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03B1 -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 Google Patents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03B1
KR101577903B1 KR1020140088822A KR20140088822A KR101577903B1 KR 101577903 B1 KR101577903 B1 KR 101577903B1 KR 1020140088822 A KR1020140088822 A KR 1020140088822A KR 20140088822 A KR20140088822 A KR 20140088822A KR 101577903 B1 KR101577903 B1 KR 10157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neck
support
support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457A (ko
Inventor
현희숙
Original Assignee
현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희숙 filed Critical 현희숙
Publication of KR2015000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수면시 발생될 수 있는 목디스크의 발생원인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혹시 발생된 문제가 있었다면 이를 교정하고 치료도 할 수 있도록 한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목이 편안한 수준에서 지지받을 수 있도록 하여, 그동안 높은 베개를 베면서 수면을 취한 관계로 목뼈가 삐틀어지거나 자라목이 된 척추질환의 환자를 교정도 하지만, 목을 받치며 인체 머리의 후두부를 탄성과 복원능이 높은 베개로 지지하도록 하여 항상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pillow for effect of correction and treatment}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수면시 발생될 수 있는 목디스크의 발생원인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혹시 발생된 문제가 있었다면 이를 교정하고 치료도 할 수 있도록 한,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목이 편안한 수준에서 지지받을 수 있도록 하여, 그동안 높은 베개를 베면서 수면을 취한 관계로 목뼈가 삐틀어지거나 자라목이 된 척추질환의 환자를 교정도 하지만, 목을 받치며 인체 머리의 후두부를 탄성과 복원능이 높은 베개로 지지하도록 하여 항상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수면을 취할 때, 목이나 머리의 후두부를 지그시 지지하여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용품이다.
그런데 종래의 베개는 이러한 기능적인 수행이 미미하여 목디스크를 유발시키는 요인, 자라목이 되게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인간이 잠을 깊고 편하게 자려면 적당한 베개를 베야 한다. 베개의 활용은 목이나 허리 건강뿐 아니라 고혈압에도 중요하다. 사람마다 틀리지만 성인에게 알맞는 베개의 높이는 6∼8cm이다. 등뼈가 S자 모양으로 굽어져 휘어진 등뼈나 목뼈에 맞추기 위해서는, 올바른 보행의 자세는 물론 수면시 바른 수준으로 머리가 위치해야 하고 목뼈가 삐틀어진 자세를 취하면 안된다.
특히 노인일수록 이러한 올바른 보행과 수면자세가 필요한데, 노인의 경우 더욱더 높은 베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에 더 큰 문제를 유발시킨다.
베개는 모든 수면을 취하는 사람들에게, 약간의 머리를 높여주는 자세를 취하게 하여, 뇌의 피가 신체로 내려가게 하여 숙면을 유발시키고, 휴식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그러나 너무 높은 베개는 목에 이상을 가져올 뿐 아니라 허리건강을 해치게하여 높은 베개를 베고 자는 습관은 버려야 하고 이러한 정보는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공지된 상태이다. 더구나 숙면을 위한 베개가 너무 낮아도 어깨에 부담이 가 어깨 결림 등의 원인이 되기에 올바른 수면의 습관은 더욱 필요하다. 베개의 견도(堅度-단단한 정도)도 숙면과 깊은 관계가 있다. 깃털 베개나 부드러운 베개는 머리를 충분히 지탱하지 못하기 때문에 목 근육에 긴장감을 가져오고 숙면을 방해한다. 어느 정도 단단한 소재의 베개로 뒤통수만 걸칠게 아니라 머리 뒤쪽 전체가 지지되도록 목까지 받쳐주는 것이 좋다(1994년1월 10일자 한국일보 참조)
[목뼈척추관 협착증에 대하여]
한편, 높은 베개로 인하여 잦은 수면을 취하게 되면, 목뒤가 뻐근하게 아프고 팔과 손가락이 저리고 때로는 다리까지 저린다. 팔다리에는 눈에 보이는 큰 이상이 없기에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 있지만, 환자의 경우 통증이 계속적으로 전해져, 이를 정밀하게 조사해 보면 이것은 경추척추 관협착증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목뼈 속에 신경이 지나가는데 손가락 굵기만한 척추관이 수면시 올바른 자세를 취하지 못하고 이리저리 삐틀어진 상태로 눌리게 되면, 척추관은 서서히 좁아져 중추신경인 척추가 압박 당하여 마비증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원인은 선천적 척추관이 좁아진 경우도 있겠지만 층계에서 넘어졌다든지 교통 사고로 경추를 다치거나, 수면시 발생되는 잦은 목의 짖눌림이 경추 협착증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물리 치료 등을 계속해야만, 치료가 가능하다고 한다(1994년 7월 20일자 한국일보 참조).
[베개 높게 베면 온몸에 병 생긴다]
또한 고침단명(高枕短命), 즉 베개를 높게 베면 오래 살지 못한다는 옛말이 있다. 베개를 지나치게 높게 베면 목뼈는 물론 몸 전체의 뼈 구조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각종 질환을 유발한다. 목뼈에 무리를 주어 경추 이상과 어지럼증, 어깨 결림, 귀가 울리는 이명증, 팔저림 증상의 주요 원인이 된다. 경추는 머리의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커브형(63°)을 하고 있는 데 베개를 장시간 높게 베면 "1자목”이나 "자라목"의 형태로 변형될 가능성이 있고, 이렇게 될 경우 경추와 요추에 무리를 주어, 흉추, 요추에 디스크 질환을 유발한다. 또한, 요통, 좌골신경통, 신경마비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혹자는, "척추질환 환자는 얼굴이 앞쪽으로 튀어 나온 자세에 등이 굽고 어깨가 움츠러든 자세를 취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베개를 높이 베는 습관과 무관하지 않으므로 가능한 한 낮게 목과 어깨 부위에 베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고 강조한다(스포츠서울 1998년 8월 27일자). 즉, 베개를 높게 베는 습관이 들게 되면, 깨어있는 상태에서도 수면시의 습관처럼, 얼굴을 앞으로 튀어나오도록 생활을 하고, 이러한 자세를 유지하며 보행을 취한다.
뒷목은 머리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커브형(63°)을 하고 있는데 잘못된 베개를 베면 목주변 근육의 형태가 변경되어 뒷목 속에 들어있는 경막이 비틀리고, 이를 통해서 고통이 발생된다. 목의 근육의 조그마한 변화도 제1 및 제2 경추의 정상적인 위치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고, 목근육의 긴장(spasm)을 초래한다. 하악골의 기능 부전에 의한 C1과 C2의 잘못된 자세는 경막이 경추 2 - 경추 3번에 붙어있으므로 경막을 비틀게 된다. 목의 근육의 불균형과 결과적인 경막을 비트는 힘은 척추측만증(scoliosis), 경추의 심한 전만증(hypolordosis-militaryneck) 즉, 일자목을 가져온다. 이 제1 및 제2 경추는 척추와 머리의 자세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열쇠를 베개가 가지고 있다.
목뼈주변을 구성하는 근육 조직의 신경과 근육의 불균형이 생기면 환추(atlas, 제1 경추)와 축추(axis, 제2 경추)가 비정상적인 위치로 전이되고, 이로 인해 머리 통증, 어깨 결림, 척추 만곡, 골반, 근육 긴장, 분비물 순환기 질환 등이 정상생리적인 위치와 자세를 벗어나게 되어 신체 내에서 병적인 긴장(stress)을 유발하는 요소가 된다. 이것들을 컨트롤(잡아주는)해주는 획기적인 역할은 인체공학적인 베개와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면습관을 통해서 해결이 가능하다.
물론 이와 관련된 베개가 시중에 수없이 많은 종류가 판매되고 있고, 수없이 많은 종류의 기능성 및 치료성 베개가 개발되고 있지만, 모두 완벽한 치료를 발생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높은 베개를 사용한 자세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높은 베개를 사용한 자세의 결과를 나타낸 전신 단면도(斷面圖)이다.
상기 도면에 의해 높은 베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목 부분의 변형이 발생될 소지가 높고, 이는 건강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반면에 낮은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지만, 특별히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제안은 없었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 출원 제10-2013-83340호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에 대한 건을 출원한 바 있다. 그리고 이 건 발명은 이를 보완한 국내우선권주장 출원이다.
종래 선출원의 문제점도 보완하여 다시 출원하는 이 건은 모든 사용자가 수면시 취해야 하는 바른 자세를 가질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베개를 제안한다.
1994년1월 10일자 한국일보 1994년 7월 20일자 한국일보 1998년 8월 27일자 스포츠서울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수면시 발생될 수 있는 목디스크의 발생원인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혹시 발생된 문제가 있었다면 이를 교정하고 치료도 할 수 있도록 한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이 건 발명은 목이 편안한 수준에서 지지받을 수 있도록 하여, 그동안 높은 베개를 베면서 수면을 취한 관계로 목뼈가 삐틀어지거나 자라목이 된 척추질환의 환자를 교정도 하지만, 목을 받치며 인체 머리의 후두부를 탄성과 복원능이 높은 베개로 지지하도록 하여 항상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인체공학적인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는, 배게의 저면에 위치하는 베이스 부재(1); 상기 베이스 부재(1) 상에 소정 폭을 남겨 두고 탑재된 반타원형의 서포트 부재(2): 상기 서포트 부재(2) 상부를 일부분 포개도록 설치된 제1 스티로폴(3); 상기 서포트 부재(2) 상부를 일부분 감싸도록 설치된 상기 제1 스티로폴(3)을 재차 포개어 덮도록 설치된 제2 스티로폴(4); 상기 구성요소 전체를 감싸도록 한 부직포(5); 상기 부직포(5)층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부직포(5)층의 외부를 커버하는 타올부재(6); 상기 베이스 부재(1) 상이면서 상기 상기 서포트 부재(2)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공간(7) 및 제2 공간(8);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개를 수면자가 베면, 반타원형의 서포트 부재(2)는 목 부분을 하드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 공간(7) 및 제2 공간(8)은, 수면자의 후두부의 중량에 의해 제1 스티로폴(3) 및 제2 스티로폴(4)이 내려 앉으면서 수면자의 후두부분을 소프트하게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는, 베개의 저면을 형성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지지베이스(20); 상기 지지베이스(20)의 상부로 목을 받치기 위해서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서포트 부재(S); 상기 서포트 부재(S)를 감싸며 상부로 일정한 높이를 가진 형태로 안착되는 고탄력 복원부(K)를 가지되, 상기 고탄력 복원부(K)의 단면 형상은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01
"으로 형성하여 받쳐지는 목과 후두부의 외형에 따른 인체공학적인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로 외형을 가지도록 한 고탄력 복원부(K); 상기 지지베이스(20), 서포트 부재(S) 및 고탄력 복원부(K)를 감싸되, 상기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의 외형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동일한 외형으로 형상화되고, 수분의 흡수를 차단하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되, 일측에는 구성요소의 삽입을 위한 지퍼부(32)를 형성한 방수커버(31); 상기 방수커버(31)의 외곽을 덮도록 동일한 외형을 유지하고, 일측에 구성요소의 삽입을 위한 별도의 지퍼부(34)를 가진 직물류의 외피커버(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베개를 사용할 경우에, 6∼8cm의 높이의 낮은 위치에서 목과 후두부를 함께 지지하여 수면시에도 항상 펼친 목뼈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에 따른, 고탄력 복원부(K)는, 지지베이스(20)의 상부로 반타원형의 서포트 부재(S)를 길이 방향으로 올려두고, 그 상부로 상기 반타원형의 서포트 부재(S)의 상단을 덮는 고강도의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제1 쿠션패드층(21)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쿠션패드층(21)의 상부로 일정한 두께로 포개어 덮되, 포개진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02
"형의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가 이루어지도록 커팅되어, 고탄성과 복원력을 가진 스폰지 타입의 탄성층이 되는 복원 패드층(23); 상기 복원 패드층(23)과 최하단의 서포트 부재(S)를 외곽에서 감아주는 형태로 쌓아 형상의 1차 고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 쿠션패드층(22);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서포트 부재(S)의 측방인 후두부 지지부(B) 하단에는 자연스럽게 탄성공간(AC)을 형성하여 후두부를 부드럽게 지지해주고 : 다른 실시예의 고탄력 복원부(K)는, 지지베이스(20)의 상부로 높은 복원 성능을 가진 쿠션패드나 라텍스를 이용하여 형상을 제작하되, 지지베이스(20)의 상부로 포개진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03
"형의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가 이루어지도록 커팅하며, 목지지 라운드부(A)의 하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서포트 부재(S)가 내장될 수 있도록 한 서포트공(41)을 형성한 패드블럭이며 : 상기 서포트 부재(S)는, 목재, 금속, 광물 및 합성수지류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에 따른, 서포트 부재(S)는, 뒷목의 라운드진 외곽면에 밀착될 수 있는, 반타원형 단면을 가진 반타원 바(30)의 형상이거나 또는 원형 볼(50)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하고 : 패드블럭으로 이루어진 고탄력 복원부(K)는, 그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04
"형의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가 이루어지도록 커팅하되, 좌우 양단에서 7∼15cm는 테이퍼지게 그 크기가 확대되도록 한 쿠션 확대부(a)를 형성하고, 쿠션 확대부(a)의 중간인 중심부 20∼30cm는 수평부(b)를 형성하여, 수평부(b)에 목을 받치고 누울 때, 테이퍼지게 확대되는 쿠션 확대부(a)가 안정된 수면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수평부(b)까지의 높이(h1)는 6∼8cm이고, 쿠션 확대부(a)의 끝단 높이(h2)는 9∼12cm로 형성하여, 실질적으로 이에 대응하는 방수커버(31)와 외피커버(33)도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끝단이 확대되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목을 지지하는 형태로 보다 안락하게 베개를 베고 잘 수 있기에, 편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고, 수면으로 인하여 피곤함을 말끔히 씻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수면시 머리에 피가 순환하기 손쉬워서, 머리가 맑아지고 최상의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높이가 약 6∼8cm의 높이로 맞춘 상태이기에 목이 펴질 수 있는 상태로 수면을 취할 수 있기에, 어깨걸림을 방지하여 팔까지 편안하게 쉴 수 있으며, 목디스크나 척추질환을 발생시켰던 종래 베개의 문제점을 말끔히 해결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높은 베개를 사용한 자세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높은 베개를 사용한 자세의 결과를 나타낸 전신 단면도(斷面圖),
도 3은 본 발명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제1 실시예의 베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베개를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베개를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베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베개를 베고 수면을 취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베개에 서포트 부재를 삽입하되, 원형의 볼을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 8의 베개를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베개의 다른 실시형태로, 좌우양단에 쿠션 확대부를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도 10의 베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a는 고탄력 복원부에 있어서의 후두부 지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고탄력 복원부에 있어서의 후두부 지지부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수면시 반드시 필요로 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가져, 불안전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었던 목디스크 등의 여러 증상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교정 및 치료가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건강 베개를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베개는 도시된 도 3에서처럼, 배게의 저면에 위치하는 베이스 부재(1)가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1) 상에 소정 폭을 남겨 두고 탑재된 반타원형의 서포트 부재(2)가 있으며, 상기 서포트 부재(2) 상부를 일부분 포개도록 설치된 제1 스티로폴(3)이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부재(2) 상부를 일부분 감싸도록 설치된 상기 제1 스티로폴(3)을 재차 포개어 덮도록 설치된 제2 스티로폴(4)이 있고, 상기 구성요소 전체를 감싸도록 한 부직포(5)가 있으며, 상기 부직포(5)층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부직포(5)층의 외부를 커버하는 타올부재(6)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 상이면서 상기 상기 서포트 부재(2)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공간(7) 및 제2 공간(8)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개를 수면자가 베면, 반타원형의 서포트 부재(2)는 목 부분을 하드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 공간(7) 및 제2 공간(8)은, 수면자의 후두부의 중량에 의해 제1 스티로폴(3) 및 제2 스티로폴(4)이 내려 앉으면서 수면자의 후두부분을 소프트하게 지지한다.
이 실시예의 베개는 종래 이 건 발명의 선출원 특허 제10-2013-83340호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의 실시예이다. 종래 출원된 선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그대로 수용한 상태이기는 하지만, 약간의 보정이 있다. 이유는 선출원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타올부재(6)의 외측에 부직포(5)로 층을 이루어 베개를 형성한 것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이는 정확한 표현이 아니었다. 사실상 이 건 발명의 제1 실시예로 기재하는 도 3의 베개는 부직포(5)층의 외부로 타올부재(6)를 감싸 보다 안락하고 편안하게 베개를 벨 수 있도록 한다.
이 건 발명에서 중요한 사항은 베개의 내측에 강한 경도의 서포트 부재(2)를 내장한다는 것이다. 이 서포트 부재(2)는 반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베개의 길이 방향으로 내장되어 목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의도적으로 종래의 베개와는 달리 고강도를 가진 재질로 서포트 부재(2)를 내장하였다. 이 서포트 부재(2)는 대체적으로 목재로 이루어지지만, 황토블럭이나 맥반석 돌을 갈아 형상화시켜 내장시켜도 무방하다. 저가의 재료인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해도 무방하다. 이 건 발명은 목을 견고하게 받치는 역할을 하는 베개이기에 내장되는 서포트 부재(2)는 견고한 제질이지만, 그 상부를 덮는 제1 스티로폴(3)과 제2 스티로폴(4)은 패드의 형태로 깔린다. 물론 상기 서포트 부재(2)의 하단에는 베개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 부재(1)를 깐다. 이 베이스 부재(1)는 목재나 합성수지 패널의 형태로 항상 이 건 발명의 베개가 바닥면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베개의 경우 별도의 바닥면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유는 원형의 단면이나 부드럽게 라운드진 사각형의 단면을 가져서, 사실상 베개의 정확한 상부와 하부가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건 발명의 경우, 정확한 바닥면을 가지고 있기에 상부와 하부가 정확하게 구분된다. 이 건 발명에서 베개에 내장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1)는 플레이트 형태를 하고 있기에 항상 바닥면에 깔려 바닥면과 밀착되면서 저면을 형성한다. 이는 안정한 베개의 위치나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스티로폴(4) 패드의 상부로는 부직포(5)로 감싸 부직포(5)층을 형성하는데, 이 부직포(5)는 자루의 형태이기에 상기 베이스 부재(1), 서포트 부재(2), 제1 스티로폴(3), 제2 스티로폴(4) 패드가 흐트러지지 않고 정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부직포(5)로 감싸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목을 받치는 시간이 오래되고, 연속되어도 그 내구성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 부직포(5)층의 외곽으로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타올부재(6)를 형성하여 상기 부직포(5)와 동일한 역할을 하면서도, 수면시 발생될 수 있는 땀의 흡수를 용이하게 한다. 물론 사용자의 목과 밀착되면서 보다 부드러운 질감을 주어 보다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스티로폴(3)과 제2 스티로폴(4) 패드의 역할도 사실상 사용자의 목과 후두부가 아프거나 짖눌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나아가 이 건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더욱 주요하게 고려한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제1 공간(7)과 제2 공간(8)이다. 이 건 발명의 베개는 목을 받치되, 수면자의 뒤통수, 즉, 후두부도 지그시 받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 후두부가 베개를 가압할 때, 베개는 그 외형이 찌그러지면서 무게를 지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이 있고난 후에 복원의 성능을 가장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가 바로 이 공간부를 두는 것이기에 이 건 발명에서는 이렇게 제1, 2 공간(7, 8)을 형성하여 탄성력의 발휘는 물론 복원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이 건 발명의 베개를 사용하는 자는 도 7에서처럼, 먼저 목부분이 견고한 서포트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고, 후두부는 수준이 낮은 상기 제1, 2 공간의 상단으로 지지받는다. 후두부의 숨골부분이 제1, 2 공간의 탄성력으로 지지받아 숨쉬기를 편하게 한다. 이는 엄마의 팔베개와 같은 역할을 하여 항상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a에서와 같이, 후두부 지지부(B)의 깊이가 더 오목하게 되는 형상을 구현할 수도 있고, 도 12b에서와 같이 후두부 지지부(B)의 아래쪽에 타원형이나 원형의 통공(70)을 형성하여 베개를 벨 때 통공(70)이 눌리면서 후두부의 숨골부분이 더욱 편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언급된 제1 실시예의 베개는 사실상 종래 선출원의 출원서에 공개된 내용이다.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은 이 베개를 실시하고 많은 판매실적을 거두며, 다양한 사용자의 문의와 찬사를 받았다. 그 후에 이 건 발명은 후술되는 제2, 3실시예의 새로운 베개로 진화하게 되는데, 바로 이 건 발명의 이 새로운 실시예도 그 권리범위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결국 이 건 발명의 국내우선권을 주장하며, 종래 선출원의 특허권에 부가하여 신규 개발한 제2, 제3 실시예의 베개(100)도 그 고유한 권리범위를 갖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를 추가하는 형태로 그 권리범위를 청구하여,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은 새로운 발명은 물론 선출원의 권리범위도 수용하고자 한다. 참고로 이 건 발명에서는 제1 실시예는 별도의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제2, 제3 실시예는 동일한 형상이나 구조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럼 도시된 도 4와 도 5의 제2, 제3 실시예의 베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이 건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베개(100)는, 베개의 저면을 형성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지지베이스(20)를 두고, 상기 지지베이스(20)의 상부로 목을 받치기 위해서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서포트 부재(S)를 형성하며, 상기 서포트 부재(S)를 감싸며 상부로 일정한 높이를 가진 형태로 안착되는 고탄력 복원부(K)를 가지되, 상기 고탄력 복원부(K)의 단면 형상은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05
"으로 형성하여 받쳐지는 목과 후두부의 외형에 따른 인체공학적인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로 외형을 가지도록 한 고탄력 복원부(K)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베이스(20), 서포트 부재(S) 및 고탄력 복원부(K)를 감싸되, 상기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의 외형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동일한 외형으로 형상화되고, 수분의 흡수를 차단하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되, 일측에는 구성요소의 삽입을 위한 지퍼부(32)를 형성한 방수커버(31)가 있다. 또한 이 건 발명의 베개는 상기 방수커버(31)의 외곽을 덮도록 동일한 외형을 유지하고, 일측에 구성요소의 삽입을 위한 별도의 지퍼부(34)를 가진 직물류의 외피커버(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베개(100)를 사용할 경우에, 6∼8cm의 높이의 낮은 위치에서 목과 후두부를 함께 지지하여 수면시에도 항상 펼친 목뼈를 유지하도록 한다.
사실상 전술된 제1 실시예의 베개(100)에 비하여 형상면에서는 동일 내지 유사하다. 단지 선출원의 베개(상기 제1 실시예)는 제1, 2 스티로폴(3, 4)을 내장하여 딱딱한 재질의 서포트 부재(2)에서 전달되는 압박을 최소화시켰지만, 이는 충분한 것이 아니었다.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은 제1 실시예의 베개를 판매 하던 중, 사용자에게서 사용후기로 나오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를 창안하였다. 제2, 제3 실시예의 베개(100)는 제1 실시예의 베개에 비하여 보다 탄성과, 복원력을 향상시키고, 보다 인체공학적으로 사람의 목과 후두부에 적응시킬 수 있도록 했으며, 보다 견고하고 내구성이 높은 형태로 제작하였다.
즉, 이 건 발명의 제2, 제3 실시예는 베개(100)의 최하단이 되는 저면에 지지베이스(20)를 깔아준다. 이 지지베이스부(20)도 플레이트 형태이고, 목재, 합판 또는 합성수지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평평한 지지베이스(20)의 상단에 서포트 부재(S)가 안착된다. 이 서포트 부재(S)는 전술된 제1 실시예의 베개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서포트 부재(S)의 상부로 이 건 발명의 제2, 제3 실시예의 베개(100)는 고탄력과 높은 복원력을 가진 고탄력 복원부(K)를 형성한다. 보다 두툼한 고탄력 복원부(K)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탄력 복원부(K)와 서포트 부재(S) 및 지지베이스(20)를 완전히 포함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커버(31)가 형성된다. 이 방수커버(31)는 혹시 수면시 땀이 발생되어 베개(100)의 내측으로 유입될 때,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여 건강에 해로운 경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방수커버(31)의 외곽으로 부드러운 직물류의 외피커버(33)를 덮어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면류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합성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단지 상기 방수커버(31)와 외피커버(33)는 일측에 자크(32, 34)를 형성하고 있기에 고탄력 복원부(K)와 서포트 부재(S) 및 지지베이스(20)를 삽입하기 용이하다. 이 건 발명에서 중요한 사항은 상기 고탄력 복원부(K)의 형상인데, 이 형상은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06
"이다. 목을 지지하는 부분이 더 수준이 높게 형성하되 부드럽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두부를 지지하는 부분은 부르럽게 라운드진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목선과 후두부의 인체 형상을 그대로 재현하여 목과 후두부의 지지가 올바르도록 한 것이다.
이 고탄력 복원부(K)는 탄성과 복원을 유지하면서도, 이 형상을 유지하도록 제작되는데, 이 고탄력 복원부(K)가 용이하게 수용되고, 모든 구성요소들이 자기의 위치를 고수하며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방수커버(31)와 외피커버(33)도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한다.
도시된 도 4에는 제2 실시예의 베개(100)가 도시된 도 5에는 제3 실시예의 베개(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2개의 실시예는 모두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고탄력 복원부(K)의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있지만 고탄력 복원부(K)의 재질과 그 형성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도 4의 제2 실시예 고탄력 복원부(K)는, 지지베이스(20)의 상부로 반타원형의 서포트 부재(S)를 길이 방향으로 올려두고, 그 상부로 상기 반타원형의 서포트 부재(S)의 상단을 덮는 고강도의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제1 쿠션패드층(21)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쿠션패드층(21)의 상부로 일정한 두께로 포개어 덮되, 포개진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07
"형의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가 이루어지도록 커팅되어, 고탄성과 복원력을 가진 스폰지 타입의 탄성층이 되는 복원 패드층(23)을 가지고, 상기 복원 패드층(23)과 최하단의 서포트 부재(S)를 외곽에서 감아주는 형태로 쌓아 형상의 1차 고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 쿠션패드층(2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상기 서포트 부재(S)의 측방인 후두부 지지부(B) 하단에는 자연스럽게 탄성공간(AC)을 형성하여 후두부를 부드럽게 지지해주도록 한다.
이에 반하여 제3 실시예의 고탄력 복원부(K)는, 도시된 도 5에서처럼, 지지베이스(20)의 상부로 높은 복원 성능을 가진 쿠션패드나 라텍스를 이용하여 형상을 제작하되, 지지베이스(20)의 상부로 포개진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08
"형의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가 이루어지도록 커팅하며, 목지지 라운드부(A)의 하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서포트 부재(S)가 내장될 수 있도록 한 서포트공(41)을 형성한 패드블럭으로 실시한다.
양자 모두 고탄력 복원부(K)에만 차이가 있는데, 제2 실시예를 먼저 설명하고 제3 실시예는 뒤에 설명한다. 도시된 도 4의 단면도에서처럼, 지지베이스부(20) 상부에 일측으로 쏠린 상태로 서포트 부재(S)를 올려둔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부재(S)의 상부를 덮는 제1 쿠션패드층(21)을 안착시킨다. 이 제1 쿠션패드층(21)은 고강도의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질기고 쿠션이 좋아 후두부나 목의 가압에 훌륭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특히 질기고 저렴하기에 내구성과 제작단가를 떨어뜨리는데 유리하다. 이후 이 건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베개(100)는 복원 패드층(23)을 깔아준다. 복원 패드층(23)은 부드러운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서 탄성력이 우수하여 목으로 서포트 부재(S)를 가압하여도 목이 아프거나 불편함이 없다. 종래 제1 실시예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 복원 패드층(23)의 특징은 도시된 것처럼, 그 외형상이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09
"형의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가 이루어지도록 커팅됨이 특징인데, 이 형상은 도 4의 (b)에 따로 떼어 도시하고 있다. 이 복원 패드층(23)에 의해서 이 건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베개(100)는 보다 높은 탄성을 유지하여 안락한 베개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목지지 라운드부(A)는 부드럽게 라운드진 볼록한 형상이기에 목의 외형에 밀착되어 목을 편안히 지지한다. 이에 반하여 후두부 지지부(B)는 부드럽게 라운드진 오목한 홈의 형태이기에 목선에서 연장되어 부드럽게 볼록한 후부부를 인체공학적으로 받칠 수 있어서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이 건 발명의 제2 실시예 베개(100)는 서포트 부재(S)의 측방, 지지베이스부(20)의 상단, 후두부 지지부(B)의 하단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을 이 건 발명에서는 탄성공간(AC)이라 칭하는데, 이 탄성공간(AC)으로는 후두부가 후두부 지지부(B)를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줄 때, 아주 효과적인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에어쿠션의 역할을 하며, 후두부의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그 복원력이 양호하여 베개의 처음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반하여 제3 실시예의 고탄력 복원부(K)는 도시된 도 5와 도 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라텍스로 형상을 만들어 전술된 제2 실시예의 베개(100)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제작한다. 단지 라텍스로 형상을 제작할 때에는 금형을 이용하여 찍어내는 경우가 많기에 도시된 도 5와 도 6에서처럼, 서포트 부재(S)를 삽입할 수 있는 별도의 서포트공(41)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서포트공(41)을 형성한 제3 실시예의 고탄력 복원부(K)에는 상기 서포트공(41)에 서포트 부재(S)를 삽입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서포트 부재(S)가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면서, 형상을 처음의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여건도 제공한다. 전술한 것처럼, 라텍스 재질로 제작된 고탄력 복원부(K)의 경우도 그 외형상이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10
"형의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됨이 특징이다. 최소한 그 상부의 형상이 제2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해야 한다. 이 형상은 도 5의 (b)에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특히 목지지 라운드부(A)는 부드럽게 라운드진 볼록한 형상이기에 목의 외형에 밀착되어 목을 편안히 지지한다. 이에 반하여 후두부 지지부(B)는 부드럽게 라운드진 오목한 홈의 형태이기에 목선에서 연장되어 부드럽게 볼록한 후두부를 인체공학적으로 받칠 수 있어서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이 건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서포트 부재(S)는, 목재, 금속, 광물 및 합성수지류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서포트 부재(S)는 이 건 발명에서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종래 일반적인 베개(100)와는 달리 견고한 재질로 제작하여 목에 안정감을 주면서, 혹시 골절되거나 디스크가 발생된 뼈를 교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이 건 발명의 서포트 부재(S)는 목재를 깍아서 제작이 가능하고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목재도 편백나무를 이용하거나 향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함이 그 향이나 건강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광물로도 제작이 가능한데, 맥반석 또는 황토를 경화시켜 사용이 가능하다. 세라믹의 형태로 구운 황토가 내장될 수도 있으며,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금형으로 형상을 완성해도 무방하다. 내장되는 형태이기에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볼 수 없지만, 보다 견고한 재질로 제작하여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 그 역할을 다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 부재(S)는, 뒷목의 라운드진 외곽면에 밀착될 수 있는, 반타원형 단면을 가진 반타원 바(30)의 형상이거나 또는 원형 볼(50)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대체적으로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제2 실시예의 베개(100)는 반타원형의 단면을 가진 반타원 바(30)가 서포트 부재(S)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베이스(20)에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기에 하단이 평면인 반타원체의 형상을 가진 것이 유리하다.
이에 반하여 도시된 도 5와 도 6에서처럼, 제3 실시예의 서포트 부재(S)도 제2 실시예처럼 반타원 바(30)의 형상을 유지해도 무방하다. 고탄력 복원부(K)에 형성되는 서포트공(41)이 반타원형의 형상으로 제작된다면, 안정되게 장착이 가능하여 이 실시예를 활용하기 쉽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서포트 부재(S)는 도시된 도 8과 도 9에서처럼, 원형의 볼(50)을 내장시킬 수도 있다. 원형의 볼(50)로서, 특히 황토를 이용하여 황토 볼(50)을 제작하고, 이 황토 볼(50)을 서포트공(41)에 일렬로 삽입하여 동일한 효과를 내는 것이다. 황토 볼(50)의 올록볼록한 느낌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목은 더욱 안락하게 지지받을 수 있다. 황토 볼(50) 내장형은 도시된 도 8과 도 9에서처럼, 서포트공(41)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 건 발명의 상기 제3 실시예와 같은 패드블럭으로 이루어진 고탄력 복원부(K)는, 그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11
"형의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가 이루어지도록 커팅하되, 좌우 양단에서 7∼15cm는 테이퍼지게 그 크기가 확대되도록 한 쿠션 확대부(a)를 형성하고, 쿠션 확대부(a)의 중간인 중심부 20∼30cm는 수평부(b)를 형성하여, 수평부(b)에 목을 받치고 누울 때, 테이퍼지게 확대되는 쿠션 확대부(a)가 안정된 수면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수평부(b)까지의 높이(h1)는 6∼8cm이고, 쿠션 확대부(a)의 끝단 높이(h2)는 9∼12cm로 형성하여, 실질적으로 이에 대응하는 방수커버(31)와 외피커버(33)도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끝단이 확대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도 10에는 패드블럭으로 이루어진 고탄력 복원부(K)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12
"형의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가 이루어지도록 커팅한다. 단지 상기 고탄력 복원부(K)의 좌우 양단에서 7∼15cm는 테이퍼지게 그 크기가 확대되도록 한 쿠션 확대부(a)를 형성하고, 쿠션 확대부(a)의 중간인 중심부 20∼30cm는 수평부(b)를 형성한다. 도시된 도 10에서는, 쿠션 확대부(a)의 길이를 10cm로 도시하고 있고, 수평부(b)를 25cm로 도시하고 있다. 베개(100)의 길이를 약 45cm로 제작하고자 할 경우를 예상한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서 베개(100)는 그 길이가 다소 변동될 수 있기에 어느 정도의 여유를 둔 것이다.
특히 상기 수평부(b)까지의 높이(h1)는 6∼8cm이고, 쿠션 확대부(a)의 끝단 높이(h2)는 9∼12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가장 바람직한 높이(h1) 6.5cm와 높이(h2) 9cm를 유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본 출원인이 다수의 실험을 통해서 시제품을 제작하고 다수의 사용자에게 임상실험을 거친 결과이다.
쿠션 확대부(a)는 도시된 도 10과 도 11에서처럼, 테이퍼진 형태로 끝단으로 갈 수록 그 크기와 부피가 커져서 수평부(b)에 목을 안착하고 수면을 취한 사용자에게 더욱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혹 수면시 뒤척이는 움직임이 발생되어도 베개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수면이 가능하며, 이는 뼈의 교정과 치료를 더욱 유리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양자인 제2, 3실시예의 베개의 경우도, 도 7에서처럼, "
Figure 112014066203130-pat00013
"형의 목지지 라운드부(A)와 후두부 지지부(B)의 형상적인 이점을 통해서, 먼저 목부분이 견고한 서포트 부재가 내장된 목지지 라운드부(A)에 의해서 지지되고, 후두부는 수준이 낮으며, 라운드진 홈의 형태인 후두부 지지부(B)의 지지를 받는다. 후두부의 숨골부분이 부드럽게 지지받아 숨쉬기를 편하게 한다. 특히 제2 실시예의 경우는 내측에 탄성공간(AC)이 형성되어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베개의 작용은, 마치 엄마의 팔베개와 같은 역할을 하여 항상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a는 고탄력 복원부에 있어서의 후두부 지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b는 고탄력 복원부에 있어서의 후두부 지지부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베이스 부재 2: 서포트 부재
3: 제1 스티로폴 4: 제2 스티로폴
6: 타올부재 5: 부직포
7: 제1 공간 8: 제2 공간
20; 지지베이스 30; 반타원형
31; 방수커버 32; 지퍼부
33; 외피커버 34; 지퍼부
K; 고탄력 복원부 S; 서포트 부재

Claims (9)

  1. 베개에 있어서,
    베개의 저면에 위치하는 베이스 부재(1);
    상기 베이스 부재(1) 상에 소정 폭을 남겨 두고 탑재된 반타원형의 서포트 부재(2):
    상기 서포트 부재(2) 상부를 일부분 포개도록 설치된 제1 스티로폴(3);
    상기 서포트 부재(2) 상부를 일부분 감싸도록 설치된 상기 제1 스티로폴(3)을 재차 포개어 덮도록 설치된 제2 스티로폴(4);
    상기 구성요소 전체를 감싸도록 한 부직포(5);
    상기 부직포(5)층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부직포(5)층의 외부를 커버하는 타올부재(6); 및
    상기 베이스 부재(1) 상이면서 상기 상기 서포트 부재(2)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공간(7) 및 제2 공간(8);
    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를 수면자가 베면, 반타원형의 서포트 부재(2)는 목 부분을 하드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 공간(7) 및 제2 공간(8)은, 수면자의 후두부의 중량에 의해 제1 스티로폴(3) 및 제2 스티로폴(4)이 내려 앉으면서 수면자의 후두부분을 소프트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88822A 2013-07-16 2014-07-15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Expired - Fee Related KR101577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40 2013-07-16
KR20130083340 2013-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457A KR20150009457A (ko) 2015-01-26
KR101577903B1 true KR101577903B1 (ko) 2015-12-16

Family

ID=5257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8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7903B1 (ko) 2013-07-16 2014-07-15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078Y1 (ko) * 2015-11-13 2015-12-16 백수아 애견용 방수방석
US10863837B2 (en) 2016-09-21 2020-12-15 Purple Innovation, Llc Pillow including gelatinous elastomer cushioning materials
US10772445B2 (en) * 2016-09-21 2020-09-15 Purple Innovation, Llc Pillow including gelatinous elastomer cushion having deformable wall members and related methods
USD909790S1 (en) 2016-10-25 2021-02-09 Purple Innovation, Llc Pillow
USD909092S1 (en) 2016-10-25 2021-02-02 Purple Innovation, Llc Pillow
USD917926S1 (en) 2016-10-25 2021-05-04 Purple Innovation, Llc Pillow
KR20180050772A (ko) * 2016-11-06 2018-05-16 정병옥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KR102623043B1 (ko) * 2022-09-21 2024-01-09 신동국 기능성 베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26Y1 (ko) * 2003-08-22 2004-03-04 서해원 냉온 베개
JP2010162299A (ja) * 2009-01-19 2010-07-29 Yukihiro Yamamot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420B1 (ko) * 2007-09-20 2011-04-15 오석관 다중의 구조를 갖는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26Y1 (ko) * 2003-08-22 2004-03-04 서해원 냉온 베개
JP2010162299A (ja) * 2009-01-19 2010-07-29 Yukihiro Yamamo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457A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JP3181658U (ja) 熟眠用整形枕
CA3068810C (en)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CN103249333B (zh) 枕头
US11412870B2 (en) Ergonomic and orthopaedic pillow for avoiding face wrinkles during sleep
KR200422757Y1 (ko) 바른 자세 방석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WO2007091863A1 (en) Bear back and neck pillow
KR20150049415A (ko) 기능성 날개 베개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KR101922599B1 (ko) 메모리 폼 베개
CN202919716U (zh) 磁疗定型易筋枕
JP2008517686A (ja) 人間工学的枕
US20210212483A1 (en) Pillow supporting alternate regions of a user's hea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user's recumbent position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100685801B1 (ko) 종합 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WO2009044956A1 (en) Pillow
KR200308940Y1 (ko) 경추베개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JP3177126U (ja) バランス枕
TWI778635B (zh) 釋壓擺位輔具結構
KR20180050772A (ko)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