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110B1 - 벤트 오버 로우 머신 - Google Patents

벤트 오버 로우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110B1
KR102511110B1 KR1020220072875A KR20220072875A KR102511110B1 KR 102511110 B1 KR102511110 B1 KR 102511110B1 KR 1020220072875 A KR1020220072875 A KR 1020220072875A KR 20220072875 A KR20220072875 A KR 20220072875A KR 102511110 B1 KR102511110 B1 KR 10251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djusting
user
uni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현정
Original Assignee
(주)뉴텍웰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텍웰니스 filed Critical (주)뉴텍웰니스
Priority to KR102022007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110B1/ko
Priority to CA3209816A priority patent/CA3209816A1/en
Priority to CN202280017208.7A priority patent/CN117597174A/zh
Priority to EP22925242.4A priority patent/EP4316608A1/en
Priority to PCT/KR2022/019661 priority patent/WO202324379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110B1/ko
Priority to JP2023048642A priority patent/JP2023183374A/ja
Priority to US18/226,803 priority patent/US2023040539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은,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기립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베이스프레임 상면 일지점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기립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 메인프레임에 링크 결합되고, 지지유닛의 양측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한 쌍의 회동운동유닛, 한 쌍의 회동운동유닛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동운동유닛을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핸들유닛, 베이스프레임 상면 타측에 경사지게 안착되어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일 때,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제1발판부 및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지지유닛에 기댄 상태일 때,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제2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벤트 오버 로우 머신 {BENT OVER ROW MACHINE}
본 발명은 벤트 오버 로우 머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벤트 오버 로우 운동 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유닛이 마련되고,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중량을 변경할 수 있으며,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벤트 오버 로우 머신에 관한 것이다.
벤트 오버 로우(Bent over row)는 웨이트 트레이닝에서 광배근을 향상하기 위한 운동 방법으로, 균형 잡힌 등 근육을 만들기 위한 대표적인 운동 방법이다. 양손으로 덤벨을 잡고 상체를 앞으로 80도 정도를 구부리고, 무릎을 약간 구부린 자세를 취한 후, 팔을 구부려 덤벨이 대흉근의 아래 부분에 오도록 당긴 후 다시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켜 벤트 오버 로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덤벨을 사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시, 초보자들이 자세를 취하고 운동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잘못된 자세로 운동을 하거나 신체에 무리를 줄 수 있고, 덤벨을 놓치는 등의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덤벨을 사용하여 운동할 시, 소유하고 있는 덤벨의 중량 및 제한적인 중력의 회전각으로만 운동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벤트 오버 로우 운동 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유닛이 마련되고,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중량을 변경할 수 있으며,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벤트 오버 로우 머신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797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유닛이 마련됨으로써, 올바른 운동 자세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지지유닛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유닛이 폴딩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흉복부를 지지한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벤트 오버 상태에서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중량값으로 중량을 변경하여 운동할 수 있는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들유닛이 마련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오버그립 및 핸드그립 변경이 자유롭고 편리한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은,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기립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베이스프레임 상면 일지점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기립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 메인프레임에 링크 결합되고, 지지유닛의 양측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한 쌍의 회동운동유닛, 한 쌍의 회동운동유닛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동운동유닛을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핸들유닛, 베이스프레임 상면 타측에 경사지게 안착되어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일 때,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제1발판부 및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지지유닛에 기댄 상태일 때,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제2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지유닛은, 사용자의 흉복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지지시트,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지지시트, 제2지지시트 일면에 마련되는 폴딩핸들, 제1지지시트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고, 제1지지시트 및 제2지지시트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 및 제1지지시트 및 제2지지시트를 메인프레임 방향으로 폴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동운동유닛은, 일단은 메인프레임에 링크 결합되고, 제1각도로 절곡된 제1프레임, 양단이 제1프레임 상면에 결합되고, 제2각도로 절곡된 제2프레임 및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다지점에 돌출되고, 중량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거치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핸들유닛은, 회동운동유닛 일단에 결합되고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구비되는 각도조절판, 각도조절판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축,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단이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핸들,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단이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핸들 및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각도조절공에 삽입되어 제1핸들 및 제2핸들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2발판부는, 베이스프레임 하면 일지점에 축 결합되고, 다수의 길이조절공이 마련되는 길이조절프레임, 베이스프레임 상면 일지점에 마련되는 길이조절핀 및 길이조절프레임 일단에 결합되는 발판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유닛이 마련됨으로써, 올바른 운동 자세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은,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지지유닛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은, 지지유닛이 폴딩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흉복부를 지지한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벤트 오버 상태에서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은, 원하는 중량값으로 중량을 변경하여 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들유닛이 마련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오버그립 및 핸드그립 변경이 자유롭고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지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동운동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핸들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2발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벤트 오버 로우 머신(10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로우 머신(100)은 베이스프레임(110), 메인프레임(120), 지지유닛(130), 회동운동유닛(140), 핸들유닛(150), 제1발판부(160) 및 제2발판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은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다수의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기립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양측에는 중량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거치바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유닛(1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면 일지점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기립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130)은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지유닛(1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지유닛(130)은 제1지지시트(131), 제2지지시트(132), 폴딩핸들(133), 길이조절부(134) 및 폴딩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시트(131)는 상기 사용자의 흉복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시트(132)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폴딩핸들(133)은 상기 제2지지시트(132)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폴딩핸들(133)은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폴딩핸들(133)은 상기 지지유닛(130)을 폴딩한 상태로 운동 시, 사용자가 파지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134)는 상기 제1지지시트(131)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1지지시트(131) 및 제2지지시트(132)의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134)는 제1조절프레임(1341), 제2조절프레임(1342), 길이조절홀(1343) 및 길이고정핀(13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절프레임(1341)은 속이 빈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조절프레임(1342)은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조절프레임(134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길이조절홀(1343)은 상기 제2조절프레임(1342) 일면에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길이고정핀(1344)은 상기 제1조절프레임(1341) 일면 일지점을 관통하고, 일단에 상기 길이조절홀(1343)에 삽입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길이고정핀(1344)은 내부에 탄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
폴딩부(135)는 상기 제1지지시트(131) 및 제2지지시트(132)를 상기 메인프레임(120) 방향으로 폴딩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135)는 다수의 돌출부가 구비된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길이조절부(134)의 일단이 링크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134) 일단에 마련되는 폴딩고정핀(미도시)을 폴딩고정홀(미도시)에 삽입하여 언폴딩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벤트 오버 로우 머신(100)의 폴딩 상태는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벤트 오버 로우 머신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폴딩고정핀(미도시)를 해제하고 상기 제1지지시트(131) 및 제2지지시트(132)를 상기 메인프레임(120) 방향으로 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135) 다지점에는 폴딩 상태 시, 상기 길이조절부(134)의 충돌을 방지하는 다수의 충돌방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폴딩부(135)가 마련되어 상기 지지유닛(130)이 폴딩 가능함으로써, 흉복부를 지지한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벤트 오버 상태에서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130)은 댐퍼(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136)는 상기 길이조절부(134)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길이조절부(134)의 길이 고정 해제 시, 상기 제1지지시트(131)를 상승시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한 쌍의 회동운동유닛(140)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지지유닛(130)의 양측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운동유닛(140)은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동운동유닛(14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동운동유닛(140)은 제1프레임(141), 제2프레임(142) 및 거치바(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41)은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에 링크 결합되고, 제1각도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레임(142)은 양단이 상기 제1프레임 상면에 결합되고, 제2각도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41) 및 제2프레임(142)의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거치바(143)는 상기 제1프레임(141) 및 제2프레임(142)의 다지점에 돌출되고, 중량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한 쌍의 핸들유닛(150)은 한 쌍의 상기 회동운동유닛(140)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회동운동유닛(140)을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유닛(150)은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핸들유닛(1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핸들유닛(150)은 각도조절판(151), 회전축(152), 제1핸들(153), 제2핸들(154) 및 각도고정핀(155)을 포함할 수 있다.
각도조절판(151)은 상기 회동운동유닛(140) 일단에 결합되고, 다수의 각도조절공(1511)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152)은 상기 각도조절판(151)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핸들(153)은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회전축(15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핸들(154)은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회전축(152)에 고정될 수 있다.
각도고정핀(155)은 상기 회전축(152)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각도조절공(1511)에 삽입되어 상기 제1핸들(153) 및 제2핸들(154)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유닛(150)이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자세에 따라 제일 편안한 각도의 핸들로 운동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오버그립 및 핸드그립 변경이 자유롭고 편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제1발판부(16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면 타측에 경사지게 안착되어 상기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일 때, 상기 사용자의 발이 지지될 수 있다.
제2발판부(17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지유닛에 기댄 상태일 때, 상기 사용자의 발이 지지될 수 있다. 제2발판부(170)는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2발판부(1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2발판부(170)는 길이조절프레임(171), 길이조절핀(172) 및 발판바(173)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프레임(171)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하면 일지점에 축 결합되고, 다수의 길이조절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길이조절핀(172)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면 일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발판바(173)는 상기 길이조절프레임(171)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발판부(170)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키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유닛이 마련됨으로써, 올바른 운동 자세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지지유닛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지지유닛이 폴딩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흉복부를 지지한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벤트 오버 상태에서도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원하는 중량값으로 중량을 변경하여 운동할 수 있으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들유닛이 마련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오버그립 및 핸드그립 변경이 자유롭고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벤트 오버 로우 머신
110: 베이스프레임
120: 메인프레임
130: 지지유닛
131: 제1지지시트
132: 제2지지시트
133: 폴딩핸들
134: 길이조절부
135: 폴딩부
136: 댐퍼
140: 회동운동유닛
141: 제1프레임
142: 제2프레임
143: 거치바
150: 핸들유닛
151: 각도조절판
152: 회전축
153: 제1핸들
154: 제2핸들
155: 각도고정핀
160: 제1발판부
170: 제2발판부
171: 길이조절프레임
172: 길이조절핀
173: 발판바

Claims (5)

  1.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기립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 일지점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기립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지지유닛의 양측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한 쌍의 회동운동유닛;
    한 쌍의 상기 회동운동유닛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회동운동유닛을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핸들유닛;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 타측에 경사지게 안착되어 상기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일 때, 상기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제1발판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지유닛에 기댄 상태일 때, 상기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제2발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흉복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지지시트;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지지시트;
    상기 제2지지시트 일면에 마련되는 폴딩핸들;
    상기 제1지지시트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1지지시트 및 제2지지시트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제1지지시트 및 제2지지시트를 상기 메인프레임 방향으로 폴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폴딩부;
    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운동유닛은,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링크 결합되고, 제1각도로 절곡된 제1프레임;
    양단이 상기 제1프레임 상면에 결합되고, 제2각도로 절곡된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다지점에 돌출되고, 중량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거치바;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회동운동유닛 일단에 결합되고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구비되는 각도조절판;
    상기 각도조절판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축;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핸들;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핸들;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각도조절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핸들 및 제2핸들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핀;
    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발판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하면 일지점에 축 결합되고, 다수의 길이조절공이 마련되는 길이조절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 일지점에 마련되는 길이조절핀; 및
    상기 길이조절프레임 일단에 결합되는 발판바;
    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속이 빈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조절프레임;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조절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제2조절프레임;
    상기 제2조절프레임 일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길이조절홀; 및
    상기 제1조절프레임 일면 일지점을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길이조절홀에 삽입되며, 내부에 탄성체가 마련되는 길이고정핀;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길이조절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길이조절부의 길이 고정 해제 시 상기 제1지지시트를 상승시키는 댐퍼;
    를 더 포함하는 벤트 오버 로우 머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2875A 2022-06-15 2022-06-15 벤트 오버 로우 머신 KR102511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875A KR102511110B1 (ko) 2022-06-15 2022-06-15 벤트 오버 로우 머신
CA3209816A CA3209816A1 (en) 2022-06-15 2022-12-06 Bent over row machine
CN202280017208.7A CN117597174A (zh) 2022-06-15 2022-12-06 俯身划船运动机
EP22925242.4A EP4316608A1 (en) 2022-06-15 2022-12-06 Bent-over row machine
PCT/KR2022/019661 WO2023243790A1 (ko) 2022-06-15 2022-12-06 벤트 오버 로우 머신
JP2023048642A JP2023183374A (ja) 2022-06-15 2023-03-24 ベントオーバーローマシン(bent over row machine)
US18/226,803 US20230405395A1 (en) 2022-06-15 2023-07-27 Bent over row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875A KR102511110B1 (ko) 2022-06-15 2022-06-15 벤트 오버 로우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110B1 true KR102511110B1 (ko) 2023-03-16

Family

ID=8598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875A KR102511110B1 (ko) 2022-06-15 2022-06-15 벤트 오버 로우 머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83374A (ko)
KR (1) KR102511110B1 (ko)
WO (1) WO20232437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310B1 (ko) * 2023-06-08 2023-12-06 (주)뉴텍웰니스 투 웨이 로우 머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3505A (en) * 1991-10-21 1993-12-28 Hammer Strength Corporation High row exercise machine
US20050049121A1 (en) * 2003-08-25 2005-03-03 Dalebout William T. Exercise device with centrally mounted resistance rod and automatic weight selector apparatus
KR100479725B1 (ko) 2002-09-25 2005-03-30 양원동 다목적운동기구
KR20060116306A (ko) * 2005-05-09 2006-11-15 주식회사 엑스퍼트 웨이트기구용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KR20180050032A (ko) * 2016-11-04 2018-05-14 최수빈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CN216418216U (zh) * 2021-11-05 2022-05-03 山东兰博健身器材有限公司 站式推拉臂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3505A (en) * 1991-10-21 1993-12-28 Hammer Strength Corporation High row exercise machine
KR100479725B1 (ko) 2002-09-25 2005-03-30 양원동 다목적운동기구
US20050049121A1 (en) * 2003-08-25 2005-03-03 Dalebout William T. Exercise device with centrally mounted resistance rod and automatic weight selector apparatus
KR20060116306A (ko) * 2005-05-09 2006-11-15 주식회사 엑스퍼트 웨이트기구용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KR20180050032A (ko) * 2016-11-04 2018-05-14 최수빈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CN216418216U (zh) * 2021-11-05 2022-05-03 山东兰博健身器材有限公司 站式推拉臂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310B1 (ko) * 2023-06-08 2023-12-06 (주)뉴텍웰니스 투 웨이 로우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790A1 (ko) 2023-12-21
JP2023183374A (ja)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8020B2 (en) Arm and shoulder lift apparatus
US4140312A (en) Stationary exercise bicycle
US7476188B2 (en) Torso exercise device
US6186926B1 (en) Seated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20100137115A1 (en) Push up trainer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US5928116A (en) Body exerciser
US7311645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9199111B2 (en) Exercise apparatus
US6932750B1 (en) Exercise stand
KR102511110B1 (ko) 벤트 오버 로우 머신
CA2472598C (en) Collapsible exerciser
US5637062A (en)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US4456248A (en) Exerciser for runners
US10226662B1 (en)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US7134989B2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WO1996020758A1 (en) Device for exercising the lower back
US4553747A (en) Rotator cuff machine
US20180126215A1 (en) Portable foldable exercise device
US20230405395A1 (en) Bent over row machine
KR102610310B1 (ko) 투 웨이 로우 머신
WO2008001173A1 (en) Gymnastic apparatus, particularly for the workout of the abdominal muscles and the gluteus muscles
JP7489737B1 (ja) ドロップスクワットマシン(Drop squat machine)
KR102374185B1 (ko)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
KR102640736B1 (ko) 하이로우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