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359B1 - 리포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리포머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359B1
KR101627359B1 KR1020140025113A KR20140025113A KR101627359B1 KR 101627359 B1 KR101627359 B1 KR 101627359B1 KR 1020140025113 A KR1020140025113 A KR 1020140025113A KR 20140025113 A KR20140025113 A KR 20140025113A KR 101627359 B1 KR101627359 B1 KR 10162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arriage
elastic member
supporter
touc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539A (ko
Inventor
장경원
Original Assignee
장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원 filed Critical 장경원
Priority to KR102014002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35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각 틀의 형상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활주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와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캐리지가 활주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기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단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서포터에 고정되는 풋 바와, 상기 서포터의 기단에 다수의 걸림 홈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되어 서포터의 회전을 단속하는 원터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풋 바의 위치를 조절할 때 원터치 레버의 누름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원터치 레버와 연결된 서포터의 회전을 단속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리포머 운동기구{Reformer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풋 바의 위치를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조절할 때 원터치 레버의 누름 조작으로 간편하게 풋 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캐리지가 기울어지도록 승강 유닛이 설치되어 캐리지에 사용자가 누워 운동하게 될 때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 알려진 필라테스(pilates)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법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 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이러한 필라테스용 운동기구의 선행기술로 미국 특허 제1,621,477호는 앉거나 기댄 자세에서 사용자의 몸통, 다리 및/또는 팔의 주요 근육을 운동시키는 리포머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각형의 나무 또는 금속 베이스 프레임 상에 올려지는 바퀴 달린 캐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 위를 주행하는 캐리지는, 베이스 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일련의 평행 스프링들 또는 탄성 부재들에 연결된다.
그리고, 캐리지는 베이스 프레임의 장변측의 내부에 장착되는 평행한 레일 또는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는 평평한 패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캐리지에 누워 있을 때, 사용자의 어깨 및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한 쌍의 이격된 패드가 부착된 직립 어깨 지지구(shoulder rest) 및 머리받이(headrest)가 캐리지의 일단에 구비된다.
또한, 머리받이와 대향하여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는 풋 바(foot bar)가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고, 사용자는 상기 풋 바를 밀어 베이스 프레임의 트랙을 따라 캐리지를 주행시키게 되며 이때 캐리지와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평행 스프링들의 저항에 따라 다리와 발의 근육을 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체격에 맞추어 풋 바의 위치를 조절할 때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풋 바의 양쪽 단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서포터가 베이스 프레임과 힌지로 연결되고,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된 서포터의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고정 핀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 홀이 서포터와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격에 맞도록 풋 바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서포터와 베이스 프레임을 관통한 체결구를 체결 홀로부터 분리한 뒤 사용자의 체격에 맞도록 풋 바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조절된 풋 바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분리된 체결구를 체결 홀에 삽입 고정하여 풋 바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풋 바의 위치 조절방식은 사용자가 신속하게 풋 바의 위치 조절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체결구를 베이스 프레임과 서포터에 형성된 체결 홀에 삽입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풋바는 사용자가 스프링의 저항을 느끼면서 밀때는 고정이 되나 반대 방향으로는 고정이 되지 않아 풋바가 쉽게 캐리지 쪽으로 이동이 되어 풋바의 위치가 변경이 되는 경우가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바닥과 평행한 상태에서 캐리지의 상면에 사용자가 누워 운동하기 때문에 캐리지의 기울기에 따른 평행 및 균형감각을 향상시키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01449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풋 바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리포머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캐리지가 기울어지도록 하여 캐리지의 상면에 누워 운동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평행 및 균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리포머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활주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와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캐리지가 활주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기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단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서포터에 고정되는 풋 바와, 상기 서포터의 기단에 다수의 걸림 홈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되어 서포터의 회전을 단속하는 원터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는 기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 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다수의 걸림 홈이 원형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 하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와 상기 서포터의 기단을 관통하는 힌지 핀 및 상기 수직부에 형성되되 상기 힌지 핀과 수평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원터치 레버의 승강을 안내하는 작동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터치 레버의 끝단은 상기 작동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원터치 레버의 끝단은 상기 힌지 핀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캐리지가 기울어지도록 승강 유닛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캐리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와 대향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 유닛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로드가 인출되고, 상기 로드의 끝단은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 브라켓에 연결되어 승강 유닛의 작동에 따라 힌지 브라켓과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이 지면으로부터 상승하여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풋 바의 위치를 조절할 때 원터치 레버의 누름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원터치 레버와 연결된 서포터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승강 유닛이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을 기울어지도록 상승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캐리지의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동하게 될 때 캐리지의 기울기만큼 중력이 작용하여 근육 사용을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울어진 캐리지의 상면에 누워 운동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평행 및 균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 중 풋 바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 중 풋 바 및 원터치 레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풋 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 중 승강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갖고 지면에 안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는 캐리지(200)와, 캐리지(200)와 베이스 프레임(100)을 연결하여 캐리지가 슬라이딩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300)와, 캐리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풋 바(400)와, 풋 바(400)의 기단에 설치되어 풋 바(400)의 회전을 고정하는 원터치 레버(7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베이스 프레임(100)은 사용자가 눕게 되는 캐리지(200)가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갖게 되는데, 바람직하게 베이스 프레임(100)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00)을 이격시키는 고정 다리(110)가 형성된다. 고정 다리(1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각 코너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베이스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브레이크가 설치된 캐스터와 같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이동부재가 고정 다리(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0)은 캐리지(200)와 사용자 등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 편백나무, 자작나무, 물푸레나무 등과 같은 친환경 소재의 목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면에는 캐리지(20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20)이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120)은 베이스 프레임(100)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캐리지(20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캐리지(200)의 상면에 누웠을 때 불편함이 없도록 완충력을 갖는 매트리스(210)가 형성된다. 매트리스(210)는 평탄한 상면을 갖고 매트리스(210) 상면 일측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헤드레스트(220)와 사용자 어깨를 받치는 숄더레스트(230)가 설치된다.
또한, 캐리지(200)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120)에 안치되어 슬라이딩하는 철재로 이루어진 지지 프레임(240)과 캐리지(200)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캐리지(200)가 수평으로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격제한 롤러(250)가 설치된다. 이격제한 롤러(250)는 캐리지(200)의 하부에서 지면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수직 회전축(252)에 설치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240)에는 지지 프레임(240)이 가이드 레일(120)에 안치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마찰을 최소화시키며 캐리지(200) 및 캐리지(200)의 상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하중지탱 롤러(260)가 설치되는데, 하중지탱 롤러(260)는 지지 프레임(240)의 양측면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는 수평 회전축(262)에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240)의 하부 중앙에는 지지 프레임(240)의 폭 방향으로 보강 리브(242)가 형성되며, 보강 리브(242)와 대응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에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 고정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 리브(242)와 탄성부재 고정부(130)는 캐리지(200)와 베이스 프레임(100)을 연결하여 캐리지(200)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활주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300)가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탄성부재(300)는 인장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과 같은 형태를 갖는 다수로 이루어져 각각의 탄성부재(300) 기단이 보강 리브(242)에 고정된다. 또한, 탄성부재(300)의 선단은 구의 형태를 갖는 걸림 돌기(310)가 형성되며, 각각의 걸림 돌기(310)는 탄성부재 고정부(130)에 형성된 걸이 홈(132)에 걸림된다. 이때, 걸이 홈(132)의 폭은 탄성부재(30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 돌기(3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렇게 탄성부재 고정부(130)에 형성된 걸이 홈(132)은 필요에 따라 탄성부재(300)를 탈착할 수 있도록 걸이 홈(132)이 탄성부재 고정부(130)의 상부로 개방된 형태를 갖게 되어 개방된 걸이 홈(132)의 상부를 통해 탄성부재(300)의 선단이 출입하여 캐리지(200)의 슬라이딩 시 필요로 하는 인장력이 발휘될 수 있게 탄성부재(300)의 연결 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 고정부(130)의 걸이 홈(132)에 탄성부재(300)의 선단이 개재되었을 때 탄성부재(300)의 선단이 무단으로 걸이 홈(13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이 홈(132)은 탄성부재 고정부(13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면을 향해 절곡된 형태의 경로를 갖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 고정부(13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서의 위치를 변경하여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레일(120)의 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탄성부재 고정부(130)의 측단이 걸림되는 간격조절 홈(142)이 형성된 간격조절 플레이트(140)가 형성된다. 간격조절 홈(142)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간격조절 홈(14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탄성부재 고정부(130)가 출입하여 간격조절 플레이트(140)와 탈착된다.
따라서, 탄성부재 고정부(130)의 위치가 정지한 상태의 캐리지(200)와 멀어질수록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탄성부재 고정부(130)의 위치가 정지한 상태의 캐리지(200)와 가까워질수록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이 감소하게 되어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캐리지(200)의 헤드레스트(220)와 대향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에는 사용자의 발을 지탱하는 풋 바(400)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이 풋 바(400)와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리 근력을 사용하는 것에 따라 캐리지(200)를 풋 바(400)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풋 바를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 중 풋 바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 중 풋 바 및 원터치 레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풋 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풋 바(400)는 탄성부재(300)의 선단이 향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풋 바(400)는 봉의 형태를 갖고 베이스 프레임(100)의 폭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그리고, 풋 바(400)의 양측단에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서포터(500)가 형성된다.
즉, 서포터(500)의 선단은 풋 바(400)의 측단과 고정되며 서포터(500)의 기단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포터(500)의 회전에 따라 풋 바(400)가 캐리지(2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서포터(500)의 기단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서포터(500)의 회전을 단속하는 원터치 레버(700)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풋 바(400)의 위치를 조절 후 고정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서포터(500)는 기단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20)에 마련된 회전 지지부재(60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서포터(500)의 선단과 고정되는 풋 바(400)가 캐리지(2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서포터(500)의 기단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다수의 걸림 홈(51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 배열되는데, 걸림 홈(510)은 서포터(500)의 기단 테두리에서 힌지를 향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걸림 홈(510)의 절개 폭은 원터치 레버(70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서포터(500)의 기단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 홈(510)의 외측에서 원터치 레버(700)가 출입하게 된다.
그리고, 서포터(500)의 기단과 힌지 결합되는 회전 지지부재(600)는 가이드 레일(120)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는데, 회전 지지부재(600)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부(610)와 수직부(610)의 하부에는 수직부와 수직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수평부(620)로 구성되어 그 형상이 대략 상부가 개방된 "ㅁ"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한 쌍의 수직부(610)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고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면과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수평부(620)는 평탄하게 이루어져 가이드 레일(120)의 타측 상부에 고정된다.
회전 지지부재(600)가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게 되면, 서포터(500)의 기단이 회전 지지부재(6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한 쌍의 수직부(61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회전 지지부재(600)와 서포터(500) 기단의 힌지 결합을 위해 힌지 핀(630)이 수직부(610)와 서포터(500)의 기단을 관통하여 힌지 핀(630)을 중심으로 서포터(500)가 회전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수직부(610)에는 원터치 레버(7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작동 가이드 홀(612)이 형성되는데, 작동 가이드 홀(612)은 힌지 핀(630)과 수평부(620)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 가이드 홀(612)에는 풋 바(400)와 평행하는 원터치 레버(700)의 끝단이 관통하여 원터치 레버(700)의 끝단이 회전 지지부재(600)의 내부에 인입되어 힌지 핀(630)과 원터치 레버(700)의 끝단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원터치 레버(700)의 끝단은 앞서 설명한 서포터(500)의 기단에 형성된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걸림 홈(510)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도록 원터치 레버(700)의 끝단과 힌지 핀(630)은 코일 스프링(640)에 의해 연결되어 원터치 레버(700)는 평상 시 코일 스프링(640)에 의해 발휘되는 인장력에 의해 원터치 레버(700)의 끝단이 걸림 홈(510)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터치 레버(700)를 누름 조작하는 것에 따라 원터치 레버(700)가 작동 가이드 홀(612)에 안내되어 하강하게 되면서 원터치 레버(700)의 끝단이 서포터(500)의 기단에 형성된 걸림 홈(510)에서 이탈하여 서포터(500)가 힌지 핀(6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풋 바(40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원터치 레버(700)를 누름 조작하여 원터치 레버(700)의 끝단을 걸림 홈(510)에서 이탈시킨 후 서포터(500)를 회전시켜 풋 바(400)의 위치를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풋 바(400)의 위치가 조절된 후에는 누름 조작하고 있던 원터치 레버(700)에서 손을 띄게 되면 힌지 핀(630)과 원터치 레버(700)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640)에서 발휘되는 인장력에 의해 원터치 레버(700)가 작동 가이드 홀(612)을 따라 상승하여 원터치 레버(700)의 끝단이 서포터(500)의 기단에 형성된 걸이 홈(132)에 삽입되어 서포터(5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풋 바(400)의 위치를 조절할 때 원터치 레버(700)의 누름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원터치 레버와 연결된 서포터(500)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승강 유닛(800)이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을 상승시켜 기울어진 캐리지(200)에 사용자가 위치하여 운동할 때 더욱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 중 승강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베이스 프레임(100)을 상승시켜 기울이는 승강 유닛(8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 유닛(800)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캐리지(200)를 연결하는 탄성부재(300)와 대향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로드(810)가 인출되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유닛(800)은 리모트컨트롤(830)에 의해 조작되거나 또는 캐리지(200)의 일면에 승강 유닛(80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강 유닛의 로드(810) 끝단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 브라켓(820)에 연결되어 승강 유닛(800)의 작동에 따라 힌지 브라켓(820)과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이 지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을 전체적으로 기울이게 된다.
이에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캐리지(200)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기울기와 동일한 상태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이 기울어지도록 상승하게 되면 사용자가 캐리지(200)의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동하게 될 때 캐리지(200)의 기울기만큼 중력이 작용하여 근육 사용을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울어진 캐리지(200)의 상면에 누워 운동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평행 및 균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고정 다리
120 : 가이드 레일 130 : 탄성부재 고정부
132 : 걸이 홈 140 : 간격조절 플레이트
142 : 간격조절 홈 200 : 캐리지
210 : 매트리스 220 : 헤드레스트
230 : 숄더레스트 240 : 지지 프레임
242 : 보강 리브 250 : 이격제한 롤러
252 : 수직 회전축 260 : 하중지탱 롤러
262 : 수평 회전축 300 : 탄성부재
310 : 걸림 돌기 400 : 풋 바
500 : 서포터 510 : 걸림 홈
600 : 회전 지지부재 610 : 수직부
612 : 작동 가이드 홀 620 : 수평부
630 : 힌지 핀 640 : 코일 스프링
700 : 원터치 레버 800 : 승강유닛
810 : 로드 820 : 힌지 브라켓
830 : 리모컨

Claims (7)

  1. 사각 틀의 형상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활주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와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캐리지가 활주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기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단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서포터에 고정되는 풋 바;
    상기 서포터의 기단에 다수의 걸림 홈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되어 서포터의 회전을 단속하는 원터치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는 기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 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다수의 걸림 홈이 원형 배열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부; 상기 한 쌍의 수직부 하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부; 상기 수직부와 상기 서포터의 기단을 관통하는 힌지 핀; 및 상기 수직부에 형성되되 상기 힌지 핀과 수평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원터치 레버의 승강을 안내하는 작동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레버의 끝단은 상기 작동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원터치 레버의 끝단은 코일 스프링과 상기 힌지 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캐리지가 기울어지도록 승강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캐리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와 대향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로드가 인출되고, 상기 로드의 끝단은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 브라켓에 연결되어 승강 유닛의 작동에 따라 힌지 브라켓과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이 지면으로부터 상승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KR1020140025113A 2014-03-03 2014-03-03 리포머 운동기구 KR10162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113A KR101627359B1 (ko) 2014-03-03 2014-03-03 리포머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113A KR101627359B1 (ko) 2014-03-03 2014-03-03 리포머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539A KR20150103539A (ko) 2015-09-11
KR101627359B1 true KR101627359B1 (ko) 2016-06-07

Family

ID=5424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113A KR101627359B1 (ko) 2014-03-03 2014-03-03 리포머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669B1 (ko) * 2019-04-16 2020-03-24 지용진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944358T3 (pl) * 2011-07-13 2018-08-31 Balanced Body Inc. Przyrząd do ćwiczeń typu reformer
KR101633884B1 (ko) * 2016-03-07 2016-07-08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필라테스 운동기구
ES1213647Y (es) * 2018-05-18 2018-09-11 Pitk Pelotas S L Aparato gimnastico
KR101965387B1 (ko) 2018-09-27 2019-04-03 정기석 필라테스 기구
KR102476500B1 (ko) * 2022-01-13 2022-12-12 서민관 리포머 운동기구
KR102539712B1 (ko) * 2022-11-03 2023-06-02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065A (ja) * 2003-07-09 2005-02-03 Deiriikea:Kk 運動機器
JP2012105788A (ja) * 2010-11-17 2012-06-07 Enable Kk ゴルフ練習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242Y2 (ja) * 1992-11-09 1995-10-18 誠 橋川 寝た姿勢で使用する脚鍛練具
US6926650B2 (en) * 1999-03-11 2005-08-09 Balanced Body, Inc. Collapsible reformer exercise apparatus
US20040014496A1 (en) 2002-07-19 2004-01-22 Liang-Xin Chen Dual slot card receiv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065A (ja) * 2003-07-09 2005-02-03 Deiriikea:Kk 運動機器
JP2012105788A (ja) * 2010-11-17 2012-06-07 Enable Kk ゴルフ練習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669B1 (ko) * 2019-04-16 2020-03-24 지용진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539A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359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200474605Y1 (ko) 레더바렐 운동기구
TWI601555B (zh) 改良式運動臺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EP1123141B1 (en) Exercise apparatus
JP5903431B2 (ja) 方向可変マシ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方法
WO2017184754A1 (en) Tilting exercise machine
KR101627358B1 (ko) 리포머 운동기구
US5072932A (en) Exercise apparatus
US20060148624A1 (en) Bench press
KR20180089337A (ko) 노 젓기와 승마 운동 효과를 겸비한 헬스기구
KR200481799Y1 (ko) 턱걸이 운동기구
KR200485627Y1 (ko)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KR20100045008A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2305928B1 (ko) 리포머 운동기구
EP2346581B1 (en) Exercise apparatus
KR102491980B1 (ko) 필라테스용 레더바렐
KR102539712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1019204B1 (ko) 운동기구
US20230405386A1 (en) Squat machine
KR102472866B1 (ko) 필라테스 운동기구
KR20130084738A (ko) 탄성 복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용 의자
US20210187346A1 (en)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