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469A -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469A
KR20180119469A KR1020180008896A KR20180008896A KR20180119469A KR 20180119469 A KR20180119469 A KR 20180119469A KR 1020180008896 A KR1020180008896 A KR 1020180008896A KR 20180008896 A KR20180008896 A KR 20180008896A KR 20180119469 A KR20180119469 A KR 20180119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ction device
semicircle
present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락
양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526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2411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메드
Priority to KR102018000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46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438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74518B1/ko
Priority to PCT/KR2018/004442 priority patent/WO2018199536A1/ko
Priority to CN201880027349.0A priority patent/CN110573126A/zh
Publication of KR2018011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09Physiotherapeutic tables, beds or platforms; Chiropractic or osteopathic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하나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호형상의 세미서클프레임이 설치되어 척추 비틀림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프레임이 분할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상면에 분할된 세미서클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어, 견인수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세미서클프레임의 내부에는 누운 환자의 신체를 압박하는 압박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환자에게는 압박수단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길이를 조절하는 벨트를 장착하는 것이 특징인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척추를 교정하고 견인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제한이 적으며, 또한 별도의 장비를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비비용에 대한 경제부담이 적고, 복합증세를 보이는 다양한 환자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Spine correcting and 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척추를 교정 및 견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로 분할된 반원형상의 침대에 환자가 눕도록 하여 좌우 회동에 의한 척추 교정치료를 할 수 있으며, 분할된 침대의 상부 측 또는 하부 측을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함으로써 척추를 견인도 할 수 있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통 및 디스크는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대부분 발생하는 척추질환으로서, 이러한 척추질환은 척추를 교정하는 방법 또는 견인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치료되고 있다.
특히,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에서는 견인 베드에서 견인과 동시 척추부의 만곡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은 없어 이러한 기능을 갖는 척추 견인장치 및 교정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다.
이러한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590680호에 척추 견인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인체의 어깨부위를 지지하는 제1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인체의 척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받침대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2 받침대를 척추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인체의 후두부가 놓일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그 일측에 인체의 머리와 목의 경계부위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받침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받침대 및, 이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3 받침대를 인체의 목이 숙여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견인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63949호에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두부가 안착 고정되는 두부고정부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 고정되는 둔부고정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두부고정부 및 상기 둔부고정부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사용자의 척추 및 요추를 동시에 견인시키는 견인력제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견인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발판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방향전환롤러와; 일단부는 상기 발판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방향전환롤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상기 두부고정부에 고정되고, 중앙부는 상기 둔부고정부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요추 견인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척추를 견인하기 위해 머리를 고정하는 수단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417768호에 좌우 받침대를 구비하는 조절박스, 조절박스의 양측 상부에 고정되어 걸림턱을 구비하는 좌우지지대, 지지대의 상부에 축으로 결합되어 돌기 및 전,후방돌기와 빠짐방지홈을 각각 구비하는 좌우 패드고정대, 패드고정대에 각각 끼워지는 조절끈과 걸이끈을 구비하는 받침패드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패드고정대의 하부에 턱고정 시 걸림턱에 걸리는 턱고정용 스톱볼트를 각각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되, 상기 스톱볼트에 걸림홈이 구비된 이마고정용 스토퍼를 좌우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한 상태에서 너트로 고정하여, 상기 패드고정대를 수평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스토퍼의 걸림홈이 지지대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밀어 넣으면 이마고정 시 패드고정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견인용 머리고정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는 별도로 구분되는 것이 대부분이기에 척추질환환자의 다양한 증세에 따라 각각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기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의 제한이 따르며, 또한 별도의 장비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지출도 추가로 들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된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장치에 척추를 교정하고 견인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제한이 적으며, 또한 별도의 장비를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비비용에 대한 경제부담이 적은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하나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호형상의 세미서클프레임이 설치되어 척추 비틀림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프레임이 분할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상면에 분할된 세미서클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어, 견인수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세미서클프레임의 내부에는 누운 환자의 신체를 압박하는 압박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환자에게는 압박수단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길이를 조절하는 벨트를 장착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척추를 교정하고 견인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제한이 적으며, 또한 별도의 장비를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비비용에 대한 경제부담이 적고, 복합증세를 보이는 다양한 환자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정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일부분 사진.
도 4는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목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회동판 및 쿠션부의 제1실시에 따른 작동상태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목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회동판 및 쿠션부의 제2실시에 따른 작동상태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압박수단의 제1실시에 따른 작동상태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압박수단의 제2실시에 따른 작동상태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세미서클프레임을 견인하는 동시에 회동판을 하부로 회동하는 동작도.
본 발명은 척추 교정 및 견인방법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10) 상부에 하나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호형상의 세미서클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척추 비틀림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프레임(140)이 분할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40)의 상면에 분할된 세미서클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있어, 견인수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40)을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미서클프레임(120)의 내부에는 누운 환자의 신체를 압박하는 압박수단(17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세미서클프레임(120) 중 환자의 머리가 누울 수 있는 세미서클프레임(120)에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된 상면에는 머리를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회동판(124)이 힌지축(125)에 의해 결합되어 있되, 상기 회동판(124)의 상면에는 머리 하부를 받치는 한 쌍의 고정바(121)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세미서클프레임(120)을 견인하는 동시에 회동판(124)을 하부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세미서클프레임(120) 중 환자의 머리가 누울 수 있는 세미서클프레임(120)에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된 상면에는 머리를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회동판(124)이 힌지축(125)에 의해 결합되어 있되, 상기 회동판(124)의 상면에는 머리 하부를 받치는 한 쌍의 고정바(121)와 목 부분을 받쳐 주는 쿠션부(122)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세미서클프레임(120)을 견인하는 동시에 회동판(124)을 하부로 회동시킴으로써 쿠션부(122)로 인해 뒷목을 지지하여 경추에 만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세미서클프레임(120) 중 환자의 머리가 누울 수 있는 세미서클프레임(120) 상면에는 머리 하부를 받치는 한 쌍의 고정바(121)와 목 부분을 받쳐 주는 에어백(123)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세미서클프레임(120)을 견인하는 동시에 에어백(123)의 팽창으로 인해 뒷목을 지지하여 경추에 만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및 견인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정면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110) 상부에 하나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호형상의 세미서클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척추 비틀림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프레임(140)이 분할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40)의 상면에 분할된 세미서클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있어, 견인수단(도면 미도시)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40)을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척추를 견인 및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세미서클프레임(120)의 상면에는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쿠션감이 있는 재질의 베드(13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미서클프레임(120)의 원호운동은 본 출원인이 특허 제2014-0033137호 척추 교정기로 출원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566877호에 기술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일부분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목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회동판 및 쿠션부의 제1실시에 따른 작동상태 개요도이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세미서클프레임(120) 중 환자의 머리가 누울 수 있는 세미서클프레임(120)에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된 상면에는 머리를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회동판(124)이 힌지축(125)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판(124)의 상면에는 머리 하부를 받치는 한 쌍의 고정바(121)와 목 부분을 받쳐 주는 쿠션부(122)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세미서클프레임(120)을 견인하는 동시에 회동판(124)을 하부로 회동시킴으로써 쿠션부(122)로 인해 뒷목을 지지하여 경추에 만곡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5는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목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회동판 및 쿠션부의 제2실시에 따른 작동상태 개요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를 지지하고 있는 세미서클프레임(120)에 머리 하부를 받치는 한 쌍의 고정바(121)에 머리를 안치시키고, 몸체 하체와 허리 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세미서클프레임(120)을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함으로써 척추를 치료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세미서클프레임(120)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드프레임(140)을 견인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40) 직선운동시키는 견인수단과 고정바(121)에 머리를 고정하는 수단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때, 상기 세미서클프레임(120)에는 뒷목을 받쳐 주는 쿠션부(122)가 장착되어 있어 환자는 누웠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쿠션부(122)에는 에어백(123)을 장착하여 세미서클프레임(120)이 견인되는 동시에 에어백(123)을 팽창시킴으로써 척추가 만곡되도록 하였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서클프레임(120)을 견인시키면 단순히 목의 척추가 늘어나면서 일자 형상이 되는 것을 쿠션부(122)에 장착된 에어백(123)을 팽창시켜주게 되면 뒷목 부분을 받쳐 주게 되어 척추가 만곡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 척추 견인방법은 몸체의 하체 부분이 누울 수 있도록 세미서클프레임(120)은 세미서클프레임(120)과 상체 부분이 누울 수 있는 세미서클프레임(120)으로 분할구성되고, 상기 머리 하부를 받치는 한 쌍의 고정바(121)와 목 부분을 받쳐 주는 쿠션부(122)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쿠션부(122)에는 에어백(123)을 장착하여 세미서클프레임(120)이 견인되는 동시에 에어백(123)을 팽창시킴으로써 척추를 만곡시키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압박수단의 제1실시에 따른 작동상태개요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에 따른 압박수단(170)은 세미서클프레임(12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장착되어 있는 지지편(171)과 상기 지지편(171)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17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지지편(171)에는 감지센서(177)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환자의 요추에 해당하는 부분에 감지센서(177)에 감지될 수 있는 감지편(177)을 부착한 후, 견인수단에 의해 환자를 견인할 때, 감지편(D)이 감지센서(177)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감지되면, 감지센서(177)에서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에서 액츄에이터(172)가 상부로 동작하여 환자의 요추부분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센서(177)는 근접거리센서의 일종으로 특정화학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고, 감지편(D)에는 상기 감지센서(177)에 의해 감지되는 특정화학물질을 도포하도록 한다.
또 다르게는 감지센서(177)는 광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감지편(D)은 광센서에 감지되는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압박수단의 제2실시에 따른 작동상태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세미서클프레임을 견인하는 동시에 회동판을 하부로 회동하는 동작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의 압박수단(170)은 은 세미서클프레임(120)의 내부에 에어백(173)을 장착한 후, 상기 에어백(173)을 팽창시켜 환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요추에 만곡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분할되어 있는 세미서클프레임(120)의 상면에 각각 경추 부분이 위치하도록 환자가 눕도록 하되, 환자의 허리 부분에 감지편(D)을 부착하고, 허리 부분에는 벨트(B)를 고정한다.
세미서클프레임(120) 내부에는 환자의 허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에어백(173)이 장착되어 있고,
그리고 세미서클프레임(12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도르래(176)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도르래(176)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 측에는 에어백(173)이, 하부에는 액츄에이터(172)를 장착하되, 상기 에어백(173)은 이동부재(174)의 상면에 나란하게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72)는 세미서클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172)에 의해 이동부재(174)가 세미서클프레임(120)의 내부에서 세미서클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와이어(175)를 액츄에이터(172)와 이동부재(174) 간에 연결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174)의 내부에는 감지센서(177)가 내장되어 있어, 액츄에이터(172)에 의해 이동부재(174)가 왕복운동을 하다가 환자의 허리 부분에 부착된 감지편(D)이 에어백(173)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 감지되면 에어백(173)을 팽창시켜 환자의 요추 부분이 만곡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에어백(173)을 팽창시키는 것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척추를 교정하고 견인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제한이 적으며, 또한 별도의 장비를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비비용에 대한 경제부담이 적고, 복합증세를 보이는 다양한 환자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110. 베이스프레임
120. 세미서클프레임 121. 고정바 122. 쿠션부
123. 에어백(에어백셀) 124. 회동판 125. 힌지축
130. 베드
140. 슬라이드프레임
150. 안내레일
160. 베어링
170. 압박수단 171. 지지편 172. 액츄에이터
173. 에어백 174. 이송부재 175. 와이어
176. 도르래 177. 감지센서 178. 받침프레임
179. 레일
B. 벨트 B1. 하체고정부 B2. 상체고정부
D. 감지편

Claims (2)

  1. 베이스프레임(110) 상부에 하나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중심축이 척추 중심에서 원호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호형상의 세미서클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척추 비틀림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프레임(140)이 분할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40)의 상면에 분할된 세미서클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있어, 견인수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40)을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세미서클프레임(120)의 내부에는 누운 환자의 신체를 압박하는 압박수단(170)이 설치되어 있으며, 환자에게는 압박수단(17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길이를 조절하는 벨트(B)를 장착하는 것이 특징인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를 압박수단(170)에는 신체 부위에 붙인 감지편(D)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77)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압박수단(170)의 상부에 감지편(D)이 위치하면 압박수단(170)이 작동하는 것이 특징인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KR1020180008896A 2017-04-25 2018-01-24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KR20180119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96A KR20180119469A (ko) 2017-04-25 2018-01-24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PCT/KR2018/004442 WO2018199536A1 (ko) 2017-04-25 2018-04-17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CN201880027349.0A CN110573126A (zh) 2017-04-25 2018-04-17 脊椎矫正和牵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36A KR101824114B1 (ko) 2017-04-25 2017-04-25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및 견인방법
KR1020180008896A KR20180119469A (ko) 2017-04-25 2018-01-24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KR1020180043865A KR102074518B1 (ko) 2018-04-16 2018-04-16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636A Division KR101824114B1 (ko) 2017-04-25 2017-04-25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및 견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469A true KR20180119469A (ko) 2018-11-02

Family

ID=6391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896A KR20180119469A (ko) 2017-04-25 2018-01-24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80119469A (ko)
CN (1) CN110573126A (ko)
WO (1) WO2018199536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60A (ko) 2018-12-21 2020-07-01 허정욱 3단 분리형 견인장치
KR102297043B1 (ko) 2021-04-02 2021-09-02 주식회사신화의료기 척추 견인 치료기
KR20220148358A (ko) 2021-04-28 2022-11-07 주식회사신화의료기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척추 견인 치료기
KR20230058202A (ko) 2021-10-22 2023-05-03 주식회사신화의료기 베드식 치료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156572A (ko) 2022-05-06 2023-11-14 허정욱 침대식 마사지 장치
KR20240057002A (ko) 2022-10-24 2024-05-02 허정욱 침대식 척추 견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00675A1 (en) * 2019-07-07 2021-01-07 Scot Leslie Johnson Traction and Decompression Therapy for the Cervical Spine
KR102159248B1 (ko) * 2019-09-16 2020-09-23 주식회사 메드랩 자동 체형인식 척추 치료 시스템
KR102159388B1 (ko) * 2019-09-16 2020-09-23 주식회사 메드랩 다중면 다축 척추치료 시스템
KR102101666B1 (ko) * 2019-10-04 2020-04-17 이윤형 목 교정기
KR102274883B1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메드랩 멀티교정형 척추치료 시스템
CN111658424B (zh) * 2020-05-29 2022-05-17 李伟 一种具有自主检测身体状态的产后锻炼装置
CN112006894B (zh) * 2020-09-17 2023-03-14 嘉兴市第一医院 一种腰部牵引装置
CN112569034B (zh) * 2020-12-25 2023-03-31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腰椎和颈椎牵引康复健身器
CN112618132B (zh) * 2020-12-30 2024-02-27 叶柏成 一种用于医疗骨科腿部不适患者用脊椎牵引床
CN115944513A (zh) * 2022-08-29 2023-04-11 江苏安惠医疗器械有限公司 脊椎护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142B1 (ko) * 2001-08-17 2005-01-03 최병길 척추 교정기
CN101036603A (zh) * 2006-03-16 2007-09-19 姜召坤 家庭腰颈椎牵引器
CN201036584Y (zh) * 2007-04-13 2008-03-19 鸿硕科技股份有限公司 颈腰椎电动牵引机
CN201235054Y (zh) * 2008-05-06 2009-05-13 王湘粤 颈腰椎牵引摇摆保健床
KR101063949B1 (ko) * 2008-06-30 2011-09-14 박성호 경추 및 요추 견인장치
KR100897618B1 (ko) * 2009-01-06 2009-05-14 주식회사 한메드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
KR20120060798A (ko) * 2012-04-24 2012-06-12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교정기
KR101417768B1 (ko) * 2012-06-27 2014-07-14 정원하 경추 견인용 머리고정장치
CN203001397U (zh) * 2012-11-16 2013-06-19 杨海春 一种脊柱按摩床
KR101535416B1 (ko) * 2013-10-15 2015-07-09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 견인장치
KR101566877B1 (ko) * 2014-03-21 2015-11-06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 교정기
KR101615183B1 (ko) * 2014-12-31 2016-04-25 주식회사 한메드 신체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CN106264976A (zh) * 2015-06-12 2017-01-04 耿宏伟 椎体保健运动床
CN105434091B (zh) * 2015-12-18 2019-01-15 北京晟尚美嘉科技有限公司 一种脊柱减压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60A (ko) 2018-12-21 2020-07-01 허정욱 3단 분리형 견인장치
KR102297043B1 (ko) 2021-04-02 2021-09-02 주식회사신화의료기 척추 견인 치료기
KR20220148358A (ko) 2021-04-28 2022-11-07 주식회사신화의료기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척추 견인 치료기
KR20230058202A (ko) 2021-10-22 2023-05-03 주식회사신화의료기 베드식 치료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156572A (ko) 2022-05-06 2023-11-14 허정욱 침대식 마사지 장치
KR20240057002A (ko) 2022-10-24 2024-05-02 허정욱 침대식 척추 견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73126A (zh) 2019-12-13
WO2018199536A1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9469A (ko)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US7654974B2 (en) Recliner spinal traction device
KR101824114B1 (ko)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및 견인방법
KR20180055087A (ko) 척추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KR102074518B1 (ko)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KR101326035B1 (ko) 척추 재활 치료기
JP4773272B2 (ja) 施療機
KR101937572B1 (ko) 견인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형 척추 치료기
KR20190061754A (ko) 안마의자
KR100797812B1 (ko)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
JP5204566B2 (ja) 施療機
JP2010188171A (ja) 腰痛治療器
CN101184417A (zh) 用于轮椅的气动支承系统
WO2009143673A1 (zh) 三维正脊仪
KR20110011151A (ko) 견인 치료장치
KR20140071164A (ko) 체형 교정기
KR101954311B1 (ko) 척추 견인기
JP2018057551A (ja) 腰椎牽引装置
JP2006345882A (ja) 牽引装置
US20070027413A9 (en)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a massage unit
TW201936154A (zh) 自動化按摩設備
EP2866768A1 (en) Headrest for massage table
CN103239312B (zh) 一种用于非手术脊柱治疗设备的床体
KR101841223B1 (ko) 목과 척추의 스트레칭 견인을 이용한 기능성 신체 교정장치
US20210361513A1 (en) Spinal tra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