(420)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르레(412)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의 높이 조절바의 경우 높이 조절바 자체는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도르레의 고정부만을 상하로 이동시켜 도르레의 위치를 조절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도르레게 하중이 가해지면 도르레 고정부의 고정력이 약해져 도르레가 흔들리거나 자리를 이탈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도르레는 고정식으로 설치하되 상기 높이 조절바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도르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바의 경우 상기 도르레 고정부에 비하여 큰 고정부를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고정면적 역시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더욱 큰 고정력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따라 사용시 흔들림이나 자리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바의 경우 다른 부분과는 달리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 봉의 경우 축의 횡방향에서 가해지는 힘 및 충격에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다른 플라스틱이나 목재는 가지지 못하는 특성에 해당한다. 아울러 상기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 일정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구부러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일정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부러져 파편화되는 목재나 합성수지재에 비하여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높이 조절바는 금속재질, 바람직하게는 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티타늄, 크롬, 마그네슘, 니켈,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원형의 중공형 봉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형의 중공형 봉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봉의 상부와 하부에는 캡을 설치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참조).
상기 조절바 고정부(422)는 상기 높이 조절바(420)의 하부를 상기 본체의 후면에 고정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바의 외주면을 감싸는 반원형으로 제작되며, 양측이 상기 본체의 후면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높이 조절바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바(4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높이 조절바에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홀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홀에는 상기 조절바 고정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21)의 타측 즉 삽입부가 삽입되어 상기 높이 조절바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홀의 직경은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부의 외경보다 크게 제작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홀은 상기 높이 조절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2~10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고정홀 사이의 간격은 2~10cm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형 및 운동 강조에 따라 높이 조절바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홀이 2개 미만으로 형성되거나 10cm을 초과하는 간격을 가지는 경우 그 간격의 변화가 크게 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변경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고정홀이 10개를 초과하거나 2cm미만의 간격을 가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높이 조절바의 내구성이 약해져 사용시 파손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21)는, 일측이 상기 조절바 고정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높이 조절바의 내부로 진입하며, 상기 일측에는 원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또는 팔각기둥 형상으로 제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는 상기 손잡이에 일측이 지지되며, 조절바 고정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일정위치로 탄성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21)의 일측은 상기 조절바 고정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승 및 회전을 용이하도록 하는 부분으로, 원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또는 팔각기둥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 부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나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측면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구조를 가져 회전 조작 또는 상기 고정부재의 진출입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고 조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손잡이에 일측이 지지되며, 조절바 고정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일정위치로 탄성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높이 조절바를 이동한 이후 상기 탄성부재로 인하여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 이동되어 상기 높이 조절바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의 미결합으로 인한 높이 조절바의 이동 및 사용자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조절바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고분자 탄성체 또는 코일형 스프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일형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430)는 상기 탄성와이어(410)의 일측을 상기 상판(200)의 하부에 고정하며, 상기 탄성와이어의 길이는 고정하는 부분으로 기존의 와이어 고정부와는 달리 회전식 고정부를 사용할 수 있다(도 8 참조). 기존의 와이어 고정부의 경우 와이어의 길이를 완전히 고정함에 따라 운동전후에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고정부를 해제한 다음, 와이어의 길이를 고정해햐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탄성 와이어의 일측이 상기 회전식 고정부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고정을 해제하고 단순히 당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 만으로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회전식 고정부는 내부에 고정자가 설치되어 있어 최초회전시에는 상기 고정자에 의하여 역회전이 되지 않지만 차회의 회전시에는 상기 고정자가 해제되어 역회전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식 고정부는 최초 와이어를 당기는 경우 와이어의 길이를 유지한채로 고정되며, 다음 당길때는 고정자가 해재되며 역회전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후 다시 와이어를 당기는 경우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유지한채로 고정자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유지부(440)는 상기 상판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 고정부(430)에서 상기 도르레(412)로 연결된 탄성와이어(410)를 고정하여 상기 탄성와이어의 길이를 유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유지함과 동시에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회전 고정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 8 참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고정부(430)는 와이어에 하중이 가해지는 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길이 유지부에 의한 탄성와이어의 길이 고정이 꼭 필요하다. 다만 상기 길이 유지부의 경우 일측이 상기 상판의 측면 또는 후면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운동 전후 상기 와이어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와이어의 고정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식 고정부 및 길이유지부의 조합으로 상기 와이어의 길이 조절을 상기 상판 및 본체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제1프레임 상부의 홈에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발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상기 본체부의 제1프레임(110) 상부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발판부(500)는 상기의 홈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발판부(500)는 기구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발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찰 테이프 또는 이와 동일한 효과를 같은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부(500)는 기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여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판부(500)의 형상에 따라 기구 사용자가 발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어 운동 시 자극되는 근육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넓은 판형으로 구성된 발판부(500)를 제1프레임의 상부 홈에 수직으로 결합 시, 상판 위에 누워있는 기구 사용자는 다리를 90도 정도로 구부린 채 수직으로 형성된 발판에 발을 지지하고 운동함으로써 둔부와 대퇴부의 근육을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풋바(foot bar, 600)를 포함하되, 상기 풋바(600)는 상기 지지부재의 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바를 일정한 높이에 고정하는 보조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풋바(600)는 상기 발판부(500)와 마찬가지로 기구 사용자의 운동 중 발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기구 사용자의 발의 놓이는 수평바(610)와 수평바의 지지부재(61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611)의 일단은 수평바(61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본체부 프레임 내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도 7 참조). 지지부재(611)는 상기 본체부 프레임에 고정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되며 경사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611)는 본체부 프레임의 내측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리포머의 경우 상기 풋바를 본체의 외측에 설치하였지만 이 경우 운동시 사용자가 본체의 외측으로 몸을 내미는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풋바를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몸과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풋바의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611)의 중단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바(610)의 높이를 고정하는 보조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부재는 후술할 각도유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풋바의 각도와 높이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풋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조지지부재를 접어 상기 풋바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완전히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타측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각도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유지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에 형성된 각도 조절부의 각도 조절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바를 일정높이에 고정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각도 유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2~5개의 각도 조절홈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지지부의 경우 상기 각도 조절홈에 삽입되어 일정한 각도 및 높이로 상기 풋바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620)는 상기 풋바의 양측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611)와 각도 유지부(6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유지부(621)는 상기 양측에 설치되는 회전바의 타측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후술할 각도 조절홈에 삽입되어 상기 풋바의 각도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각도 조절부(622)는 상기 각도유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각도 조절홈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홈의 위치에 따라 상기 풋바의 각도를 20~80ㅀ까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홈은 2~5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강도, 발의 위치 및 체형에 따라 다양한 풋바의 각도를 선택하여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홈은 상기 본채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각도 유지부가 삽입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양측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각도 유지부의 양측이 동시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풋바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보조운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운동 장치는 상판 위에서 운동하는 사용자가 추가적인 운동 효과를 얻기 위해 설치할 수 있다. 스프링 또는 탄성 와이어를 당기는 운동의 경우, 당기는 각도에 따라 근육이 자극받는 부위가 달라지므로, 보조 운동 장치를 활용하여 당기는 각도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여러 부위를 단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운동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인 수직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파이프는 일단이 지면에 닿아 지면을 지지하고, 상단에서 수평 파이프가 수직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보조 운동 장치의 수직 파이프 또는 수평 파이프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멍에 고리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여러 종류의 보조구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보조구로는 스프링 또는 구조체 등 필라테스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다양한 물건이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 운동 장치는 지지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파이프의 일단은 운동하는 장소의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보조 운동 장치의 수직 파이프 또는 수평 파이프에 연결되어 운동에 의한 외력에 의해 보조 운동 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 제1프레임 120 : 제2프레임
130 : 제3프레임 140 : 제4프레임
200 : 상판 210 : 고정블록
211 : 고정부 212 : 고정손잡이
213 : 숄더 블록 220 : 스프링
221 : 스프링 고리 230 :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
231 : 제1 스프링 걸이 부재 232 : 제2 스프링 걸이 부재
240 : 레일 바퀴 241 : 측면 바퀴
300 : 레일 부재 410 : 탄성 와이어
411 : 밴드 손잡이 412 : 도르레
420 : 높이 조절버 421 : 고정부재
422 : 조절바 고정부 430 : 와이어 고정부
440 : 길이 유지부 500 : 발판부
600 : 풋바 610 : 수평바
611 : 수평바 지지부재 620 : 회전바
621 : 각도유지부 622 : 각도 조절부

Claims (6)

  1. 내부가 빈 형태의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에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오픈된 상부 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의 마주 보는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
    상기 레일 부재 일단의 상면에 인접하여 고정되는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에서 스프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2~10개의 제1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스프링 고리를 걸 수 있는 2~10개의 제2 스프링 걸이 부재;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고 하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과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블록; 및
    상기 본체부의 제1프레임 상부의 홈에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발판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걸이 부재는,
    일측단이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단이 상측 또는 상기 스프링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 스프링 걸이 부재는,
    일측단이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상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걸이 고정 부재의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풋바(foot bar)를 포함하되,
    상기 풋바는 상기 지지부재의 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바를 일정한 높이에 고정하는 보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타측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각도 유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유지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에 형성된 각도 조절부의 각도 조절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바를 일정높이에 고정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각도 유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2~5개의 각도 조절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숄더 블록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숄더 블록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 고정손잡이가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숄더 블록;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손잡이는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거나 와이어 운동부의 밴드 손잡이가 고정되며,
    상기 숄더 블록은 사용자의 어깨, 무릎, 또는 발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테스 운동기구는 와이어 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운동부는,
    일단이 상판 하부의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중단이 높이 조절바에 고정된 도르래 통과하며 타단이 밴드 손잡이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와이어;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도르레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바;
    상기 높이 조절바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와이어가 통과하는 도르레;
    상기 높이 조절바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높이 조절바를 일정위치에 고정하는 조절바 고정부; 및
    상기 상판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서 상기 도르레로 연결된 탄성와이어를 고정하여 상기 탄성와이어의 길이를 유지하는 길이 유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0210145156A 2021-10-28 2021-10-28 필라테스 운동기구 KR20230060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56A KR20230060680A (ko) 2021-10-28 2021-10-28 필라테스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56A KR20230060680A (ko) 2021-10-28 2021-10-28 필라테스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680A true KR20230060680A (ko) 2023-05-08

Family

ID=8638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156A KR20230060680A (ko) 2021-10-28 2021-10-28 필라테스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68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91Y1 (ko) 2013-06-24 2014-01-15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200475591Y1 (ko) 2014-03-31 2014-12-12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1633884B1 (ko) 2016-03-07 2016-07-08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1647614B1 (ko) 2007-10-31 2016-08-10 세르지오 자글리오 의복 및 외투들의 세척, 세탁, 건조 및 다림질을 위한 세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614B1 (ko) 2007-10-31 2016-08-10 세르지오 자글리오 의복 및 외투들의 세척, 세탁, 건조 및 다림질을 위한 세탁기
KR200470891Y1 (ko) 2013-06-24 2014-01-15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200475591Y1 (ko) 2014-03-31 2014-12-12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1633884B1 (ko) 2016-03-07 2016-07-08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필라테스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7532B2 (en) Body coach
US93271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exercises using a freely rotating ball
US10143876B2 (en) Exercise suspension apparatus
US7766804B2 (en) Abdominal exerciser and method
US20150141217A1 (en) Exercise device including elastic closed loop resistance tension band
KR102092669B1 (ko)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US10561890B2 (en) Exercise apparatus, kit and method
US9737751B2 (en) Bodyweight exercise apparatus and system
US20100331152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40066262A1 (en) Exercise device
US11141620B2 (en) Seated exercise device
US20110160026A1 (en) Exercise Chair
US20210016130A1 (en) Foldable Bench
TWM503920U (zh) 健身球椅
US20070010381A1 (en) Total body conditioning system
US20140228185A1 (en) Exercise Device
US20160361583A1 (en) Exercise apparatus
JP2015517839A (ja) エクササイズ/トレーニングマシン関連出願に係るクロスレファレンス
US9682270B2 (en) Apparatus for exercise
US9937372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KR20230060680A (ko)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12252B1 (ko)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US20230026309A1 (en) Pilates / Yoga / Exercise Bar with Stackable Resistance Bands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US20090042697A1 (en) Therapeutic or exercis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