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783B1 - 척추 측만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측만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783B1
KR102173783B1 KR1020180156778A KR20180156778A KR102173783B1 KR 102173783 B1 KR102173783 B1 KR 102173783B1 KR 1020180156778 A KR1020180156778 A KR 1020180156778A KR 20180156778 A KR20180156778 A KR 20180156778A KR 102173783 B1 KR102173783 B1 KR 102173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board
spine
scoliosis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579A (ko
Inventor
서평강
Original Assignee
서평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강 filed Critical 서평강
Priority to KR102018015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7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측만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면에 관통된 복수의 관통공을 가지며, 교정 공간을 형성하는 교정 보드; 상기 교정 보드를 지지하며, 바닥에 기립 배치되는 보드 프레임; 및 상기 보드 프레임에 지지된 상기 교정 보드의 복수의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상기 교정 보드에 환자의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를 설정하는 복수의 교정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척추 측만 교정장치{SCOLIOSIS ORTHODONTIC CORR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척추 측만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가 직립된 자세로 서서, 또는 등이 없는 의자에 앉아서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목 부분의 경추, 등 부분의 흉추, 허리 부분의 요추, 그리고 골반부의 천추, 미추로 이루어진다.
정상적인 척추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이며, 옆에서 보면 경추와 요추는 앞으로 굽어지고 흉추와 천추부는 뒤로 굽어져 있다.
척추 측만증이란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휘어있는 것을 말한다.
척추는 상하, 좌우, 전후에 정상적으로 배열되어 정상적인 각도로 유지하여야 하지만, 척추를 지지하는 근육의 노화, 또는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 외부의 충격, 호르몬의 이상 등으로 인하여 척추지지근육이 긴장이나 비대칭 등으로 인하여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변형이 되어 척추질환이 발병한다.
이러한 현상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척추, 특히 추간판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다수는 비정상적으로 척추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 예를 들어, 평소 앉은 자세나 수면 자세와 같이 잘못된 생활 습관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태아 때 척추 생성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발생한 척추 측만증은 선천성 척추 측만증이라 하며, 이 외에 중추 신경계나 신경학적 이상으로 발생하는 신경, 근육성 척추 측만증, 신경 섬유종에 의한 척추 측만증과 마르팡(Marfan) 증후군 등 여러 증후군이 동반된 척추 측만증도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10세 전후로 발병하는 척추 특발성 측만증이 초, 중, 고등학생들 사이에서 부쩍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이러한 척추 측만증의 치료를 위해 수술, 약물, 물리요법 등의 치료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물리요법은 손으로 교정치료하는 도수치료법과 함께 운동요법을 겸하여 치료를 하거나 침대에 환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머리 부분을 잡아 당겨, 척추 전체에 견인력이 전달되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은 기계의 작동을 통해 물리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정확한 척추의 교정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지지, 견인하는 치료 방법으로서, 교정운동을 시행할 때 환자 혼자서는 교정할 척추의 위치선정이나 지지할 방법이 없고 전문치료사가 직접 교정할 곳을 손으로 지지해 주거나 고정해 주어야 하지만 이 교정장치는 교정해야 할 척추위치에 교정로드로 고정하고 지지해 줌으로써 전문치료사 없이도 정확한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불편함을 없애준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566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가 교정 공간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또는 등받이 없는 의자에 앉아서 환자가 능동적으로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 부위를 밀착시켜 해당 척추 부위의 근육 단련과 척추관절의 움직임을 통해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특성(키 높이, 비만 등)에 맞추어 교정 보드에 교정을 요하는 지점을 자유로이 설정하여 교정 공간 내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또는 등받이 없는 의자에 앉아서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한 지점의 척추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교정하고자 하는 척추 이외의 척추는 움직임을 없앨 수 있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사 또는 누구의 도움 없이도 환자 스스로 정확하게 혼자 교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력강화 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면에 관통된 복수의 관통공을 가지며, 교정 공간을 형성하는 교정 보드; 상기 교정 보드를 지지하며, 바닥에 기립 배치되는 보드 프레임; 및 상기 보드 프레임에 지지된 상기 교정 보드의 복수의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상기 교정 보드에 환자의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를 설정하는 복수의 고정봉과 교정 로드를 포함하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 보드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봉; 복수의 상기 고정봉에 거치되는 행거 바; 및 상기 행거 바의 양단부에 현수 지지되어, 상기 교정 보드에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로 위치한 환자가 파지하며 근력운동할 수 있도록 신축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척추의 위치에 맞추기 위해서 교정보드의 관통공 간격을 최대한 줄이거나 교정로드(고정봉) 둘레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행거 바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교정 보드의 복수의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봉; 및 상기 고정봉에 현수 지지되어, 상기 교정 보드에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로 위치한 환자가 파지하며 근력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신축하는 탄성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정 로드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교정 보드에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로 위치한 환자의 몸통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가 직립된 자세로 서서, 또는 등받이 없는 의자에 앉아서 환자가 능동적으로 정확한 교정을 할 수 있도록 교정보드의 판면 관통공에 다수의 고정봉을 끼워 척추의 교정 부위를 밀착시켜 정확히 해당 척추 부위의 근육 단련과 척추관절의 운동을 통해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고정봉에 의해 교정하고자 하는 곳의 척추만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해주고 움직이지 않아야 할 척추들은 다수의 교정로드로 고정, 제어해주어 교정 운동시 다른 척추의 움직임이 없도록 붙잡아 둠으로써 바른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신체 크기에 관계없이 교정 보드에 교정을 요하는 지점을 자유로이 설정하여,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다. 이와함께 상부와 측면 보드프레임에 각각 숫자를 적어놓아 좌표를 형성하여 처음 전문치료사가 척추의 교정할 위치를 좌표로 지정해 주면 어느때나 전문치료사 없이도 환자 스스로 좌표에 고정봉을 꼽아 정확한 교정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지점의 척추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교정하고자 하는 척추 이외의 척추는 움직임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사 또는 누구의 도움 없이도 환자 스스로 정확하게 혼자 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근력강화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신체 특성(키 높이, 비만 등)에 맞추어 교정 보드에 교정을 요하는 지점을 자유로이 설정하여 교정 공간 내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또는 등받이 없는 의자에 앉아서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척추 교정을 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척추 교정을 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장치(1)는 교정 보드(10)와, 보드 프레임(20)과, 복수의 교정 로드(30)를 포함한다.
교정 보드(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판 형상을 가진다. 교정 보드(10)의 판면에는 복수의 관통공(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관통공(11)이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교정 보드(1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환자(100, 도 3 참조)가 직립된 자세로 서서 척추 측만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교정 공간(15)이 형성된다. 여기서, 교정 공간(15)은 교정 보드(10)의 전면, 또는 후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보드 프레임(20)은 교정 보드(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21)과, 교정 보드(10)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23)과, 한 쌍의 측부 프레임(23)의 하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바닥에 안착되는 한 쌍의 레그(25)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레그(25)는 보드 프레임(20)이 바닥에 안착할 때 교정 보드(10)의 저면이 바닥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마련된다.
이로써, 보드 프레임(20)은 교정 보드(10)를 지지하며, 바닥에 기립 배치된다.
복수의 교정 로드(30)는 교정 보드(10)의 관통공(11)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관통공(11)에 착탈한다. 복수의 교정 로드(30)는 관통공(11)과 끼움 결합되도록 관통공(1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또한, 복수의 교정 로드(30)는, 교정 보드(10)의 관통공(11)에 끼움 결합될 때, 교정 보드(10)의 두께와 환자(100)의 평균 몸통 두께를 합한 크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복수의 교정 로드(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프레임(20)에 지지된 교정 보드(10)의 복수의 관통공(11)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교정 보드(10)에 환자(100)의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를 설정한다. 복수의 교정 로드(30)는 교정 보드(10)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교정 보드(10)의 관통공(11)에 끼움 결합된다. 특히, 환자(100)가 척추 측만 교정 자세를 취하는 교정 공간(15)으로 배치되는 교정 로드(30)는 교정 보드(10)로부터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의료진이 척추 검사를 통해 획득한 환자(100)의 척추 측만증의 상태에 대응하여, 교정 보드(10)의 복수의 관통공(11)에 복수의 교정 로드(30)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교정 보드(10)에 환자(100)의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100)가 교정 보드(10)의 교정 공간(15)의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또는 앉은 자세 등,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 부위를 환자(100)가 능동적으로 힘을 가하며 밀착시켜, 해당 척추 측만 부위의 근육 단련과 자세 교정이 이루어져,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교정 보드(10)의 교정 공간(15)에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로 위치한 환자(100)의 몸통에 밀착하는 교정 로드(30)의 외주에는 완충부재(4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완충부재(40)는 링 형상을 가지며, 교정 로드(30)의 외주를 둘러싸며 결합된다. 이러한 완충부재(40)는 환자(100)의 몸통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할 수 있는 고무 또는 스폰지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봉(50)과, 행거 바(55)와, 탄성 밴드(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봉(50)은, 교정 로드(30)와 호환성을 갖도록, 교정 로드(30)와 동일한 단면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복수의 고정봉(50)은 교정 보드(10)의 최상단부에 위치한 복수의 관통공(11)에 간격을 두고 각각 끼움 결합된다. 복수의 고정봉(50)은 바닥에 대해 평행을 이루도록 복수의 관통공(11)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복수의 고정봉(50)은 전술한 교정 로드(30)와 마찬가지로 교정 보드(10)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끼움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봉(50)은 교정 로드(30)로 대체할 수 있다.
행거 바(55)는 복수의 고정봉(50)에 결속되어, 바닥에 대해 평행을 이루며 거치된다. 여기서, 행거 바(55)는 복수의 고정봉(50)에 거치됨과 동시에, 세트 스크루(미도시) 등에 의해 복수의 고정봉(5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장치(1)의 행거 바(55)는 상호 끼움 결합되는 3개의 파이프(55a,55b)로 이루어진다. 행거 바(55)는, 행거 바(55)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파이프(55a)와, 제1파이프(55a)와 상이한 직경을 가지며 제1파이프(55a)의 양단부에 텔레스코픽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파이프(55b)를 포함한다.
제1파이프(55a)에는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끼움공(57)이 형성되고, 제2파이프(55b)에는 제1파이프(55a)의 복수의 끼움공(57) 중 어느 하나의 끼움공(57)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탄성돌기(59)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2파이프(55b)의 탄성돌기(59)를 제1파이프(55a)의 끼움공(57)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행거 바(55)의 전체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탄성 밴드(65)는 일정 길이의 띠 형상을 가지고, 신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행거 바(55)에 현수 지지된다. 탄성 밴드(65)의 일단부는 행거 바(55)의 양단부에 결속되고, 타단부는 환자(100)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67)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탄성 밴드(65)는 교정 보드(10)에 별도로 장착된 걸이구(미도시)에 결속되어, 걸이구에 현수 지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고정봉(50)과, 행거 바(55)와, 탄성 밴드(65)의 구성을 더 포함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봉(50)을 환자의 폭에 맞추어 교정 보드(10)의 관통공(11)에 각각 끼움 결합하고 행거 바(55)를 복수의 고정봉(50)에 거치하고 나서,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100)가 교정 보드(10)의 교정 공간(15)의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환자(100)가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 부위를 교정 로드(30)에 능동적으로 힘을 가하며 밀착시킴과 동시에, 양손으로 탄성 밴드(65)의 양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양팔을 펼치거나 접어, 탄성 밴드(65)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탄성 밴드(65)의 탄력에 의해 근력운동을 배가할 수 있게 되어, 해당 척추 측만 부위의 근육 단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자세 교정이 이루어져, 척추 측만증을 단시간에 보다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장치(1)는 행거 바(55)를 길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100)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여 행거 바(55)의 길이를 조절하고, 또한 환자(100)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고정봉(50)을 바닥에 대해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교정 보드(10)의 복수의 관통공(11)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하여, 환자(100)가 탄성 밴드(65)의 양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팔을 펼치거나 접어, 탄성 밴드(65)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며 근력운동을 배가할 수 있게 된다. 즉, 신체의 크기에 관계없이 성인 환자뿐만 아니라 아동 환자도 교정 보드(10)의 교정 공간(15)의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환자(100)가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 부위를 교정 로드(30)에 능동적으로 힘을 가하며 밀착시킴과 동시에, 양손으로 탄성 밴드(65)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근력운동을 배가하며, 해당 척추 측만 부위의 근육 단련 및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봉(50)과 행거 바(55)를 구비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100)의 팔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위치에 하나의 고정봉(50)을 교정 보드(10)의 관통공(11)에 끼움 결합하고 다른 형태의 탄성 밴드(65′)를 고정봉(50)에 결속하거나,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환자(100)의 양팔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위치에 한 쌍의 고정봉(50)을 교정 보드(10)의 관통공(11)에 각각 끼움 결합하고 탄성 밴드를 각 고정봉(50)에 결속하여,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100)가 교정 보드(10)의 교정 공간(15)의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환자(100)가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 부위를 교정 로드(30)에 능동적으로 힘을 가하며 밀착시킴과 동시에, 한손 또는 양손으로 탄성 밴드(65)를 파지한 상태에서 팔을 펼치거나 접어, 탄성 밴드(65′)를 신장 및 수축시키며 탄성 밴드(65)의 탄력에 의해 근력운동을 배가하고, 해당 척추 측만 부위의 근육 단련과 자세 교정을 하여,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장치(1)르 이용하여 척추 교정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밴드(65)를 사용하지 않고, 팔을 펼칠 수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11)에 추가적으로 교정 로드(30)를 끼움 결합한 후,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100)가 교정 보드(10)의 교정 공간(15)의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환자(100)가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 부위를 교정 로드(30)에 능동적으로 힘을 가하며 밀착시킴과 동시에, 한팔 또는 양팔을 펼쳐거나 또는 접어, 교정 보드(10)에 추가적으로 끼워진 교정 로드(30)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함으로써, 탄성 밴드(65)를 사용할 때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켜 근력운동을 배가하며, 해당 척추 측만 부위의 근육 단련과 자세 교정을 하여,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100)가 교정 보드(10)의 전면에서만 직립된 자세로 서서 척추 측만 자세를 교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명의 환자가 교정 보드(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직립된 자세로 서서, 또는 앉아서 동시에 척추 측만 자세를 교정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척추 측만 교정장치
10: 교정 보드
11: 관통공
20: 보드 프레임
30: 교정 로드
40: 완충부재
50: 고정봉
55: 행거 바
65: 탄성 밴드

Claims (5)

  1. 판면에 관통된 복수의 관통공을 가지며, 교정 공간을 형성하는 교정 보드;
    상기 교정 보드를 지지하며, 바닥에 기립 배치되는 보드 프레임; 및
    상기 보드 프레임에 지지된 상기 교정 보드의 복수의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상기 교정 보드에 환자의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를 설정하는 복수의 교정 로드를 포함하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보드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봉;
    복수의 상기 고정봉에 거치되는 행거 바; 및
    상기 행거 바의 양단부에 현수 지지되어, 상기 교정 보드에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로 위치한 환자가 파지하며 근력운동할 수 있도록 신축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하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바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되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보드의 복수의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봉; 및
    상기 고정봉에 현수 지지되어, 상기 교정 보드에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로 위치한 환자가 파지하며 근력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신축하는 탄성 밴드를 더 포함하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로드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교정 보드에 설정된 척추 측만 교정 자세 위치로 위치한 환자의 몸통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척추 측만 교정장치.
KR1020180156778A 2018-12-07 2018-12-07 척추 측만 교정장치 KR102173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778A KR102173783B1 (ko) 2018-12-07 2018-12-07 척추 측만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778A KR102173783B1 (ko) 2018-12-07 2018-12-07 척추 측만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579A KR20200069579A (ko) 2020-06-17
KR102173783B1 true KR102173783B1 (ko) 2020-11-03

Family

ID=7140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778A KR102173783B1 (ko) 2018-12-07 2018-12-07 척추 측만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7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080Y1 (ko) 2006-07-27 2006-10-17 문영우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
WO2018081097A1 (en) 2016-10-24 2018-05-03 Chine, Llc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es for spinal deformities
KR101895751B1 (ko) 2018-03-14 2018-09-05 차민준 척추 디스크, 척추 측만 견인 치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662A (ko) 2007-11-29 2009-06-03 공순식 체중 견인방식에 의한 척추 교정 기구
KR20170050500A (ko) * 2015-10-30 2017-05-11 양원영 입식형 자세교정장치
KR101845961B1 (ko) * 2016-02-29 2018-04-05 백승억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080Y1 (ko) 2006-07-27 2006-10-17 문영우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
WO2018081097A1 (en) 2016-10-24 2018-05-03 Chine, Llc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es for spinal deformities
KR101895751B1 (ko) 2018-03-14 2018-09-05 차민준 척추 디스크, 척추 측만 견인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579A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5647A (en) Exercise appliance for abdominal muscles and method of using same
US5176706A (en) Spinal curvature correction device
US20140221881A1 (en) Device for repetitive spine extension at selectable lumbar levels for stimulation of vertebral segments
KR20120100613A (ko)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CN104470590A (zh) 脊柱矫正用康复运动器械
US20210298980A1 (en) Spin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102173783B1 (ko) 척추 측만 교정장치
US20020098958A1 (en) Exercise appliance for abdominal muscles and method of using same
JP3995702B1 (ja) 姿勢矯正用運動器具
JP2006141694A (ja) ストレッチ台
KR101760179B1 (ko) 경추견인 의자
JP3197972U (ja) 腹部運動用座椅子
KR102226338B1 (ko) 척추측만증 환자 맞춤형 3차원적 재활 훈련 시스템
JP2007244907A (ja) 姿勢矯正用運動器具
JP3205303U (ja) 姿勢調整器具
JP4233449B2 (ja) 骨盤矯正装置
RU110636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правильной осанки и сохранения остроты зрения младших школьников
KR102244223B1 (ko) 척추 운동기
JP3191869U (ja) 姿勢調整器具
KR102357586B1 (ko) 요가 자세 교정용 의자형 운동기구
CN212118909U (zh) 一种胸背部矫正训练装置
KR101487615B1 (ko) 척추교정대
CN215459940U (zh) 调节型腰椎健身器
KR101608372B1 (ko) 다목적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