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545A -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545A
KR20190120545A KR1020180043865A KR20180043865A KR20190120545A KR 20190120545 A KR20190120545 A KR 20190120545A KR 1020180043865 A KR1020180043865 A KR 1020180043865A KR 20180043865 A KR20180043865 A KR 20180043865A KR 20190120545 A KR20190120545 A KR 20190120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patient
spine
tra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518B1 (ko
Inventor
양재락
양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8000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469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메드
Priority to KR1020180043865A priority patent/KR102074518B1/ko
Priority to PCT/KR2018/004442 priority patent/WO2018199536A1/ko
Priority to CN201880027349.0A priority patent/CN110573126A/zh
Publication of KR2019012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를 구성하는 요추 및 경추 등을 교정하기 위해 압박 및 견인, 척추를 중심으로 좌우 비틀림 운동 및 상하로 각운동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척추 질환 전반에 호환성 있게 사용하여 척추의 운동, 교정은 물론 치료효과도 득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는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 하나 이상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호 형상의 제1,2 세미서클프레임(3,9)이 설치되어 척추 비틀림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서포터프레임(2)과, 상기 제1 서포터프레임(2) 상부에 설치되어 원호운동이 가능한 제1 세미서클프레임(3)과, 상기 제1 세미서클프레임(3)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하체가 안치되는 제1 베드(4)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1 슬라이드프레임(5)과, 상기 제1 슬라이드프레임(5)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서포터프레임(6)과, 상기 제2 서포터프레임(6)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상체가 안치되는 제2 베드(7)와, 상기 제1 슬라이드프레임(5)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2 슬라이드프레임(8)과, 상기 제2 슬라이드프레임(8) 상부에 설치되어 원호운동이 가능한 제2 세미서클프레임(9)과, 상기 제2 세미서클프레임(9)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부가 안치되는 제3 베드(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Spine correcting and 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척추를 구성하는 요추 및 경추 등을 교정하기 위해 압박 및 견인, 척추를 중심으로 좌우 비틀림 운동 및 상하로 각운동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척추 질환 전반에 호환성 있게 사용하여 척추의 운동, 교정은 물론 치료효과도 득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통 및 디스크는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대부분 발생하는 척추질환으로 이러한 척추질환은 척추를 교정하는 방법 또는 견인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치료되고 있다.
특히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는 견인 베드에서 견인과 동시에 척추부의 만곡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은 없어 이러한 기능을 갖는 척추 견인장치 및 교정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의 알려진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90680호에 척추 견인장치가 있다.
이는 일측이 인체의 어깨부위를 지지하는 제1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인체의 척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받침대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2 받침대를 척추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인체의 후머리부가 놓일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그 일측에 인체의 머리와 목의 경계부위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받침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받침대 및, 이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3 받침대를 인체의 목이 숙여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견인장치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3949호에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가 안착 고정되는 머리부고정부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 고정되는 둔부고정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머리부고정부 및 상기 둔부고정부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사용자의 척추 및 요추를 동시에 견인시키는 견인력제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견인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발판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방향전환롤러와; 일단부는 상기 발판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방향전환롤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상기 머리부고정부에 고정되고, 중앙부는 상기 둔부고정부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요추 견인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척추를 견인하기 위해 머리를 고정하는 수단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17768호에 좌우 받침대를 구비하는 조절박스, 조절박스의 양측 상부에 고정되어 걸림턱을 구비하는 좌우지지대, 지지대의 상부에 축으로 결합되어 돌기 및 전,후방 돌기와 빠짐방지홈을 각각 구비하는 좌우 패드고정대, 패드고정대에 각각 끼워지는 조절끈과 걸이끈을 구비하는 받침패드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패드고정대의 하부에 턱고정 시 걸림턱에 걸리는 턱고정용 스톱볼트를 각각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되, 상기 스톱볼트에 걸림홈이 구비된 이마고정용 스토퍼를 좌우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한 상태에서 너트로 고정하여, 상기 패드고정대를 수평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스토퍼의 걸림홈이 지지대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밀어 넣으면 이마고정 시 패드고정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견인용 머리고정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가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66877호에는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하나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세미서클프레임과, 상기 세미서클프레임 상부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드가 설치되어 사용자 체형에 맞게 높이를 조절토록 하고,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슬라이드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척추 부위 비틀림(twist) 운동을 시킬 때 중심축이 척추를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척추 교정 시술 시 주변 근육 및 인대의 위해성 염좌(捻挫), 척추관절의 의도하지 않은 부하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척추 관절의 강화, 치료효과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척추 견인운동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에 알려진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들은 별도로 구분되는 것이 대부분이기에 척추 질환자의 다양한 증세에 따라 각각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기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의 제한이 따르며, 또한 별도의 장비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지출도 추가로 들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된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KR 등록특허 제0590680호 KR 등록특허 제1063949호 KR 등록특허 제1417768호 KR 등록특허 제1566877호
이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장치에 척추를 교정하고 견인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제한이 적으며, 또한 별도의 장비를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비비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적은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의 견인과 더불어 요추 및 경추의 만곡, 요추 중 특정 치료부위를 압박하여 교정 및 치료효과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하나 이상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호 형상의 제1,2 세미서클프레임이 설치되어 척추 비틀림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서포터프레임과;
상기 제1 서포터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원호운동이 가능한 제1 세미서클프레임과;
상기 제1 세미서클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하체가 안치되는 제1 베드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1 슬라이드프레임과;
상기 제1 슬라이드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서포터프레임과;
상기 제2 서포터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상체가 안치되는 제2 베드와;
상기 제1 슬라이드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2 슬라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슬라이드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원호운동이 가능한 제2 세미서클프레임과;
상기 제2 세미서클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부가 안치되는 제3 베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드프레임과;
상기 제1 슬라이드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원호운동이 가능한 제1 세미서클프레임과;
상기 제1 세미서클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하체가 안치되는 제1 베드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서포터프레임과;
상기 제1 서포터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상체가 안치되는 제2 베드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2 슬라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슬라이드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원호운동이 가능한 제2 세미서클프레임과;
상기 제2 세미서클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부가 안치되는 제3 베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자의 하체가 안치되는 제1 베드는 골반안치베드와 다리안치베드가 힌지로 연결되도록 분할 형성되고;
상기 골반안치베드가 설치되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의 측방으로 제1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제1 피스톤로드 단부는 골반안치베드와 연결하여 다리안치베드가 힌지를 기점으로 하여 상하 각운동 할 수 있도록 다리각운동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자의 머리부가 안치되는 제3 베드에는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하 각운동하게 설치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 상면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바와;
상기 회동판 상면에 설치되어 목 부분을 받쳐 주는 목쿠션부와;
상기 회동판을 각운동시키기 위해 회동판의 일측으로 설치된 제2 실린더의 제2 피스톤로드와;
상기 목쿠션부 상면부에는 제2 에어백이 설치된 머리각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자의 요추가 안치되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 또는 제1 슬라이드프레임, 또는 제1 서포터프레임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척추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수단은;
제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1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 작동하며 요추를 만곡 및 압박하기 위한 압박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박수단은 에어백을 상부에 구비한 압박편은 고정되어 있으며, 환자를 전후로 이동시키며 환자의 요추 치료부위 하부에 고정설치된 압박편의 에어백이 팽창하며 요추를 만곡 및 압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박편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할 수 있도록 환자의 요추 치료 부위에 부착토록 하는 감지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박수단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도르래에 와이어를 권설하고;
상기 와이어의 상부에는 요추를 압박 및 만곡시키는 제1 에어백이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하부에는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액츄에이터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척추를 교정하고 견인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제한이 적으며, 또한 별도의 장비를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비비용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 적고, 복합증세를 보이는 다양한 척추 질환자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환자에 따라 하체 또는 상체의 경추 부위를 견인과 동시에 척추 중심을 기점으로 원호운동 및 만곡, 압박치료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바람직한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체 및 머리부를 상하로 각운동 시킬 수 있는 수단과 척추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압박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정인 정면 구성도 및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압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머리부각운동수단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발췌한 확대 정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머리부각운동수단의 구성 및 작용 전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는 척추를 견인장치로 당겨 견인운동은 물론 척추의 요추 및 경추를 견인하면서 동시에 만곡, 또한 압박수단으로 압박하여 운동 및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하나 이상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호 형상의 제1,2 세미서클프레임이 설치되어 척추 비틀림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하체가 안치되는 베드 부위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토록 함과 동시에 원호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체 및 머리부가 안치되는 베드 부위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토록 함과 동시에 원호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체 중 골반 부위는 고정시키고, 다리부위만 상하로 각운동시킬 수 있는 다리각운동수단을 구비하고, 요추의 치료 부위를 특정하여 압박할 수 있는 압박수단, 머리부가 안치되는 부위를 상하로 각운동시켜 경추를 견인과 동시 만곡시킬 수 있는 머리부각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는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 상부 일측에 제1 서포터프레임(2)을 고정하고, 상기 제1 서포터프레임(2) 상부에 제1 세미서클프레임(3)을 설치하여 환자의 골반부와 다리를 포함하는 하체가 안치될 수 있는 하체 안치용 제1 베드(4)를 설치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는 견인수단(미도시)에 의해 수평이동할 수 있는 제1 슬라이드프레임(5)을 설치하여 그 상부로 환자의 상체와 머리부가 안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슬라이드프레임(5)의 상부 일측으로는 제2 서포터프레임(6)을 설치하여 상부에 상체 안치용 제2 베드(7)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프레임(5)의 상부 일측에는 제2 슬라이드프레임(8)을 설치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프레임(8)의 상부에 머리부를 좌우로 원호운동시킬 수 있는 제2 세미서클프레임(9)을 설치하여, 상기 제2 세미서클프레임(9)의 상부에는 머리부를 안치할 수 있는 제3 베드(1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베드(4)에 안치되는 하체 중 골반(=엉덩이부)이 안치되는 곳에는 골반고정수단(11)을 설치하며, 발목이 안치되는 부분에는 발목고정수단(12)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바람직한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이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를 구성하되,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는 환자의 하체와 상체, 머리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안치될 수 있는 제1,2,3 베드(4,7,10)를 설치하되, 하체가 안치되는 제1 베드(4)는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 견인수단에 의해 수평이동할 수 있는 제1 슬라이드프레임(5)을 설치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프레임(5)의 상부에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3)을 설치하여 그 상부에 제1 베드(4)를 고정설치토록 한다.
그리고 상체가 안치되는 제2 베드(7)는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 제1 서포터프레임(2)을 고정설치하여 그 상부에 제2 베드(7)를 고정 설치토록 한다.
그리고 머리부가 안치되는 제3 베드(10)는 견인수단에 의해 수평이동할 수 있는 제2 슬라이드프레임(8)을 설치한 후, 상기 제2 슬라이드프레임(8) 상부에 제2 세미서클프레임(9)을 설치하고, 제2 세미서클프레임(9) 상부에 제3 베드(10)를 고정설치토록 한 것이다.
상기 제1 베드(4)의 하체가 안치되는 부위 중 발목이 위치하는 곳에는 발목고정수단(12)이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체 및 머리부를 상하로 각운동 시킬 수 있는 수단과 척추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즉, 상기 도 2,3에서 개시한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요추 부위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수단(13)과 하체 중 다리 부위를 상하로 각운동시키기 위한 다리각운동수단(14) 및 머리부를 상하로 각운동시켜 경추를 만곡시키기 위한 머리부각운동수단(15)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상기 다리각운동수단(14)부터 설명키로 한다.
상기 다리각운동수단(14)은 환자의 하체 중 다리 부위만 상하로 각운동시키 위해 제1 베드(4)를 분할형으로 구성한다.
즉, 제1 베드(4)는 둔부가 안치되는 골반안치베드(4a)와 다리가 안치되는 다리안치베드(4b)로 분할 구성되고, 골반안치베드(4a)가 설치되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3)의 측방으로 제1 실린더(16)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실린더(16)의 제1 피스톤로드(17) 단부는 골반안치베드(4a)와 힌지(18)로 연결설치된 다리안치베드(4b) 하부에 연결되도록 하여 제1 실린더(16)의 신축작동에 따라 다리안치베드(4b)가 힌지(18)를 기점으로 하여 상하 각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박수단(13)을 도 5의 발췌 정면 구성도와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척추의 특정 치료부위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수단(13)은 환자의 하체 또는 상체가 안치되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3), 또는 제1 슬라이드프레임(5), 또는 제1 서포터프레임(2)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척추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편(19)과, 상기 압박편(19)을 상하로 이동조절하기 위한 제1 액츄에이터(20)로 구성된다.
상기 압박편(19) 내부에는 감지센서(21)가 설치되며, 환자의 요추에 별도 부착하는 감지편(22)을 상기 감지센서(21)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로 인해 견인수단에 의해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견인할 때, 감지편(22)이 감지센서(2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감지센서(21)가 이를 감지하면 그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에서 제1 액츄에이터(20)에 신호를 인가시켜 압박편(19)을 상승작동시키게 되어 환자의 요추 중 치료 부위를 압박, 치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센서(21)는 근접 거리센서의 일종으로 특정 금속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고, 감지편(22)에는 상기 감지센서(21)에 의해 감지되는 특정 금속물질을 도포하여 사용토록 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21)는 광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감지편(22)은 광센서에 감지되는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박수단(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요추에 만곡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에어백(23)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세미서클프레임(3) 내부에 제1 에어백(23)을 장착한 후, 상기 제1 에어백(23)을 팽창시켜 환자의 요추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요추에 만곡을 형성토록 한다.
즉, 환자의 허리 부분에 감지편(22)을 부착하고, 허리 부분에는 골반고정수단(11)을 고정한다. 제1 세미서클프레임(3) 내부에는 환자의 허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제1 에어백(23)이 장착되고, 상기 제1 세미서클프레임(3)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도르래(24)가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24)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 측에는 제1 에어백(23)이, 하부에는 제2 액츄에이터(25)를 장착하되, 상기 제1 에어백(23)은 이동부재(26)의 상면에 나란하게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액츄에이터(25)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3)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액츄에이터(25)에 의해 이동부재(26)가 제1 세미서클프레임(3)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와이어(27)를 제2 액츄에이터(25)와 이동부재(26) 간에 무한궤도형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26)를 이동시키기 위해 와이어(27) 및 제2 액츄에이터(25) 대용으로 LM가이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6) 내부에는 감지센서(21)가 내장되어 있어, 제2 액츄에이터(25)에 의해 이동부재(26)가 왕복운동을 하다가 환자의 허리 부분에 부착된 감지편(22)이 제1 에어백(23)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 감지되면 제1 에어백(23)을 팽창시켜 환자의 요추 부분이 만곡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 에어백(23)을 팽창시키는 것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압박수단(13)은 전기한 2가지의 경우는 물론 제1 액츄에이터(20) 또는 와이어(27), 제2 액츄에이터(25) 및 이동부재(26)를 사용치 않고 압박편(19)을 고정 상태로 설치하고, 환자를 베드 상부에서 전후로 이동시켜 사용토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압박편(19) 상부에는 에어백을 설치토록 한다.
도 7은 상기 머리부각운동수단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발췌한 확대 정면 구성도이며, 도 8은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작용 전후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머리부각운동수단(15)은 환자의 머리부가 안치되는 제2 세미서클프레임(9) 상부에 고정된 제3 베드(10)에 설치되며, 이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된 상면 좌우로는 머리를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회동판(28)이 힌지축(29)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동판(28)의 상면에는 환자의 머리 하부를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돌출형 고정바(30)와, 환자의 목 부분을 받쳐 주는 목쿠션부(31)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2 세미서클프레임(9)을 견인하는 동시에 회동판(28)을 힌지축(29)을 기점으로 하부로 회동시킴으로써 목쿠션부(31)로 인해 뒷목을 지지하여 경추에 만곡을 형성토록 한다.
상기 회동판(28)을 각운동시키기 위해 회동판(28)의 일측으로는 제2 실린더(32)의 제2 피스톤로드(33)와 연결하여 제2 실린더(32)의 신축작동에 따라 힌지축(29)을 기점으로 각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 세미서클프레임(9) 상부에 환자의 신체 중 상체가 접하도록 눕힌 후 상체고정수단(35)으로 상체를 고정시키고, 환자 머리의 하부 좌우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바(30) 사이에 머리를 안치시키고, 몸체 하체와 허리 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3)을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함으로써 척추를 치료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는 제2 세미서클프레임(9)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 슬라이드프레임(8)을 견인하는 것이며, 상기 제2 슬라이드프레임(8)을 직선운동시키는 견인수단과 고정바(30)에 머리를 고정하는 방법 등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기 제2 세미서클프레임(9)에는 뒷목을 받쳐 주는 목쿠션부(31)가 장착되어 있어 환자는 누웠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목쿠션부(31)에는 제2 에어백(34)을 장착하여 제2 세미서클프레임(9)이 견인되는 동시에 제2 에어백(34)을 팽창시킴으로써 경추가 견인시 일자형에서 만곡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미서클프레임(9)을 견인시키면 단순히 목의 척추가 늘어나면서 일자 형상이 되는 것을 목쿠션부(31)에 장착된 제2 에어백(34)을 팽창시켜주게 되면 뒷목 부분을 받쳐 주게 되어 경추가 C형으로 만곡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는 환자의 신체 중 하체 부분이 누울 수 있도록 제1 세미서클프레임(3)과 상체 부분이 누울 수 있는 제2 세미서클프레임(9)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머리 하부를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바(30)와 목 부분을 받쳐 주는 목쿠션부(31)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목쿠션부(31)에는 제2 에어백(34)을 장착하여 제2 세미서클프레임(9)이 견인되는 동시에 제2 에어백(34)을 팽창시킴으로써 경추를 만곡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 세미서클프레임(3,9)의 구체적인 원호운동을 행하기 위한 수단 등은 본 발명자가 기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6877에 상세히 개시된 바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는 환자의 척추를 교정 및 견인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제1,2,3 베드(4,7,10)에 환자가 위를 보도록 누운 상태에서 제1,2 슬라이드프레임(5,8)을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하면서 견인치료를 할 수 있으며, 제1,2 세미서클프레임(3,9)을 척추의 중심에서 원호운동시켜 주변 근육 및 인대의 위해성 염좌(捻挫), 척추관절의 의도하지 않은 부하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척추 관절의 강화, 치료효과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요추 부위를 압박치료하기 위한 압박수단(13)과 경추 부위를 만곡시키기 위한 머리부각운동수단(15)을 구비하여 견인치료와 동시에 요추의 압박치료 및 만곡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경추를 견인시 만곡시켜 올바른 경추 교정에 일조할 수 있고, 다리각운동수단(14)을 구비하여 척추 교정 및 견인치료시 다리를 상하로 각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보다 극대화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베이스프레임 2: (제1)서포터프레임 3: (제1)세미서클프레임 4: (제1)베드 4a: 골반안치베드 4b: 다리안치베드 5: (제1)슬라이드프레임 6: (제2)서포터프레임 7: (제2)베드 8: (제2)슬라이드프레임 9: (제2)세미서클프레임 10: (제3)베드 11: 골반고정수단 12: 발목고정수단 13: 압박수단 14: 다리각운동수단 15: 머리부각운동수단 16: (제1)실린더 17: (제1)피스톤로드 18: 힌지 19: 압박편 20: (제1)액츄에이터 21: 감지센서 22: 감지편 23: (제1)에어백 24: 도르래 25: (제2)액츄에이터 26: 이동부재 27: 와이어 28: 회동판 29: 힌지축 30: 고정바 31: 목쿠션부 32: (제2)실린더 33: (제2)피스톤로드 34: (제2)에어백 35: 상체고정수단

Claims (8)

  1.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 하나 이상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호 형상의 제1,2 세미서클프레임(3,9)이 설치되어 척추 비틀림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서포터프레임(2)과;
    상기 제1 서포터프레임(2) 상부에 설치되어 원호운동이 가능한 제1 세미서클프레임(3)과;
    상기 제1 세미서클프레임(3)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하체가 안치되는 제1 베드(4)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1 슬라이드프레임(5)과;
    상기 제1 슬라이드프레임(5)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서포터프레임(6)과;
    상기 제2 서포터프레임(6)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상체가 안치되는 제2 베드(7)와;
    상기 제1 슬라이드프레임(5)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2 슬라이드프레임(8)과;
    상기 제2 슬라이드프레임(8) 상부에 설치되어 원호운동이 가능한 제2 세미서클프레임(9)과;
    상기 제2 세미서클프레임(9)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부가 안치되는 제3 베드(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2.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 하나 이상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호 형상의 제1,2 세미서클프레임(3,9)이 설치되어 척추 비틀림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드프레임(5)과;
    상기 제1 슬라이드프레임(5) 상부에 설치되어 원호운동이 가능한 제1 세미서클프레임(3)과;
    상기 제1 세미서클프레임(3)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하체가 안치되는 제1 베드(4)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서포터프레임(2)과;
    상기 제1 서포터프레임(2)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상체가 안치되는 제2 베드(7)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2 슬라이드프레임(8)과;
    상기 제2 슬라이드프레임(8) 상부에 설치되어 원호운동이 가능한 제2 세미서클프레임(9)과;
    상기 제2 세미서클프레임(9) 상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부가 안치되는 제3 베드(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하체가 안치되는 제1 베드(4)는 골반안치베드(4a)와 다리안치베드(4b)가 힌지(18)로 연결되도록 분할 형성되고;
    상기 골반안치베드(4a)가 설치되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3)의 측방으로 제1 실린더(16)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실린더(16)의 제1 피스톤로드(17) 단부는 골반안치베드(4a)와 연결하여 다리안치베드(4b)가 힌지(18)를 기점으로 하여 상하 각운동 할 수 있도록 다리각운동수단(1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머리부가 안치되는 제3 베드(10)에는 힌지축(29)에 결합되어 상하 각운동하게 설치되는 회동판(28)과;
    상기 회동판(28) 상면에 설치되어 목 부분을 받쳐 주는 목쿠션부(31)와;
    상기 회동판(28)을 각운동시키기 위해 회동판(28)의 일측으로 설치된 제2 실린더(32)의 제2 피스톤로드(33)와;
    상기 목쿠션부(31) 상면부에는 제2 에어백(34)이 설치된 머리각운동수단(1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요추가 안치되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3), 또는 제1 슬라이드프레임(5), 또는 제1 서포터프레임(2)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척추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수단(13)은;
    제1 액츄에이터(20) 및 상기 제1 액츄에이터(20)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 작동하며 요추를 만곡 및 압박하기 위한 압박편(1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요추가 안치되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3), 또는 제1 슬라이드프레임(5), 또는 제1 서포터프레임(2)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척추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수단(13)은;
    에어백을 상부에 구비한 압박편(19)은 고정되어 있으며, 환자를 전후로 이동시키며 환자의 요추 치료부위 하부에 고정설치된 압박편(19)의 에어백이 팽창하며 요추를 만곡 및 압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요추가 안치되는 제1 세미서클프레임(3), 또는 제1 슬라이드프레임(5), 또는 제1 서포터프레임(2)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척추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수단(13)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도르래(24)에 와이어(27)를 권설하고;
    상기 와이어(27)의 상부에는 요추를 압박 및 만곡시키는 제1 에어백(23)이 설치된 이동부재(26)와;
    상기 와이어(27)의 하부에는 이동부재(26)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액츄에이터(25)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편(19)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21)와;
    상기 감지센서(21)가 감지할 수 있도록 환자의 요추 치료 부위에 부착토록 하는 감지편(2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KR1020180043865A 2017-04-25 2018-04-16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KR10207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96A KR20180119469A (ko) 2017-04-25 2018-01-24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KR1020180043865A KR102074518B1 (ko) 2018-04-16 2018-04-16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PCT/KR2018/004442 WO2018199536A1 (ko) 2017-04-25 2018-04-17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CN201880027349.0A CN110573126A (zh) 2017-04-25 2018-04-17 脊椎矫正和牵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65A KR102074518B1 (ko) 2018-04-16 2018-04-16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545A true KR20190120545A (ko) 2019-10-24
KR102074518B1 KR102074518B1 (ko) 2020-03-17

Family

ID=6842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865A KR102074518B1 (ko) 2017-04-25 2018-04-16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5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342B1 (ko) * 2020-08-20 2020-12-09 (주)제이웰 척추와 골반 견인 및 교정장치와 이의 제어방법
KR20210130897A (ko) * 2020-04-22 2021-11-02 정성의 척추교정 및 신체 이완기구
CN114522060A (zh) * 2021-12-28 2022-05-24 河北天佑金桥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功能性脊柱无创减压治疗仪
KR20220149813A (ko) * 2021-04-29 2022-11-09 (주)굿플 견인치료기
KR20230155773A (ko) 2022-05-04 2023-11-1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환자 고정 기구 및 환자 고정 장치
KR20240020555A (ko) 2022-08-08 2024-02-15 양재락 경추 견인기용 헤드 홀딩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680B1 (ko) 2003-05-09 2006-06-19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KR100897618B1 (ko) * 2009-01-06 2009-05-14 주식회사 한메드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
KR101063949B1 (ko) 2008-06-30 2011-09-14 박성호 경추 및 요추 견인장치
KR101417768B1 (ko) 2012-06-27 2014-07-14 정원하 경추 견인용 머리고정장치
KR101566877B1 (ko) 2014-03-21 2015-11-06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 교정기
KR101615183B1 (ko) * 2014-12-31 2016-04-25 주식회사 한메드 신체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680B1 (ko) 2003-05-09 2006-06-19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KR101063949B1 (ko) 2008-06-30 2011-09-14 박성호 경추 및 요추 견인장치
KR100897618B1 (ko) * 2009-01-06 2009-05-14 주식회사 한메드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
KR101417768B1 (ko) 2012-06-27 2014-07-14 정원하 경추 견인용 머리고정장치
KR101566877B1 (ko) 2014-03-21 2015-11-06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 교정기
KR101615183B1 (ko) * 2014-12-31 2016-04-25 주식회사 한메드 신체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897A (ko) * 2020-04-22 2021-11-02 정성의 척추교정 및 신체 이완기구
KR102188342B1 (ko) * 2020-08-20 2020-12-09 (주)제이웰 척추와 골반 견인 및 교정장치와 이의 제어방법
KR20220149813A (ko) * 2021-04-29 2022-11-09 (주)굿플 견인치료기
CN114522060A (zh) * 2021-12-28 2022-05-24 河北天佑金桥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功能性脊柱无创减压治疗仪
CN114522060B (zh) * 2021-12-28 2024-04-05 河北天佑金桥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功能性脊柱无创减压治疗仪
KR20230155773A (ko) 2022-05-04 2023-11-1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환자 고정 기구 및 환자 고정 장치
KR20240020555A (ko) 2022-08-08 2024-02-15 양재락 경추 견인기용 헤드 홀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518B1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0545A (ko)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WO2018199536A1 (ko)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KR101155787B1 (ko) 골반 및 상체교정장치
TWI491387B (zh) 限制、再定位、牽引以及運動裝置及方法
CN110049751B (zh) 颈枕
AU2008357225B2 (en) Spinal three-dimensional orthopaedic equipment
CN209611466U (zh) 脊柱侧凸三维矫正治疗仪
KR101615183B1 (ko) 신체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KR101706587B1 (ko)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CN110433022B (zh) 一种采用气动肌肉驱动的腰椎牵引装置
KR101744300B1 (ko) 견인 위치 조절이 가능한 척추치료기
KR101875038B1 (ko) 3차원 척추교정 재활운동 기구
KR101865480B1 (ko)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KR20140071164A (ko) 체형 교정기
KR20130086672A (ko) 자동 안마장치
KR100420965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120060799A (ko) 척추교정기
KR20130070755A (ko) 경추 및 요추의 교정과 견인을 위한 장치
KR101824114B1 (ko)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및 견인방법
KR101809627B1 (ko) 데이터 분류를 통한 최적의 치료 환경을 제공하는 척추재활치료기
KR101809631B1 (ko) 데이터 분류를 통한 척추 재활치료기
KR102103452B1 (ko) 척추 견인을 이용한 골반 운동 의자
WO2015019351A2 (en) Novik mehanurgichesky table or portable traction apparatus for manual therapy and massage
KR20180064752A (ko) 거북목 교정용 의자
JPH11221257A (ja) 腰痛治療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