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176B1 -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176B1
KR101323176B1 KR1020130027880A KR20130027880A KR101323176B1 KR 101323176 B1 KR101323176 B1 KR 101323176B1 KR 1020130027880 A KR1020130027880 A KR 1020130027880A KR 20130027880 A KR20130027880 A KR 20130027880A KR 101323176 B1 KR101323176 B1 KR 10132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pair
coupled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명재천
Original Assignee
(주)제이.케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케이.에스 filed Critical (주)제이.케이.에스
Priority to KR1020130027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42Lying down
    • A63B2208/0252Lying down 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는: 사람이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의 만곡된 형상을 따라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호 이격 및 대향되게 구비된 한 쌍의 측면 프레임으로 된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부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만곡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걸쳐 가로로 결합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 신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가 본체 프레임부와 복수의 신체 지지부로 마련됨으로써 구성이 간단해져 제작이 편리해지고 제작비용도 절감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에 눕기만 하면 허리가 최대한 뒤로 젖혀지게 되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사용이 간편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fitness apparatus for correcting backbone}
본 발명은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에서 목까지 척추 전체의 근육과 척추 관절의 유연성 및 근력을 높여 바른 자세로 척추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직립 보행하는 사람의 특성상, 네발로 걷는 동물들과는 달리 인체의 중량을 지탱하고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척추 중에서 경추 및 요추와 골반을 중심으로 체중의 균형을 잡고 버티게 함으로써 일상생활은 물론 체육활동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척추는 상하 좌우 전후에 정상적으로 배열되어 정상적인 각도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척추를 지지하는 근육의 노화, 또는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하여 척추지지근육이 긴장하여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어 척추질환이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척추 특히 추간판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다수는 비정상적으로 척추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 예를 들어 평소 앉는 자세나 수면 자세와 같이 잘못된 생활 습관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경우 척추에 이상이 생기면 성장선(판)에 압박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원활하지 못해 성장 촉진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전신을 잡아 늘이듯이 하는 스트레칭 운동을 정기적으로 함으로써 근육 및 골격의 이완 작용에 의해 체형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42888호(2012년04월27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는 그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정밀한 제품의 양산이 어려워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가 불편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는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를 지지하는 만곡 구조가 별도로 없기 때문에 척추 교정의 효과가 작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 1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는 미사용시나 보관과 운반시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단이 별도로 없기 때문에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미사용시나 보관과 운반시 공간을 크게 차지하게 되므로 보관이 불편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42888호(2012년04월27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해짐으로써 정밀 양산 제작이 편리해지고 제작비용도 절감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해질 수 있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허리에서 목까지 척추 전체의 근육과 척추 관절의 유연성 및 근력을 높여주어 척추 교정의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함과 동시에 척추의 관절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효과까지도 제공할 수 있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미사용시나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보관과 운반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는: 사람이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의 만곡된 형상을 따라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호 이격 및 대향되게 구비된 한 쌍의 측면 프레임으로 된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부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만곡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걸쳐 가로로 결합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 신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프레임부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신체 지지부는 나무와 같은 비금속 재질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서 신체의 발이 놓이는 방향의 단부에는 발걸이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신체의 상체부터 하체까지 지지 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 상기 신체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미사용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회동 되어 절첩된 상태로 보관되게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비되되, 상기 측면 프레임 각각의 복수 영역이 연결되는 부위 중 어느 한 부위는 신체의 허리 부분에 대응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 프레임은, 신체의 상체 부분을 지지하는 상기 신체 지지부가 결합된 상체 프레임과, 신체의 허리 부분에 대응되게 상기 상체 프레임에 연결되어 신체의 하체 부분을 지지하는 상기 신체 지지부가 결합된 하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체 프레임 및 상기 하체 프레임의 연결 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의 연결 부위를 향해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각도 조절 볼트부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각도 조절 볼트부의 가압에 의해 밀리는 정도가 달라지는 조절 접촉봉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체 프레임 및 상기 하체 프레임의 연결 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래칫 기어부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래칫 기어부에 맞물리는 걸림 레버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가 본체 프레임부와 복수의 신체 지지부로 마련됨으로써 구성이 간단해져 정밀한 제품 양산 제작이 편리해지고 제작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에 눕기만 하면 허리가 중력과 만곡에 의해 최대한 뒤로 젖혀지게 되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사용이 간편해질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인도의 요가 중 하나인 쿠룬타 효과로 척추를 교정할 수 있다.
셋째, 본체 프레임부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고, 신체 지지부는 나무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온도, 습도, 날씨와 같은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람이 눕는 부분만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넷째, 본체 프레임부에서 신체의 발이 놓이는 방향의 단부에는 발걸이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발을 발걸이부에 고정한 상태에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에 편안하게 누워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혔다가 윗몸을 일으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척추 교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가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를 지지하는 만곡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다리와 골반 및 허리에서 목까지 척추 전체의 근육과 척추 관절의 유연성 및 근력을 높여주어 척추 교정의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함과 동시에 척추의 관절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효과까지도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가 미사용시 어느 한 부분이 다른 한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회동 되어 절첩되게 구비됨으로써 미사용시나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보관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고, 이동이나 운반도 용이 해질 수 있다.
일곱째, 상체 프레임 및 하체 프레임의 연결 부위에 각도 조절 볼트부나 래칫 기어부와 같은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어느 한 부분에 대한 다른 한 부분의 회전 각도가 간편하게 단계적으로 조절되거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덟째, 정밀가공에 의한 제품의 양산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품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해 상체 부위를 하체 부위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포개어 접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해 회동 절첩식으로 완전히 포개어 접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해 상체 부위를 하체 부위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포개어 접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6의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를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해 회동 절첩식으로 완전히 포개어 접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의 만곡된 형상을 따라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호 이격 및 대향되게 구비된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으로 된 본체 프레임부(20)와, 본체 프레임부(20)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마련되고 본체 프레임부(20)의 만곡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 상부에 걸쳐 가로로 결합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 신체 지지부(6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가 본체 프레임부(20)와 복수의 신체 지지부(60)로 마련됨으로써 구성이 간단해져 제작이 편리해지고 제작비용도 절감될 수 있으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가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를 지지하는 만곡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에 눕기만 하면 허리가 최대한 뒤로 젖혀지게 되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의 사용이 간편해질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를 사용함으로써 인도의 요가 중 하나인 쿠룬타 효과로 척추를 교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지지부(60)들이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30)의 상부에는 신체 지지부(60)들 각각이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결합부(31)가 구비되어 신체 지지부(60)들이 결합부(31)에 볼트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본체 프레임부(20)는 스틸(steel)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비되고, 신체 지지부(60)는 나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은 비금속 재질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체 프레임부(20)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고, 신체 지지부(60)는 나무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온도, 습도, 날씨와 같은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람이 눕는 부분만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접촉감을 높이고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본체 프레임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30) 외에도,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에 각각 연결되게 구비된 연결 프레임(40)과, 신체의 발이 놓이는 방향의 단부에 구비된 발걸이부(50)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체 프레임부(20)에서 신체의 발이 놓이는 방향의 단부에는 발걸이부(5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발을 발걸이부(50)에 고정한 상태에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에 편안하게 누워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혔다가 윗몸을 일으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척추 교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발걸이부(50)는 나무 재질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상체부터 하체까지 지지 되도록 본체 프레임부(20)에 신체 지지부(60)가 결합된 상태에서 미사용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회동 되어 절첩된 상태로 보관되게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비되되, 측면 프레임(30) 각각의 복수 영역이 연결되는 부위 중 어느 한 부위는 신체의 허리 부분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측면 프레임(30)의 전체적인 형상은 인체공학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대략 돌고래의 형상과 유사한 유선형이 되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가 미사용시 어느 한 부분이 다른 한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회동 되어 절첩되게 구비됨으로써 미사용시나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의 보관과 운반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으며,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가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를 지지하는 돌고래 형상의 만곡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허리에서 목까지 척추 전체의 근육과 척추 관절의 유연성 및 근력을 높여주어 척추 교정의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함과 동시에 척추의 관절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효과까지도 제공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측면 프레임(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상체 부분을 지지하는 신체 지지부(60)가 결합된 상체 프레임(33)과, 신체의 허리 부분에 대응되게 상체 프레임(33)에 연결되어 신체의 하체 부분을 지지하는 신체 지지부(60)가 결합된 하체 프레임(35)을 포함한다.
상체 프레임(33) 및 하체 프레임(35)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힌지부(7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체 프레임(35)은 다시 두 부분으로 나뉘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힌지부(7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 프레임(33)에는 상체 프레임(33)의 만곡된 형상을 따라 슬라이딩 홈(34)이 천공 형성되고, 하체 프레임(35)에는 슬라이딩 홈(34)에 끼워지게 슬라이딩 레일(36)이 하체 프레임(35)의 만곡된 형상을 따라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가 미사용시 상체 프레임(33)이 하체 프레임(35)에 대해 슬라이딩 절첩된 후 하체 프레임(35)의 두 부분 중 상체 프레임(33)이 절첩된 부분이 상체 프레임(33)이 절첩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 회동 절첩되게 구비됨으로써 미사용시나 보관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체 프레임(33)에는 슬라이딩 홈(34)이 천공 형성되고, 하체 프레임(35)에는 슬라이딩 레일(36)이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체 프레임(33)에 슬라이딩 레일(36)이 돌출 형성되고, 하체 프레임(35)에 슬라이딩 홈(34)이 천공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 프레임(33) 및 하체 프레임(35)의 연결 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의 연결 부위를 향해 본체 프레임부(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각도 조절 볼트부(71)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각도 조절 볼트부(71)의 가압에 의해 밀리는 정도가 달라지는 조절 접촉봉(77)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체 프레임(33) 및 하체 프레임(35)의 연결 부위에 각도 조절 볼트부(71) 및 조절 접촉봉(77)과 같은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의 어느 한 부분에 대한 다른 한 부분의 회전 각도가 간편하게 단계적으로 조절되거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조절 접촉봉(77)은 상호 대향된 한 쌍의 상체 프레임(33)에 양단부가 고정되게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결합되고, 각도 조절 볼트부(71)는 조절 접촉봉(77)을 향해 약간 경사지게 하체 프레임(35)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체 프레임(35)에서 각도 조절 볼트부(71)가 구비된 영역 중 일부에는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어 각도 조절 볼트부(71)를 돌리거나 풀 수 있도록 각도 조절공(38)이 천공되게 형성되고, 하체 프레임(35)의 내측에는 각도 조절 볼트부(71)가 체결되는 각도 조절 너트부(73)가 구비된다.
한편, 조절 접촉봉(77)에 접촉되는 각도 조절 볼트부(71)의 단부에는 탄성체로 된 접촉 마감부재(75)가 구비될 수 있고, 하체 프레임(35)에서 각도 조절 볼트부(71)가 구비된 영역의 내측에는 각도 조절 볼트부(7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지지 블록이 각도 조절 볼트부(71)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고정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도 조절 볼트부(71)의 각도 조절 너트부(73)에 대한 체결 정도를 달리하면 각도 조절 볼트부(71)의 조절 접촉봉(77)에 대한 진입 깊이가 가변되어 각도 조절 볼트부(71)의 단부에 구비된 접촉 마감부재(75)가 조절 접촉봉(77)을 가압하는 정도와 조절 접촉봉(77)의 밀리는 정도가 달라지게 됨으로써 힌지부(70)의 회동에 의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의 어느 한 부분에 대한 다른 한 부분의 회전 각도가 간편하게 단계적으로 조절되거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체 프레임(33)과 하체 프레임(35)이 연결되어 허리의 굽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만곡 형상은 사용자가 허리를 지나치게 젖혀 신체에 무리를 받는 일이 없도록 의학적 자료(최대 굴신과 신전 각도)를 적용하여 각도 조절 볼트부(71) 및 조절 접촉봉(77)과 같은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되는 최대 굽힘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사용상 안전이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는 보관 또는 운반될 수 있도록 회동 절첩식으로 완전히 포개어 접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 프레임(33) 및 하체 프레임(35)의 연결 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래칫 기어부(81)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래칫 기어부(81)에 맞물리는 걸림 레버부(8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래칫 기어부(81)는 하체 프레임(35)에 구비되고, 걸림 레버부(85)는 상체 프레임(33)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체 프레임(33) 및 하체 프레임(35)의 연결 부위에 래칫 기어부(81) 및 걸림 레버부(85)와 같은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의 어느 한 부분에 대한 다른 한 부분의 회전 각도가 간편하게 단계적으로 조절되거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는 보관 또는 운반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절첩식으로 완전히 포개어 접혀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는 보관 또는 운반될 수 있도록 회동 절첩식으로 완전히 포개어 접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의 상체 프레임(33) 및 하체 프레임(35)이 연결된 부위에 결합된 신체 지지부(60)들이 사람의 허리가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를 지지하도록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에 누워 허리가 최대한 뒤로 젖혀지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발걸이부(50)에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에 눕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 허리가 뒤로 젖혀지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각도 조절공(38)에 손을 집어넣어 각도 조절 볼트부(71)를 돌리거나 풀어 각도 조절 너트부(73)에 체결된 각도 조절 볼트부(71)의 체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상체 프레임(33)과 하체 프레임(35)이 상호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의 미사용시나 보관시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사용자가 사용을 다 마친 후에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의 상체 프레임(33) 부분을 하체 프레임(35)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 절첩시킨 후, 하체 프레임(35)의 두 부분 중 상체 프레임(33)이 절첩된 부분을 상체 프레임(33)이 절첩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 회동 절첩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10)가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를 지지하는 만곡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인도의 요가 중 하나인 쿠룬타 효과로 허리에서 목까지 척추 전체의 근육과 척추 관절의 유연성 및 근력을 높여주어 척추 교정의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함과 동시에 척추의 관절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효과까지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20 : 본체 프레임부 30 : 측면 프레임
33 : 상체 프레임 35 : 하체 프레임
50 : 발걸이부 60 : 신체 지지부
71 : 각도 조절 볼트부 77 : 조절 접촉봉
81 : 래칫 기어부 85 : 걸림 레버부

Claims (7)

  1. 사람이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의 만곡된 형상을 따라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호 이격 및 대향되게 구비된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으로 된 본체 프레임부(20); 및 상기 본체 프레임부(20)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부(20)의 만곡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에 걸쳐 가로로 결합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 신체 지지부(60);를 포함하되,
    신체의 상체부터 하체까지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부(20)에 상기 신체 지지부(60)가 결합된 상태에서 미사용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회동 되어 절첩된 상태로 보관되게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비되되, 상기 측면 프레임(30) 각각의 복수 영역이 연결되는 부위 중 어느 한 부위는 신체의 허리 부분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30)은 신체의 상체 부분을 지지하는 상기 신체 지지부(60)가 결합된 상체 프레임(33)과, 신체의 허리 부분에 대응되게 상기 상체 프레임(33)에 연결되어 신체의 하체 부분을 지지하는 상기 신체 지지부(60)가 결합된 하체 프레임(35)을 포함하며,
    상기 상체 프레임(33) 및 상기 하체 프레임(35)의 연결 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의 연결 부위를 향해 상기 본체 프레임부(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각도 조절 볼트부(71)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각도 조절 볼트부(71)의 가압에 의해 밀리는 정도가 달라지는 조절 접촉봉(7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부(20)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신체 지지부(60)는 나무와 같은 비금속 재질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부(20)에서 신체의 발이 놓이는 방향의 단부에는 발걸이부(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사람이 허리를 최대한 뒤로 젖힌 상태의 만곡된 형상을 따라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호 이격 및 대향되게 구비된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으로 된 본체 프레임부(20); 및 상기 본체 프레임부(20)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부(20)의 만곡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에 걸쳐 가로로 결합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 신체 지지부(60);를 포함하되,
    신체의 상체부터 하체까지 지지 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부(20)에 상기 신체 지지부(60)가 결합된 상태에서 미사용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회동 되어 절첩된 상태로 보관되게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비되되, 상기 측면 프레임(30) 각각의 복수 영역이 연결되는 부위 중 어느 한 부위는 신체의 허리 부분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30)은 신체의 상체 부분을 지지하는 상기 신체 지지부(60)가 결합된 상체 프레임(33)과, 신체의 허리 부분에 대응되게 상기 상체 프레임(33)에 연결되어 신체의 하체 부분을 지지하는 상기 신체 지지부(60)가 결합된 하체 프레임(35)을 포함하며,
    상기 상체 프레임(33) 및 상기 하체 프레임(35)의 연결 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래칫 기어부(81)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래칫 기어부(81)에 맞물리는 걸림 레버부(8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KR1020130027880A 2013-03-15 2013-03-15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KR101323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80A KR101323176B1 (ko) 2013-03-15 2013-03-15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80A KR101323176B1 (ko) 2013-03-15 2013-03-15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176B1 true KR101323176B1 (ko) 2013-10-30

Family

ID=4963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880A KR101323176B1 (ko) 2013-03-15 2013-03-15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1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0060A (zh) * 2015-09-26 2015-11-25 黎玮君 拉环式多功能健身器
CN105107146A (zh) * 2015-09-26 2015-12-02 黎玮君 多功能健身器
EP3603753A1 (de) * 2018-08-02 2020-02-05 Max Fitness GmbH Sportgerät
CN112933526A (zh) * 2021-02-08 2021-06-11 南阳师范学院 一种体育教学多功能组合训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552A (ja) * 1998-09-30 2000-04-11 Gurooueru Kk 頸椎用の健康器具および器具カバー
KR200399189Y1 (ko) * 2005-07-26 2005-10-20 우성미 척추이완 기구
KR20070111252A (ko) * 2006-05-17 2007-11-21 우성미 척추이완용 기구
KR20110093750A (ko) * 2011-07-11 2011-08-18 박태영 허리신장운동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552A (ja) * 1998-09-30 2000-04-11 Gurooueru Kk 頸椎用の健康器具および器具カバー
KR200399189Y1 (ko) * 2005-07-26 2005-10-20 우성미 척추이완 기구
KR20070111252A (ko) * 2006-05-17 2007-11-21 우성미 척추이완용 기구
KR20110093750A (ko) * 2011-07-11 2011-08-18 박태영 허리신장운동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0060A (zh) * 2015-09-26 2015-11-25 黎玮君 拉环式多功能健身器
CN105107146A (zh) * 2015-09-26 2015-12-02 黎玮君 多功能健身器
EP3603753A1 (de) * 2018-08-02 2020-02-05 Max Fitness GmbH Sportgerät
CN112933526A (zh) * 2021-02-08 2021-06-11 南阳师范学院 一种体育教学多功能组合训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211B1 (ko) 요추지지방석
KR101272196B1 (ko)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
KR101323176B1 (ko)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TWI617301B (zh) Spinal correction aid
US20210298980A1 (en) Spin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AU2008336270B2 (en) Antigravity muscle exerciser and methods of using same
EP3435822B1 (en) Body support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101436747B1 (ko) 자세교정 의자
KR101564502B1 (ko) 척추 교정장치
JP3180581U (ja) ストレッチ器具
ES2310594T3 (es) Dispositivo de ejercicios y sujecion.
TW202031223A (zh) 床體結構
US11911332B2 (en) Passive spine elongation device
KR101093555B1 (ko) 앉은 자세 교정기구
CN210870567U (zh) 一种坐姿矫正椅
JP2007044389A (ja) 運動補助具
CN111602991B (zh) 床体结构
KR101093556B1 (ko) 앉은 자세 측정장치
CN212118909U (zh) 一种胸背部矫正训练装置
KR102047714B1 (ko) 척추교정 및 허리근력강화를 위한 의료보조기구
CN215015417U (zh) 一种脊柱健康椅
KR102226216B1 (ko) 휴대용 경추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