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552B1 - 필라테스용 리포머 - Google Patents
필라테스용 리포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1552B1 KR102291552B1 KR1020210017366A KR20210017366A KR102291552B1 KR 102291552 B1 KR102291552 B1 KR 102291552B1 KR 1020210017366 A KR1020210017366 A KR 1020210017366A KR 20210017366 A KR20210017366 A KR 20210017366A KR 102291552 B1 KR102291552 B1 KR 1022915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elevating
- column
- sliding seat
- reform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머 프레임이 다양한 각도로의 틸팅되도록 하고, 풋바의 회동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필라테스용 리포머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개구된 사면을 이루며, 각 코너부에 배치되어 선택적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승강칼럼과 고정칼럼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틸팅유닛이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가로지른 상태로 상기 프레임 내부 일단에 배치된 한 쌍의 이동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스프링 일단이 걸쳐지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기어바; 상기 프레임 내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상태에 따라 특정 신체부위가 지지되는 회동지지유닛;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걸쳐진 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쳐지는 스프링의 개수에 따라 텐션을 달리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딩시트;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된 높이조절바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도르래에 걸쳐지며,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시트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파지밴드가 구비된 탄성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라테스용 리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포머 프레임이 다양한 각도로의 틸팅되도록 하고, 풋바의 회동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필라테스용 리포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를 위해 가정, 야외 또는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한 알려진 필라테스(pilates)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이 필라테스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길러 몸의 긴장을 풀어줌과 동시에 신체를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켜 육체적인 이완과 이를 통한 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즉, 필라테스는 동양의 요가와 서양의 스트레칭을 합친 것으로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근육 크기는 늘어나지 않으면서 근력을 증대시켜 체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다.
필라테스에 사용되는 운동기구로는 크게 리포머(reformer), 캐딜락(cadillac), 레더바렐(ladder barrel) 및 필라테스용 체어(Pilates chair)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필라테스용 운동기구는 그 형태와 특성에 맞게 신체 강화와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이중, 리포머는 필라테스 기구 중 가장 대표적인 기구로서 자세 개선, 코어근력발달, 균형감각 및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저항 운동기구이다.
근래에는 리포머에 관련된 기술이 국내등록특허 제10-2092669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130706호 및 국내등록특허 제10-1633884호 등에 개시되었다.
그러나, 위 리포머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운동에 한계가 있다. 즉, 리포머 프레임이 수평상태로 고정된 상태여서 수평선상에서의 운동 만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또한, 신체의 발 또는 등이 얹혀지는 풋바의 회동각 조절이 설정된 단계로 수작업을 통해 일일히 셋팅되기 때문에 조작의 번거로움과, 셋팅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포머의 프레임이 다양한 각도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하고, 풋바의 회동각도가 유저의 신체조직에 따라 정밀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하는 필라테스용 리포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라테스용 리포머는, 내부가 개구된 사면을 이루며, 각 코너부에 배치되어 선택적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승강칼럼과 고정칼럼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틸팅유닛이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가로지른 상태로 상기 프레임 내부 일단에 배치된 한 쌍의 이동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스프링 일단이 걸쳐지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기어바; 상기 프레임 내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상태에 따라 특정 신체부위가 지지되는 회동지지유닛;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걸쳐진 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쳐지는 스프링의 개수에 따라 텐션을 달리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딩시트;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된 높이조절바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도르래에 걸쳐지며,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시트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파지밴드가 구비된 탄성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칼럼은 상기 프레임의 코너부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칼럼은 상기 승강칼럼을 수용한 상태로 지지블럭에 고정되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승강칼럼 내부에는 승강칼럼이 상기 고정칼럼에 안내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칼럼 내부에 배치되며,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스크류와, 상기 수직스크류에 나선결합되며, 수직스크류의 회전 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칼럼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칼럼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승강칼럼을 승강시키는 승강리프트,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스크류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수직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승강부재의 행정거리를 결정하는 스톱퍼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칼럼 상단은 상기 프레임과 볼조인트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회동지지유닛은,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에 따라 틸팅되는 풋바; 및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드의 선단이 상기 지지부재 하단과 링크로 결합되어 로드의 진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를 선택적으로 틸팅시키는 풋실린더;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슬라이딩시트의 저면에는 프레임에 구비된 레일을 타고 이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시트의 저면 일측에는 스프링의 타단이 걸쳐지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슬라이딩시트의 상면 타측에는 유저의 신체가 걸쳐지는 한 쌍의 숄더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숄더블럭 사이에는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대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헤드지지대는 상기 슬라이딩시트의 저면에 구비된 헤드실린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필라테스용 리포머에 의하면, 리포머의 프레임이 상하로 승강되거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의 선택적인 틸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저 신체의 기울어짐을 통한 운동의 극대화와 함께 다양한 모션의 운동이 가능토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풋바의 회동각도 조절이 종래와 같이 설정된 단계로만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유저의 신체조건에 맞게 무단으로 정밀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상태에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적인 효과 또한 탁월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따른 리포머의 구성 중 틸팅유닛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따른 리포머의 구성 중 슬라이딩시트의 헤드지지대의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의 프레임이 틸팅유닛을 통해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따른 리포머의 구성 중 틸팅유닛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따른 리포머의 구성 중 슬라이딩시트의 헤드지지대의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의 프레임이 틸팅유닛을 통해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따른 리포머의 구성 중 틸팅유닛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따른 리포머의 구성 중 슬라이딩시트의 헤드지지대의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의 프레임이 틸팅유닛을 통해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라테스용 리포머(600)는, 내부가 개구된 사면을 이루며, 각 코너부에 배치되어 선택적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승강칼럼(120)과 고정칼럼(13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틸팅유닛(110)이 구비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을 가로지른 상태로 상기 프레임(100) 내부 일단에 배치된 한 쌍의 이동실린더(21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스프링(S) 일단이 걸쳐지는 복수개의 걸림홈(H)이 형성된 기어바(200); 상기 프레임(100) 내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상태에 따라 특정 신체부위가 지지되는 회동지지유닛(300); 상기 스프링(S)의 타단이 걸쳐진 상태로 상기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쳐지는 스프링(S)의 개수에 따라 텐션을 달리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딩시트(4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에 배치된 높이조절바(5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도르래(520)에 걸쳐지며,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시트(40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파지밴드(500a)가 구비된 탄성와이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리포머(600)의 가장 큰 특징은 프레임(100)의 다양한 방향으로의 틸팅을 통해 운동효과의 극대화와 함께 다양한 모션의 운동이 가능토록 하고, 유저의 신체조건에 맞게 풋바(310)의 회동각이 정밀하게 세팅되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후술하는 구동모터(M), 이동실린더(210), 풋실린더(330) 및 헤드실린더(440)는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이 콘트롤러에는 메모리기능이 적용되는 적어도 12단계의 숫자버튼이 마련된 리모컨이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는 여러 유저가 본인이 원하는 단계의 셋팅을 숫자버튼을 통해 입력한 후 운동시 선택된 숫자버튼을 눌러 원하는 셋팅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리포머(6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프레임(100)의 좌측으로 기어바(200) 및 회동지지유닛(300)이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100) 상부에는 프레임(100)을 타고 이동하는 슬라이딩시트(400)가 구비되어 있으며, 프레임(100)의 우측으로는 탄성와이어(500)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00)은 후술하게 되는 기어바(200), 회동지지유닛(300), 슬라이딩시트(400) 및 탄성와이어(500)가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개구된 사면을 갖는 직사각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프레임(100) 내부로는 기어바(200), 회동지지유닛(300), 슬라이딩시트(400)가 배치된다.
프레임(100) 사면의 각 코너부에는 프레임(100)을 지지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4개의 틸팅유닛(110)이 구비되어 있다.
4개의 틸팅유닛(110)은 유저가 원하는 각도로 프레임(100)이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프레임(100)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직립되게 설치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승강칼럼(120)과 고정칼럼(130)으로 이루어진다.
즉, 틸팅유닛(110)은 도 6과 같이 4개의 틸팅유닛(110)이 리모컨 조작을 통해 동시에 구동되어 프레임(100)의 수평 높이를 가변시키거나, 또는 틸팅유닛(110)이 2개가 한 조를 이뤄 동기로 구동하여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의 틸팅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유저 신체의 기울어짐을 통한 운동의 극대화와 함께 다양한 모션의 운동이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프레임(100)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된 2개의 틸팅유닛(110) 하단에는 틸팅유닛(110)이 프레임(100)과 안정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2개의 틸팅유닛(110)을 연결하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지지블럭(140)이 고정된다. 지지블럭(140)의 내부로는 후술하는 수직스크류(15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가 배치된다.
위와 같은 4개의 틸팅유닛(110)은 프레임(100)의 각 코너부에 배치되지만, 동일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단일의 틸팅유닛(1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틸팅유닛(1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승강칼럼(120)과 고정칼럼(130)이 프레임(100)을부터 직립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기계적 결합을 통해 프레임(100)을 수평상태로 승강시키거나 또는 프레임(100)을 선택된 방향으로 틸팅시킨다(도 6 참조).
이를 위해, 승강칼럼(120)은 프레임(100)의 코너부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고, 고정칼럼(130)은 승강칼럼(120)을 수용한 상태로 프레임(100) 하부에 마련된 지지블럭(140)에 고정됨으로써 직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직립된 승강칼럼(120)의 내부에는 승강칼럼(120)이 고정칼럼(130)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칼럼(130)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수단(150)이 구비된다.
즉, 승강칼럼(120)이 승강수단(150)의 구동을 통해 고정칼럼(130)을 타고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승강수단(150)은, 수직스크류(151)와 승강부재(152) 및 승강리프트(153)를 포함한다.
수직스크류(151)는 승강칼럼(120)의 내부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며, 구동모터(M)의 회전축(미 도시)과 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정,역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구동모터(M)는 수직스크류(151)를 직립되게 유지시키면서 수직스크류(151)로 정확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지지블럭(14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각 승강수단(150)의 구동모터(M)들은 콘트롤러와 연결됨은 물론이며, 리모컨 버튼을 통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4개의 구동모터(M)가 동시에 구동하거나, 또는 2개의 구동모터(M)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수직스크류(151)의 회전수를 동기화시키는 것이다. 정확하게 각 구동모터(M)는 개별구동이지만 콘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구동모터(M)가 2개 또는 4개로 동기화되어 구동함으로써 프레임(100)의 틸팅이 도 6과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동모터(M)를 프레임(100)의 코너부에 개별로 구성하는 것은 본원발명의 레이아웃 설계상에서 제품의 뒤틀림을 잡아줄 뿐만 아니라 유동을 방지하는 반면, 만일 길이방향 일단에 단일의 구동모터(M) 만을 적용할 경우에는 각 수직스크류(151)와의 조인트를 위한 연결부재들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들이 복잡하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M)는 수직스크류(1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승강부재(152)는 수직스크류(151)에 나선결합되며, 수직스크류(151)의 정,역 회전방향에 따라 수직스크류(151)를 타고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즉, 승강부재(152)는 도 4와 같이 초기에는 수직스크류(151)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스크류(151)의 회전에 의해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수직스크류(151)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승강리프트(153)는 승강부재(152)가 승강할 때 연동하여 상승하면서 승강칼럼(120)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으로 승강부재(152)를 수용한 상태로 승강칼럼(120)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인 길이방향 하단이 승강부재(152)에 고정되고 타단인 길이방향 상단이 승강칼럼(120)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승강리프트(153)의 하단은 승강부재(152)를 압입시키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은 결합볼트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리프트(153)의 상단은 승강리프트(153)의 상측부를 관통하는 고정바가 승강칼럼(120) 상단과 결합볼트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승강칼럼(120)과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되면, 수직스크류(151)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재(152)가 상승할 때 승강부재(152)와 연결된 승강리프트(153)가 연동하여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승강리프트(153)와 연결된 승강칼럼(120)이 연동하여 상승하게 된다. 즉, 승강부재(152)와 승강칼럼(120)의 상승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수직스크류(151)의 길이방향 상측 단부에는 수직스크류(151)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152)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P)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혹시모를 리모컨의 오동작으로 인해 구동모터(M)가 계속적으로 구동되어 승강부재(152)가 수직스크류(151)를 타고 상승할 때 승강부재(152)가 수직스크류(151)를 벗어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더하여, 스톱퍼(P)는 수직스크류(151)를 타고 이동하는 승강부재(152)의 이동구간을 확정하여 승강칼럼(120)의 상승위치를 제한함으로써 승강부재(152)의 이동에 따른 승강칼럼(120)의 행정거리(스트로크)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 행정거리는 컨트롤러의 초기화 셋팅을 통해서 결정된다.
즉, 수직스크류(151)를 타고 이동하는 승강부재(152)가 수직스크류(151)의 최하부(도 4의 상태)와 접촉될 때 구동모터(M)로 향하는 전류의 급상승을 감지함으로써 콘트롤러에서 이 지점을 최하점인 '영(0)점'으로 인식하고, 반대로 승강부재(152)가 스톱퍼(P)와 접촉될 때 구동모터(M)로 향하는 전류의 급상승을 감지함으로써 콘트롤러에서 이 지점을 '최고점'으로 인식하여 행정거리가 결정되는 것이다.
한편, 승강칼럼(120)의 상측 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121)를 통해 프레임(100)과 연결되며, 이 볼조인트(121)는 프레임(100)이 다양한 방향으로의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볼조인트(12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임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프레임(100)의 개구된 내측면에는 볼조인트(121)의 상단이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이 설치되며, 이 고정브라켓을 통해 승강칼럼(120)이 프레임(100)과 연결된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볼조인트(121)는, 도 6의 (a)와 같이 4개 틸팅유닛(110)이 연동하여 프레임(100)을 수평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프레임(100)을 지지하며, 도 6의 (b) 및 (c)와 같이 2개 틸팅유닛(110)의 구동에 의해 프레임(100) 어느 일측의 틸팅이 이루어질 때 승강칼럼(120)의 승강에 따른 프레임(100)의 기울기가 지지되게 한다. 즉, 프레임(100)이 다양한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그러한 기울기에 따른 다양한 모션으로의 운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기어바(200)는 후술하는 슬라이딩시트(400)의 이동시 텐션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태로 프레임(100)의 폭방향을 가로지르게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기어바(200)의 길이방향으로는 후술하는 슬라이딩시트(400)에 연결되는 스프링(S)이 유저의 선택에 따라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스프링(S)이 걸쳐지는 복수개의 걸림홈(H)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기어바(200)의 걸림홈(H)에 걸쳐지는 스프링(S)의 개수를 통해 슬라이딩시트(400)의 이동에 따른 텐션강도를 조절하게 되며, 스프링(S)은 압축스프링(S) 인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어바(200)는 스프링(S)에 의한 텐션강도 조절이 한층더 업그레이드 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기어바(200)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이동실린더(210) 로드(L)가 연결되고, 이 한 쌍의 이동실린더(210)는 프레임(100) 내부면의 일단인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기어바(200)는 이동실린더(210)의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위치가변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어바(200)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딩시트(400)와 기어바(200)의 거리에 따른 유격이 늘어나면서 스프링(S)의 텐션이 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력하고 자극적인 운동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기어바(200)가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딩시트(400)와 기어바(200)의 거리에 따른 유격이 줄어들면서 스프링(S)의 텐션이 저하되기 때문에 무리없는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회동지지유닛(300)은 회동상태에 따라 유저의 팔 또는 발이 거치된 상태로 지지되어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100) 내부 일측인 기어바(200)와 후술하는 슬라이딩시트(40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지지유닛(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는 프레임(100) 내측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지지부재(320) 상단에 배치되며, 지지부재(320)의 회동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는 풋바(310)와; 어느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드(L)의 선단이 지지부재(320) 하단과 링크로 결합되어 로드(L)의 진퇴에 따라 지지부재(320)를 선택적으로 틸팅시키는 풋실린더(330);로 구성된다.
즉, 회동유닛은 풋실린더(330) 로드(L)의 진퇴에 의한 지지부재(320)의 회동에 의해 도 3의 일점쇄선과 같이 풋바(310)의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단모션으로 풋바(310)를 원하는 각도로의 정밀한 틸팅이 가능하다.
정확하게는 유저의 신체조건에 따라 정확한 자세로의 운동이 진행될 수 있도록 팔 또는 다리의 길이에 따른 정교한 운동범위의 틸팅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유저의 발이 얹혀지는 경우, 풋바(310)의 회동을 통해 발의 위치를 낮게하거나 높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의 위치를 가깝거나 또는 멀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운동범위의 적용이 다양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풋바(310)의 틸팅각도가 수동조작을 통해 설정된 개수의 단계로만 셋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동범위에 한계가 있었지만, 본 발명 회동유닛은 풋바(310)가 풋실린더(330)를 통해 설정된 단계가 없이 무단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유저의 신체조건에 맞게 정교한 셋팅이 가능하다.
또한, 풋실린더(330)가 콘트롤러의 메모리기능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풋바(310)의 회동각도 위치를 사전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자신이 저장한 풋바(310)의 위치에서 일률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풋실린더(330)가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320)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의 지지부재(320)와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시트(400)는 유저가 착석하거나 올라서서 다양한 운동자세를 취하는 곳으로 대략적인 사각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기어바(200)에 걸쳐진 스프링(S)의 타단이 걸쳐진 상태로 스프링(S)의 개수에 따라 텐션을 달리하면서 프레임(100)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딩시트(400)는 유저가 다양한 자세로 착석하거나 또는 누울수 있기 때문에 쿠션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시트(4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저면에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101)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바퀴(40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시트(400)의 도면상 저면 좌측에는 기어바(200)에 일단이 걸쳐진 스프링(S)의 타단이 걸쳐지는 걸림부재(410)가 기어바(200)의 길이와 대응되게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재(410)에도 기어바(200)의 걸림홈(H)과 대응하는 개수의 걸림홈(H)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시트(400)의 이동에 따른 텐션조절은 걸림부재(410)와 기어바(200)에 걸쳐지는 스프링(S)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딩시트(400)의 상면의 도면상 우측에는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돌출된 한 쌍의 숄더블럭(420)이 형성된다. 이 숄더블럭(420)은 유저가 후술하는 탄성와이어(500)를 통한 운동시 유저의 어깨 또는 다리 등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성와이어(500)를 당기는 행위가 어느 일방향으로의 쏠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한 쌍의 숄더블럭(420) 사이에는 도 5와 같이 유저의 헤드를 젖히거나 들어올릴 때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대(43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헤드지지대(430)는 슬라이딩시트(400)의 저면에 구비된 헤드실린더(440)의 로드(L)와 연결되어 로드(L)의 진퇴 정도에 따라 선택적인 틸팅이 이루어진다.
이때, 헤드실린더(440)는 슬라이딩시트(400)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드(L) 선단은 헤드지지대(430)의 저면과 링크로 결합되어 있다.
헤드지지대(430)의 틸팅은 유저의 운동간에 목 상태에 따라 리모컨을 통해 셋팅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운동전에 셋팅될 수 있기 때문에 머리 또는 목이 최적의 상태에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시트(400)는, 예를 들어 유저가 슬라이딩시트(400)에 등을 대고 누워 발을 풋바(310)에 올린상태로 하체의 미는 힘을 통해 레일(101)을 타고 이동되기 때문에 기어바(200)와 걸림부재(410)에 걸쳐지는 스프링(S)의 개수에 따라 텐션을 달리함으로써 기어바(200)와 연계되는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헤드지지대(430)의 틸팅이 유저의 목상태에 따라 셋팅될 수 있기 때문에 경추의 무리한 젖힘 또는 들림에 따른 인대의 놀람 등이 예방된다.
탄성와이어(500)는 다양한 자세에서 유저의 팔 및 상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당겨지는 팔의 힘과 탄성와이어(5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탄성와이어(500)는 유저가 슬라이딩시트(400) 상에서 앉거나, 누운상태 및 다양한 자세에서 당겨질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프레임(100)의 타측인 도면상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00)의 타측에는 한 쌍의 탄성와이어(500)가 걸쳐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높이조절바(510)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높이조절바(5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높이조절공(5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바(510)에는 복수개의 높이조절공(51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탄성와이어(500)가 걸쳐짐으로써, 탄성와이어(500)의 높낮이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도르래(520)가 고정된다.
이때, 도르래(520)에 걸쳐지는 탄성와이어(500)의 일단은 도 3과 같이 슬라이딩시트(400)에 연결되며, 길이방향 단부인 타단에는 운동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밴드(500a)가 구비되어 있다.
즉, 탄성와이어(500)는 일단을 슬라이딩시트(400)에 연결함으로써, 도르래(520)를 거치는 파지밴드(500a)의 당김에 의해 슬라이딩시트(400)가 스프링(S)의 텐션을 받으면서 레일(101)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탄성와이어(500)의 파지밴드(500a)는 운동시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파지를 통해 사용이 이루어지나,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파지밴드(500a)를 한 쌍의 숄더블럭(420)에 각각 걸쳐놓을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라테스용 리포머는, 리포머의 프레임이 상하로 승강되거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의 선택적인 틸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저 신체의 기울어짐을 통한 운동의 극대화와 함께 다양한 모션의 운동이 가능토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풋바의 회동각도 조절이 종래와 같이 설정된 단계로만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유저의 신체조건에 맞게 무단으로 정밀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상태에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적인 효과 또한 탁월하다.
이상, 본 발명의 필라테스용 리포머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프레임 101 : 레일
110 : 틸팅유닛 120 : 승강칼럼
121 : 볼조인트 123 : 고정브라켓
130 : 고정칼럼 140 : 지지블럭
150 : 승강수단 151 : 수직스크류
152 : 승강부재 153 : 승강리프트
154 : 고정바 200 : 기어바
210 : 이동실린더 200a : 걸림홈
300 : 회동지지유닛 310 : 풋바
320 : 지지부재 330 : 풋실린더
400 : 슬라이딩시트 401 : 바퀴
410 : 걸림부재 420 : 숄더블럭
430 : 헤드지지대 431 : 경첩
440 : 헤드실린더 500 : 탄성와이어
500a : 파지밴드 510 : 높이조절바
520 : 도르래 600 : 리포머
L : 로드 M : 구동모터 P : 스톱퍼 S : 스프링
110 : 틸팅유닛 120 : 승강칼럼
121 : 볼조인트 123 : 고정브라켓
130 : 고정칼럼 140 : 지지블럭
150 : 승강수단 151 : 수직스크류
152 : 승강부재 153 : 승강리프트
154 : 고정바 200 : 기어바
210 : 이동실린더 200a : 걸림홈
300 : 회동지지유닛 310 : 풋바
320 : 지지부재 330 : 풋실린더
400 : 슬라이딩시트 401 : 바퀴
410 : 걸림부재 420 : 숄더블럭
430 : 헤드지지대 431 : 경첩
440 : 헤드실린더 500 : 탄성와이어
500a : 파지밴드 510 : 높이조절바
520 : 도르래 600 : 리포머
L : 로드 M : 구동모터 P : 스톱퍼 S : 스프링
Claims (7)
- 내부가 개구된 사면을 이루며, 각 코너부에 배치되어 선택적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승강칼럼(120)과 고정칼럼(13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틸팅유닛(110)이 구비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을 가로지른 상태로 상기 프레임(100) 내부 일단에 배치된 한 쌍의 이동실린더(21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스프링(S) 일단이 걸쳐지는 복수개의 걸림홈(H)이 형성되어 걸쳐진 스프링(S)의 텐션 강도를 조절하는 기어바(200);
상기 프레임(100) 내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상태에 따라 특정 신체부위가 지지되며, 프레임(100)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320) 상단에 배치되어 지지부재(320)의 회동에 따라 틸팅되는 풋바(310)와, 상기 프레임(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로드(L)의 선단이 상기 지지부재(320) 하단과 링크로 결합되어 로드(L)의 진퇴에 따라 지지부재(320)를 선택적으로 틸팅시키는 풋실린더(330)로 구성된 회동지지유닛(300);
상기 스프링(S)의 타단이 걸쳐진 상태로 상기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쳐지는 스프링(S)의 개수에 따라 텐션을 달리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딩시트(4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에 배치된 높이조절바(5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도르래(520)에 걸쳐지며,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시트(40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파지밴드(500a)가 구비된 탄성와이어(50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칼럼(120)은 프레임(100)의 코너부에 볼조인트(121)를 통해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칼럼(130)은 상기 승강칼럼(120)을 수용한 상태로 지지블럭(140)에 고정되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승강칼럼(120) 내부에는 승강칼럼(120)이 상기 고정칼럼(130)에 안내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수단(150)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수단(150)은 상기 승강칼럼(120) 내부에 배치되며,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스크류(151)와, 상기 수직스크류(151)에 나선결합되며, 수직스크류(15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152), 및 상기 승강칼럼(120)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15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칼럼(120)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부재(152)와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승강칼럼(120)을 승강시키는 승강리프트(1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리포머(600).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스크류(151)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수직스크류(151)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15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승강부재(152)의 행정거리를 결정하는 스톱퍼(P)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리포머(600).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시트(400)의 저면에는 프레임(100)에 구비된 레일(101)을 타고 이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바퀴(401)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시트(400)의 저면 일측에는 스프링(S)의 타단이 걸쳐지는 걸림부재(410)가 구비되며, 슬라이딩시트(400)의 상면 타측에는 유저의 신체가 걸쳐지는 한 쌍의 숄더블럭(420)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숄더블럭(420) 사이에는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대(430)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헤드지지대(430)는 상기 슬라이딩시트(400)의 저면에 구비된 헤드실린더(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리포머(6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366A KR102291552B1 (ko) | 2021-02-08 | 2021-02-08 | 필라테스용 리포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366A KR102291552B1 (ko) | 2021-02-08 | 2021-02-08 | 필라테스용 리포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1552B1 true KR102291552B1 (ko) | 2021-08-20 |
Family
ID=7746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7366A KR102291552B1 (ko) | 2021-02-08 | 2021-02-08 | 필라테스용 리포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155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38047A (zh) * | 2022-07-20 | 2022-10-04 | 燕岩岩 | 一种产科专用待产辅助锻炼装置 |
KR102476500B1 (ko) | 2022-01-13 | 2022-12-12 | 서민관 | 리포머 운동기구 |
KR102539712B1 (ko) * | 2022-11-03 | 2023-06-02 | 장경원 | 리포머 운동기구 |
KR20230123669A (ko) | 2022-02-17 | 2023-08-24 |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 디지털 운동저항을 이용한 근력 운동기기 커넥티드 시스템 및 방법 |
KR102624922B1 (ko) | 2023-05-03 | 2024-01-12 | 박정열 | 필라테스용 리포머의 로프 구조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2155Y1 (ko) * | 2003-01-23 | 2003-05-09 | (주)개선스포츠 | 상체운동기구의 바 받침 높낮이 조절장치 |
US20030119635A1 (en) * | 2001-12-26 | 2003-06-26 | Arbuckle Michael M. | Foldable transportable multiple function pilates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
KR20120004001A (ko) * | 2010-07-06 | 2012-01-12 | 조길연 | 골프연습판 |
KR20150103846A (ko) * | 2014-03-04 | 2015-09-14 | 장경원 | 리포머 운동기구 |
KR101633884B1 (ko) | 2016-03-07 | 2016-07-08 |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 필라테스 운동기구 |
US20180178053A1 (en) * | 2016-12-23 | 2018-06-28 | Lagree Technologies, Inc. | Exercise Machine |
KR102092669B1 (ko) | 2019-04-16 | 2020-03-24 | 지용진 |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
KR20200130706A (ko) | 2018-04-10 | 2020-11-19 | 밸런스드 바디, 인크. | 울트라 클래식 리포머 장치 |
-
2021
- 2021-02-08 KR KR1020210017366A patent/KR1022915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19635A1 (en) * | 2001-12-26 | 2003-06-26 | Arbuckle Michael M. | Foldable transportable multiple function pilates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
KR200312155Y1 (ko) * | 2003-01-23 | 2003-05-09 | (주)개선스포츠 | 상체운동기구의 바 받침 높낮이 조절장치 |
KR20120004001A (ko) * | 2010-07-06 | 2012-01-12 | 조길연 | 골프연습판 |
KR20150103846A (ko) * | 2014-03-04 | 2015-09-14 | 장경원 | 리포머 운동기구 |
KR101633884B1 (ko) | 2016-03-07 | 2016-07-08 |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 필라테스 운동기구 |
US20180178053A1 (en) * | 2016-12-23 | 2018-06-28 | Lagree Technologies, Inc. | Exercise Machine |
KR20200130706A (ko) | 2018-04-10 | 2020-11-19 | 밸런스드 바디, 인크. | 울트라 클래식 리포머 장치 |
KR102092669B1 (ko) | 2019-04-16 | 2020-03-24 | 지용진 |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6500B1 (ko) | 2022-01-13 | 2022-12-12 | 서민관 | 리포머 운동기구 |
KR20230123669A (ko) | 2022-02-17 | 2023-08-24 |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 디지털 운동저항을 이용한 근력 운동기기 커넥티드 시스템 및 방법 |
CN115138047A (zh) * | 2022-07-20 | 2022-10-04 | 燕岩岩 | 一种产科专用待产辅助锻炼装置 |
KR102539712B1 (ko) * | 2022-11-03 | 2023-06-02 | 장경원 | 리포머 운동기구 |
KR102624922B1 (ko) | 2023-05-03 | 2024-01-12 | 박정열 | 필라테스용 리포머의 로프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1552B1 (ko) | 필라테스용 리포머 | |
US8033971B2 (en) | Adjustable user support platform for an inclin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 |
CN101678226B (zh) | 运动辅助设备 | |
EP2331213B1 (en) | Method of use of an adjustable user support platform with an inclinable exercise device | |
US8491506B2 (en) | Exercise device | |
CA2646742A1 (en) | Exercise apparatus | |
KR102296498B1 (ko) | 레터럴 레이즈 머신 | |
KR101099453B1 (ko) | 허리강화 운동기구 | |
KR102491980B1 (ko) | 필라테스용 레더바렐 | |
KR102012192B1 (ko) |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 |
KR200463833Y1 (ko) | 복근운동기구 | |
EP4011463A1 (en) | Arm curl exercise machine | |
US7340786B1 (en) | Lateral leg stretching apparatus | |
CN109925661A (zh) | 一种可调节仰卧板 | |
KR102476500B1 (ko) | 리포머 운동기구 | |
KR100761036B1 (ko) | 스텝퍼 | |
KR102120008B1 (ko) | 웨이트 운동기구의 개량형 의자 어셈블리 | |
KR20220127650A (ko) | 좌식 러닝머신 | |
KR20200094556A (ko) | 목 운동장치 | |
KR20240129447A (ko) |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 |
EP2747729A1 (de) | Wirbelsäulen therapiegerät | |
KR102605816B1 (ko) | 어깨 및 팔꿈치 재활운동 장치 | |
CN215993345U (zh) | 一种椅子 | |
CN217566677U (zh) | 一种言语治疗椅 | |
KR101446125B1 (ko) | 유압식 벤치프레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