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872B1 -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872B1
KR101582872B1 KR1020157002373A KR20157002373A KR101582872B1 KR 101582872 B1 KR101582872 B1 KR 101582872B1 KR 1020157002373 A KR1020157002373 A KR 1020157002373A KR 20157002373 A KR20157002373 A KR 20157002373A KR 101582872 B1 KR101582872 B1 KR 101582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ase member
portions
region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644A (ko
Inventor
윌리암 프레스턴 윌링험
Original Assignee
백조이 오쏘틱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562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828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백조이 오쏘틱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백조이 오쏘틱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1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47C7/022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앉아 있는 동안 자세를 개선시키는 정형외과 디바이스는 상부 다리를 위한 전방 부분(101)과 하부 골반 영역을 위한 보울 부분(20)을 포함하는 기반 부재를 포함한다. 보울 부분은 중심 부분(102, 103)과 상향 경사진 측방 부분(104, 105)을 구비한다. 측방과 전방 부분이 함께 중심 부분을 둘러싼다. 중심 부분(102, 103)은 가변 가요성의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고 측방 부분(104, 105)도 가변 가요성의 복수의 영역을 구비한다. 보울 부분(20)은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20)에 놓여있지 않았을 때의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의 회전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20)에 놓여있을 때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지지 표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20)에 배치된 후에, 상기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의 전방 회전 기울기를 전방 척추 전만 위치로 기울어지게 한다.

Description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관련 신청서에 대한 상호 참조물
본 신청서는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 2009년 1월 23일자 제출된 미국 임시 특허 일련 번호 61/147,053로부터 우선권을 청구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정형술(orthosis)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착석 정형술에 관한 것이다.
의자와 소파는 보통 엉덩이와 요추를 지지하는 조립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스프링, 쿠션, 또는 스프링에 놓여있는 패드와 소파 덮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물들은 스프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하지만 소정의 고정된 형태를 띠기 때문에 최대의 안락감을 위해서는, 이러한 가구를 이용하는 사람은 조립물에 대해서 자신의 신체 자신을 조절해야만 한다.
신체에 맞게 안락감을 제공하는 유연하고 탄력 있는 지지 부분들을 포함하는, 의자, 소파, 기타 유사 가구에서 인체공학적으로 지지하는 많은 것이 있다. 이 모든 엉덩이와 요추 지지의 착석면은 등고선으로 굽혀져 있거나 비평면이라도 복수의 캔틸레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이는 신체가 착석면의 지원 자세에 맞추는 것과는 반대로 기계적 부품의 이동 없이 신체에 자동으로 조절되고 맞추게 된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비서 벌리기(secretary spread)"라고 일반적으로 불리우는 둔근 벌리기(gluteal spreading)가 옳지 않은 자세로서 골반과 척추에 해를 끼친다. 인체공학적 착석 디바이스가 얼마나 안락하고 인체공학적인지와는 상관없이 인체 측정학적으로 측정된 착석 디바이스에 계속적으로 앉아 있는 것은 대부분 신체의 등에 반복되는 스트레스 해를 입힌다. 미국 특허 번호 5,887,951은 사용자의 골반부분을 지지하는 균일된 두께의 착석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앉아 있는 동안 자세를 개선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착석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 교정 장치(100)에 있어서, 기반 부재(12)를 포함하며, 상기 기반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넓적 다리가 수용되는 전방 부분(101); 및 상기 전방 부분(10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수용되는 보울 부분(20)을 포함하며, 상기 보울 부분(20)은, 중심 부분(102,103) 및 상기 중심 부분(102,103)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측방 부분(104,105)을 구비하고, 상기 측방 부분(104,105)과 상기 전방 부분(101)은 상기 중심 부분(102,103)을 둘러싸며, 상기 측방 부분(104,105)은 좌측방 부분(104) 및 우측방 부분(10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방 부분(104)과 상기 우측방 부분(105) 사이에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110)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울 부분(20)의 하측면은 아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 부분(20)은, 상기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20)에 놓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20)에 놓여지는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보울 부분(2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 표면(40) 상에서 전방으로 회전되며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 부분(20)은, 상기 보울 부분(20)의 전방 에지에 상기 보울 부분(20)의 전방으로의 기울어짐을 중단시키는 경사부(11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 부분(20)의 전방으로의 기울어짐이 상기 경사부(111)에 의해 중단된 경우에, 상기 보울 부분(20)의 후방 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20)에 놓여지지 않은 상태에 비해 전방으로 0.5 내지 3.5 인치(inch)의 거리만큼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 부분(101)은 상기 측방 부분(104,105)보다 큰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110)은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110)을 둘러싸는 상기 기반 부재(12)의 다른 부분들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110)은 상기 기반 부재(1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보울 부분(2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 표면(40) 상에서 상기 자세 교정 장치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 부분(20)에 상기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놓여진 상태에서, 앉아 있는 동안 사용자의 비틀림 이동은 상기 기반 부재(12)의 비틀림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중심 부분(102,103)에 앉는 경우에, 상기 측방 부분(104,105)의 외부 에지가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방 부분(104,105)의 외부 에지가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측방 부분(104,105)이 상기 하부 골반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이 앉아 있는 동안 자세를 개선시키는 정형외과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 정형외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상부 다리들을 수용하도록 전방 부분과 하부 골반 영역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울 부분(bowl portion)을 포함하는 기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울 부분은 중심 부분과 상향 경사진 측방 부분을 포함한다. 측방 부분과 전방 부분은 함께 중심 부분을 둘러싼다.
상기 중심 부분은 가변 가요성의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고 측방 부분은 가변 가요성의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보울 부분은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에 놓여졌을 때 상향 및 하향의 압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울 부분은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지지 않을 때의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의 회전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졌을 때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지지 표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진 후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의 전방 회전 기울기가 전방 척추 전만 위치로 기울어 지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은 앉아 있는 동안 정형외과 디바이스를 이용해 올바른 자세를 취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 및 장점들은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상기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를 통해서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la는 자세를 교정하고 사용자의 둔근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한 착석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가변 두께 부분들을 갖는 상기 착석 장치의 사시도.
도 l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에 착석, 접근 동작 시의 사용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지지 표면 상에서 도 1a의 착석 장치의 우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상태에서, 도 lb 장치의 우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l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 장치를 제 2 형태가 이루어지고 골반의 척추 전만과 척추가 앞으로 완전히 된 상태가 이루어질 때까지 착석 장치를 채우는 상태에서, 도 1c의 장치의 우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1e는 해부학적 척추후만 요추 척추와 골반의 측방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1f는 도 le의 해부학적 척추후만 요추 척추와 골반과 상응하는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 모습의 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1g는 해부학적 척추 전만 요추 척추와 골반 모습의 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lh는 도 1g의 해부학적 척추전만 요추 척추와 골반과 상응하는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 모습의 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경질 지지 표면에 놓여 있는 도 la의 착석 장치에 사용자가 착석 측방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착석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중 지탱 위치에 있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a의 착석 장치에 사용자가 착석된 후방 해부학적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가 축의 비틀림 상태에 있는, 도 la의 착석 장치에 사용자가 척추를 비틀면서 착석된 후방 해부학적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가 축의 비틀림에 있으면서 도 2c의 착석 장치에 사용자가 척추를 비틀면서 착석된 측방 해부학적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질 착석 표면에 있는 착석 장치와 함께 도 1a의 착석 장치에 사용자가 착석된 후방 해부학적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질 착석 표면에 있는 착석 장치와 함께 도 2f의 착석 장치에 사용자가 착석된 측방 해부학적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가 프레임된 시트 팬 표면 사이에 매달린 가요성 섬유 메시에 있는 착석 장치와 함께, 사용자가 도 1a의 착석 장치에 착석된 후방 해부학적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가 프레임된 시트 팬 표면 사이에 매달린 가요성 섬유 메시에 있는 착석 장치와 함께, 사용자가 도 2h의 착석 장치에 착석된 측방 해부학적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의 장축을 따라 오목한 채널과 함께, 다중 부분들을 갖는 착석 장치의 폭 및 길이를 표시하는, 도 la의 착석 장치의 상면도.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의 장축을 따른 오목한 채널을 표시하는, 도 3a의 착석 장치의 사시도.
도 3c는 도 3a와 비슷하나 더 큰 스케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착석된 사용자의 하중 지탱 동안에 착석 장치가 제 2 구성을 취할 때 발생된 변위를 쇄선을 사용하여 도시한 도면.
도 3d는 도 3c와 비슷하나 무게가 기반 부재에 놓여질 때 발생한 변위, 착석된 사용자가 우측으로 비틀릴 때 기반 부재의 추가 비틀림을 쇄선을 사용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3e는 도 3c와 비슷하나 무게가 기반 부재에 놓여질 때 발생한 변위, 착석된 사용자가 좌측으로 비틀릴 때 기반 부재의 추가 비틀림을 쇄선을 사용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의 기반 부재의 부분들의 가변 두께 영역들을 표시하는, 도 1a의 착석 장치의 상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의 기반 부재의 부분들의 가변 두께 영역을 표시하는, 선택한 후방 부분을 갖는, 도 1a의 착석 장치의 상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의 기반 부재의 부분의 가변 두께 영역을 표시하는, 도 4a의 착석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의 오목한 채널과 후방 부분을 표시하는, 도 3b의 착석 장치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개별 부분과 함께 착석 장치의 상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부분의 연결 메카니즘을 도시하도록 전개된 다중 부분들을 갖는, 도 6a의 착석 장치의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의 통합된 좌석 팬 구성의 사시도로서, 화살표들은 비하중 지탱 형태(non-weight bearing shape)에서 하중 지탱 형태(weight bearing shape)로 착석 장치가 변이될 때의, 부분들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가 비하중 지탱 형태에서 하중 지탱 형태로 변이될 때, 도 6c의 착석 장치의 사시도.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가 하중 지탱 형태로 변이될 때의, 도 6c의 착석 장치의 사시도.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가 하중 지탱 형태로 변이될 때의 도 6e의 착석 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 부분들의 중첩 및 측방 부분들의 중첩을 표시하는, 착석 장치가 비하중 지탱 형태에 있는, 도 6c의 착석 장치의 사시도.
도 6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g의 착석 장치의 측방 사시도.
도 6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g와 도 6h의 착석 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6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가 비하중 지탱 형태에 있고, 착석 장치의 부분들이 착석 장치의 부분들을 조작하기 위한 지지 환경부에 부착될 수 있는 원추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의 또다른 통합된 좌석 팬 구성의 저부 사시도.
도 6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j의 착석 장치를 하중 지탱 형태로 도시하는 저부 사시도.
도 6l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지탱 형태의 후방 부분이 없는 도 6j의 착석 장치의 저부 사시도.
도 6m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j의 착석 장치를 비하중 지탱 형태로 도시한 저면도.
도 6n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 장치에 착석, 접근 동작 시의 자세를 도시하는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 모습과 함께 도 6j의 착석 장치의 우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6o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가 착석 장치와 접촉하는 상태의, 도 6n의 착석 장치의 우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6p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가 전체 제 2 형태가 이루어지고 골반과 척추의 완전한 앞으로의 척추 전만이 이루어질 때까지 착석 장치를 채우는 상태의, 도 6o의 착석 장치의 우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ld에서 도 1c의 모습을 겹치는 지지 표면에 있는 도 1a의 착석 장치의 우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먼 쪽의 넓적다리를 착석 장치의 전방 부분으로 내리 밀기 전에 좌골 결절 골반을 도시하는 도 7a의 착석 장치의 후방에서 바라본 E-E 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절와 골반이 완전히 놓여있고 근육조직과 함께 하중 지탱 착석 장치의 중심부분을 채우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 7a의 착석 장치의 후방에서 바라본 E-E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c에 상응하는 착석 장치와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의 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가 하중 지탱 위치로 앞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도 ld에 상응하는 착석 장치와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의 측방을 도시한 도면.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없이 도 8b의 착석 장치의 측면도로서,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의 경사/회전으로 인해 변위된 중력 평형점의 중심과 중심 부분 경사를 도시한 도면.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가 비하중 지탱 형태에서 하중 지탱 형태로 변이될 때의 부분들의 이동을 도시하는 화살표와 함께 도 la의 착석 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에 착석된 사용자의 해부학적 구조와 함께 도 1의 착석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를 도시하는 도 8c의 착석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의 감싸는 효과를 도시하는 쇄선으로 겹쳐진 비하중 지탱 위치와 함께 도 10a의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의 G-G 단면도.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골반 좌골 결절의 하단 날개에 안쪽으로 향하는 압력을 넣는 둔근 근육의 커핑과 크래들링을 도시하는 화살표의 해부학적 모습과 함께 도 1a의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옆으로 기울때 착석 장치가 어떻게 커핑(cupping)과 크래들링(cradling)을 유지하는 지를 도시하는 도 10c의 착석 장치의 연질 지지 표면에서의 하중 지탱 위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a의 착석 장치의 비하중 지탱 위치의 G-G 단면도.
도 10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하중 지탱 위치가 쇄선으로 겹쳐진 모습과 함께 도 10a의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의 G-G 단면도.
도 ll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의 올바르지 못한 분배와 날개형 골반의 앉은 자세 하부 골반 영역의 외부로 향하는 이동과 함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착석 장치 없이 표면에 착석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l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지탱 착석 장치의 뒤와 측방의 압력 커핑과 크래들링의 올바른 분배와 날개형 골반의 하부 골반 영역 앉는 자세의 안으로 향하는 이동을 도시하는 화살표와 함께 사용자가 착석된 도 10c의 하중 지탱 착석 장치의 또다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쇄선으로 되어 있는 착석 장치의 비하중 지탱 위치와, 중력 평형의 중심이 비하중 지탱 위치에서 하중 지탱 위치로 앞으로 변위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실선으로 되어 있는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의 겹쳐진 상부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2a의 저부 사시도.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2a의 단면도.
도 12d와 도 1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선에 있는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와, 착석된 사용자의 상체가 오른쪽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길이방향 축과 횡방향 축 비틀림 상태에서 쇄선으로 되어 있는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의 중첩 상태에서, 도 1a의 착석 장치의 각각 상응하는 측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f와 도 1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선에 있는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와, 착석된 사용자의 상체가 오른쪽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길이방향 축과 횡방향 축 비틀림 상태에서 쇄선으로 되어 있는 착석 장치의 하중 지탱 위치의 중첩 상태에서 도 1a의 앉는 자세의 각각 상응하는 측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착석 장치의 실시예에서 착석된 사용자의 실제 압력 맵의 저면도로서, 중력 표시기의 중심을 도시한 도면.
도 13b는 일반 인체공학적 좌석에 착석된 사용자의 실제 압력 맵의 저면도로서, 중력 표시기의 중심을 도시한 도면.
도 14a 내지 도 14i는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 모습으로 표시된, 착석된 사용자 하중 아래의 하중 지탱 위치에서 도 la의 장치를 도시하는 여러 다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 기간에 걸쳐 사용자가 자연적으로 앉아 있는 동안의 이동으로 인한 척추와 여러 부하 자세의 영향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반 부재의 두께와 포말 오버레이 부착물과 함께 직물 포말 오버레이(fabric foam overlay) 및 기반 부재를 갖는, 도 1a의 착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를 이동하고 비트는 동안 장치가 어떻게 골반을 척추 전만 자세로 비틀고 정렬하는 지를 도시하는, 사용자 상체를 한쪽으로 비틀면서 여러 다른 모습으로 도 la의 착석 장치에 착석된 사용자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목한 채널 부분과 함께 도 la의 착석 장치의 기반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b는 도 la의 선 A-A을 따른 절단면에서, 도 17a의 기반 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 내지 도 3b의 착석 장치의 기반 부재의 상면도.
도 18b 내지 도 18n은 도 18a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단면 B-B, C-C, D-D, E-E, F-F, 0-0, H-H, I-I, K-K, L-L, M-M, N-N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정렬 프로세스의 흐름도.
본 발명은 자세를 교정하고 둔근 벌리는 것을 제한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앉아 있는 동안 자세를 개선시키는 정형외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정형외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상부 다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방 부분과 하부 골반 영역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울 부분을 포함하는 기반 부재를 포함하며 보울 부분은 중심부분과 상향 경사진 측방 부분을 포함하고, 측방 부분과 전방 부분은 중심 부분을 집합적으로 둘러싼다. 중심 부분은 가변(예, 서로 다른) 가요성의 복수의 영역들을 구비하고 측방 부분은 역시 가변 가요성의 복수의 영역들을 구비한다. 보울 부분은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였을 때 상향 및 내향의 압축력을 적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울 부분은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에 놓여있지 않았을 때의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의 회전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에 놓여있을 때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지지 표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에 배치된 후에, 상기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의 전방 회전 기울기를 전방 척추 전만 위치로 기울어지게 한다.
도 la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착석 디바이스(100)(앉는 보조기)의 실행 예를 도시하는데 이 디바이스는 착석된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의도되었으며 착석된 사용자의 전체 골반이 앞으로 기울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하부 골반과 좌골 결절에 커핑과 크래들링 효과를 제공한다. 좌골 결절은 도 9에서 i에 나타나있다. 도 9에 도시된 골반 부분의 부품,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다: a 치골궁, b엉치뼈, c꼬리뼈, d장골관, f치골관 결합, g엉덩이 골반 테두리, h둔부 들어간 곳, i좌골 결절, m 근육 조직, p 골반, s 척추, t 넓적다리, w 여러 폭의 연조직.
도 1a의 사시도에서, 디바이스(100)는 기반 부재(12)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기반 부재(12)위에 포말과 같은 패딩층(13)(도 15)도 추가로 포함한다. 패딩층(13)은 다른 도면에서 기반 부재(12)의 명확한 도시를 위해 도 15에만 도시된다.
기반 부재(12)는 사용자의 상부 다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부분(101)을 포함하는 전방 부분으로 구성된다. 기반 부재는 이외에도 인접 중심 부분(102,103)을 포함하는 중심 부분으로 구성된다. 기반 부재는 또한 상향 경사지고 부분적으로 인접한 측방 부분(104,105)을 포함하는 측방 부분으로 구성되며 이는 중심 부분(102,103)을 측면 접하고 그리고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 4a는 기반 부재(12)의 부분(101 내지 105)에 있는 가변 두께의 영역을 도시하는 기반 부재(12)의 상면도이다. 각 중심 부분(102,103)은 가변 가요성의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고 각 측방 부분(104,105)는 가변 가요성의 복수의 영역이 있다(도 4a). 측방 부분(104,105)과 전방 부분(101)은 함께 중심 부분(102,103)을 둘러싸며, 중심 부분과 측방 부분은 함께 보울 부분(20)(도 8a, 도 8b, 도 10b에 보편적으로 나타남)을 형성한다. 보울 부분(20)은 보편적으로 부분(102, 103, 104, 105)에 의해 형성된다. 보울 부분은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졌을 때 상향 및 내향의 압축력을 적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lb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에 착석, 접근하는 동작시에, 사용자의 해부학 도형과 함께 지지 표면(40)에 있는 디바이스(100)의 우측면을 도시한다. 도 lb에서,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 있다(예, 비하중 지탱 위치.) 도 lc는 사용자가 장치를 만지면서 계속 앉는 행동을 취하고 하중을 디바이스(100)로 전환시키는 변이 상태를 도시한다.
보울 부분은 추가로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있지 않을 때의 제 1 위치(도 1b)와, 상기 제 1 위치의 회전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있을 때의 제 2 위치(도 1d) 사이에서 지지 표면(40)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진 후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의 전방 기울기가 각도θ로 전방 척추 전만 위치로 경사지도록 유도한다. 도 ld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에 앉는 자세를 완전히 끝낸 상태를 도시하며,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 둔근 근육이 제 2 형태가 이루어지고 골반과 척추의 완전한 척추 전만이 이루어질 때까지 디바이스(100)를 채우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ld에서는, 디바이스(100)가 제 2 위치에 있다(예, 하중 지탱 위치).
도 2a는 디바이스(100)가 하중 지탱 위치에서 경질 지지 표면(40)에 놓여있는 디바이스(100)에 착석된 사용자의 측면을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하중 지탱 위치에 있는 디바이스(100)에 착석된 사용자의 후면을 도시한다. 또한 도 2c는 기반 부재(12)가 사용자의 비틀림 동작으로 인해 축에서 비틀려 있는 모습과 함께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에 앉아 있고 사용자가 척추 s를 비트는 동작의 후면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디바이스(100)는 하중 지탱 위치에 있다. 도 2d는 도 2c 도시의 측방을 도시한다. 하중 지탱 위치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진 후 하부 골반 영역의 전방 회전 기울기를 전방 척추 전만 자세로 기울어지게 한다.
도 2e는 일반적으로 연질 지지 표면(40a)(예, 쿠션)에 놓여있는 디바이스(100)에 착석된 사용자의 후면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디바이스(100)는 하중 지탱 위치에 있다. 도 2f는 도 2e의 하중 지탱 디바이스(100)에 착석된 사용자의 측방을 도시한다. 도 2g는 일반적으로 연질 지지 표면(40a)(예, 프레임된 시트 팬 표면 사이에 매달린 가요성 섬유 메시)에 놓여있는 디바이스(100)에 착석된 사용자의 후면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디바이스(100)는 하중 지탱 위치에 있다. 도 2f는 도 2e의 하중 지탱 디바이스(100)에 착석된 사용자의 측방을 도시한다. 하중 지탱 위치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진 후 하부 골반 영역의 전방 회전 기울기를 전방 척추 전만 자세로 기울어지게 한다.
도 1a에 도시되는 디바이스(100)의 사시도에서, 기반 부재(12)는 여러 부분(101, 102, 103, 104, 10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에 앉아 있을 때 사용중에 매우 유리한 하중 지탱 제 2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되고 이는 아래에 더 설명된다.
디바이스(100)에 착석된 사용자에 대한 반응으로, 부분(101, 102, 103, 104)(여기에 참조되어 있는 것처럼 이 부분들은 함께 보울 부분이나 중심의 보울 부분을 형성한다)의 동작은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의 둔근 근육에 커핑과 크래들링을 일으킨다. 디바이스(100)에 사용자가 앉아 있을 때, 기반 부재(12)는 사용자가 앉아 있는 동안 어떻게 이동하는 지 상관없이 계속해서 동적으로 지지하여 골반을 안정화하고 골반을 올바른 척추 전만 만곡부에 고정시킨다. 기반 부재(12)에 있는 가변 가요성의 복수의 영역들은 기반 부재(12)가 효과적으로 형태를 "리셋"시키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진 후 하부 골반 영역이 전방 척추 전만 자세로 지속적으로 영구적으로 경사지게 하여 계속하여 사용자가 이 상태에 있게 만든다. 이러한 것은 독특한 정형외과적 장점을 주게 되는데, 이는 앉는 사용자를 위해 골반 안정과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적으로 설계된 일반 착석 장치보다 더 큰 장점을 가져온다.
부분(101)은 일반적으로 전방 부분으로 언급된다. 중심 부분(102,103)은 일반적으로 중심 또는 중심 부분 부분으로 언급된다. 측방 부분(104,105)은 일반적으로 후방 및/또는 측방 부분으로 언급된다. 각 부분(101 내지 105)은 한개 이상의 가변(다른) 가요성 영역을 가지며 이 영역들은 제 2 위치의 매우 유리한 하중 지탱(제 2 형상)으로 기반 부재(12)를 집합적으로 제공한다.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예에서, 기반 부재(12)는 기억이 유지되는 나일론이나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기반 부재(12)의 여러 다른 가요성 영역들은 여러 상대적으로 다른 두께의 기반 부재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이 부분들은 함께 사용 도중에 매우 유리한 하중 지탱(제 2 형태) 형태와 함께 기반 부재(12)를 제공한다. 더 두꺼운 부분들은 얇은 부분들보다 구부리는 힘에 덜 유연하다.
도 4a는 기반 부재(12)의 상면도를 도시하며, 기반 부재(12)의 여러(다른) 두께의 부분들(101 내지 105)을 나타낸다. 이 부분들의 두께는 도 4a의 도면에 나타난대로 두께가 가변적이다(이 부분들은 두께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갖고 있다). 여기 예에서, 부분(101)은 영역 1A, 1B, 1C-1, 1C-2, 1D-1, 1D-2를 포함한다. 부분 (102)은 영역 2B, 2C, 2D, 2E, 2F를 포함한다. 부분(103)은 영역 3B, 3C, 3D, 3E, 3F를 포함한다. 부분(104)은 영역 4C, 4D-2, 4E, 4D-1, 4F를 포함한다. 부분(105)은 영역 5C, 5D-2, 5E, 5D-1, 5F를 포함한다.
도 4a는 점조각 차이로 부분(101 내지 105)의 여러 부분 두께의 단계적 차이의 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도면 아래의 점례에 있는 상응 점조각은 여러 다른 부분의 약 대체적인 두께의 예를 1.5mm(두께 표시 "A"로 표시되는 가장 어둡거나 가장 짙은 점조각)에서 3.5mm(두께 표시 "F"로 표시되는 가장 엷거나 가장 짙지 않은)까지 도시한다. 예를 들어, 두께 A의 부분들은 약 1.5mm 두께이고, 두께 B의 부분들은 약 1.75mm 두께이며 두께 C 부분들은 약 2.0mm 두께, 그리고 두께 D 부분들은 약 2.5mm 두께이다. 두께 E 부분들은 약 3.0mm 두께이다. 두께 F 부분들은 약 3.5mm 두께이다. 다른 상대적인 두께도 활용될 수 있다. 도 4c는 도 4a의 기반 부재(12)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기반 부재(12)의 여러 다른 부분의 부분들의 다른 두께를 나타낸다.
도 4a에서, 상기 두께를 표시하는 A에서 F까지는 기반 부재(12)의 부분들을 호칭하는 일부분으로 사용된다. 영역 4F와 5F는 가장 두꺼운 부분이며(예, 3.5mm의 두께), 영역 lA는 가장 얇은 부분이다. 도 4a에서, 중심의 왼쪽(예, 길이방향) 축 A-A에는 다음의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 가장 얇은 부분의 낮아져 가는 순서의 부분들이 있다: {4F, 2F}, {4E, 2E}, {2D, 4D-1, 4D-2, 1D-1}, {2C, 4C, 1C-1}, {1B, 2B}, {1A}. 중심 선 A-A의 오른쪽에 있는 부분들은 중심선 A-A의 왼쪽에 있는 상응하는 부분들과 같은 두께를 갖고 있다. 특정적으로, 선 A-A의 오른쪽에는 다음의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 가장 얇은 부분으로 낮아져 가는 순서의 부분들이 있다: {5F, 3F}, {5E, 3E}, {3D, 5D-1, 5D-2, 1D-2}, {3C, 5C, 1C-2}, {1B, 3B}, 및 {1A}.
부분(101)의 부분 lA와 1B는 기반 부재(12)의 부분중 비교적 더 얇으며 더 유연하다. 영역 2F, 3F, 4F, 5F는 기반 부재(12)의 부분중 비교적 더 두꺼우며 덜 유연하다. 기반 부재(12)에서 일반적으로 "M"형태의 영역은 영역 2F, 3F, 4F, 5F, 4E, 3E, 4D-2, 5D-2, 1D-1, 1D-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M" 형태의 영역은 일반적으로 "U" 형태의 영역으로 기반 부재(12)에서 영역 4D-1, 5D-1, 4C, 5C, 2D, 3D, 2C, 3C, 1B, lA를 포함하며, "U" 형태 영역(영역 1A)의 가장 낮은 부분이 가장 얇고 가장 유연하다.
도 3a는 기반 부재(12)의 상면도로서, 기반 부재(12)의 폭 W와 길이 L을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의 기반 부재(12)의 전방 상단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반 부재(12)는 오목한 채널(예, 고정된 오목한 부분)(110)을 포함하고 축 A-A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기반 부재(12)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영역 2F, 3F, 4F, 5F의 일부분들은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110)을 형성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104, 105)의 영역 4F, 5F는 기반 부재(12)의 부분중 가장 두껍고 가장 덜 유연하다. 유사하게, 부분(104, 105)의 영역 2F, 3F는 기반 부재(12)의 부분중 가장 두껍고 가장 덜 유연하다. 따라서, 오목한 채널(110)은 기반 부재(12)의 가장 두껍고 가장 덜 가요성인 부분들에서 형성된다. 오목한 채널(110)은 또한 오목한 꼬리뼈 컵 부분(110a)(도 3a)을 제공하여 여러 다른 꼬리뼈 각을 허용함으로써 채널(110)에 있는 디바이스(100)의 표면이 절대로 천골 관절과 꼬리뼈에 닿지 않도록 한다. 도 17a는 기반 부재(12)의 측방을 도시하고 도 17b는 도 1a의 A-A선을 따라 절단면으로 도 17a에 있는 기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어 오목한 채널(110)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00)의 평균 크기의 예는 W = 12.625 인치(예, 32.35 cm) 폭이고, L = 14.625 인치(예, 37.6 cm) 길이이다(도 3a). 이와 비교해서, 일반 시트 팬의 평균 사이즈(예, 가요성 직물 메시, 포말, 플라스틱 또는 나무)는 약 21.6 인치 폭에 약 17.9 인치 길이이다(다른 예로는 시트 팬이 20.25 폭이고 21.25 길이이다). 이러한 일반 시트 팬 크기는 고정된 하위 시트 팬에 적용된다. 일반 시트 팬과는 달리, 디바이스(100)는 간단히 착석된 사용자의 둔근 형태에 맞추지 않으며 그대신 부분(104, 105)은 내향 및 상향으로 이동하여 둔근을 감싼다. 지지 표면은 디바이스(100)가 놓일 수 있는 일반 고정 시트 팬일 수 있다. 일반 시트는 금속 틀 사이에 매달린, 직조된 가요성 섬유등의 여러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고 여러 밀도의 플라스틱, 나무, 금속 등 경질 재료의 포말 패딩으로 맞추어져 있다.
오목한 채널(110)은 부분(104, 105)(영역 4F와 5F)의 후방 부분(16)에 있는 하향 연장되는 리세스 부분을 포함하며, 길이방향 중심선/축 A-A를 체계적으로 따라 부분(102, 103)(영역 2F와 3F) 전체로 계속된다 . 오목한 채널(110)은 부분(101) 바로전에 끝난다. 오목한 채널(110)은 일반적으로 중심 보울 부분(20)에 착석된 사용자의 꼬리뼈 위치에 놓여 있으며 영역(110a)은 착석된 사용자의 꼬리뼈에 적용될 수 있는 상당한 압력을 제거하도록 작용한다.
도 5는 오목한 채널(110)을 나타내는 도 3b의 기반 부재(12) 사시도를 도시하고, 추가로 기반 부재(12)의 후방 부분(16)을 나타낸다. 후방 부분(16)은 부분(104, 105)의 영역 4F와 5F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도 3a와 도 3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오목한 채널(110)의 깊이는 오목한 채널(110)이 부분(104, 105) 상부 에지로부터 부분(102, 103)을 통해 부분(101)으로 연장되면서 점차적으로 줄어든다. 도 18a는 도 3a 및 도 3b의 기반 부재(12)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18b 내지 도 18n은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 B-B, C-C, D-D, E-E, F-F, 0-0, H-H, I-I, K-K, L-L, M-M, N-N을 각각 따라서 단면을 도시한다. 도 18b 내지 도 18n은 기반 부재(12)의 일반 단면 두께를 도시하고, 추가로 오목한 채널(110)의 상기 점진적인 깊이와 두께 변화를 나타낸다. 오목한 채널(110)은 기반 부재(12)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도 18b).
기반 부재(12)의 보울 부분은 하측면을 가지며 상기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아치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보울 부분은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지지 않을 때의 제 1 위치(비하중 지탱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의 회전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졌을 때의 제 2 위치(하중 지탱 위치) 사이에서 지지 표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진 후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의 전방 회전 기울기가 전방 척추 전만 위치로 기울어 지게 한다. 보울 부분은 하측면을 가지며 상기 하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110)의 하측면을 따라 아치형이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착석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오목한 채널(110)은 근본적으로 하향 연장되는 휠과 같은 구조물로 작용하여 기반 부재(12)의 하측면에서 돌출되어(도 18b), 기반 부재가 비하중 지탱 위치에서 사용자 신체 아래에서 디바이스(100)의 하중 지탱 위치로 앞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한다. 한 예로, 오목한 채널(110)은 최대 광폭에서 약 l0mm 깊이이고 40mm(밀리미터)까지 점점 가늘어진다. 채널(110)은 시트 팬을 포함하여 모든 종류의 착석면에서 디바이스(100)가 회전하도록 유도한다(도 2a 내지 도 2h). 채널(110)은 중심 부분 (102, 103)에서 일반적으로 원형인 골반 안착 영역(3)을 교차하며(도 1a), 여기서 원형의 골반 안착 영역(3)은 영역 2F, 3F, 2E, 3E을 포함한다(도 4a). 비교적 두꺼운 영역 2F와 3F는 인접 영역 2E와 3E과 함께, 오목한 채널(110)에서 사용자의 골반 바닥을 지지하는 상기 안착 영역(3)을 제공한다.
부분(104, 105)은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경사져 있다. 부분(104)의 영역 4F는 상부 에지를 갖는 보울 부분의 아치형 후방 및 측방 부분을 형성하고 부분(105)의 영역 5F는 상부 에지를 갖는 보울 부분의 다른 아치형의 후방 및 측방 부분을 형성한다. 영역 4F, 5F는 영역 4E, 5E, 4D-2, 5D-2, 1D-1, 1D-2와 함께 보울 부분의 다른 영역보다 낮은 가요성의 인장 영역(인장 부재)을 형성한다. 인장 영역은 부분(102, 103)의 주위 및 측방에서 전방 부분(101)에 연결되어(도 4a)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놓여진 다음, 사용자의 상부 다리에서 전방 부분(101)에 하향력을 적용하면, 보울 부분의 후방 및 측방 영역(4F, 5F, 4E, 3E 포함)의 상부 에지가 상향 및 내향으로 이동하게 유도한다. 기반 부재(12)의 다른 부분들로서, 상기 인장 영역보다 일반적으로 더 가요성인(그리고 오목한 채널(110)의 부분들보다 일반적으로 더 가요성인) 영역들은 부분(101)에 상기 하향력의 적용에 대한 반응으로 상기 인장 영역이 상향 및 내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기반 부재(12)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오목한 채널(110)은 근본적으로 기반 부재(12)가 디바이스(100)가 비하중 지탱 위치에서 사용자의 신체 아래의 하중 지탱 위치 앞으로 회전하도록 촉진한다.
도 3a와 도 3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반 부재(12)의 전방 부분은 일반적으로 입술형 전방 부분(101)의 전방 부분을 포함한다. 부분(104, 105)은 상향 경사지고, 부분(102, 103)은 일반적으로 부분(104, 105)에 근접하여 상향 경사진다. 상향 만곡되어 있는 측방 부분(104, 105)은 중심 A-A 형성에서 시작하여 상기 오목한 채널(110)을 형성한다(도 3a, 도 3b). 부분(104, 105)은 부분(101)에 도달할 때까지 부분(102, 103) 주위에서 만곡된다. 위로 만곡된 부분(104, 105)의 측방은 중심 부분(102, 103)보다 약간 높게 상향 연장되고, 여기서 측방 부분(104, 105)은 근본적으로 길이방향 중심선 축A-A으로부터 등거리이며 전방 부분(101)과 부분(104, 105)의 후방/측방 사이에 있는 기반 부재(12)의 중심 부분을 통해 연장된다.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부분(104, 105)은 밴드 타입이며 각각 5 영역을 갖는다. 부분(104, 105)은 함께 상부 에지에서 영역 1C-1, 1D-1, 4D-2, 4E, 4F, 5F, 5E, 5D, 1D-1, 1C-1을 포함한다. 추가로, 부분(104, 105)은 함께 아래 끝에서 영역 4D-1, 4C, 5D1, 5C을 포함하는데 이는 영역 2B, 2C, 2D, 3D, 3C, 3B에서 인접 부분(102, 103)이다. 부분(104)의 모든 5 부분과 부분(105)의 5 부분 모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중심 보울 부분(20)에 놓여질 때 인장 상태로 놓여진다.
도 4a에서 영역 2E와 3E로 도시되는 골반 바닥의 안착 영역(3)(도 3a)은 평균 골반 유출구(중심에 위치하는 좌골 결절의 기반 부재)에 비례적인 사이즈의 영역을 제공한다. 부분(102, 103)(영역 2B, 2C, 2D, 2E, 2F, 3F, 3F, 3E, 3D, 3C, 3B 포함)은 중심 보울 부분(20)의 일부분을 형성한다(도 10b).
중심 부분(102, 103)은 하부 골반 및 골반과 꼬리뼈 아래에 연결되는 근육 주변의 보울 영역의 일부분을 형셩한다. 엉덩이의 연조직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102, 103)에서 측방 부분(104, 105) 그리고 기반 부재(12)의 전방 부분(101)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전체 기반 부재(12)는 착석된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부분(104, 105)은 부분(102,103)의 위 측방으로 각각 연장되는데 부분(101)과 부분(104, 105)의 위/후면 부분(16)(도 5, 도 8d) 사이에서 연장되는 인장 영역을 형성한다.
부분(104,105)의 영역들(예, 밴드 영역 1C-1, 1D - 1, 4D - 2, 4E, 4F, 5F, 5E, 5D, 1D-2, 1C-2)은 사용자가 중심 부분(102, 103)에 앉을 때 후방 부분(16)을 앞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예, 도 8d에서 화살표 104a와 105a를 따라). 추가로, 사용자의 먼 쪽의 넓적다리의 하측면은 부분(101)의 전방 부분에 놓여진다. 후방 부분(16)의 앞쪽으로 향하는 이동은 부분(104, 105)의 외부 에지가 내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우며(예, 도 8d에서 화살표 104b와 105b를 따라), 이 결과로 둔근과 이상근 근육의 매우 바람직한 압축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부분(104, 105)은 사용자의 좌골 결절 주변을 감싸서 감싸진 근육 조직 m의 돔을 형성한다(도 9). 둔근 근육은 원하는 느슨한 상태로 남아있는 경향을 보인다.
도 10a는 도 10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주위의 절단면 G-G와 함께, 기반 부재(12)가 하중을 지탱하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쇄선으로 비하중 지탱 형태의 기반 부재(12)를 도시하고 사용자의 골반이 보울 부분(20)에 놓여질 때 기반 부재(12)의 하중 지탱 형태를 실선으로 도시하여, 기반 부재(12)의 하중 지탱 위치의 커핑 효과를 나타낸다.
도 10e, 도 10f는 상기 기술된 절단면 G-G의 위치에서 본 모습과 함께 두 다른 모드나 상태에서의 기반 부재(12)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0e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않을 때 기반 부재(12)(제 1 형태)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디바이스의 특징적 깊이는 Yl로 표시되고, 특징적 폭은 Xl로 표시된다. 도 10f는 착석된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할 때 기반 부재(12)(제 2 형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f는 중심 부분 부분(102, 103)을 도시하고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할 때 디바이스(100)의 측방 부분(104, 105)이 좀 더 깊고 만곡된 구성을 갖는 것을 도시하며, 여기서 Y2로 표시되는 디바이스의 새로운 깊이는 디바이스의 깊이를 초과한다. 이는 기반 부재(12)가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할 때 중심 부분(20)의 용적 측정 증가를 가져온다.
한 예로써, 10e의 깊이 크기 Y1은 약 1.5 인치일 수 있는데 Y2의 깊이 크기는 약 3.00 인치일 수 있다. 또다른 예로써, X1의 폭 크기는 약 12.75 인치일 수 있고 X2의 폭 크기는 10.50 인치 정도로 좁을 수 있다.
도 10b는 도 10e와 도 10f의 겹침을 나타내는데 위로 만곡되는 부분(104, 105)의 안쪽 커핑 효과를 집중으로 도시하고, 이는 부분(102, 103)의 상단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기반 부재(12)의 입술형 전방 부분(101)과 후방 부분(16) 사이로 연장되는 인장 메카니즘의 한 종류를 형성한다. 측방 부분(104, 105)의 판스프링 같은 밴드 부분의 여러 다른 두께(예, 영역 1C-1, 1D-1, 4D-2, 4E, 4F, 5F, 5E, 5D, 1D-2, 1C-2)는 앉은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해 인장이 생겼을 때 사용자가 부분(102, 103)에 앉을 때 후방 부분(16)을 앞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기반 부재의 하중 지탱 위치(도 10f)는 앉은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해 측방 부분(104, 105)이 안으로 밀고 그리고 약간 위로 미는 것을 확실히 도시한다. 이와는 비교로, 도 10e의 비하중 지탱 위치는 측방 부분(104, 105)이 도 10f에서 앉은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해 그 위치보다 실제로 낮은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하중의 하향 압력은 측방 부분(104, 105)을 아래로 향해 구부리지 않는다.
도 8a는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의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의 측면 상세를 도시한다. 도 8a(그리고 다른 모습들)의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 모습은 다른 도면의 신체 해부학 모습과 동일하며 디바이스(100)와 이의 작동을 간략히 그리고 정확히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비교하여 보면 도 le 내지 도 lh는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 모습과 사용자 해부학적 모습의 일반적 관계를 도시한다. 특정적으로, 도 le는 사용자의 해부학적 척추 후만 요추 척추와 골반의 측방 모습을 도시한다. 도 lf는 도 1e의 해부학적 척추 후만 요추 척추와 골반에 상응하는 동일한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 모습의 측방을 도시한다. 대략 각도 δ=200는 골반의 엉덩이 경사를 나타낸다. 도 lg는 사용자의 해부학적 척추 전만 요추 척추와 골반 모습의 측방을 도시한다. 도 lh는 도 1G의 해부학적 척추 전만 요추 척추와 골반에 상응하는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 모습의 측방을 도시한다. 대략 각도β=200 골반의 전방 경사를 나타낸다.
도 8a의 설명은 도 1c의 설명과 동일하고,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만지면서 전환하는 상태를 더욱 자세하고 도시하며 계속 앉는 행동과 디바이스(100)로 하중을 계속 전달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한 예의 보울 부분 깊이 D1은 약 1.5 인치이다. 도 8b의 설명은 도 ld의 설명과 같고, 디바이스(100)가 하중 지탱 위치로 회전하여 앞으로 경사진 모습을 더욱 자세하게 도시한다(제 2 위치). 대략 각도β=120 골반의 앞으로 향한 경사를 나타낸다. 한 예의 보울 부분 깊이 D2는 최대 3 인치까지이다.
도 8b에서는, 부분(101)이 사용자의 먼 쪽 넓적다리의 압력으로 인해 아래로 구부려지는 모습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부분(101)은 골반 좌골 결절이 중심점되는 낮은 곳에 중단점을 만든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내부 경사를 유지하는 골반의 앞으로 향하는 척추 전만 만곡부 안정화를 제공한다. 디바이스(100)는 지지 표면(40)에서 비하중 지탱 중력 평형점 bp1(도 8a)에서 하중 지탱 중력 평형점(도 8b)으로 앞으로 회전한다. 도 12c의 설명은 bp1에서의 디바이스(100)의 위치와 bp2에서의 디바이스(100)의 하중 지탱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도시한다. bpl에서의 디바이스(100)의 위치는 도 lb와 도 lc의 설명에 상응하며, 여기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하중을 아직 완전히 지탱하지 않고 있다. 여기 설명에서, 용어 비하중 지탱은 bpl점의 제 1 위치에서 도 lb, 도 lc, 도 8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가리키며, 용어 하중 지탱은 도 ld와 도 8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디바이스(100)가 보울 부분에서 사용자의 전체 하중을 받고 bp2점의 제 2 위치로 앞으로 경사지는 것과 함께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가리킨다. 부분(101)과 부분(104, 105)의 후방 부분은 거리 Z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한 예로써, 거리 Z는 약 0.50 인치와 약 3.50 인치 사이가 될 수 있으며 보통 2.5 인치 정도이다. 이 경사로 인한 균형점 bpl과 균형점 bp2 위치의 변경은 거리 A로 나타나며 한 예로, 평균 약 2.0 인치에서 약 2.3 인치가 될 수 있고 최대 약 2.50 인치가 될 수 있다.
도 8b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하중 지탱 결과로 인해 지지 표면(40)에(보통 수평으로 놓이는 표면) 경사도 θ 을 갖는다. 약 17도의 각도θ가 정상이다. 경사도θ에 의한 표면(40)에서의 디바이스(100)의 앞으로 향한 경사/회전은 기본적으로 내부 경사를 유지하는 최적의 골반 안정화를 형성한다.
부분(104, 105)의 이동과 부분(101)의 하향 만곡부로 인해 부분(104, 105)의 후방 부분(16)이 거리 Z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경사로 인한 균형점 bpl과 균형점 bp2 위치의 변경은 거리 A로 표시된다.
도 12a는 디바이스(100)(쇄선으로) 기반 부재의 비하중 지탱 위치와 기반 부재(12)(실선으로)의 하중 지탱 위치의 겹치는 모습 윗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b와 도 12c와 같이, 도 12a의 설명은 중력 평형점 bp1에서 Z가 기반 부재(12)의 비하중 지탱 위치에서 하중 지탱 위치의 중력 평형점 bp1으로 앞으로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b는 도 12a 설명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bpl점에 있는 디바이스(100)의 비하중 지탱 위치와 bp2 점으로 하중 지탱 위치(앞으로 회전)의 겹치는 모습의 측방을 도시한다. 도 7b는 bp1(도 12a)을 통해 절단면에서 도 7a의 디바이스(100)의 단면을 도시하며, 후면에서 볼때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의 전방 부분을 먼 쪽 넓적다리로 누르기 전에 좌골 결절 골반을 도시한다. 도 7c는 bp2(도 12a)를 통해 절단면에서 도 7c의 디바이스(100)의 단면을 도시하며, 후면에서 볼때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의 전방 부분을 먼 쪽 넓적다리로 누르기 전에 좌골 결절 골반을 도시한다.
도 12c는 디바이스(100)의 중심선 A-A에 평행한 위치에서 디바이스(100)의 단면을 도시하며(도 1 a), 이 모습은 전방 부분(101)과 부분(104, 105)의 후방 부분(16)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2c는 도 12a의 단면을 도시하며, 디바이스(100)의 두 위치 또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c(도 8a에 상응하는)의 윗쪽 설명은 디바이스(100)의 제 1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자의 하중은 디바이스(100)에 전달되지 않아 그 보울 부분(20)이 모체 표면에서 대략 수평으로 어떻게 놓이는지 도시한다. 도 12c(도 8b에 상응하는) 아래에 있는 설명은 각도θ로 표시되는 상당한 양의 하향 회전/경사를 초래한 디바이스(100)의 제 2 위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하향 회전은 보울 부분(20)의 부분(102, 103)에 놓이는 사용자의 하부 골반 하중과 먼 쪽 윗 부분의 오금줄 부분과 함께 사용자의 다리로 인한, 즉 사용자 다리의 윗쪽 넓적다리 부분 아래가 입술형 전방 부분(101)에 놓이면서 아래로 향하는 상당한 양의 만곡이 일어나면서 초래된 부분적 결과이다.
도 12c는 디바이스(100)가 원래의 비하중 지탱 상태에서 제 2 상태(제 2 형태)로 변할 때 나타나는 큰 다른점을 도시한다. 이 오버레이/겹침은 bpl 위치에서 bp2 위치로 앞으로 갈때 변하는 중심 균형점을 나타낸다. 또한 거리 Z에서 앞으로 변위되는 후방 부분(16)이 보여지며, 여기에서 보울 부분(20)은 앞으로 변위되고 전방 부분(100)은 아래로 구부려지고 모체 표면(40)과 닿게 된다.
도 10a의 절단면 G-G에서 대략적으로 도시되는 도 9는 디바이스(100)의 크기에 대한 골반 부분의 비례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일반 골반 부분의 해부학적 세부사항을 추가로 도시한다. 디바이스(100)의 후면에서 보는 이 모습은 단단한 지지 표면(40)에 놓이는 디바이스(100)를 포함한다. 중심의 보울 부분(20) 및 부분(102, 103)과 관련한 좌골 결절 i의 위치를 도시한다. 또한 측방 부분(104,105)도 보여지며 이 부분들은 둔부가 들어간 곳 h의 거의 바로 아래에 있다.
예를 들어, 도 9, 도 2a 내지 도 2h, 도 10c, 도 10d, 도 1lb는 하부 골반 영역 부분에 대한 커핑 효과를 도시하며 이 커핑 효과는 디바이스(100) 주변에 돌출되는 연조직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여러 크기의 엉덩이 외곽을 나타내는 연조직은 도 9에서 W1, W2, W3으로 표시된다.
도 2a, 도 2b, 도 9는 먼 쪽 넓적다리 뼈와 함께 일반 골반 부분과 척추의 해부학적 모습을 도시하는데 이를 통해 디바이스(100)에 대한 골반의 평균 비례 크기를 정확히 나타낸다. 도 2a, 도 9, 도 7a의 해부학적 설명은(실선으로) 디바이스(100)가 제 2 형태로 움직였을 때 일어나는 앞으로 향한 경사를 나타낸다. 또한 좌골 결절이 보울 부분(20)의 가운데에 놓일 때 상체 신체 하중의 효과도 표시된다. 이 하중은 아래로 구부려지고 인장 상태에서 측방 부분(104, 105)에 놓여지고 상향 경사진 후방 부분(16)을 앞으로 당기는 입술형 부분(101) 이상으로 제 2 형태를 왜곡하지 않는다.
도 8b, 도 10b, 도 10f에는 또한 디바이스(100)의 보울 부분(20) 및 부분(104, 105)와 함께 부분 102, 103)의 깊이가 증가되는 것도 표시되며 이 증가는 골반의 바로 아래 유출구 주변에서 둔근 근육을 감싸고 크래들하는 것을 돕는다. 지속적인 둔근과 이상근 근육의 압축으로 좌골 결절 주변을 감싸고 디바이스(100)에 의해 이롭게 이루어진다.
도 3c는 쇄선을 이용해 기반 부재(12)에 무게가 놓여질 때 일어나는 변화와 입술형 전방 부분(101)의 하향 경사를 도시한다. 영역(3)의 변화는 쇄선으로 이루어진 원으로 특별히 표시된다. 측방을 따라 연장되는 긴 쇄선은 디바이스(100)의 중심 부분에 앉는 사용자의 하중이 놓이게 됨에 따라 부분(104, 105)의 주변/측방 끝이 안으로 그리고 약간 위로 움직이게 됨을 도시한다. 측방 부분(104, 105)은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 하중의 적용 도중 외부로 향하는 것 대신에 안쪽으로 움직이는데 이것은 사용자 넓적다리의 안쪽 표면 아래가 전방 부분(101)으로 아래로 밀기 때문이며 이는 측방 부분(104, 105)에 인장을 유발한다. 이러한 측방 부분(104, 105)의 인장 발생은 측방 부분(104, 105)이 안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판스프링의 종류로 기능하는 부분(102 내지 105)의 여러 다른 두께는 부분(104, 105)의 안으로 그리고 위로 향하는 커핑 활동을 향상시킨다.
기반 부재의 입술형 전방 부분(101)은 중심의 보울 부분(20)의 전방에서 특정 굽혀지는 점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는 최소 한개의 유연한 아치나 홈(15)을 갖는다(도 12c). 홈(15)은 전방 부분(101)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길이방향 중심선 A-A에 수직이다. 홈(15)은 전방 부분(101)의 가요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먼 쪽 넓적다리가 표면 안쪽이 입술형 전방 부분(101)과 접촉할 때 디바이스(100)가 원하는 제 2 형태를 갖도록 구부리게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에 이미 언급된 것처럼, 부분(104,105)을 통해 전방 부분(101)이 아래로 구부려지는 것은 후방 부분(16)을 앞으로 움직이도록 당기게 한다. 부분(104, 105)은 측방 부분(102, 103) 위를 따라 각각 연장되며 전방 부분(101)과 디바이스(100)의 후방 부분(16) 사이에 연장되는 한 유형의 인장 부재를 형성한다. 측방 부분(104, 105)은 판스프링과 같은 밴드 부분으로(예, 영역 1C-1, 1D-1, 4D-2, 4E, 4F, 5F, 5E, 5D, 1D-2, 1C-2) 사용자가 중심의 둥근 부분(102, 103)에 앉을 때 후방 부분(16)을 앞으로 당기며, 전방 부분(101)에는 사용자의 먼 쪽 넓적다리의 하측면이 놓이게 된다. 이러한 후방 부분(16)의 전방 이동은 측방 부분(104, 105)이 안쪽으로 움직이게 보조하여 둔근과 이상근 근육의 매우 바람직한 압축을 유발하며 이는 감싸진 근육 조직의 돔을 형성하기 위해 좌골 결절 주변을 감싸는 작용을 하게 된다.
유연한 아치/홈(15)은 부분(101)과 부분(102, 103)이 만나는 점에 인접하여 디바이스(100)에 위치한다. 홈(15)은 가요성을 제공하는 것 외에 홈(15)에 인접한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지게 한다. 홈(15)은 디바이스(100)가 앉은 사용자의 압력에 놓일 때마다 같은 모양의 디바이스(100)의 제 2 형태를 가져온다. 아치(15)는 부분(101)의 다른 장소에서 중복될 수 있다(도 3c).
디바이스(100)는 자동차 좌석이나 소파, 안락의자와 같은 가구, 비교적 단단한 하부가 있는 의자, 또는 운동 경기장이나 비슷한 장소에서 발견되는 단단한 의자와 같이 여러 다른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예, 도 2a 내지 도 2h). 이러한 모든 경우에서, 기반 부재(12)의 보울 부분(20)은 상기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기술된 수평과 관련하여 아래로 향하는 회전/경사를 이룬다.
도 2a 내지 도 2d, 도 8a, 도 8b의 도면들은 기반 부재(12)가 경질 표면에 놓여있을 때를 설명하지만, 디바이스(100)의 제 2 형태는 또한 디바이스(100)가 탄력있거나 연질 표면에 놓여있을 때도 얻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연질 표면에 있는 제 2 형태는 인체공학적 의자의 포말과 섬유로 부유되며 경질 표면에 있는 것처럼 제 2 형태에 도달한다. 돌출되는 연조직과 기반 부재의 전방 경사 각도가 시각적으로 더 극적이기 때문에 특정 설명도면이 경질 표면에서 보여진다. 그러나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은, 디바이스(100)에 의해 발생된 동일의 매우 유리한 경사와 커핑 효과는 근본적으로 지지 표면의 경질이나 연질에 상관없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기반 부재(12)의 여러 다른 두께의 영역은(도 4a) 그 특정 두께와 함께 판스프링 밴드와 같은 영역으로서 기능하며 흘러, 추가의 패딩에 대한 필요성 없이 디바이스(100)의 에지 위로 추가의 연조직이 쉽게 전환하도록 허용한다. 특정적으로, 5개의 부분(101 내지 105)과 그 가변 두께 영역은 판스프링 구조로 기능하며, 각 두께 변화는 판스프링 조립체와 같이,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재료의 개별 두께층과 유사하게 각 두께 변화가 이루어진다. 디바이스(100)가 중심의 보울 부분(20)에서 사용자의 하중 상태에서 놓이게 될 때, 하향 압력은 디바이스(100)의 조립처럼 판스프링을 아래로 밀어 내린다. 여러 다른 두께 부분이 있는 부분(101 내지 105)은 기억이 잘 유지되는 플라스틱에만 의존하는 연속 두께의 디바이스들과 비교하여 새로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제공한다.
보울 부분과 같은 골반 영역(3)에서 부분(102, 103)(영역 2E와 3E)에 있는 오목한 채널(110)의 "날개"는 오목한 채널(110) 바로 외부에 놓이는 좌골 결절 골반 바닥을 고정시킨다. 부분(104, 105)과 같은 구불구불한 밴드는 부분(102,103) 위를 따라 각각 연장되며 입술형 부분인 전방 부분(101)과 기반 부재(12)의 후방 부분(16) 사이에 연장되는 한 유형의 인장 부재를 형성한다. 측방 부분(104, 105)은 판스프링과 같은 밴드 부분(예, 영역 1C-1, 1D-1, 4D-2, 4E, 4F, 5F, 5E, 영역 1D-2, 1C-2)을 따라, 사용자가 중심 부분(102, 103)에 앉을 때 후방 부분(16)을 앞으로 당기며, 전방 부분(101)에는 사용자의 먼 쪽 넓적다리의 하측면이 놓이게 된다. 이러한 후방 부분(16)의 앞으로 향하는 이동은 측방 부분(104,105)이 안쪽으로 움직이게 도와 둔근과 이상근 근육의 매우 바람직한 압축을 가져오며 이는 감싸진 근육 조직의 돔을 형성하기 위해 좌골 결절 주변을 감싸는 작용을 하게 된다.
기반 부재(12)의 비교적 더 얇은 부분들은 한 면의 더 두꺼운 부분과 길이방향 축 A-A를 교차하는 측방 축 E-E의 비틀기와 함께, 길이방향 축 A-A의 회전, 커핑, 크래들링, 비틀기를 돕는다(도 3d, 도 3e). 측방 축 E-E는 전방 부분(101)이 보울 부분 부분(102-105)을 만나는 영역에 인접한다. 측방 축 E-E에 인접한 부분(101)의 더 얇은 영역은 이 영역의 비틀기를 허용한다. 축 A-A와 축 E-E는 여기에서 함께 기반 부재(12)(와 디바이스(100))의 축이라고 불리운다. 오목한 채널(110)과 중심 골반 안착 영역(3)의 더 두꺼운 부분들은 오목한 채널(110)과 중심 골반 안착 영역(3)이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 압력으로 인해 왜곡되는 것을 막는데, 여기서 상기 기반 부재 축의 회전, 커핑, 크래들링, 비틀기는 방해되지 않는다.
중심 골반 안착 영역(3)과 부분(102, 103)의 오목한 채널(110)을 둘러싸는 부분들은 비교적 더 얇아 외부 에지로 움직인다. 이어 기반 부재는 다시 부분(104, 105)에 대해 더 두꺼워 디바이스(100)에 의해서 향상된 회전과 위로 향하는 커핑을 제공하는 인장 부재/영역을 제공한다.
도 10c는 해부학적 설명과 함께 하중 지탱 디바이스(100) 자세의 후면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화살표는 보울 부분(20)에서 골반 좌골 결절의 날개 하부에 안쪽 압력을 가하는 둔근 근육의 커핑과 크래들링을 나타낸다. 도 10d는 연질 지지 표면(40a)에 있는 하중 지탱 위치의 디바이스(100)의 후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디바이스(100)의 보울 부분(20)은 사용자가 옆으로 몸을 기울여도 둔근 근육의 커핑과 크래들링을 유지한다.
도 11a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착석 디바이스 없이 착석면에 착석된 모습을 도시하는데 화살표가 부적절한 압력의 분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b는 하중 지탱 위치의 디바이스(100)를 도시하는데, 사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에서, 화살표는 디바이스(100)의 부분(102 내지 105)의 커핑과 크래들링의 올바른 압력 분배를 나타내고 있다.
추가로, 디바이스(100)는 보울 부분(20)에서 사용자 하중 비틀림으로 인해 축이 비틀어지는 것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00)의 앞으로 향하는 회전은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에 앉아 있는 동안 사용자의 상체나 하체가 어떻게 비틀거나 움직이는 것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골반을 앞으로 향하는 척추 전만으로 경사지게 하고 커핑, 크래들링 효과를 갖게 한다(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
여러 다른 두께의 디바이스(100)의 부분(101 내지 105)은 앉은 사용자의 커핑과 크래들링을 광범위한 인구 집단에 제공한다. 보울 부분(20)에 착석된 사용자와 함께 디바이스(100)는 축에서 경사지고, 감싸고, 크래들, 비틀어 지속적으로 능동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안정시키고 착석된 신체의 광범위한 이동을 통해 올바른 척추 전만 만곡부에서 골반을 고정시켜 사용자를 지속적인 영구적 시스템에 있게 한다. 이는 도 19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의 교정과 둔근 벌리는 것의 제한을 나타내는 프로세스(3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 상기 디바이스(100)를 활용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서거나 걸을 수 있고 엉덩이에 보통 둔근 근육이 있는 사용자(예, 남성, 여성)에 유용적이다. 지지 표면(즉, 착석면) 상에 배치되는 디바이스(100)는 앉기 위해 디바이스(100)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바람직한 선택일 수 있다(예, 사무실 의자, 자동차 좌석, 고정된 벤치, 안락의자, 안락 사무실 의자, 안락 항공기 좌석).
단계 301: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둔근 벌리기를 제한하는 여러 두께의 부분이 있는 착석 디바이스(100)를 지지 표면에 놓는다. 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가정이나 자동차, 항공기, 사무실등 어느 앉는 곳에서나 한 좌석에서 다른 좌석으로 옮길 수 있는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최소한 5개의 부분(101 내지 105)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요추 지지 부재인(106) 선택 부분(106) 부착물이 의자등받이를 형성하나 일체형은 아니다. 도 4b는 두꺼운 영역 6D를 포함하는 선택적 등 부분(106)과 함께 기반 부재(12)(도 4a와 유사)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단계 302: 사용자가 서있는 자세에서 디바이스(100)에 앉음으로 사용자가 서있는 자세에서 디바이스(100)에 앉는 자세를 취한다.
단계 303: 사용자의 먼 쪽 넓적다리가 디바이스(100)의 입술형 전방 부분( 101)과 처음 닿아 디바이스(100)의 전방 부분(101)을 밀어 내린다. 먼 쪽 넓적다리는 부분(101)을 그 아래의 지지 표면을 상대로 눌러 고정한다. 하나 또는 두 넓적다리가 부분(101)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디바이스(100)는 먼 쪽 넓적다리로 인해 계속 눌러져 있게 된다. 부분(102, 103, 104, 105)이 사용자의 엉덩이로 채워지면서, 디바이스(100)는 골반의 앉는 뼈가 부분(102,103)의 중심 위로 될때까지 둔근 근육과 연조직으로 넘쳐지며 채워진다(도 8b, 9).
단계 304: 디바이스(100)가 앞으로 기울어(도 8b) 올려지면서 경사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향 경사지는 것은 등의 천골 골반 부분을 안정화시켜 위로 향하는 직립 자세를 취하여 앞 방향의 골반 경사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위로 향하는 직립 자세는 골반의 천골과 장골 맨 위를 누르는 요추 지지를 이용하여 등받이에 의해 이루어진다. 추가로, 직립 자세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등받이나 요추지지에 반듯하게 앉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등받이와 요추 지지는 본 발명의 올려지는 경사 효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가 앞으로 회전하면서 일반적인 경사 각도 θ를 최고 170까지 형성한다(도 8b). 이 경사는 동시에 골반 전체를 위로 그리고 앞으로 들어올린다. 골반이 디바이스(100)의 중심 보울 부분(20)에서 감싸지기 때문에, 경사는 단지 골반이 좌골과 천골에서 앞으로 회전하는 각도보다 크다. 디바이스(100)의 리프팅 기울기는 좌골 결절이 보울 부분(20)의 전방 에지에서 경사부(111)에 의해 중지될 때까지 앞으로 미끄러지도록 유발하여(도 8c), 중력 균형 평형점 bp2(도 8b)의 중심 맨 위에서 정지된다. 보울 부분(20)의 경사부(111)는 골반 부분의 좌골 결절의 앞으로 향하는 이동을 지연시키고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을 지지 표면에서 중력 균형 평형점의 중심에서 보울 부분(20)의 제 2 위치의 앞으로 향하는 척추 전만 자세로 앞으로 선회하게 하고, 그에 의해서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있는 동안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반응으로 상기의 중력 균형 평균점 중심에 좌골 결절을 유지하게 한다.
도 8c는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 없이 도 8b의 기반 부재(12)의 측면을 도시하는데, 하중 지탱 위치의 기반 부재(12)의 경사/회전으로 인해 변경된 중력 평형점의 중심과 중심 부분 경사를 나타낸다. 도 8c는 전방 부분(101)의 아래로 구부려진 모습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00)의 리프팅 기울기는 등받이나 요추 지지를 향해 일어서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다. 디바이스(100)의 리프팅 기울기는 사용자가 앉을 때 발생하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신체를 어떻게 움직이거나 비틀던지 또는 다리가 바닥에 균일하게 있지 않아도 계속하여 활동적으로 사용자 개인에 맞게 적응한다. 사용자는 다리를 꼬을 수 있고 그래도 디바이스(100)는 계속 리프팅 기울기를 제공한다. 사용자 상체는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일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리프팅 기울기를 제공한다. 디바이스(100)는 효력이 있도록 사용자가 일반 의자에 특정 방법으로 앉게 요구하지 않은 채 사용자와 디바이스(100)에게 영구적인 프로세스로 계속하여 리프팅 기울기를 제공한다.
단계 305: 사용자가 중심 보울 부분(20)에 계속하여 착석 프로세스에 있을 때, 디바이스(100)는 착석된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으로 채워진다(도 9). 여기에는 하부 골반 영역의 좌골 결절과 연결된 둔근 및 이상근 근육, 그리고 엉덩이 부분의 피부와 의류를 포함한다. 디바이스가 채워지면, 추가의 근육과 연조직은 착석면으로 에지를 넘어서게 된다.
단계 306: 측방 부분(104, 105)은 내향 및 상향으로 이동하여 앉은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을 감싸고 사용자의 근육과 연조직을 원하는 장소와 형태로 유지시키며, 여기서 둔근 근육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말, 가요성 메시, 깃털 또는 기타 일반 착석면에 사용되는 쿠션 종류의 패딩을 교체한다. 디바이스(100)는 둔근 근육을 유연하게 만들며 둔근과 연조직이 부분(104, 105)에 의해 주변에서 감싸질 때 디바이스(100)와 함께 활동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단지 디바이스(100)에 의해 조작되는 근육 조직은 압력점 감소 소스를 제공한다.
부분(104, 105)의 커핑 효과와 디바이스(100)가 앞으로 회전할 때(도 8b), 오목한 채널(101)의 작용으로 골반이 끝의 직립 위치로 기울어져서, 둔근을 이완 형태로 유지한다. 이완 둔근은 앉을 때 등을 곧게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기타 근육과 인대에서 요구되는 팽팽해짐을 크게 감소시킨다.
둔근 근육과 연조직이 형성되고 부분(104, 105)의 커핑 작용으로 좌골 결절아래와 이 주변에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좌골 결절이 일반적으로 착석면을 눌러 내리는 곳에 하중 지탱 디바이스(100)가 좌골 결절을 보울 부분(20)의 유연한 둔근 근육에 의해 고정시키도록 한다.
단계 307: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에 앉으면서, 사용자의 하중이 사용자의 중력의 중심이 서있는 자세에서 착석된 자세로 바뀌면서 중력과 함께 디바이스(100) 아래의 지지 표면으로 움직인다(예, 사용자의 다리에서 신체 전체로, 골반과 먼 쪽 넓적상부 다리로).
단계 308: 사용자 하중 상태에서, 디바이스(100)가 골반 부분을 크래들링 한다. 체중이 디바이스(100)를 아래로 가압할 때, 골반 베이스 주변의 상기 부분(104, 105)의 커핑 작용이 하부 골반을 안정시키고 골반의 벌어짐을 제한하고, 골반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골반의 6개의 구성 뼈가 하나로 유동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에 따라, 요추-천골 관절의 압력 상승이 제한되며, 따라서 천골 관절에 대한 마모가 최소화된다. 크래들 자세에서 지지 받으면서(도 8b), 골반은 사용자가 앉아 있고 움직이며 비트는 동안 사용자와 함께 맞추어 정확히 움직일 수 있다.
단계 309: 골반이 크래들 전방에서 회전하여 선회한다. 크래들은 보울 부분이 제 2 위치에 있고 모든 하중과 골반 정렬이 발생하면(예, 커핑 작용), 전체 부분(102 내지 105)을 포함하게 된다. 크래들링은 사용자가 어떻게 움직이던지 상관없이 부분(102 내지 105)에 의해 연속적인 방식으로 유지된다. 크래들의 전방은 부분(101) 폭에 인접한 부분(104, 105)의 영역을 따라 부분(102, 103)의 영역에 있는 약 70 경사 영역(111)을 포함한다. 중력이 계속 작용하여 사용자 하중을 디바이스(100)의 중심 보울 부분(20)으로 아래로 당기는데, 여기서 골반의 아래는 선회에서 팁되어 크래들의 전방 에지에 의해 앞으로 회전한다. 회전은 상기 부분(102, 103)이 부분(101)을 만나는 곳에서 상향 경사부(111)(도 8b)에 의해 중단된다. 상기 부분(102, 103)의 경사부는 한 예에서 수평 지지 표면에서 약 70 의 각도를 갖는데 이는 좌골의 앞으로 향하는 이동을 중단하기에 충분하다. 좌골이 더 이상 앞으로 미끄러지지 않을 때, 골반 상부가 체인과 같은 척추 주위에서 앞으로 선회하게 한다. 닫힌 운동학적 체인인 척추는 반드시 골반 기울기를 따라야 한다. 감싸진 근육 조직의 층에 부유하지만, 골반 선회는 상체 하중의 반응으로 디바이스(100)에 의해 유지된다. 하중의 중력으로 형성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디바이스(100)는 지속적으로 영구적으로 자세를 수정하고 둔근 벌리는 것을 제한하는 과정을 제공하여 상체 하중이 자세와 둔근 벌리기에 대해 부정적 영향에서 긍정적 영향으로 바꾸게 한다.
단계 310: 디바이스(100)는 골반을 안정시키고 앞 골반 경사를 유지한다. 상기 크래들 전방에서의 골반 회전은 평형 균형점 bp2에서 중지된다(도 8b, 도 12a, 도 12b). 경사 리프팅은 좌골 결절이 중심 보울 영역 부분(102, 103)의 위로 향하는 만곡/경사부(111)에 의해 중단될 때까지 앞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상기 부분(102, 103)의 경사부(111)는 좌골 결절이 앞으로 움직이는 것을 중단시켜 골반 상단을 피치 전방으로 가압한다. 골반의 전방 회전은 사용자의 상체 무게로 유지된다. 중력 균형 평형점 bp2의 중심과 척추의 운동학적 체인 효과(적절하게 정렬되고 균형 유지된) 모두는 디바이스(100)의 축 비틀림으로 유지된다.
척추가 적절하게 정렬되고 균형이 유지되면 흉부가 척추 후만 만곡을 갖게 된다. 경부와 요추 척추 부분은 척추 전만 만곡을 갖는다. 이 만곡들은 함께 "S"자 형태의 원하는 자세를 취하게 되며(도 ld, 도 16a, 도 16b, 도 16c) 디바이스(100)가 본 발명에 따라 이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앉은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대지 않아도 신체의 자연적인 평형을 이용하여 올바른 자세 정렬을 제공한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먼 쪽 넓적다리와 상호작용하여 자세 정렬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디바이스가 하중 지탱(동적) 위치를 취하게 되면, 사용자의 먼 쪽 넓적다리는 수평이나 수평이상으로 유지되어 자세 범위에 걸쳐 발이 바닥에 평평하게 놓이게 한다. 또한, 먼 쪽 넓적다리가 전방 입술형 부분(101)을 밀어 내리기 때문에, 부분(104, 105)은 각도 θ(도 8b) 만큼 디바이스(100)를 감싸는 작용을 하고 앞으로 회전하여, 골반을 들어올려 원하는 각도 관계를 제공한다. 원하는 각도 관계는 무릎이 둔부 관절보다 낮은 것을 포함한다. 이는 다시 상체 하중의 일부분을 첫 결절을 먼 쪽 넓적다리로 전달(분배)하여 하중 압력을 더 큰 면적에 걸쳐 공유하게 한다.
단계 311: 척추는 척추 전만이고 골반의 위치에 따라 조절된다. 골반이 앞으로 향해 회전하면, 요추 척추는 자동적으로 앞으로 향하는 척추 전만 만곡을 형성한다. 발명자는 척추를 닫힌 운동학적 체인으로 사용하는 것은 앉아 있는 동안 보다 나은 자세와 더 많은 안락감을 가져온다는 예상치 않은 결과를 발견하였다.
하중 지탱 위치에서, 디바이스(100)의 커핑과 회전 효과는 골반을 전방 위치로 이동시켜서 척추에 영향을 주는데(도 2a), 여기서 척추는 더 이상 앞으로 떨어질 수 없을 때까지 골반을 따라가며, 사용자의 해부학적 구조(갈비뼈, 횡격막 등등)는 척추가 계속 떨어지거나 접혀지지 않게 한다. 이 점에서, 척추는 "중립자세"의 균형잡인 자세에 있게 되는데 이는 이 자세를 곧게 세우는데 최소한의 힘만 필요하다. 디바이스(100)는 크래들된 골반이 균형잡인 자세 평형점 bp2에서 자세의 완전한 범주에 걸쳐 자연적인 자세 조정인 원하는 "S" 형태의 자세를 잡도록 유도한다.
단계 312: 하중 지탱 위치에서, 디바이스(100)의 중력 균형점의 중심은 bp1에서 bp2로 앞으로 전진한다(도 8b, 도 12a, 도 12b). 균형(선회)점은 디바이스의 아래쪽에 중력 중심점 bp2의 중심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 디바이스(100)의 상기 위치에서, 골반은 직립 중립 자세와 균형 자세로 있게 된다. 상체 하중은 링과 같은 골반으로 움직인다. 독특한 척추 전만 만곡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중력의 중심은 천골에서부터 좌골 결절의 끝으로 앞으로 움직인다. 중력 평형점의 중심이 형성되면, 사용자 척추와 골반의 자연적 평형이 이루어지고 유지된다. 발명자는 각 사용자의 자연적 평형은 독특하며 골반의 조절로 디바이스(100)에 의해 시작되고 이는 다시 체인과 같은 요추 척추 흉부 척추와 경부 척추를 조절한다고 결론하였다.
도 13b는 의자와 같은 보통 좌석에 착석된 사용자의 실제 압력 맵의 아래쪽 모습을 설명하고 있는데, 직립 자세에 있는 동안 좌골 결절의 여러 고압력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검은 부분이 고압력 표시를 나타낸다. 도 13a는 디바이스(100)의 실시예에서 착석된 사용자의 실제 압력 맵의 아래쪽 모습을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서 도 13a는 하중 지탱 디바이스(100)가 직립 자세에 있으면서 앞으로 경사/회전할 때, 그리고 근육 조직에서 골반을 뜨게 하면서 골반 부분을 감싸고, 크래들할 때, 도 13a의 좌골 결절보다 훨씬 적은 고압력 표시를 나타낸다. 이외에, 도 13a는 체크 표시된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사용자의 중력의 중심을 도시하고 종래 좌석과 비교하여 디바이스(100)가 앞으로 전진하는(도면 아래로) 모습을 도시한다.
단계 313: 상체 하중은 외골격이 되는 디바이스(100)로 전달된다. 특정적으로, 하중 지탱 디바이스(100)에 의해 중력 균형 평형점 자세의 중심에 골반이 크래들되고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2a, 도 8b) 상체 하중이 골반을 통해 아래로 움직이고 이후 둔근의 연조직을 통해 디바이스(100)의 부분(101 내지 105)으로 근본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된다. 둔근의 연조직과 근육이 디바이스(100)의 보울 부분(20) 가운데를 채우고(도 9) 부분(104, 105)이 위로 감싸기 때문에(도 8b, 도 8c), 디바이스(100)는 좌골 결절 주변에서 상기 근육과 연조직을 위한 외골격이 된다.
단계 314: 디바이스(100)가 하중 및 압력을 디바이스(100) 아래의 지지 표면으로 전달한다. 특정적으로, 지지 표면(예, 시트 팬)의 능동 지지대 부분으로 기능하면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체중에서 하중 및 압력을 지지 표면으로 분배한다. 이제 착석된 사용자의 피부 표면이 아니라 지지 표면이 가장 큰 압력을 지탱하게 된다. 디바이스(100)에 의한 상체 하중과 압력을 지지 표면으로 전달하는 기능은 외골격 속성을 제공한다. 둔근 연조직이 부분(104, 105)에 의해 감싸지면 골반은 부분(104, 105)에 의해 크래들되고 앞으로 회전하여 설명된 것처럼 중력점 bp2의 중심에서 안정화된다(도 8a 내지 도 8l). 이러한 안정화 후, 착석된 사용자의 모든 하중은 기본적으로 연조직을 통해 뼈에서 하중 지탱 디바이스(100)로 옮겨진다. 디바이스(100)의 중심 보울 부분은 하중을 지지 표면(40)에 균일하게 분배한다. 착석된 사용자가 움직이면, 디바이스(100)는 상기 외골격 효과를 통해 사용자 하중 분배를 유지한다.
단계 315: 착석된 사용자가 움직일 때(예, 데스크톱에서 작업하는 도중 몸을 비트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바뀌어진 신체 자세에 적응한다.
단계 316: 착석된 사용자가 움직일 때, 디바이스(100)는 축에서 비틀어(도 2c, 2d, 12e, 12g) 크래들링 자세를 유지한다. 디바이스(100)는 계속하여 축에서 비틀어 지지를 적용하고, 지속적인 능동적 골반 지지를 유지한다. 디바이스(100)는 근본적으로 몇개의 앞으로 향하는 경사/회전의 동시 기계적 기능을 지속적으로 조절하고 유지하여 골반이 근육 조직에서 부유하는 동안 골반 부위를 커핑하고 크래들링한다.
도 3d는 도 3c와 유사하며 쇄선을 이용하여 기반 부재(12)에 하중이 놓여질 때 일어나는 변화를 도시하며, 입술형 전방 부분 부분(101)의 하향 경사와 착석된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비틀때, 기반 부재의 축에서의 추가 비틀기를 도시한다(예, 도 16a 내지 도 16c). 부분(105, 104)은 골반 천골을 따라 동적으로 앞으로 움직여 그 내부 압력을 유지한다. 도 12f와 도 12g는 실선의 디바이스(100)의 하중 지탱 위치와, 착석된 사용자의 상체의 우측으로의 회전으로 인한 쇄선의 디바이스(100)의 하중 지탱 위치의 비틀림의 중첩 상태에서, 도 3d의 착석 디바이스가 축을 따라 비트는 상응하는 측면과 후면을 각각 도시한다.
도 3e도 도 3c에 유사하며, 쇄선을 이용해 기반 부재(12)에 하중이 놓여질 때 일어나는 변화를 도시하며, 입술형 전방 부분 부분(101)의 하향 경사와 착석된 사용자가 왼쪽으로 비틀 때 기반 부재의 축에서의 추가 비틀기를 도시한다. 도 12d와 도 12e는 실선의 디바이스(100)의 하중 지탱 위치와, 착석된 사용자의 상체의 좌측으로의 회전으로 인한 쇄선의 디바이스(100)의 하중 지탱 위치의 비틀림의 중첩 상태에서, 도 3e의 착석 디바이스의 상응하는 측면과 후면을 각각 도시한다.
디바이스(100)는 계속하여 오목한 채널(110)의 길이를 따라 축에서 비틀림 지지를 적용한다. 상체를 어떻게 비틀거나 사용자의 동작이 어떠하던지 상관없이, 디바이스(100)는 축의 비틀기로 사용자 신체 자세에 반응하여 골반을 올바른 척추 전만 만곡으로 안정시키고 유지시키는 동적인 지지를 적용시킨다. 착석된 사용자가 움직이고/비틀면서 골반이 비스듬해지는 것과 상관없이, 디바이스(100)는 반응적으로 비틀어져 축에서 조절하여 골반의 안정화를 위한 동적인 지지를 유지한다. 도 2c, 도 2d는 하체와 상체 척추가 어떻게 비틀어지고 축에서의 비틀어짐이 어떻게 사용자의 움직이는 비틀기에 반응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i는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도시에 의해서 표시된, 착석된 사용자의 하중 아래에서 하중 지탱 위치의 디바이스(100)의 여러 다른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자연적인 착석된 이동으로 인해 척추와 여러 자세의 비트는 효과를 표시해 준다.
사용자 하부 골반 영역이 보울 부분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앉아 있는 동안 비트는 이동은 축을 따라 기반 부재(12)를 비틀게 하는데, 이는 또 보울 부분(20)의 후방 부분(16)의 비틀림을 유발해서 이로 인해 상기 보울 부분(20)의 부분(104,105)의 상부 에지의 상향 및 내향 이동이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 비틀림에 따라 달라지도록 한다. 도 16a 내지 도 16c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보울 부분이 상기 제 2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측방 부분(104,105)은 상향 및 내향으로의 압축력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을 척추 전만 위치로 회전하면서 경사지게 한다.
프로세스 단계(310 내지 316)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에 앉아 있고 움직이며/비트는 동안에는 계속 반복되어 영구적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 신체가 움직이거나 자세를 바꿀 때에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이동의 반응으로 축에서 비틀기 때문에 크래들링 효과가 조절된다. 기본적으로, 디바이스(100)의 크래들링 효과는 착석된 사용자의 자연적 이동에 "리셋"되고, 착석된 사용자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영구적으로 교정하고 둔근의 벌려지는 것을 제한한다. 착석된 사용자에 대한 특정적으로 올바늘 척추 전만 만곡은 디바이스(100)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중력의 중심은 천골에서 좌골 결절의 끝으로 앞으로 전이된다. 중력의 균형점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자연적 평형점도 이루어지고 유지된다. 디바이스(100)를 이용해 각 사용자 개별의 자연적 평형점을 얻는 것은 독특하며 디바이스(100)가 골반을 조절하는 다시 체인과 같은 요추 척추 흉부 척추와 경부 척추를 조절한다. 프로세스(300)에 따른 상기 부분(101 내지 105)의 이동은 사용자 신체 형태에 반응하고 적응하는 기타 재료나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커핑, 크래들링, 지지대 부유상태를 제공하여 하중 지탱 위치에서 외골격으로 작용한다. 근육 조직은 70% 물이고 지방 조직은 35% 물이기 때문에, 피부는 물에 가측찬 라텍스처럼 작용한다. 보울 부분(20)은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 근육이 사용자의 하중에서 보울 부분(20)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보울 부분(20)에 배치될 때, 사용자 하부 골반 영역의 근육은 보울 부분을 채우고 좌골 결절은 사용자 하부 골반 영역의 근육과 연조직을 보울 부분(20)으로 가압한다. 사용자 하부 골반 영역의 근육과 연조직이 디바이스(100)의 보울 부분(20)을 채우고 좌골 결절이 근육 조직에서 멈춰지면서, 사용자의 상체 하중은 근육 조직을 통해 피부로 전달된다. 피부는 압력을 디바이스(100)로 전달한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외골격이 된다. 외골격은 지지 표면(40 또는 40a)에 놓여지고, 여기서 디바이스(100)의 안쪽 표면은 사용자 상체의 모든 압력을 받아 지지 표면으로 압력을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멈춰진 디바이스(100)의 보울 부분으로 인해 근육 조직에서 매달린 골반은 부유하며 안정화되고 크래들된다. 골반은 디바이스(100)에 의해 앞 척추 전만으로 고정되어지면서 유지된다. 종래의 경사진 기울기 안락의자와는 달리, 디바이스(100)는 좌골 결절 아래서 증가되는 압력점의 부정적 영향 없이 직립 자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일 실시예에서, 기반 부재(12)는 나일론 플라스틱과 같은 기억이 잘 유지되는 재료로 몰드된 한 피스 구조로 도 4a에서 한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두께의 부분이 있다. 도 4a의 도면은 또한 여러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비교되는 크기도 도시하는데 잘 유지되는 재료는 기본적으로 두께가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점차적으로 바뀌어져 간다. 각 부분(101 내지 105)은 도 4a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만들어진 부분의 그룹화를 도시하는데, 부분(101 내지 105)에는 물리적인 분리가 없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도 6a 내지 도 6p), 부분(101 내지 105)은 개별적 부분으로 멤브레인, 케이블, 경첩, 링크 등의 연결 메카니즘으로 서로 함께 연결되어 있다. 도 6a는 기반 부재(12)의 부분(101 내지 105)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부분(101 내지 105)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부분(101 내지 105)이 부착되어 있는 멤브레인(17)을 구성하는 연결 메카니즘의 한 예를 나타낸다. 연결 멤브레인(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속적인 멤브레인의 형태이거나 또는 부분(101 내지 105) 주변을 연결하는 부분(101 내지 106)에 상응하는 복수의 멤브레인 부분들의 형태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한 좌석(예, 자동차 좌석, 항공기 좌석, 사무실 의자)에서 디바이스(100)의 상기 부분(101 내지 105)[그리고 선택적으로(106)]을 포함하는 통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통합 시스템은 발포, 플라스틱, 공기 기포, 기타 재료를 포함해 여러 광범위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기반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재료들의 물리적 구성(예, 여러 다른 두께 범위)은 부분(101 내지 106)(도 6a 내지 도 6p)이 상기기 프로세스(300)에서 설명된 앉은 사용자의 둔근 형태에 대한 물리적 변경을 유도하게 할 수 있다. 기반 부재(12)의 부분(101 내지 106)은 프로세스(300)에 따라 함께 작동한다. 나일론 이외에도, 컴퓨터 데이터에 반응하고 프로세스(300)에 따라 행동 능력을 갖는 생물역학적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재료도 부분(101 내지 106)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통합 시스템에서는, 개별 부분(101 내지 106)은 떨어져 움직일 수 있고 다른 각도로 움직이고 또는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미끄러져 아래의 도 6c 내지 도 6i와 도 6j 내지 도 6p에서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디바이스의 사이즈를 감소시킨다. 프로세스(300)에 따른 상기 개별 부분(101 내지 105)의 작용은 각 사용자의 독특한 여건에 반응하고 적응하게 되는, 내장된 지능이나 재료 내의 자체 정보를 갖는 다른 재료들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내장된 지능이나 정보 재료는 프로세스(300)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응하기 위한 컴퓨터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센서, 액추에이터, 조절기를 사용하는 컴퓨터화는 도입될 수 있다(예, 도 6m).
도 6c 내지 도 6i는 개별 부분(101 내지 105)의 통합된 시트 팬 구성 예를 도시하는데, 이는 사무실 의자, 자동차 좌석 등등 이차 시트 팬에 내장되어 있으면서 부분(101 내지 105)의 이동을 최적화하는데 사용된다. 부분(101 내지 105)은 서로 꼬여지거나 도 6b에서 멤브레인(17)에 유사한 등받이와 같이 등받이(비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도 6c는 통합된 시트 팬 구성에서의 부분(101 내지 105)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상기에 설명된 것처럼 화살표가 부분(101 내지 105)이 비하중 지탱 형태에서 하중 지탱 형태로 전환하는 이동을 도시한다. 이러한 표현은 더 큰 구성에 대한 것이다. 도 6d는 제 2 하중 지탱 형태에서 부분(101 내지 105)의 약간 선회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표현은 증가된 상향 및 내향의 구성을 나타낸다. 부분들 사이의 갭은 사용자 하중 아래 늘어진 이차 시트 팬의 등받이로 인한 것이다. 한 예로, 몰드된 스크린형 부분(101 내지 105)을 위한 등받이는 부분(101 내지 105) 사이에 더욱 큰 가요성을 허용한다.
도 6e는 하중 지탱 제 2 형태의 또다른 부분(101 내지 105)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f는 하중 지탱(제 2) 형태로 변이된 부분(101 내지 105)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g는 부분(104,105)의 중첩 및 중심 부분(102, 203)의 중첩을 표시하는, 비하중 지탱 부분(101 내지 105)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표현 조절은 더 작은 구성을 위한 것이다. 도 6h는 비하중 지탱 상태의 부분(101 내지 105)의 약간 선회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i는 부분(101 내지 105)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부분적으로 겹친 비하중 지탱 부분(101 내지 105)을 도시한다. 하중 지탱 위치에서, 제 2 형태는 부분(101 내지 105)에 의해서 달성되고, 골반과 척추의 완전한 앞 방향 척추 전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6j 내지 도 6p는 부착점[원뿔 형태(19)로 표시]을 따른 개별 부분(101 내지 106)이 관련된 또다른 통합된 시트 팬 구성 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부착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디바이스의 부분 조작을 위한 환경 지원을 위해 부분(101 내지 106)이 어디에 부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도 6j는 비하중 지탱 형태에서 부분(101 내지 106)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부착점(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디바이스의 부분(101 내지 106) 조작을 위한 환경 지원을 위해 부분(101 내지 106)이 어디에 부착될 수 있는 지를 나타낸다. 도 6k는 하중 지탱 형태에서 도 6j의 부분(101 내지 106)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1은 하중 지탱 형태에서 부분(101 내지 105)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m은 비하중 지탱 형태에서 부분(101 내지 106)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조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부착점(19)에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19a), 압력된 정보를 처리하고 조절 신호를 작동기(19c)에 전송하여(예, 포인트 19 인접에 정렬) 제 2 형태가 이루어지고 골반과 척추의 완전한 앞 방향 척추 전만이 이루어질 때까지 부분(101 내지 106)을 움직이는 전자 조절기(19b)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도 6n은 사용자가 착석된 상태에서 부분(101 내지 106)에 접근할 때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 모습과 함께 도 6j의 부분(101 내지 106)의 우측면을 도시한다. 도 6o는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가 적어도 보울 부분과 접촉하는 상태의, 도 6n의 부분(101 내지 106)의 우측방을 도시한다. 도 6p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다리 하측면이 부분(101)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제 2 형태가 이루어지고 골반과 척추의 완전한 앞 방향 척추 전만이 이루어질 때까지 기계적 로봇 해부학적 뼈대가 보울 부분을 채우는 것과 함께 도 6o의 부분(101 내지 106)의 우측면을 도시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지지 표면(하부 시트 팬)이 엉덩이와 먼 쪽 넓적다리의 연조직 구조를 유지하는 동안 뼈대 정렬과 근육 형태를 유도하는 이중 시트 팬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남성과 여성의 평균 골반 바닥 사이즈에 관한 정보가 사용된다. 골반 유출구의 직경은 전후방향, 가로지르는 것을 포함한다. 전후방향은 꼬리뼈 끝에서 치골 결합의 하부로 연장되고 남성에서는 평균 측정치가 약 3.25인치이고 여성에서는 약 5인치이다. 전후방향 직경은 꼬리뼈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뼈의 이동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가로지르는 것은 좌골 결절의 후방 부분에서 반대쪽의 같은 점까지이며 남성에서는 평균 측정치가 약 3.25인치이고 여성에서는 약 4.75인치이다. 이러한 측정치는 기본적으로 키나, 하중, 인종에 상관없이 전체 인구에 적용된다. 평균 골반 측정치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이 제공하는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성인 인구의 95%에 적합하다. 채널(110)의 꼬리뼈 컵 영역(110a)(도 3a)은 여러 다른 꼬리뼈 각도를 허용해 디바이스(100)의 표면이 하부 천골 관절과 꼬리뼈에 접촉하지 않게 한다.
디바이스(100)는 일반 착석면(40a)에 배치되어(또는 통합된다) 이중 시트 팬을 형성한다. 이차 시트 팬(40a)의 추가로, 활성적인(예, 고정적이 아닌) 좌석 시스템이 제공되어, 개별 부분(101 내지 105)(활성적 시트 팬)이 비활성적인 일반 시트 팬(40a)에서 함께 구성된다. 시트 팬(40a)은 뼈대화 근육 구조에서 설계되고 디바이스(100) 시트 팬은 엉덩이와 넓적다리의 연조직을 위해 지지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100)의 부분(101 내지 105)[그리고 선택적으로 부분(106)]을 일반 시트 팬(40a)의 상대에 조합하여, 사용자 하중이 디바이스(100)와 시트 팬(40a)에 놓여질 때, 협동적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프로세스(300)가 이중 시트 팬 시스템에 적용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일 실시예에서(도 la 내지 도 ld, 도 2a 내지 도 2h, 도 3a 내지 도 3f, 도 4a 내지 도 4c, 도 5, 도 7a 내지 도 7c, 도 8a 내지 도 8d, 도 9, 도 10a 내지 도 10f, 도 11b, 도 12a 내지 도 12f, 도 14a 내지 도 14i, 도 15, 도 16a 내지 도 16c, 도 17a 내지 도 17b, 도 18a 내지 도 18n), 기반 부재(12)는 나일론 플라스틱과 같은 기억이 잘 유지되는 재료로 몰드된 한 피스 구조로 도 4a에서 한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두께의 부분이 있다. 도 4a의 도면은 또한 기반 부재(12)의 여러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비교되는 크기도 도시하는데 잘 유지되는 재료는 기본적으로 두께가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점차적으로 바뀌어져 간다. 각 부분(101 내지 105)은 만들어진 부분의 그룹화를 도시하는데(도 4a 내지 도 4b), 부분(101 내지 105)에는 물리적인 분리가 없다.
상기 바람직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도 15에서 도시되는 패딩층(13)을 추가로 포함한다. 패딩층(13)은 기반 부재(12) 위에 부착된 포말을 포함한다. 포말 두깨는 기반 부재의 성능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윤곽형성된 있다. 도 15 상면의 도시는 디바이스(100)의 상단면을 도시하는데, 부분(101 내지 105)(쇄선으로 보여짐)의 포말 패턴을 나타낸다. 도 15는 면 P-P, Q-Q, R-R, S-S을 따라 디바이스(100)의 단면을 추가로 도시한다. 단면은 기반 부재(12)를 도시한다(두께는 스케일 비례로 그려져 있지 않음). 단면 P-P에 있는 기반 부재(12)의 여러 다른 두께의 부분은 도 4a의 두께 범례에 적용되는 대로 문자 A, B, E, F로 표시된다. 단면 P-P에 있는 포말(13)의 두께는 T1(예, 약 4mm 두께), T2(예, 약 l0mm 두께), T3(예, 약 12mm 두께)로 표시된다. 포말(13)은 한 피스의 기반 부재(12)보다 두꺼워 좌골 끝이 상기 경사부(111)로 올라가는 것을 중지시키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며, 그에 의해서 좌골의 끝의 저부를 상기 경사부(111)에서 중단시킴으로써, 골반의 회전을 향상시켜 보울 부분(20)을 통해 골반의 앞으로 향하는 회전을 향상시킨다. 포말은 안착 영역(3)의 후방 부분에서 가장 얇은 부분(102 내지 105)에 있는 보울 부분(20)이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에 근육으로 채우지 못하게 한다.
바람직일 실시예에서, 기반 부재(12)는 광범위한 온도에 걸쳐 기억력과 가요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나일론 플라스틱(예, 나일론 6, 6)과 같은 기억을 잘 유지하는 재료로 몰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101 내지 105)은 한 피스로 몰드되지만 도 4a의 영역들의 다른 차이는 도 4a 부분의 주변을 따라 일반적으로 변경되어 사용자 하중의 반응에 따라 원하는 반응을 제공한다.
부분(101 내지 106)의 영역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양호하게는 EVA, PU, MDI 포말을 형성하고 몰드하기 위해 필요한 열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폴리우레탄 포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몰드하고 섬유를 용접하기 위해 필요한 열은 약 218°F에서 285°F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기반 부재(12)는 90 파운드 이상의 무게를 받을 때 유리한 제 2 형태나 구성을 취할 수 있지만, 이러한 특정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기반 부재(12)는 무게가 없어질 때 원래 구성으로 돌아가려는 강한 경향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형태이다.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다른 재료들도 사용될 수 있다.
퉁풍구(v)(도 3a)는 디바이스(100)에서 반드시 필요하지 않지만, 열 안락감과 함께 통기성을 돕는다. 통풍구 패턴은 표면의 통풍을 도와 안락감을 제공하고 사용자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열의 유도와 수분의 확산을 허용한다. 열 안락감은 자세에 의존하지 않아야 하고,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도 3a의 통풍구의 바람직한 패턴을 갖게 된다.
바람직일 실시예에서, 기반 부재(12)는 기반 부재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여러 두께의 나일론 영역을 포함한다(예, 도 4a의 도면에 수직). 이러한 나일론은 원래 형태에서 제 2 형태로 변할 수 있는 특정 가요성과 메모리가 있기 때문에 부분들의 여러 다른 두께는 제 2 형태를 개선하여, 디바이스(100)의 능동적 반응에 추가된다. 영역들의 여러 다른 두께는 하중 지탱 디바이스(100)의 제 2 형태에 특정 원하는 효과를 갖는데 하중 지탱 형태를 비하중 지탱 형태로 반환시켜서 근육 조직에 골반을 부유하면서 전방 경사/회전에 대한 능동적 반응을 일으켜 골반 부분을 커핑, 크래들링한다. 추가로, 여기에 크기 예와 두께 부분이 제공된 디바이스(100)는 광범위한 인구에 적합하다. 디바이스(100)는 골반 바닥 측정치를 직접 처리하고 하부 시트 팬(40a)은 인체 측정치를 처리한다. 인간의 해부학적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이중 시트 팬 시스템은 대부분의 인간에게 적합하나 모든 인간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00)의 바람직일 실시예를 위한 제조 프로세스의 예(도 la 내지 도 ld, 도 2a 내지 도 2h, 도 3a 내지 도 3f, 도 4a 내지 도 4c, 도 5, 도 7a 내지 도 7c, 도 8a 내지 도 8d, 도 9, 도 10a 내지 도 10f, 도 11b, 도 12a 내지 도 12f, 도 14a 내지 도 14i, 도 15, 도 16a 내지 도 16c, 도 17a 내지 도 17b, 도 18a 내지 도 18n)는 두 몰딩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제 1 몰드는 기반 부재(12)를 위한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폴리머 사출 성형 몰드를 포함한다. 제 1 몰드는 특정 나일론 플라스틱(나일론 6, 6)을 사출 성형한다. 나일론 플라스틱의 주입동안, 양방향의 폴리에스테르 마이크로파이버 섬유를 몰드 내부에 놓아 나일론 기반 부재와 동시에 몰드할 수 있다. 따라서 나일론 기반 부재와 이의 하부 섬유가 함께 몰드된다. 양방향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래 표면과 함께 나일론 기반 부재는 이어 절단 다이 부품과 함께 맞는 금속 전환 몰드에 놓여진다. 맞는 금속 전환 몰드는 여러 동시 기능을 실행한다. 첫째로, 맞는 금속 전환 몰드는 폴리우레탄 포말(13)과 폴리에스테르 마이크로파이버를 특정적으로 형성되고 몰드된 형태로 형성한다. 둘째로, 맞는 금속 전환 몰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우레탄 포말(13)을 도 15의 예에 의해서 도시된 특정 부분에서 절단하는 동안, 양방향의 폴리에스테르 직물(13)을 "용접"한다.
이 프로세스는 EVA, PU, MDI 포말(13)(아래에 상세히 설명)을 형성하고 몰드하기 위해 필요한 열을 견뎌낼 수 있는 가요성의 몰드가능한 플라스틱 기반 부재에 의존한다. 폴리우레탄 포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몰드하고 섬유를 용접하기 위해 필요한 열은 218°F에서 285°F이다. 모든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폴리머는 EVA, PU, MDI 포말(13)이 몰드되는 온도와 비슷한 용융점을 갖는다. 이는 EVA, PU, MDI 포말과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압축 성형되고 다이 절단, 함께 용접하는데 필요한 열과 압력 상태에서 용융되지 않는 기반 부재 폴리머가 필요한 특정 경우가 발생한다. 나일론 6, 6은 열을 견뎌낼 수 있고 주입될 수 있는 폴리머(12)가 될 수 있다.
나일론이 상기 열 몰딩 프로세스를 견뎌낼 수 있지만, 적절하게 작용할 수 없고 적절하게 작용하기 위해 충분히 가요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몰딩 프로세스를 거친 후, 스팀 열처리를 받아 특정 가요성을 회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나일론 기반 부재(12)를 둘러싸는 포말과 섬유(13)와 같은 온도로 용융되지 않고 특정 가요성과 메모리 유지 특성이 있는 주입될 수 있는 나일론(12)을 갖는 능력을 공개한다. 이는 나일론 6, 6 메이크업과 특정 가요성을 회복하기 위한 스팀 열 처리를 수반한다.
이 프로세스의 다른 형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EVA, PU, MDI 포말(13)을 계속 함께 용접하면서, 디바이스(100)의 내부에서 절단한 통풍구(v)와 연관된다. 디바이스(100)를 가로질러, 여러 형태, 크기 및 위치의 통풍구들은(금속 다이에 맞는 평평한 표면 없이) 포말(13)의 몰딩을 위한 올바른 형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절단 다이 블레이드를 마모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몰드의 표면 아래를 충족하도록 만들어져서, 터치 열과 압력이 섬유의 두면을 용접하고 정확한 지점에서 절단할 수 있어야 한다.
한 예로, 디바이스(100)는 폴리아미드라고 일반적으로 불리우는 합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궁극적으로 폴리아미드 6, 10, 11, 12는 모노머를 기반 부재로 개발되어 링 화합물이 된다(예, 카프로락탐 나일론 6, 6은 축합 중합으로 제조된 제료이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똑같이 EVA라고 불리움)를 포함하는 EVA 포말은 에틸렌과 비닐의 코폴리머이다. 기반 부재(12)의 PU 폴리우레탄 포말(13)은 여러 단단함, 경화성, 농축성 범위가 있는 폴리우레탄 배합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 물질인 IUPAC(PUR 또는 PU)은 우레탄(카르바메이트) 링크로 연결된 유기 유닛의 체인으로 구성된 폴리머이다. 폴리우레탄 폴리머는 촉매제가 있는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실(알콜) 그룹을 포함한 다른 모노머에 반응하여 단계적 성장 중합을 통해 형성된다.
MDI PPG 메모리 포말(13)은 점성을 증가시키는 추가의 화학물과 함께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다. 종종 점성-탄성 폴리우레탄 포말이라고 불리우는데 냉각될 때 더욱 단단해진다. 더 높은 농도의 메모리 포말은 인체열에 반응하여 단진 몇분만에 따뜻한 인체로 몰드하게 해준다. 낮은 농도의 메모리 포말은 압력에 민감하고 인체의 형태로 빨리 몰드된다.
양방향 폴리에스테르 마이크로파이버 섬유 또는 모든 양방향 폴리에스테르 섬유 마이크로파이버는 1 데니어 미만의 합성 섬유를 말한다. 가장 흔한 종류의 마이크로파이버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나일론) 및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의 접합으로 만들어진다.
마이크로파이버는 비직물, 직물, 편물 만드는데 사용된다. 합섬 섬유의 형태, 사이즈, 조합은 부드러움, 내구성, 흡수성, 흡입성, 수분 반발성, 전기 역학, 필터링 능력등의 특정적 특징을 바탕으로 선택된다. 마이크로파이버는 일반적으로 의류, 가구 덮개, 공업용 필터, 세척 제품 등에 사용된다.
상기 설명에서, 여러 특정적 세부사항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특정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것에 대해 잘 알려진 동일 부품이나 요소로 대체할 수 있으며 또한 유사하게, 여기에 공개된 특정 기술에 대해 잘 알려진 동일 기술로 대체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서는, 설명의 이해에 대한 불명료성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나 기술은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실시예","예", "일부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면된 특정 기능, 구조, 특징이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으나 모든 실시예에 반드시 포함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예","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의 여러 표현은 모두 같은 실시예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가 부품, 기능, 구조, 특징을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해도 "되며", 또는 포함할 수 "있다"라고 기술할 경우, 해당 특정 부품, 기능,구조, 특징은 반드시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명세서나 청구항이 "요소", "한 요소"를 말할 경우는, 단 하나의 요소만 있다는 뜻은 아니다. 명세서나 청구항이 "추가의" 요소를 말할 경우, 한 개 이상의 추가 요소가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특정 예로서의 실시예를 수반하는 도면과 함께 설명되고 제시되었지만, 이러일 실시예는 전체 발명의 단순한 설명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고 이 분야의 당업자가 여러 다른 수정을 개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제시되고 설명된 특정 구성이나 정렬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Claims (12)

  1. 자세 교정 장치(orthopedic device; 100)로서, 상기 자세 교정 장치(100)는,
    가요성이 다른 영역들을 가지는 기반 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기반 부재(12)는,
    사용자의 넓적 다리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부분(101);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 부분(102,103);
    상기 중심 부분(102,103)으로부터 연장하고 상향으로 경사지는 측방 부분(104,105);
    아치형의 골반 안착 영역(3); 및
    꼬리뼈 컵 영역(110a);을 구비하고,
    상기 측방 부분(104,105)과 상기 전방 부분(101)은 상기 중심 부분(102,103)을 둘러싸며,
    상기 기반 부재는 밑면과, 적어도 상기 기반 부재의 좌측방 부분(104)과 우측방 부분(105) 사이에 상기 기반 부재 내의 아치형의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110)의 일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치형의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은 상기 기반 부재의 하나 이상의 다른 영역들에 대해 가요성이 낮고,
    상기 꼬리뼈 컵 영역은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기반 부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꼬리뼈에 대한 접촉압을 방지하고,
    상기 골반 안착 영역은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과 교차하고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하며, 상기 골반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과 동일한 가요성을 가져,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 상에서 사용자의 골반 바닥을 지지하는, 자세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 부재는 상기 전방 부분(101)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울 부분(bowl portion)(20)을 가지고,
    상기 보울 부분(20)은 적어도 상기 중심 부분(102,103) 및 상기 측방 부분(104,105)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 부재는 다양한 두께로 인해 가요성이 다른 영역들을 구비하고;
    상기 보울 부분(20)의 상기 중심 부분의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은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을 둘러싸는 상기 기반 부재의 하나 이상의 다른 영역들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 자세 교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 부재가 지지 표면(40) 상에 있고 상기 사용자의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20)에 놓여질 때, 상기 보울 부분(20)은 상기 보울 부분(2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표면(40) 상에서 전방으로 회전되며 기울어지는, 자세 교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부분(20)은 상기 보울 부분(20)의 일 영역에 경사부(111)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111)는 상기 보울 부분(20)이 전방으로 기울어짐을 중단시키는, 자세 교정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방 부분과 상기 우측방 부분은 상기 전방 부분의 일 영역까지 연장되어 상기 전방 부분에 결합하는 인장 영역들을 구비하고, 상기 인장 영역들은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보다 낮은 가요성을 갖는, 자세 교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부분(101)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측방 부분(104,105)의 적어도 일 영역보다 적은 두께를 갖는, 자세 교정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110)은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110)을 둘러싸는 상기 기반 부재(12)의 하나 이상의 다른 영역들보다 큰 두께를 가지고, 상기 기반 부재는 상기 좌측방 부분 및 상기 우측방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후방 부분(rear portion)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방 부분 및 상기 우측방 부분은 상기 후방 부분의 적어도 일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 부분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는 인장 영역들을 구비하고, 상기 인장 영역들은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보다 적은 두께를 갖는, 자세 교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리세스형 채널(110)은 상기 기반 부재(1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자세 교정 장치가 상기 보울 부분(2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 표면(40)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교정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표면(40)에 대한 상기 기반 부재의 비틀림 이동은 상기 기반 부재(12)의 회전으로 인한 상기 기반 부재(12)의 비틀림(torsion)을 유발하는, 자세 교정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중심 부분(102,103)에 앉을 때, 상기 보울 부분(20)의 후방 부분(16)이 앞으로 당겨지고, 상기 측방 부분(104,105)의 외부 에지가 상향 및 내향으로 이동하는, 자세 교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부분(104,105)의 외부 에지가 상향 및 내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측방 부분(104,105)은 상기 하부 골반 영역의 벌어짐을 제한하고,
    상기 보울 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하부 골반 영역이 상기 보울 부분 내에 위치할 때, 능동적인 안정화 지지를 위해(for active stabilization support) 계속적이고 동적인(dynamic) 상향 및 내향 압축력을 가하는, 자세 교정 장치.
KR1020157002373A 2009-01-23 2010-01-22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82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05309P 2009-01-23 2009-01-23
US61/147,053 2009-01-23
PCT/US2010/021881 WO2010085707A1 (en) 2009-01-23 2010-01-22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269A Division KR101582875B1 (ko) 2009-01-23 2010-01-22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644A KR20150016644A (ko) 2015-02-12
KR101582872B1 true KR101582872B1 (ko) 2016-01-07

Family

ID=4235622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19430A KR101489702B1 (ko) 2009-01-23 2010-01-22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47016269A KR101582875B1 (ko) 2009-01-23 2010-01-22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57002373A KR101582872B1 (ko) 2009-01-23 2010-01-22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19430A KR101489702B1 (ko) 2009-01-23 2010-01-22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47016269A KR101582875B1 (ko) 2009-01-23 2010-01-22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671482B2 (ko)
EP (1) EP2381817B1 (ko)
JP (1) JP5502901B2 (ko)
KR (3) KR101489702B1 (ko)
BR (1) BRPI1006955A2 (ko)
CA (2) CA2856870A1 (ko)
ES (1) ES2425015T3 (ko)
HK (1) HK1162889A1 (ko)
IL (1) IL214056A (ko)
MY (1) MY156996A (ko)
PL (1) PL2381817T3 (ko)
SG (1) SG172920A1 (ko)
WO (1) WO2010085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1957B2 (en) * 2008-12-15 2012-03-27 La-Z-Boy Incorporated Cushion with plural zones of foam
JP5502901B2 (ja) 2009-01-23 2014-05-28 バックジョイ・オーソティック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動的に姿勢を矯正するための方法と器具
US10034548B2 (en) 2009-01-23 2018-07-31 Backjoy Orthotics,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US20120240303A1 (en) * 2011-03-22 2012-09-27 Bengie Molina Matta Leg/shin guard knee pad
DE102011100708B4 (de) 2011-05-06 2013-07-11 Haworth, Inc. Sitzmöbel, insbesondere Bürostuhl
DE202011100998U1 (de) * 2011-05-20 2011-08-03 Ass-Einrichtungssysteme Gmbh Sitzschale für Sitzmöbel
DE102011104972B4 (de) 2011-06-08 2015-03-05 Haworth, Inc. Sitzmöbel, insbesondere Bürostuhl
DE102011051937B4 (de) * 2011-06-15 2013-05-29 David Friedrich Beckenabstützvorrichtung, die an einer Unterlage befestigt ist, zum Aufnehmen von mindestens einer Zugspannung
KR101188388B1 (ko) * 2011-07-28 2012-10-08 박인식 앉은 자세 측정 및 운동용 좌석 패드 및 의자
AU2012343323A1 (en) * 2011-11-21 2014-07-17 Paul William BROWN Pelvic support
US8857914B2 (en) * 2012-04-30 2014-10-14 Adams Mfg. Corp. Seat for molded plastic chairs
US9289069B2 (en) 2012-04-30 2016-03-22 Adams Mfg. Corp. Seat for molded plastic chairs
MY183045A (en) 2013-03-15 2021-02-08 Haworth Inc Office chair
CN105377077B (zh) * 2013-06-07 2020-03-17 株式会社冈村制作所 椅子
US9591925B2 (en) * 2013-06-21 2017-03-14 Ambreen S Qureshi Seating cushion for treating pelvic pressure, pain and discomfort
CN105848612A (zh) * 2013-11-29 2016-08-10 株式会社Mtg 姿势保持用具
CA2932447C (en) * 2013-12-06 2022-05-03 Force 3 Innovations Inc. Adjustable seating systems and associated structures
US20150173515A1 (en) * 2013-12-23 2015-06-25 Freedman Seats Ltd Seat
USD735495S1 (en) * 2013-12-26 2015-08-04 Gang Laang Pong Seat pad
KR101598473B1 (ko) * 2014-05-23 2016-02-29 이동균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DE102014214550B3 (de) * 2014-07-24 2015-04-09 Johann Opercan Mobile Sitzauflage
EP3179886B1 (en) * 2014-08-13 2018-11-21 Terry Cassaday Chair
USD766622S1 (en) 2014-09-29 2016-09-20 Homedics Usa, Llc Support cushion
WO2016053321A1 (en) * 2014-09-30 2016-04-07 Backjoy Orthotics,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US9560917B2 (en) 2014-11-26 2017-02-07 Steelcase Inc. Recline adjustment system for chair
DK3240458T3 (en) * 2014-12-30 2019-02-04 Solvaseat Sa ERGONOMIC SEAT PLATE DEVICE
JP6956213B2 (ja) * 2015-04-14 2021-11-02 株式会社 Mtg 姿勢保持具
JP6373226B2 (ja) * 2015-04-14 2018-08-15 株式会社 Mtg 姿勢保持具
US20160361603A1 (en) * 2015-06-12 2016-12-15 Iana Blinova Multidimensional Mobilization of Lumbar, Pelvic, and Hip Joints
US10314400B2 (en) 2015-06-23 2019-06-11 Simtec, Llc Rotatable seat cradle
WO2017070596A1 (en) * 2015-10-21 2017-04-27 Cohen Daniel E Device for synchronized sound, vibration and magnetic field stimulation
US10004336B2 (en) * 2015-11-15 2018-06-26 Alfred Xueliang Xi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normal functions of blood circulatory systems over long periods of sitting
US10085565B2 (en) 2015-12-09 2018-10-02 Lear Corporation Sacral air bladder assembly
US9949568B2 (en) 2015-12-09 2018-04-24 Lear Corporation Pelvic and sacral bladder assembly
JP6611330B2 (ja) * 2016-01-07 2019-11-27 タカノ株式会社 姿勢保持用クッション並びにそれに用いる姿勢保持用ベース材
USD779250S1 (en) 2016-02-12 2017-02-21 Haworth, Inc. Portion of a back support for a chair
USD793787S1 (en) 2016-02-12 2017-08-08 Haworth, Inc. Portion of a back support for a chair
USD779252S1 (en) 2016-02-12 2017-02-21 Haworth, Inc. Back support for a chair
USD779254S1 (en) 2016-02-12 2017-02-21 Haworth, Inc. Armrests for a chair
USD784749S1 (en) 2016-02-12 2017-04-25 Haworth, Inc. Lumbar support for a chair
USD779248S1 (en) 2016-02-12 2017-02-21 Haworth, Inc. Armrests for a chair
USD779255S1 (en) 2016-02-12 2017-02-21 Haworth, Inc. Headrest for a chair
USD779253S1 (en) 2016-02-12 2017-02-21 Haworth, Inc. Back support for a chair
US10182657B2 (en) 2016-02-12 2019-01-22 Haworth, Inc. Back support for a chair
USD782241S1 (en) 2016-02-12 2017-03-28 Haworth, Inc. Back support for a chair
USD779251S1 (en) 2016-02-12 2017-02-21 Haworth, Inc. Lumbar support for a chair
USD782859S1 (en) 2016-02-12 2017-04-04 Haworth, Inc. Back support for a chair
USD811105S1 (en) * 2016-03-31 2018-02-27 Revival Furniture Design Studio Inc. Stool
USD802335S1 (en) * 2016-11-10 2017-11-14 Jingang YANG Pumpkin shaped pillow
CA3038795A1 (en) 2016-11-28 2018-05-31 Granberg AS Three-dimensional, 3d, knitted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750887B1 (ko) * 2016-11-29 2017-06-26 서준석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US10112513B2 (en) 2016-12-16 2018-10-30 Lear Corporation Inflatable support bladder assembly
KR101766220B1 (ko) 2017-04-28 2017-08-23 주식회사 마블덱스 올바른 앉은 자세 자동 유도 시스템
JP7118388B2 (ja) * 2017-07-25 2022-08-16 明治 岩上 骨盤ベルトと押圧矯正器具との組み合わせからなる骨盤矯正用具
US10292499B1 (en) * 2017-11-14 2019-05-21 Huang Chang Liu Chair structure
JP7535726B2 (ja) * 2018-03-19 2024-08-19 有限会社Opti 椅子の背凭れ
USD875435S1 (en) * 2018-03-30 2020-02-18 Backjoy Orthotics, Llc Posture seat
KR102017988B1 (ko) * 2018-04-10 2019-09-03 주식회사 포빅 둔부에 착용하는 자기체중을 이용한 요추지지 및 조절가능한 착석자세 자동 교정장치
CN109480516A (zh) * 2018-12-30 2019-03-19 中北大学 一种主动智能调整姿态的座椅
CN109567457A (zh) * 2018-12-30 2019-04-05 中北大学 一种座椅姿态的主动智能调整方法
EP3927215A4 (en) 2019-02-21 2023-03-15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AND ASSEMBLY THEREOF
JP6569100B1 (ja) * 2019-04-08 2019-09-04 株式会社G−Stars 開脚補助器具
US11129479B2 (en) 2019-06-07 2021-09-28 Michael J Snyder Portable adjustable lumbar support and ergonomic chair
USD898443S1 (en) * 2019-06-10 2020-10-13 Ontel Products Corporation Leg pillow cushion
USD899142S1 (en) * 2019-06-27 2020-10-20 Upper Echelon Products, LLC. Back cushion
WO2021111638A1 (ja) * 2019-12-06 2021-06-10 有限会社音吉 座具
US11357329B2 (en) 2019-12-13 2022-06-14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WO2021141073A1 (ja) * 2020-01-09 2021-07-15 NatureArchitects株式会社 椅子、座部および背もたれ
KR102163201B1 (ko) *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KR102353586B1 (ko) * 2021-05-26 2022-01-19 이명욱 기능성 좌식의자
WO2023287872A2 (en) * 2021-07-14 2023-01-19 Anthro Form, Llc Seat configuration
US11744375B2 (en) * 2021-07-14 2023-09-05 Anthro Form, Llc Seat configuration
AU2021209307A1 (en) * 2021-07-29 2023-02-16 Oov Ip Pty Ltd A Posture Device
US11826035B2 (en) 2022-04-26 2023-11-28 Pain Relief Technology, LLC Treatment device for sacroiliac joint hypomobility
FR3140745A1 (fr) 2022-10-17 2024-04-19 Blue Health Comfort Dispositif d’assise de confort
USD1025627S1 (en) * 2023-12-14 2024-05-07 Shanxi Hanerwei E-commerce Co., Ltd. Children's swivel chai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894A (ja) 2001-10-09 2003-04-22 Keiko Matsui 座位姿勢矯正クッション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11945A (ja) 2005-05-09 2006-11-16 Hideo Doya 座板
KR101514685B1 (ko) 2014-03-25 2015-04-23 (주)힐닉스 척추측만 교정용 방석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6871A (en) * 1925-11-23 1929-06-11 Earl Thompson Posture Seating Chair
DE1221772B (de) * 1960-04-13 1966-07-28 Dr Otto Alfred Becker Sitzmoebel
US3138404A (en) 1963-07-29 1964-06-23 Relaxo Bak Inc Auxiliary body support for vehicle seats
US3376070A (en) * 1966-07-22 1968-04-02 Merle E. Johnson Contoured seat cushion
US3463547A (en) 1967-10-20 1969-08-26 John M Brennan Flexible chair seat
US3740096A (en) * 1971-05-04 1973-06-19 Bridg A Back Inc Orthopedic seat
JPS55104957U (ko) 1979-01-19 1980-07-22
US4852945A (en) * 1986-04-24 1989-08-01 Rowles John W Comprehensive contour chair apparatus
US4962964A (en) 1988-11-03 1990-10-16 Warren Snodgrass Flexible plastic seating shell
US4953913A (en) * 1988-11-03 1990-09-04 Graebe Robert H Contoured seat base
US4915447A (en) 1989-03-13 1990-04-10 Sears Manufacturing Company Vehicle seat with adjustable thigh support
US5137333A (en) 1990-01-25 1992-08-11 Rolliture Corporation Seat cushion
US5163737A (en) * 1991-01-29 1992-11-17 The Bbj Connection Cushion
US5344211A (en) * 1993-08-05 1994-09-06 Riyaz Adat Adjustable backrest
DE4326609C2 (de) 1993-08-07 1996-03-28 Taipei Design Center Duesseldo Bürodrehstuhl
ATE167438T1 (de) * 1993-08-18 1998-07-15 Toora Srl Leichtmetall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US5456519A (en) 1994-06-30 1995-10-10 Davis; Samuel C. Back cushion and seat cushion system
AUPN350595A0 (en) 1995-06-14 1995-07-06 Nelson, Paul Damian A seat
EP0957719B1 (en) * 1995-08-16 2003-02-26 Alan J. Powell Supporting seat
US5887951A (en) * 1995-09-15 1999-03-30 Willingham; W. Preston Orthopedic seating orthosis for correcting posture and restricting gluteal spreading
JP3268489B2 (ja) * 1997-08-28 2002-03-2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多層異硬度クッション体及びそれを用いた椅子の座
JP3462782B2 (ja) * 1999-02-26 2003-11-05 星野楽器株式会社 ドラム椅子の背もたれ構造
US6378947B1 (en) 1999-04-12 2002-04-30 Bloorview Macmillan Centre Seating system
US6299248B1 (en) 1999-10-22 2001-10-09 Richard Gennaro Posture system
US6336895B1 (en) * 2000-02-11 2002-01-08 Richard R. Dukes Buttock and tail bone protection device for use during sit-ups
AU2002316699A1 (en) 2001-07-11 2003-01-29 Alfmeier Corporation Integrated adjustable lumbar support and trim attachment system
JP2003284620A (ja) * 2002-01-24 2003-10-07 Foot Techno Inc 姿勢矯正具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姿勢矯正具を備えた椅子
US7396082B2 (en) * 2002-03-29 2008-07-08 Garrex Llc Task chair
US7140057B2 (en) * 2003-07-28 2006-11-28 Aspen Seating, Llc Reinforced and adjustable contoured seat cushion and method of reinforcing and adjusting the contoured seat cushion
US7216388B2 (en) * 2003-07-28 2007-05-15 Aspen Seating, Llc Contoured seat cushion and method for offloading pressure from skeletal bone prominences and encouraging proper postural alignment
US20060033370A1 (en) 2004-08-16 2006-02-16 Jonas Arnold P Adjustable chair, in particular to prevent users from deep vein thrombosis (DVT)
JP2006204704A (ja) * 2005-01-31 2006-08-10 Kokuyo Co Ltd
WO2006132891A2 (en) 2005-06-03 2006-12-14 Travis Burrell Exercise sitting apparatus for enhancing muscle development, strength, flexibility and/or rehabilitation
US7607738B2 (en) * 2005-09-15 2009-10-27 Matthew Wayne Gregory Contoured seat and method
US20080074866A1 (en) 2006-03-23 2008-03-2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isor vanity
US7731295B2 (en) 2006-11-29 2010-06-08 Peter Lin Chair having adjustable weight proportion accepting elements
JP3988169B1 (ja) * 2006-12-04 2007-10-10 智之 根本 椅子用姿勢改善補助椅子
US7475943B1 (en) * 2007-06-26 2009-01-13 Sheng Jia Sheng Co., Ltd. Chair that is designed ergonomically to support a user's back snugly and completely
JP5502901B2 (ja) 2009-01-23 2014-05-28 バックジョイ・オーソティック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動的に姿勢を矯正するための方法と器具
WO2011090505A1 (en) 2010-01-22 2011-07-28 Backjoy Orthotics,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KR101056058B1 (ko) * 2009-08-10 2011-08-10 김학수 골반 교정용 좌판
US8678504B1 (en) 2009-09-11 2014-03-25 IDA Design LLC Seat assembly for chair
US8944507B2 (en) 2009-10-13 2015-02-03 Herman Miller, Inc. Ergonomic adjustable chair mechanisms
US8272691B2 (en) 2010-06-04 2012-09-25 Fuh Shyan Co., Ltd. Resilient lower-back supporting device capable of vertical adjustment along with backrest of chair
KR101155211B1 (ko) * 2011-08-16 2012-06-13 윤욱 요추지지방석
KR101472814B1 (ko) * 2012-12-05 2014-12-18 고영철 보조의자
US9480339B2 (en) * 2012-12-31 2016-11-01 Sava Cvek Seat with pelvic support
KR101285459B1 (ko) * 2013-02-21 2013-07-12 변대규 안락좌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894A (ja) 2001-10-09 2003-04-22 Keiko Matsui 座位姿勢矯正クッション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11945A (ja) 2005-05-09 2006-11-16 Hideo Doya 座板
KR101514685B1 (ko) 2014-03-25 2015-04-23 (주)힐닉스 척추측만 교정용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56870A1 (en) 2010-07-29
US20120299350A1 (en) 2012-11-29
IL214056A (en) 2015-07-30
JP5502901B2 (ja) 2014-05-28
KR20110117193A (ko) 2011-10-26
SG172920A1 (en) 2011-08-29
CA2750303A1 (en) 2010-07-29
IL214056A0 (en) 2011-08-31
KR20150016644A (ko) 2015-02-12
PL2381817T3 (pl) 2013-11-29
WO2010085707A1 (en) 2010-07-29
HK1162889A1 (en) 2012-09-07
KR20140084353A (ko) 2014-07-04
US8671482B2 (en) 2014-03-18
MY156996A (en) 2016-04-15
KR101582875B1 (ko) 2016-01-07
EP2381817A4 (en) 2012-07-04
JP2012515629A (ja) 2012-07-12
BRPI1006955A2 (pt) 2017-05-30
EP2381817A1 (en) 2011-11-02
ES2425015T3 (es) 2013-10-10
EP2381817B1 (en) 2013-07-10
CA2750303C (en) 2014-10-07
KR101489702B1 (ko) 2015-02-04
US9427086B2 (en) 2016-08-30
US20110277246A1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872B1 (ko)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849428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JP6954985B2 (ja) 調節可能な人間工学に基づく椅子
ES2290401T3 (es) Silla de inclinacion sincronizada con asiento, respaldo y mecanismo de energia ajustables.
WO2016053321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KR101054032B1 (ko) 자세교정용 의자
WO2011090505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WO2013072656A2 (en) Seating with enhanced grip and posture correction
US20100078977A1 (en) Posture trainer
KR102588833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JP6970994B1 (ja) 椅子
US20070052272A1 (en) Back and lumbar support apparatus and system
WO2001000061A1 (en) An improved open-angle seat for a chair
KR20240031483A (ko) 시트 구조물
DK3243491T3 (en) Backrest cushion
BRPI0621978B1 (pt) aparelho para sentar com movimento de reclin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