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163A - 다기능 침대형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침대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163A
KR20230134163A KR1020220030395A KR20220030395A KR20230134163A KR 20230134163 A KR20230134163 A KR 20230134163A KR 1020220030395 A KR1020220030395 A KR 1020220030395A KR 20220030395 A KR20220030395 A KR 20220030395A KR 20230134163 A KR20230134163 A KR 20230134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bject
cervical
unit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규
곽기호
Original Assignee
(주)씨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비에이치 filed Critical (주)씨비에이치
Priority to KR102022003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163A/ko
Priority to PCT/KR2023/002219 priority patent/WO2023171929A1/ko
Publication of KR2023013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61H2201/1607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4Shoulder, e.g. for neck stretching
    • A61H2201/161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는, 대상자 신체에 일정 기능을 제공하는 다기능 침대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자의 경추를 고정시키는 경추 고정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자의 요추를 고정시키는 요추 고정부 및 상기 경추 고정부와 상기 요추 고정부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견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침대형 장치는 대상자의 요추와 경추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요추와 경추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트레칭시키는 구조를 구비하여, 컴팩트한 구조를 통해 대상자의 척추를 효과적을 감압시킨다.

Description

다기능 침대형 장치{MULTIFUNCTIONAL BED TYPE DEVICE}
본 발명은 다기능 침대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자가 누울 수 있게 침대형으로 제작되어 대상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하는 척추에 대한 견인 기능을 확보한 장치로, 대상자에게 마사지 또는 치료 등의 행위를 제공할 수 있게 제작된 다기능 침대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가 아픈 증세인 요통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인간이 진화하여 두발로 활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숙명적인 질환으로 남녀노소에 구별없이 전 인구의 약 80% 이상이 요통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상술한 요통 뿐만 아니라, 최근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장시간 고개를 숙이는 현상을 통해 이른 바 일자목(또는 거북목) 증상과 같은 경추 부위의 통증 질환도 흔하게 나타나고 있다. 상기 척추 질환은 특히 무거운 짐을 옮기는 노동자, 대부분의 시간을 잘못된 자세로 의자나 컴퓨터 앞에 앉아서 일하는 회사원 및 장시간 싱크대 앞에 서서 가사를 돌보는 주부 등 모든 사람에게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척추 질환은 디스크질환, 강직성 척추염, 척추판 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척추 분리증, 디스크 내장증, 급만성 요추염좌, 일자목, 거북목 증상 등으로 그 원인이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척추를 지탱하는 근육의 경직이 수반됨으로써 이 근육을 이완시켜주기만 해도 상당부분 완화될 수 있다.
상기한 척추 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자에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척추 견인에 의한 척추 감압 물리치료이다. 척추 견인의 기본 원리는 오랫동안 척추 지압사, 정골 요법사, 및 다른 적절한 교육을 받은 보건 전문가들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견인 및 감압 요법은 모두, 통증을 완화시키고 추간판 팽륜증, 퇴행성 디스크 또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최적의 치유 환경을 조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적용된다. 추간판 탈출 물질 또는 추간판 팽륜 물질을 수축하거나 재배치하는 것 및/또는 치유 영양분 및 다른 물질의 디스크에의 유입을 야기하는 저압을 디스크에 형성하는 것을 조장하도록, 추간판 내에 부압을 형성한 결과, 통증이 완화된다. 추가적으로, 척추 감압은 척수 또는 척추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된 신경근에 대한 압력을 완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척추 신경 요소의 감압은, 신경근병, 골수병, 파행 등과 같은 척추 이상의 치료에 있어서 핵심 요소이다. 척추 감압 요법은 요통 완화를 목표로, 트랙션 장치 또는 전동 장치를 이용하여, 척추를 신장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척추 디스크 감압을 용이하게 하고 개인에게 요통의 완화를 제공하도록, 견인력을 몸통에 가하는 장치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감압 장치는 부피가 크고, 조작하기 어려우며, 테이블에 엎드려 누워 있는 것 등과 같이, 사용자가 계속 단일 위치에서 단일 자세로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현재의 장치는 특정 몸통 타입에 제한되어 있어, 많은 고통을 받고 있을 수 있는 개인들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나치게 크고 비싸서 가정에서 쓰기 힘들어 개인의 접근이 어려웠던 병원용 견인/감압 치료기와 가정용 안마 침대의 구조를 융합하여 개인들도 쉽게 가정에서 척추 견인 감압 치료를 받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 침대형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KR 10-2124863 B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추 고정부와 요추 고정부가 대상자를 고정시키고 경추 고정부와 요추 고정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갖춘 장치를 확보함으로써 대상자의 척추를 감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는, 대상자 신체에 일정 기능을 제공하는 다기능 침대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자의 경추를 고정시키는 경추 고정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자의 요추를 고정시키는 요추 고정부 및 상기 경추 고정부와 상기 요추 고정부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견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에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경추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경추 엑추에이터부 및 상기 경추 엑추에이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경추 고정부를 상기 대상자의 신장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경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경추 동력장치 및 상기 본체부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요추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요추 엑추에이터부 및 상기 요추 엑추에이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요추 고정부를 상기 대상자의 신장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요추 롤러부를 포함하는 요추 동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에서, 상기 경추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상기 경추의 후면과 상기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경추 받침대, 상기 경추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경추를 향해 팽창함으로써 상기 경추를 고정하는 팽창 장치 및 상기 경추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대상자의 머리 일부를 둘러싸서 고정시키는 머리 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에서, 상기 요추 고정부는, 상기 대상자의 요추를 감싸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와 상기 요추 사이 공간에서 팽창됨으로써 상기 요추를 고정시키는 에어포켓부 및 상기 벨트부의 바깥면에서 상기 요추를 고정시키는 버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에서, 상기 대상자의 다리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부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리 지지판 및 상기 대상자의 겨드랑이와 어깨를 지지하여 상기 견인부 작동시 상기 대상자의 몸통이 상기 신장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몸통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침대형 장치는 대상자의 요추와 경추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요추와 경추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트레칭시키는 구조를 구비하여, 컴팩트한 구조를 통해 대상자의 척추를 효과적을 감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침대형 장치는 대상자의 다리 각도를 척추 감압에 알맞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람의 다양한 척추 조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추 고정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통 고정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의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 배치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경추부 받침 기구(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는, 대상자 신체에 일정 기능을 제공하는 다기능 침대형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자의 경추를 고정시키는 경추 고정부(200),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자의 요추를 고정시키는 요추 고정부(300) 및 상기 경추 고정부(200)와 상기 요추 고정부(30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견인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는 본체부(100), 경추 고정부(200), 요추 고정부(300) 및 견인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을 보면, 본체부(100)는 침대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대상자가 누울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한다. 본체부(100) 내부에는 경추 고정부(200), 요추 고정부(300) 및 견인부(4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품이 내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경추 고정부(200)와 요추 고정부(300)는 각각 대상자(P)의 경추부와 요추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대상자의 척추를 견인하여 감압시키기 위해서는 척추를 양방향으로 늘려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기능 침대형 장치(1)에서는 대상자의 척추의 양끝인 경추와 요추를 고정시켜 대상자의 척추를 늘려주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견인부(400)는 대상자가 장치(1)에 누웠을 때 대상자(P)의 허리를 감압시키기 위해 경추 고정부(200)와 요추 고정부(300)의 이격 거리를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1)의 감압 치료가 완료되면, 본래의 경추 고정부(200)와 요추 고정부(300)의 이격 거리로 되돌려 놓는 것 또한 견인부(400)의 역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에서, 상기 견인부(400)는, 상기 본체부(10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경추 고정부(20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경추 엑추에이터부(411) 및 상기 경추 엑추에이터(411)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경추 고정부(200)를 상기 대상자의 신장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경추 롤러부(412)를 포함하는 경추 동력장치(410) 및 상기 본체부(10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요추 고정부(30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요추 엑추에이터부(421) 및 상기 요추 엑추에이터부(421)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요추 고정부(300)를 상기 대상자의 신장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요추 롤러부를 포함하는 요추 동력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부(400)는 경추부 동력장치(410) 및 요추 동력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보면, 경추 동력장치(410)와 요추 동력장치(420)는 본체부(100)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경추 동력장치(410)는 경추 엑추에이터부(411) 및 경추 롤러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추 엑추에이터부(411)는 본체부(100) 내측에 배치되어 경추 고정부(200)에 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경추 고정부(200)가 대상자의 신장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경추 롤러부(412)는 경추 고정부(200)에 경추 엑추에이터부(411)의 동력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경추 고정부(200)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요추 동력장치(420) 또한 요추 엑추에이터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요추 엑추에이터부(421) 또한 요추 고정부(300)가 대상자의 신장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한 동력을 제공한다. 요추 엑추에이터부(421) 또한 본체부(10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요추 동력장치(420)는 요추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요추 롤러부는 요추 엑추에이터부(421)로부터의 동력을 요추 고정부(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견인부(400)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은 본체부(100)와 경추 고정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은 본체부(100)와 요추 고정부(300)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추 고정부(200) 및 요추 고정부(300)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대상자의 척추를 견인할 수 있다.
장치(1)에 대상자(P)에 배치되어 척추 감압 기능이 작동될 때, 경추 고정부(200)와 요추 고정부(30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방식은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고, 척추를 감압시키기 위해 경추 고정부(200)와 요추 고정부(3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척추 감압 과정이 진행된다. 예를 들어, 요추 고정부(30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경추 고정부(200)가 일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척추 감압 기능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부(2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에서, 상기 경추 고정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상기 경추의 후면과 상기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경추 받침대(210), 상기 경추 받침대(210)에 형성되어 상기 경추를 향해 팽창함으로써 상기 경추를 고정하는 팽창 장치(220) 및 상기 경추 받침대(210)에 형성되어 상기 대상자의 머리 일부를 둘러싸서 고정시키는 머리 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의 경추 고정부(200)는 경추 받침대(210), 팽창 장치(220) 및 머리 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보면, 본 발명의 본체부(100) 상에는 대상자(P)가 본체부(100)에 올라갈 수 있도록 형성된 경추 받침대(210)가 배치되어 있다. 경추 받침대(210)는 경추 고정부(200)의 구성들을 지지하는 역할과, 경추 받침대(210) 밑의 본체부(100)에 내재된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 (a) 부분을 보면, 팽창 장치(220)는 경추 받침대(210)에서 경추를 양방향에서 지지하도록 두 개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상자의 목은 한 쌍의 팽창 장치(2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팽창 장치(220)는 대상자의 머리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의 척추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견인될 때, 팽창 장치(220)가 대상자의 머리를 지지함으로써 머리가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2에서 (b) 부분을 보면, 팽창 장치(220)는 경추 받침대(210)에서 경추를 향해 부풀어나도록 형성되는데, 대상자의 경추 크기에 따라 팽창 장치(220)가 부풀어 오르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팽창 장치(220)는 경추 받침대(2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소켓부(221) 및 상기 소켓부 내에 형성되어 공압에 의해 팽창과 수축이 가능하게 하는 팽창부재(222)로 형성될 수 있다.
경추 받침대(210)는 대상자의 머리와 접촉된다. 이를 위해 경추 받침대(210)에는 대상자의 머리 형상과 비슷한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팽창 장치(220)는 경추 받침대(210)의 홈이 형성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경추 받침대(210)의 내부에는 대상자의 경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머리 끈부(230)는 대상자의 머리 부분을 둘러싸서 대상자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머리 끈부(230)는 경추 받침대(2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머리 끈부(230)는 대상자의 머리 양방향에 형성되어 서로 버클 결합이 되거나 찍찍이 결합이 됨으로써 머리를 감싸서 고정하게 되며, 머리 끈부(230)의 결합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머리 끈부(230)는 대상자의 떡을 둘러싸거나 이마 부분을 둘러싸서 머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머리 끈부(23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 대상자의 머리를 경추 받침대(210)를 향해 가압할 수 있으며, 또는 벨크로나 벨트 등으로 길이 등을 조절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추 고정부(3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에서, 상기 요추 고정부(300)는, 상기 대상자의 요추를 감싸는 벨트부(310), 상기 벨트부(310)와 상기 요추 사이 공간에서 팽창됨으로써 상기 요추를 고정시키는 에어포켓부(320) 및 상기 벨트부(310)의 바깥면에서 상기 요추를 고정시키는 버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추 고정부(300)는 벨트부(310), 에어포켓부(320) 및 버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부(310)는 대상자의 요추를 둘러싸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벨트부(310)는 본체부(100) 상에 형성된다. 요추 고정부(300)는 요추 베이스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요추 베이스판은 본체부(100) 상에 형성되어 대상자의 요추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벨트부(310)는 요추 베이스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벨트부(310) 밑으로는 벨트 고정부(311)가 형성될 수 있어, 벨트부(310)와 본체부(100)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벨트부(310)는 버클부(330)로 잠금/풀림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버클부(330)의 체결에 따라 요추 고정부(300)가 요추를 고정시킬 수 있다. 벨트부(310)의 안쪽 면에는 에어포켓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을 보면, 에어포켓부(320)는 대상자의 엉덩이 방향과 골반 양쪽 방향에 형성되어 총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클부(330)가 체결된 이후 에어포켓부(320)가 작동하면, 에어포켓부(320)가 팽창하여 대상자와 벨트부(310) 사이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에어포켓부(32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하는 배관(321)이 벨트부(310)의 밑으로 연결되어 본체부(100)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에 배치되어 상기 배관(321)과 연결된 공기압 주입 장치 등에 의해 에어포켓부(320)가 작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통 고정부(11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에서, 상기 대상자의 다리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부(100)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리 지지판(500) 및 상기 대상자의 겨드랑이와 어깨를 지지하여 상기 견인부(400) 작동시 상기 대상자의 몸통이 상기 신장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몸통 고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는 요추 고정부(300)의 요추 베이스판에서 대상자의 신장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대상자의 다리 각도를 조절하는 다리 지지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보면, 다리 지지판(500)이 대상자의 다리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설계된 것을 볼 수 있다. 허리를 견인하여 감압을 시킬 때, 대상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감압에 적합한 다리 각도가 있다. 따라서 대상자는 자신의 다리 각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다리 지지판(500)이 회전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다리 쿠션부(5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의 다리를 다리 쿠션부(510) 위로 올린 다음 척추 감압 치료를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의 본체부(100)에는 대상자의 몸통을 고정시키는 몸통 고정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몸통 고정부(110)는 대상자의 겨드랑이와 어깨를 지지하여 견인부(400) 작동시 대상자의 몸통을 움직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몸통 고정부(110)는 겨드랑이 지지대(111) 및 어깨 지지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어깨 지지대(112)는 대상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것으로, 경추 고정부(200)가 대상자의 머리 방향으로 이동할 때 어깨가 이동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하며, 그 형상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겨드랑이 지지대(111)는 대상자의 겨드랑이 밑을 지지하여 요추 고정부(300)가 대상자의 다리 방향으로 이동할 때 대상자의 몸통이 아래로 끌려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보면, 겨드랑이 지지대(111)는 지지홈(111a) 및 지지봉(11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1)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홈(111a)에 지지봉(111b)이 들어가 있다가, 장치(1)가 작동할 때에는 지지봉(111b)이 위로 올라와 대상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봉(111b)이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부재(111c)에는 탄성체(111d)가 형성되어 있어, 대상자의 몸통의 너비에 따라 지지봉(111b)의 위치가 대상자의 몸통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대상자의 체형에 따라 지지봉(111b)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에 형성되는 시트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의 시트는 본체부(100) 상에서 대상자가 누웠을 때 안락함을 느끼게 해주기 위해 설치된다. 시트는 상부 시트(800), 하부 시트(900), 등받침 시트부(7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시트(800)와 하부 시트(900)는 대상자의 상체와 하체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중간에는 대상자의 몸통 부분이 닿는 등받침 시트(700)가 형성된다. 이렇게 시트를 분리시키는 이유는 요추 고정부(300)와 경추 고정부(200)가 서로 이격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요추 고정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시트(900)와 경추 고정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시트(800)가 등받침 시트부(700)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다. 등받침 시트부(700)에는 몸통 고정부(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추 고정부(200)와 요추 고정부(300) 사이에는 대상자의 등이 닿는 등받침 시트부(7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등받침 시트부(700)에는 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압력센서(71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리 지지판(500)가 대상자의 다리를 들어올려 척추를 견인해 감압시키기 가장 알맞은 자세를 대상자가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복수의 압력센서(710)를 통해 측정된 압력수치를 통해 대상자의 다리 각도를 조절한다. 인간의 척추는 누웠을 때 S자 곡선에 의해 척추뼈의 일부가 바닥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 같은 경우에는 척추를 경추 고정부(200)와 요추 고정부(300)가 서로 멀어지면서 스트레칭시킬때, 대상자의 척추가 효율적으로 감압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상자(P)의 척추가 등받침부(700)에 최대한 달라붙게 하기 위해서 다리 쿠션부(510)가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는 압력센서(710)에서 측정되는 압력값의 편차가 일정범위 내로 형성되었을 때, 대상자의 척추가 최대한 펴져 등받침 시트부(700)에 달라붙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다리 지지판(500)를 통해 대상자의 다리 각도를 조절하면서 복수의 압력센서(710)에서 압력값을 측정한다. 이때 복수의 압력센서(710)에서 측정된 압력값 평균에서 일정 퍼센트 범위 내에 모든 압력센서(710) 측정값이 속할 때, 다리 지지판(500)의 그 각도가 해당 대상자에게 가장 알맞는 척추 감압 각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압력센서(710)는 척추의 라인을 따라 배치되도록 등받침 시트부(700)의 폭방향 중심에서 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압력센서(710)에서 측정된 값의 평균보다 5% 범위 내에 모든 압력센서(710) 측정값이 배치될 때, 제어부는 대상자에게 알맞은 다리 각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600)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보면, 디스플레이부(600)는 대상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손과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600)에서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대상자가 기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의 예시는 다리 지지판(500)의 각도 조절, 견인부(400)의 척추 감압 정도 조절, 요추 고정부(300)의 각도와 요추부 슬라이딩 조절 등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다기능 침대형 장치 100 : 본체부
110 : 몸통 고정부 111 : 겨드랑이 지지대
112 : 어깨 지지대 111a : 지지홈
111b : 지지봉 111c : 회전부재
111d : 탄성체 200 : 경추 고정부
210 : 경추 받침대 220 : 팽창 장치
221 : 소켓부 222 : 팽창부재
230 : 머리 끈부 300 : 요추 고정부
310 : 벨트부 320 : 에어포켓부
330 : 버클부 400 : 견인부
410 : 경추부 동력장치 411 : 경추 엑추에이터부
412 : 경추 롤러부 420 : 요추부 동력장치
421 : 요추 엑추에이터부 500 : 다리 지지판
510 : 다리 쿠션부 600 : 디스플레이부
700 : 등받침 시트부 710 : 압력센서
800 : 상부 시트 900 : 하부 시트

Claims (5)

  1. 상기 대상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자의 경추를 고정시키는 경추 고정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자의 요추를 고정시키는 요추 고정부; 및
    상기 경추 고정부와 상기 요추 고정부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경추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경추 엑추에이터부 및 상기 경추 엑추에이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경추 고정부를 상기 대상자의 신장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경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경추 동력장치; 및
    상기 본체부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요추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요추 엑추에이터부 및 상기 요추 엑추에이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요추 고정부를 상기 대상자의 신장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요추 롤러부를 포함하는 요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추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상기 경추의 후면과 상기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경추 받침대;
    상기 경추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경추를 향해 팽창함으로써 상기 경추를 고정하는 팽창 장치; 및
    상기 경추 받침대에 형성되어 상기 대상자의 머리 일부를 둘러싸서 고정시키는 머리 끈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추 고정부는,
    상기 대상자의 요추를 감싸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와 상기 요추 사이 공간에서 팽창됨으로써 상기 요추를 고정시키는 에어포켓부; 및
    상기 벨트부의 바깥면에서 상기 요추를 고정시키는 버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다리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부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리 지지판; 및
    상기 대상자의 겨드랑이와 어깨를 지지하여 상기 견인부 작동시 상기 대상자의 몸통이 상기 신장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몸통 고정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형 장치.
KR1020220030395A 2022-03-11 2022-03-11 다기능 침대형 장치 KR20230134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395A KR20230134163A (ko) 2022-03-11 2022-03-11 다기능 침대형 장치
PCT/KR2023/002219 WO2023171929A1 (ko) 2022-03-11 2023-02-15 다기능 침대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395A KR20230134163A (ko) 2022-03-11 2022-03-11 다기능 침대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163A true KR20230134163A (ko) 2023-09-21

Family

ID=8793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395A KR20230134163A (ko) 2022-03-11 2022-03-11 다기능 침대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4163A (ko)
WO (1) WO202317192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863B1 (ko) 2018-07-31 2020-07-07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931A (ja) * 1992-09-17 1994-04-05 Hitachi Ltd 核磁気共鳴を用いた検査装置
KR101069908B1 (ko) * 2009-11-09 2011-10-05 구경순 척추 견인 치료기
KR101326035B1 (ko) * 2012-05-23 2013-11-20 구경순 척추 재활 치료기
KR101474289B1 (ko) * 2012-12-07 2014-12-18 주식회사 카스피 요추 및 경추 견인침대
KR101744300B1 (ko) * 2015-10-28 2017-06-20 주식회사신화의료기 견인 위치 조절이 가능한 척추치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863B1 (ko) 2018-07-31 2020-07-07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1929A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743B2 (en) Joint separator for body alignment
JP2004508891A (ja) 脊椎骨の異常整列を矯正するための椅子およびこの椅子で脊椎骨の異常整列を矯正するための方法
US9486375B2 (en) Back support device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US20040073150A1 (en) Ambulatory trans-lumbar traction system
KR100420947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KR100763474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JPS61280862A (ja) 空気マツサ−ジ椅子
KR20230134163A (ko) 다기능 침대형 장치
JP2006095262A (ja) クッション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US5570703A (en) Contoured therapeutic spinal support
JP2006068025A (ja) 椅子用の腰痛軽減補助装置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KR20230109218A (ko) 다기능 침대형 장치
KR20230109217A (ko) 척추 스트레칭 장치
KR200270421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2613154B1 (ko) 전신을 견인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JP2008073276A (ja) 骨盤クッション
KR102581078B1 (ko) 신체 견인 장치
KR200270422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US11576497B2 (en) Adjustable, lower back restoration device
KR102047714B1 (ko) 척추교정 및 허리근력강화를 위한 의료보조기구
KR102290807B1 (ko) 요추 견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