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358B1 - 일자목 교정기 - Google Patents

일자목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358B1
KR101659358B1 KR1020150119337A KR20150119337A KR101659358B1 KR 101659358 B1 KR101659358 B1 KR 101659358B1 KR 1020150119337 A KR1020150119337 A KR 1020150119337A KR 20150119337 A KR20150119337 A KR 20150119337A KR 101659358 B1 KR101659358 B1 KR 10165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handle
moving
acupressur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이민석
이화정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15011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는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 및 상기 목의 아래부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돌기되는 지압돌기부, 상기 지압돌기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지압돌기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를 포함하고, 지압돌기가 상하이동 및/또는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지압범위가 넓고, 정확한 부위에 지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정된 지압봉이 닿지 않는 부위에도 지압을 할 수 있어 목 관절 부근의 근육 뭉침을 이완시켜 상부경추를 바르게 정렬되도록 하고, 다양한 체형이나 체형을 가진 사용자에게도 일자목 교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자목 교정기{Neck Therapy Device}
본 발명은 일자목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자목의 원인이 되는 목 관절 부근의 근육 뭉침을 이완시켜 상부경추, 특히 축추를 바르게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일자목을 교정하는 일자목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활용시간이 늘어나고,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목과 허리 등 척추신경계의 불편을 호소하는 현대인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목 주변 근육의 긴장이나 뭉침에 의하여 발생하는 목 디스크, 일자목 등에 의하여 병원을 찾는 이들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재 목 건강의 중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목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목 근육을 이완시키는 장치나 베개와 같은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480334호 '물리치료용 일자목 교정기'는 지압봉을 이용하여 후두부와 경추를 연결하는 부위를 압박하여 일자목을 교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지압을 이용하는 견인장치나 베개들은 지압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원하는 위치를 지압하기가 쉽지 않고, 지압 범위가 좁아 다양한 체격이나 체형을 갖는 사용자들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11-01246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 관절 부근의 근육 뭉침을 이완시켜 목 관절과 연결된 축추를 바르게 정렬되도록 하고, 전신척추를 정렬시켜 다양한 체형이나 체격을 가진 사용자에게도 일자목 교정이 가능한 일자목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압돌기를 구비하고, 상하 이동부를 통해 상기 지압돌기를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압범위가 넓고 정확한 위치에 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가능한 일자목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압돌기를 구비하고, 좌우 이동부를 통해 지압돌기를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압범위가 넓고 정확한 위치에 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가능한 일자목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자목 교정기를 지지하는 받침부에 추가받침부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키와 목의 길이, 어깨 넓이 등의 체형에 맞게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가능한 맞춤형 일자목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는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 및 상기 목의 아래부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돌기되는 지압돌기부, 상기 지압돌기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지압돌기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하 이동부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손잡이가 회전되면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 중 가장 마지막에 연결되는 축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압돌기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 중 상기 제1 손잡이와 가장 먼저 연결되는 축은 상기 제1 손잡이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다음 축으로 전달하는 기어, 및 상기 좌우 이동부의 좌우이동 축이 통과하는 통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하 이동대는 상기 지압돌기부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지압돌기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 이동부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손잡이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하는 좌우이동 축, 및 상기 좌우이동 축이 회전하면 상기 지압돌기부를 파지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좌우 이동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 축은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1 나사선, 상기 제1 나사선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나사선, 및 상기 제1 나사선과 제2 나사선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선과 제2 나사선의 길이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우 이동대는 상기 제1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선과 연결되는 제1 좌우 이동대, 및 상기 제2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선과 연결되는 제2 좌우 이동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손잡이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대 및 상기 제2 좌우 이동대의 간격이 좁혀지고, 상기 제2 손잡이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대 및 상기 제2 좌우 이동대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 이동대는 내부에는 상기 지압돌기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지압돌기가 파지되도록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좌우 이동부의 좌우이동 축 및 상기 상하 이동부의 축이 통과하는 통공, 및 상기 좌우 이동부의 제2 손잡이와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를 하강시키고, 상기 몸체부에 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를 원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승시키는 몸체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제1 추가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추가받침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제2 추가받침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지지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이 상기 목지지부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목지지부의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머리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머리보호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추가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는 목 관절 부근의 근육 뭉침을 이완시켜 상부경추, 특히 축추를 바르게 정렬되도록 하고, 다양한 체형이나 체형을 가진 사용자에게도 일자목 교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압돌기가 상하이동 및/또는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지압범위가 넓고, 정확한 부위에 지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정된 지압봉이 닿지 않는 부위에도 지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자목 교정기를 지지하는 받침부에 추가받침부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 다르더라도 일자목 교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몸체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머리보호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상하 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좌우 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몸체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머리보호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상하 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좌우 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연결부와 좌우이동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100)는 몸체부(110), 받침부(120), 및 지압돌기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압돌기부(1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140) 및 상기 지압돌기부(13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15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102), 사용자의 목 아래 부위가 안착되는 안착부(104), 및 상기 몸체부(110)와 받침부(120)를 연결되는 연결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몸체 이동부(170) 및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머리보호부(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지지부(102)는 사용자의 목이 지지되도록 상기 안착부(104) 보다 상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목이 편안히 안착되고, 목의 형태가 자연스럽게 C형이 될 수 있도록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04)는 사용자의 목이 상기 목지지부(102)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목의 아래 부위와 어깨 부위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어깨 부위가 편안하게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완만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머리보호부(106)는 상기 목지지부(102)의 후면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목이 상기 목지지부(102)에 지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무게에 의하여 목이 상기 목지지부(102)의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목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60)는 상기 몸체부(110)와 받침부(1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좌우 이동부(150)의 제2 손잡이(151)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체결부(16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60)는 상기 상하 이동부의 제1 축(142) 및 상기 좌우 이동부의 축(152)이 통과하는 통공(16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이동부의 걸림부(174)를 포함하는 걸림턱(161)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 이동부(170)는 상기 연결부(160)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부(174) 및 상기 걸림부(174)에 연결되는 탄성부(176)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를 하강시키고, 상기 몸체부(110)에 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를 원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승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목지지부(102)에 사용자의 목이 지지되는 경우 상기 목지지부(102)에 전달되는 무게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176)가 자연스럽게 수축되어 상기 몸체부(110)가 사용자의 목이 가장 편안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목지지부(102)에서 무게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에서 압력이 제거되어 상기 탄성부(17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가 원래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일자목 교정기(100) 전체의 이동없이 상기 몸체부(110)만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부(110)를 바닥에 닫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110)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안착부(104)와 비슷하게 완만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가 안착시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압돌기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일단이 일정 부분 돌기되도록 형성되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위 및/또는 목 부위에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지압돌기부(130)는 상기 상하 이동부(14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좌우 이동부(15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지압돌기부(130)를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압 범위가 넓고, 정확한 위치에 지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압 효과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된 지압봉이 닿지 않는 부위에도 지압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하 이동부(140)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손잡이(141), 상기 제1 손잡이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축(142 내지 145),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연결된 축(145)과 연결된 상하 이동대(14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손잡이(141)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상하 이동대(146)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지압돌기부(1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제1 손잡이(141)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손잡이(141)는 외부의 힘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 중에서 가장 먼저 연결된 제1 축(142)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142 내지 145)은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들에 의해 가장 먼저 연결된 제1 축(142)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가장 마지막에 연결된 축(145)까지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1 축(142)은 상기 좌우 이동대의 좌우이동 축(152)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도 5는 상기 축이 4개 연결된 모습이 보여지는데, 제1 축(142)이 상기 연결부의 통공(162)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손잡이(141)와 연결되고, 제2 축(143)은 제2 축(143)의 제1 기어가 상기 제1 축(142)의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축(142)과 연결되고, 제2 축(143)의 제2 기어가 상기 제3 축(144)의 제1 기어와 맞물려 제3 축(144)과 연결된다. 또한, 제3 축(144)은 제3 축(144)의 기어가 상기 제2 축(143)의 제2 기어(143) 및 제4 축(145)의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2 축(143) 및 제4 축(145)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이 4개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축의 수는 상기 지압돌기부의 높이, 지압돌기부의 상하 이동폭, 또는 기어의 지름에 따라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 이동대(146)는 상기 지압돌기부(13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147),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 중 가장 마지막에 연결된 축의 기어와 대응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상하 기어(148)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47)은 상기 지압돌기부(130)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가장 마지막에 연결된 제4 축(145)에 의해 상기 상하 기어(148)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지압돌기부(130)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하 기어(148)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지압돌기부(130)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상하 이동부(140)는 제1 손잡이(141)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손잡이(141)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전달된 동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142~145)에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가장 마지막 축(145)과 연결된 상기 상하 이동대(146)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지압돌기부(130)를 상승시킨다.
반대로, 상기 상하 이동부(140)는 제1 손잡이(141)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손잡이(141)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전달된 동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141~145)에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가장 마지막 축(145)과 연결된 상기 상하 이동대(146)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지압돌기부(130)를 하강시킨다.
상기 좌우 이동부(150)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손잡이(151), 제2 손잡이(151)와 연결된 좌우이동 축(152), 및 상기 지압돌기부(130)를 파지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좌우 이동대(15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손잡이(151)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손잡이(151)는 상기 좌우이동 축(152)과 연결되고, 상기 좌우 이동부(150)가 상기 연결부(16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160)의 제1 체결부(163)와 대응되는 제2 체결부(151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손잡이(151)는 상기 상하 이동부(140)의 제1 축(142)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한 상기 좌우이동 축(152)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손잡이(151)가 외부의 힘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좌우이동 축(152)을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손잡이(151)는 상기 제1 손잡이(141)의 동작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손잡이(141)의 지름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 축(152)은 상기 제2 손잡이(151)와 연결되고,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1 나사선 및 상기 제1 나사선(153a)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나사선(153b)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는 상기 제1 나사선(153a)과 제2 나사선(153b)의 길이를 보정하는 보정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좌우이동 축(152)은 상기 제2 손잡이(151)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되어 상기 좌우 이동대(154)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축 보정부(153)는 상기 좌우이동 축(152)에 형성된 나사선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지압돌기(130)가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상기 제1 나사선(153a)과 제2 나사선(153b)의 길이를 보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좌우 이동대(154)는 내부에는 상기 지압돌기(13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지압돌기(130)가 파지되도록 지지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 이동대 중 제1 좌우 이동대(154a)는 상기 좌우회전 축(152)의 제1 나사선(153a)과 대응되는 모양의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대(154a)에 형성된 나사선은 상기 좌우회전 축(152)의 제1 나사선(153a)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좌우 이동대 중 제2 좌우 이동대(154b)는 상기 좌우회전 축(152)의 제2 나사선(153b)과 대응되는 모양의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좌우 이동대(154b)에 형성된 나사선은 상기 좌우회전 축(152)의 제2 나사선(153b)과 연결된다.
상기 제2 손잡이(151)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좌우이동 축(152)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대(154a)는 상기 지압돌기를 파지하여 상기 좌우이동 축(152)의 제1 나사선(153a)을 따라 상기 지압돌기(13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상하 이동시에는 상기 지압돌기(130)를 통과시켜 상기 지압돌기(130)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손잡이(151)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좌우이동 축(152)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좌우 이동대(154b)는 상기 지압돌기를 파지하여 상기 좌우이동 축(152)의 제2 나사선(153b)을 따라 상기 지압돌기(1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상하 이동시에는 상기 지압돌기(130)를 통과시켜 상기 지압돌기(130)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제2 손잡이(151)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좌우이동 축(152)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대(154a)는 상기 지압돌기를 파지하여 상기 좌우이동 축(152)의 제1 나사선(153a)을 따라 상기 지압돌기(1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좌우 이동대(154b)는 상기 지압돌기를 파지하여 상기 좌우이동 축(152)의 제2 나사선(153b)을 따라 상기 지압돌기(130)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는 제2 손잡이(151)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대(154a)가 좌측으로 이동되고, 제2 좌우 이동대(154b)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압돌기부(130)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고, 제2 손잡이(151)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대(154a)가 우측으로 이동되고, 제2 좌우 이동대(154b)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압돌기부(130)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동작하는 한편, 상기 제1 손잡이(141)가 회전되어 상기 지압돌기부(130)가 상기 상하 이동부(14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받침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받침부는 받침부(121) 및 제1 추가받침부(123)를 포함하고, 제2 추가받침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21)는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일자목 교정기(100) 전체의 이동없이 상기 몸체부(110)만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부(110)를 바닥에 닫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110)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21)는 완만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가 안착시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에 상기 제1 추가받침부(12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추가받침부(123)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받침부(12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추가받침부(123)는 상기 받침부(12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122)에 대응되는 제1 결합부(12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받침부(121)의 상부에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추가받침부(123)는 상부에 상기 제2 추가받침부(126)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공(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추가받침부(126)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추가받침부(123)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추가받침부(123)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추가받침부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125)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127)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추가받침부(123)의 상부에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는 상기 받침부(121)만으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추가받침부(123)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추가받침부(123)를 결합하더라도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제2 추가받침부(126)를 결합하여 순차적이고 단계적으로 사용자의 어깨가 안착되는 부분의 두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안착감을 높이는 특징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목 교정기는 상기 머리보호부(106)의 상부에 추가보호부(107)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몸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받침부(121)를 지지하는 지지대(18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보호부(107)는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머리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재질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목의 길이가 맞지 않거나 뒷머리 모양의 돌출이나 만입에 의하여 상기 머리보호부(106)에 맞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 상기 머리보호부(106)의 상부에 탈착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180)는 양측의 받침부(121)와 결합되어 일자목 교정기를 안정되게 유지하고, 상기 받침부(121)가 상기 몸체부(1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몸체부 120 : 받침부
130 : 지압돌기부 140 : 상하 이동부
150 : 좌우 이동부 160 : 연결부
170 : 몸체 이동부

Claims (16)

  1.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 및 상기 목의 아래부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돌기되는 지압돌기부;
    상기 지압돌기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지압돌기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이동부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손잡이가 회전되면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 중 가장 마지막에 연결되는 축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압돌기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이동부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손잡이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하는 좌우이동 축; 및 상기 좌우이동 축이 회전하면 상기 지압돌기부를 파지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좌우 이동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이동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 중 상기 제1 손잡이와 가장 먼저 연결되는 축은 상기 제1 손잡이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다음 축으로 전달하는 기어 및 상기 좌우 이동부의 좌우이동 축이 통과하는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대는,
    상기 지압돌기부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지압돌기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 축은,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1 나사선;
    상기 제1 나사선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나사선; 및
    상기 제1 나사선과 제2 나사선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선과 제2 나사선의 길이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이동대는,
    상기 제1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선과 연결되는 제1 좌우 이동대; 및
    상기 제2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선과 연결되는 제2 좌우 이동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손잡이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대 및 상기 제2 좌우 이동대의 간격이 좁혀지고, 상기 제2 손잡이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좌우 이동대 및 상기 제2 좌우 이동대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이동대는,
    내부에는 상기 지압돌기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지압돌기가 파지되도록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좌우 이동부의 좌우이동 축 및 상기 상하 이동부의 축이 통과하는 통공;
    상기 좌우 이동부의 제2 손잡이와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를 하강시키고, 상기 몸체부에 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를 원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승시키는 몸체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제1 추가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받침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제2 추가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지지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이 상기 목지지부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목지지부의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머리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보호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추가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목 교정기.
KR1020150119337A 2015-08-25 2015-08-25 일자목 교정기 KR101659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337A KR101659358B1 (ko) 2015-08-25 2015-08-25 일자목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337A KR101659358B1 (ko) 2015-08-25 2015-08-25 일자목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358B1 true KR101659358B1 (ko) 2016-09-23

Family

ID=5704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337A KR101659358B1 (ko) 2015-08-25 2015-08-25 일자목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370B1 (ko) 2020-04-08 2020-11-04 (주)위드넥 착용 가능한 능동 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 부하 저감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470U (ko) * 1990-03-23 1991-12-13
JP2002248142A (ja) * 2001-02-26 2002-09-03 Daito Denki Kogyo Kk 首用マッサージ装置
JP2004160172A (ja) * 2002-09-27 2004-06-10 Daito Denki Kogyo Kk マッサージ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10124666A (ko) 2010-05-11 2011-11-17 이정우 세 발 킥보드
KR101572189B1 (ko) * 2014-07-22 2015-11-26 (주)라비오텍 물리치료용 경추 교정 베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470U (ko) * 1990-03-23 1991-12-13
JP2002248142A (ja) * 2001-02-26 2002-09-03 Daito Denki Kogyo Kk 首用マッサージ装置
JP2004160172A (ja) * 2002-09-27 2004-06-10 Daito Denki Kogyo Kk マッサージ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10124666A (ko) 2010-05-11 2011-11-17 이정우 세 발 킥보드
KR101572189B1 (ko) * 2014-07-22 2015-11-26 (주)라비오텍 물리치료용 경추 교정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370B1 (ko) 2020-04-08 2020-11-04 (주)위드넥 착용 가능한 능동 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 부하 저감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303B2 (en) Customizable chair with multipoint adjustment
US8038635B2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WO2017183632A1 (ja) 医療装置
US20140123883A1 (en) Ergonomic dsk
KR101095633B1 (ko) 척추 교정기
US9254042B2 (en) Backrest member including an adjustable platform for use with a chair
KR101354760B1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JP2017511738A (ja) 首運動のための首運動支持体を備えた椅子
JP4642127B1 (ja) 首整体器具
TWI617301B (zh) Spinal correction aid
KR20100022212A (ko) 마사지 장치
KR101659358B1 (ko) 일자목 교정기
KR101809348B1 (ko) 일자목 교정 자동장치
US20060135897A1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KR200454595Y1 (ko) 경추 견인 기구
KR101323176B1 (ko)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CN107854270A (zh) 一种半自动理疗床
WO2014125312A1 (en) Headrest for massage table
KR101602603B1 (ko) 목 운동기구
KR200475647Y1 (ko) 척추 측만증 교정기구
KR102473038B1 (ko) 각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인트 구조를 가진 체간 재활 훈련장치
US20030120188A1 (en) Posture reforming tool
JP3224958U (ja) 脊椎矯正用運動器具
CN209966688U (zh) 一种脊柱侧弯矫正装置
KR102253084B1 (ko) 등받이 장착형 거북목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