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586B1 - 기능성 좌식의자 - Google Patents

기능성 좌식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586B1
KR102353586B1 KR1020210067623A KR20210067623A KR102353586B1 KR 102353586 B1 KR102353586 B1 KR 102353586B1 KR 1020210067623 A KR1020210067623 A KR 1020210067623A KR 20210067623 A KR20210067623 A KR 20210067623A KR 102353586 B1 KR102353586 B1 KR 10235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support
hole
cush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욱
Original Assignee
이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욱 filed Critical 이명욱
Priority to KR1020210067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586B1/ko
Priority to JP2021139609A priority patent/JP2022182937A/ja
Priority to CN202111012654.2A priority patent/CN115399592A/zh
Priority to US17/462,104 priority patent/US1158308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4Beach chairs ; Chairs for outdoor use, e.g. chairs for relaxation or sun-tanning
    • A47C1/146Beach chairs ; Chairs for outdoor use, e.g. chairs for relaxation or sun-tanning of legless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9Rocking chairs with curved rocking members resting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12Chairs of special material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47C7/0213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detachably secured to seats, e.g. by ties or hook and loop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3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가 장시간 착석하더라도 사용자의 체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고, 온열기능을 제공하고, 쿠션에 형성된 패턴을 통해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켜 쾌적함을 유지해는 기능성 좌식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좌식의자{A Functional Legless Chair}
본 개시(disclosure)는 좌식의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가 착석시 사용자의 바른자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안락함을 제공하는 기능성 좌식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만들어진 가구를 뜻한다. 학생이나 사무직 종사자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중의 상당한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작업을 하는데, 의자에 앉아서 특정 작업을 하다보면 사용자들의 상체가 전방으로 숙여지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 내지 등 부위는 의자의 등받이부와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기존 소개되고 있는 올바른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에 아무리 앉아있다 하더라도 허리나 등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기에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는 경우 허리나 등이 아프고 앉은 자세가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위해 휴식이나 작업시에 사용자의 요추를 편안하고 좋은 자세로 유지시켜주는 자세교정의자(Posture correction chair)들은 많이 소개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전후 좌우 움직임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 특히 작업 시 전방으로 상체가 숙여지는 경우에도 허리 등을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의자들은 많지 않다.
기존의 자세교정을 위한 의자의 유형을 살펴보면, 크게 등받이(Backrest)에 주안점을 둔 의자와 좌석(Seat)에 주안점을 둔 의자와, 그리고 이들의 복합 형태의 의자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최근의 의자들은 등받이 구조에 주안점을 둔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1581호는 요추부를 지지해주는 좌식의자(A legless chair)를 개시하고 있다. 좌식의자란, 일반적으로 좌석(seat)과 등받이(bacl rest)로 구성되며, 상기 좌석이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다리가 없는 의자를 말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착석하여 작업시, 상체가 기울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 및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8473호는 사용자의 상체가 기울어짐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허리 및 등을 지지해주는 좌식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허리 및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기능에 효과적이나, 장시간 착석시 원활한 열배출 및 공기순환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겨울철 사용을 위한 온열기능이 구비되지 않고, 의자에 부착되는 쿠션패드(cushion pad)의 탈부착이 어려운 구조이다.
한편, 사용자의 궁둥이가 닿는 좌석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착석시 좌우로 틸팅(tilting)되어 흔들릴 수 있다. 그러나,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상기 좌식의자의 좌우로의 흔들림을 없애고 고정된 상태로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허리 부위 및 등 부위를 지지해주는 의자의 상부파트가 복수 개로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궁둥이를 지지해주는 의자의 하부파트도 복수 개로 분리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사용자의 착석시 의자가 받는 체압(body pressure)이 여러군데로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허리부분과 힙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각진 리브(angled rib)를 개시하고있다. 그러나, 각진 리브는 상기 의자를 사출성형시 수축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가 장시간 착석시 원활한 열배출 및 공기순환을 통해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온열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착석시 좌석부분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착석시 의자가 받는 체압의 분산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과제고 한다.
본 개시는 쿠션 및 패드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사출성형시 수축현상을 개선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허리(waist)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제1지지부의 전방 및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양 궁둥이(buttocks) 및 양 허벅지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연결지지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지지결합파트; 및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형태의 함몰지지파트; 및 상기 함몰지지파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좌식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함몰지지파트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위로 경사지고,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곡면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는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2상부지지파트 및 제3상부지지파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를 분리하는 제1절개부; 및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를 분리하는 제2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는 상기 함몰지지파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지지파트 및 제2하부지지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하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2하부지지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하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2하부지지파트를 분리하는 전방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함몰지지파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돌출착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착탈부는 상기 체결홀부에 결합시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너비방향을 따른 상기 제2지지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너비방향을 따른 상기 제2지지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 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착탈부는 상기 제1체결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돌출다리; 및 상기 제2체결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돌출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다리 및 상기 제2돌출다리는 각각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에 결합시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는 상기 함몰지지파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힙중심홀; 상기 제2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힙중심홀을 통해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에서 상기 제2지지부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함몰지지파트는 상기 함몰지지파트 중 상기 힙중심홀과 상기 연결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한 영역의 일부가 상기 힙중심홀에서 상기 연결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부로 융기되어 형성된 돌출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돌출함몰부의 하부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연결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부의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곡면홀 및 제2곡면홀; 상기 제1곡면홀과 상기 제2곡면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리브부; 상기 연결지지부의 외측면 중 일측면과 상기 제1곡면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리브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의 외측면 중 타측면과 상기 제2곡면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브부는 상기 제1곡면홀에서 상기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리브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물결(wavy)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곡면홀에서 상기 타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리브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물결(wavy)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는 상기 제1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쿠션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쿠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쿠션부는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의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쿠션;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쿠션;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쿠션부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 중 어느 하나의 궁둥이와 접촉하는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패드; 및 사용자의 양 궁둥이 중 다른 하나의 궁둥이와 접촉하는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는 각각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결합홀, 및 제2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쿠션은 상기 제1관통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쿠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쿠션은 상기 제2관통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쿠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3쿠션은 상기 제3관통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3쿠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는 상기 제1결합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패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제2결합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패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쿠션 후크, 상기 제2쿠션 후크, 상기 제3쿠션 후크, 상기 제1패드 후크 및 상기 제2패드 후크는 각각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상기 제3관통홀,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되어 후크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쿠션부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쿠션 통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쿠션부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하부쿠션 통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제1쿠션, 상기 제2쿠션 및 상기 제3쿠션은 각각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부를 향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상부채널, 제2상부채널 및 제3상부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양 측면 중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힙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양 측면 중 타측면이 일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힙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는 상기 제1힙홀을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패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패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제2힙홀을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패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패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는 상기 제1패드 관통홀 및 상기 제1힙홀과 연통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궁둥이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전방을 향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연통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제2패드 관통홀 및 상기 제2힙홀과 연통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궁둥이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전방을 향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연통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지지파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힙중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힙중심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 사이를 통해 상기 전방절개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드는 상기 제1연통채널의 양 측중 적어도 일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전방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제2연통채널의 양 측중 적어도 일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전방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방채널 및 상기 제2전방채널은 각각 곡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연결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부를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곡면홀 및 제2곡면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함몰지지파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힙중심홀; 상기 힙중심홀보다 전방에서 상기 제2지지부의 양 측면 중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힙홀; 및 상기 힙중심홀보다 전방에서 상기 제2지지부의 양 측면 중 타측면이 일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힙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원활한 열배출 및 공기순환을 통해 사용자가 장시간 착석시에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온열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착석시 좌석부분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착석시 의자가 받는 체압의 분산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쿠션 및 패드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사출성형시 수축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능성 좌식의자의 일례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기능성 좌식의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기능성 좌식의자의 지렛대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의 착석시 기능성 좌식의자에 의한 사용자의 체압분산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기능성 좌식의자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쿠션부의 후크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쿠션부의 탈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기능성 좌식의자에 형성되는 공기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기능성 좌식의자 밑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기능석 좌식의자 밑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돌출착탈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2지지부의 하부를 지나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바닥면과 제2지지부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기능성 좌식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세에서 사용되는 엉덩이(Hips)와 궁둥이(Buttocks)는 의학적용어로는 각각 중둔군(Illium) 또는. 엉덩이는 골반(Pelvis)에 이어져 있는 볼기(Hip region)의 윗부분을 말하고, 궁둥이는 볼기의 아랫부분으로 앉으면 바닥에 닿는 근육이 많은 부분을 일컫는다. 즉, 바지에서 엉덩이의 아래가 닿는 부분이다.
볼기는 뒤쪽 허리 아래, 허벅지위의 양쪽으로 살이 볼록한 부분을 일컫는다. 따라서, 볼기위 윗부분이 엉덩이고, 아랫부분이 궁둥이다.
영문화권에서는 달리 의미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엉덩이(Hips)는 의학적으로 중둔군(Illium)에 대응되는 부위이고, 궁둥이(Buttocks)는 대둔근(Gluteus maximus)으로 칭하는 신체부위를 뜻한다. 또한, 인체의 궁둥이는 좌측 궁둥이와 우측 궁둥이가 있으므로 복수 형으로 사용해야 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어느 하나의 궁둥이, 다른 하나의 궁둥이와 같이 명시적으로 일측의 궁둥이를 표현하지 않는 이상 양측을 모두 뜻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도 1은 종래 기능성 좌식의자(1)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능성 좌식의자(1)는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와 궁둥이(buttocks) 부위가 안치되는 힙지지부(30), 사용자의 착석시 등 부위가 안치되는 허리지지부(10), 상기 힙지지부(30)와 상기 허리지지부(10)를 곡면으로 연결하고, 사용자의 엉덩이(Hips) 부위와 허리 부위의 일부가 안치되는 연결지지부(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허리지지부(10)는 사용자의 착석시 공기순환을 위해 상기 허리지지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허리지지부 에어홀(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부(50)도 사용자의 착석시 공기순환을 위해 상기 연결지지부(5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결지지부 에어홀(73a, 73b)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지지부 제1에어홀(73a) 및 연결지지부 제2에어홀(73b)은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의 높이방향과 나란하고 서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허리지지부 에어홀(7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힙지지부(30)도 사용자의 착석시 공기순환을 위해 상기 힙지지부(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힙지지부 에어홀(75a, 75b, 7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리지지부(10) 및 상기 힙지지부(30)는 사용자의 허리 및 궁둥이 부분이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는 사용자의 편한 착석 및 지지를 위해 쿠션부(91, 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91, 92)는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외형을 따라 절개된 허리쿠션(91) 및 상기 힙지지부(30)의 외형을 따라 절개되는 힙쿠션(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리쿠션(91)는 상기 허리지지부 에어홀(71)이 배치된 곳은 상기 허리쿠션(91)과 상기 허리지지부 에어홀(71)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허리쿠션(91)의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원활한 공기순환을 위함이다.
상기 힙쿠션(92)은 상기 복수 개의 힙지지부 에어홀(75a, 75b, 75c)에 각각 대응되어, 상기 복수 개의 힙지지부 에어채널(65a, 65b, 65c)과 상기 힙쿠션(92)이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힙쿠션(92)의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상기 허리쿠션(91)은 상기 연결지지부 에어홀(73a, 73b) 에서 허리지지부 에어홀(71) 방향으로 상기 연결지지부 에어홀(73a, 73b) 에서 허리지지부 에어홀(71)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홈형태로 구비되는 허리지지부 중앙채널부(6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 에어홀(73a, 73b)에서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허리쿠션(91)이 함몰된 홈 형태로 구비되는 허리지지부 주변채널부(6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힙쿠션(92)은 상기 힙지지부 제1에어홀(75a)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힙지지부 제1에어채널(65a) 및, 상기 힙지지부 제2에어홀(75b) 및 상기 힙지지부 제3에어홀(75c)에서 각각 전방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힙지지부 힙지지부 제2에어채널(65b) 및 힙지지부 제3에어채널(6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리지지부 중앙채널부(61a) 및 상기 허리지지부 주변채널부(61b)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허리쿠션(9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허리쿠션(91)이 함몰되어 형성된 패턴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복수 개의 힙지지부 에어채널(65a, 65b, 65c)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힙쿠션(92)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힙쿠션(92)이 함몰되어 형성된 패턴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허리지지부(10)를 따라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의 상부을 향하는 방향으로 허리지지부 에어홀(71)을 제외하면, 상기 허리지지부(10)는 절개되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허리지지부(10)에 부착되는 허리쿠션(91)도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허리지지부(10)에 부착되므로, 상기 허리지지부 중앙채널부(61a) 및 상기 허리지지부 주변채널부(61b)를 제외하고는 공기를 배출하거나 유입시키는 구조가 없다.
마찬가지로, 상기 힙지지부(30)는 상기 힙지지부(30)를 따라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의 전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힙지지부 에어홀(75a, 75b, 75c)을 제외하면 상기 힙지지부(30)는 절개되어 절개되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힙지지부(30)에 부착되는 힙쿠션(92)도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힙지지부(30)에 부착되므로, 복수 개의 힙지지부 에어채널(65a, 65b, 65c)을 제외하고는 공기를 배출하거나 유입시키는 구조가 없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능성 좌식의자(1)는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으나, 허리쿠션(91), 힙쿠션(92), 허리지지부(10) 및 힙지지부(30)에 공기순환을 위한 통로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시 사용자의 체열로 인한 열을 배출하기 위한 공기순환을 위한 구조로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상기 힙지지부(30) 또는 상기 허리지지부(10)에 별도의 절개부위가 없는 것은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허리지지부(10) 및 상기 힙지지부(3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연결지지부(50)는 상기 연결지지부(50)의 취약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곡면리브(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곡면리브(55)는 별도의 부재가 아닌 상기 연결지지부(50)의 일부분이 각진 주름형태로 접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지지부(50)상에 위치하는 상기 곡면리브(55)를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의 너비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V자 형태의 각진 리브(angled rib)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곡면리브(55)는 상기 힙지지부(30)에서 상기 허리지지부(10)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단면이 각진 곡면리브(55)는 쿠션을 제외하고 일체로 형성되는 기능성 좌식의자(1)의 제조방법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능성 좌식의자(1)는 폴리머(polymer) 재질로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방법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진 곡면리브에 응력이 집중되어 수축변형이 일어나기 쉬으므로, 의도한 디자인대로 만들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허리쿠션(91) 및 상기 힙쿠션(92)은 각각 상기 허리지지부(10) 및 상기 힙지지부(30)에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허리쿠션(91) 및 상기 힙쿠션(92)은 일단 부착 후 다시 분리하기가 어려워. 상기 쿠션(91, 92)을 세척하고 싶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능성 좌식의자(1)는 추운 환경을 고려한 온열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힙지지부(30)는 기능성 좌식의자(1)의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평면형태가 아니라, 아래쪽으로 완만하게 곡면을 이루면서 함몰된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를 사용하는 바닥면의 재질에 따라서는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가 좌우로 고정되지 않고, 흔들릴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기능성 좌식의자(100)는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허리(waist)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10),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제1지지부(110)의 전방 및 상기 제1지지부(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양 궁둥이(buttocks) 및 허벅지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130), 및 상기 제1지지부(110)와와 상기 제2지지부(130)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부(15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에서 사용자가 착석하는 방향이 전방, 제2지지부(130)의 뒤쪽 방향이 후방이고, 양측방향 혹은 좌우방향은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너비방향을 뜻한다.
상기 제1지지부(110), 상기 제2지지부(130) 및 상기 연결지지부(150)는 허리 및 궁둥이를 지지하기 위해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110), 상기 제2지지부(130) 및 상기 연결지지부(150) 각기 다른 파트가 하나로 결합되는 게 아니라, 제조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를 위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재질은 폴리머(polymer)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는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110)는 상기 연결지지부(15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지지결합파트(115), 및 상기 지지결합파트(115)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111, 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파트(115)는 하나의 곡면형태의 부재로 상기 연결지지부(150)와 복수개의 절개부에 의해 갈라진 형태로 분리되는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111, 112, 113)와 구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지지결합파트(115)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리부위, 또는 허리부위 중 하부에 해당하는 부위를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결합파트(115)는 후술할 상부쿠션부(310)의 하부와 일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111, 112, 113)는 상단의 모서리가 곡면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130)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형태의 함몰지지파트(135), 및 상기 함몰지지파트(135)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지지파트(135)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와 접촉하는 곡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함몰지지파트(135)는 양 궁둥이의 볼록한 형태에 따라 함몰된 형태로 구비될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따른 형태를 고려한 것이다.
상기 함몰지지파트(135)는 연결지지부(150)와 연결되므로 상기 지지결합파트(115)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곡면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지지파트(135)는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에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가 바닥에 놓일 때 바닥에 닿아 지지되는 부위일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110)는 상기 지지결합파트(115)에서 위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지지부(150)는 상기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2지지부(130)를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2지지부(130)을 평면으로 고려하고,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일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2지지부(130) 사이는 예각을 형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130)의 전방부가 밑으로 내려가면, 상기 제1지지부(110)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사용자를 향해 회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제1지지부(110) 및 상기 제2지지부(13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111, 112, 113)는 상기 지지결합파트(115)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제1상부지지파트(111), 및 상기 지지결합파트(115)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2상부지지파트(112) 및 제3상부지지파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2)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113)는 서로 지지결합파트(115)에서 갈라진 형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110)는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 및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 및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2)를 분리하는 제1절개부(117), 및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11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113)를 분리하는 제2절개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131, 132)는 상기 함몰지지파트(135)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지지파트(131) 및 제2하부지지파트(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130)는 상기 제1하부지지파트(131) 및 상기 제2하부지지파트(1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하부지지파트(131) 및 상기 제2하부지지파트(132)를 분리하는 전방절개부(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131, 132)도 전단의 모서리가 곡면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해서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하중을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단위면적당 걸리는 사용자의 하중을 체압(body pressure)라고 부를 수 있다.
만약 제1지지부(110)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허리부위를 제1지지부(110)에 기대게 되면, 사용자의 허리부위와 제1지지부(110)의 모든 면이 맞닿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제1지지부(110)의 일부에만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110)에 작용하는 힘이 집중될 것이므로 상기 제1지지부(110)와 상기 연결지지부(150)의 변형 및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하나의 부재로 지지하기 보다는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의 부재가 배열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것이 사용자의 체압분산에 유리할 것이다. 복수 개의 부재는 하나의 부재보다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잘 감싸게 되므로 사용자의 허리부위와 맞닿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2지지부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 부위와 양 허벅지의 일부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111, 112, 113)가 3개로 갈라지는 것과 달리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131, 132)는 2개로 갈라져서 사용자의 한쪽 궁둥이 부위와 같은 방향에 위치한 한쪽 허벅지의 일부 부위를 지지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양 궁둥이 및 허벅지를 통한 사용자의 체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는 상기 제1지지부(110), 상기 제2지지부(130), 또는 상기 연결지지부(15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에어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장시간 착석시, 사용자와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간 밀착으로 인해, 사용자의 체열이 빠져나가지 못해 땀이 차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 엉덩이 또는 궁둥이가 외부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지지부(150)는 상기 연결지지부(15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부(150)를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곡면홀(251) 및 제2곡면홀(2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130)는 상기 함몰지지파트(135)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힙중심홀(233), 상기 힙중심홀(233)보다 전방에서 상기 제2지지부(130)의 양 측면 중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1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힙홀(231), 및 상기 힙중심홀(233)보다 전방에서 상기 제2지지부(130)의 양 측면 중 타측면이 일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1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힙홀(2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공기를 통할 수 있게 하면 에어홀의 개수, 위치 및 크기가 달라져도 무방하다.
한편,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30)는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111, 112, 113) 및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131, 132)에 탈부착이 가능한 쿠션 및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서는 개략적인 위치를 점선으로 제1지지부(110)에 위치하는 상부쿠션부(310) 및 제2지지부(130)에 위치하는 하부쿠션부(320)를 도시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110)는 상기 지지결합파트(115)에서 위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지지부(150)는 상기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2지지부(130)를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함몰지지파트(135)가 상기 바닥면(G)에 닿아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지지하고 있다. 바닥면은 쿠션을 포함하는 의자나 소파와 같이 부드러운(soft) 바닥면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딱딱한(hard) 바닥면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착석을 하게되면, 상기 제2지지부(130)의 전방부(RF)는 T에서 T'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지지부(150)도 A위치에서 A'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결국, 상기 연결지지부(150)를 통해 상기 제1지지부(110)의 상부도 W 에서 W'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는 함몰지지파트(135) 및 연결지지부(150)의 일부를 기준점으로 회전운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2지지부(130)을 평면으로 고려하고,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일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2지지부(130) 사이는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130)의 전방부가 밑으로 내려가면, 상기 제1지지부(110)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사용자를 향해 기울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제1지지부(110) 및 상기 제2지지부(13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는 에어홀부(200)외에도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에 구비되는 쿠션부(300)와의 결합을 위해서다. 즉,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2)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113)는 각각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홀(191), 제2관통홀(192) 및 제3관통홀(19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130)는 상기 제2지지부(1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결합홀(195) 및 제2결합홀(19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191), 상기 제2관통홀(192), 상기 제3관통홀(193), 상기 제1결합홀(195) 및 상기 제2결합홀(196)의 각각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도 4(b)는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2개의 상부제1관통홀(1911a, 1911b)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결합파트(115) 중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의 아래에 위치한 부분에 2개의 상부제1관통홀(1911a, 1911b)과 함께 제1쿠션(311, 도 7참조)을 결합시키기 위한 2개의 하부제1관통홀(1912a, 1912b)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b)는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제2관통홀(1921) 및 상기 지지결합파트(115) 중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2)의 아래에 위치한 부분에 하부제2관통홀(1922)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제2쿠션(312, 도 7참조)를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2)에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4(b)는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113)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제3관통홀(1931) 및 상기 지지결합파트(115) 중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113)의 아래에 위치한 부분에 하부제3관통홀(1932)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제3쿠션(313, 도 7참조)를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2)에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이는 일례일 뿐, 관통홀의 위치, 개수 및 크기는 얼마든지 변경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하부제1관통홀(1912a, 1912b), 상기 하부제2관통홀(1922), 및 상기 하부제3관통홀(1932)도 상기 지지결합파트(115)가 아닌 상기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111, 112, 112)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부(130)는 상기 제2지지부(1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결합홀(195) 및 제2결합홀(19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홀(195)은 제1패드(321, 도 7참조)를 상기 제1하부지지파트 및 상기 함몰지지파트(135)의 일부에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홀(196)은 제2패드(322, 도 7참조)를 상기 제2하부지지파트 및 상기 함몰지지파트(135)의 다른 일부에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결합홀(195)의 일례로, 도 4(a)는 3개의 제1결합홀(1951,1952,1953)를 상기 함몰지지파트(135)의 좌측 및 상기 제1하부지지파트(131)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홀(196)의 일례로, 도 4(a)는 3개의 제2결합홀(1961,1962,1963)를 상기 함몰지지파트(135) 우측 및 상기 제2하부지지파트(132)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연결지지부(150)에 위치하는 중심리브부(155)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5(b)는 연결지지부(150)에 위치하는 제2리브부(152)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지지부(150)는 상기 연결지지부(15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부(150)의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곡면홀(251) 및 제2곡면홀(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곡면홀(251)과 상기 제2곡면홀(252)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리브부(155), 상기 연결지지부(150)의 외측면 중 일측면과 상기 제1곡면홀(25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2지지부(130)를 연결하는 제1리브부(151), 및 상기 연결지지부(150)의 외측면 중 타측면과 상기 제2곡면홀(25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2지지부(130)를 연결하는 제2리브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부(151)와 상기 제2리브부(152)의 형상은 대칭일 수 있다.
도 2(a)는 중심리브부(155)의 단면을 도 5(a)에 나타내기 위한 C-C' 선과 제2리브부(152)의 단면을 도 5(b)에 도시하기 위한 D-D'선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중심리브부(155)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곡면홀(251)과 상기 제2곡면홀(252)의 사이에서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함물부위가 곡률반경이 매우 큰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리브부(151) 및 상기 제2리브부(152)는 상기 연결지지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1리브부는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2)에서 상기 함몰지지파트(135)를 향하는 방향으로 골(valley)이 파인 주름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종래 기능성 좌식의자(1)는 상기 제1리브부(151) 및 상기 제2리브부(152)와 대응되는 부위에 각진(angled) 형태의 주름으로 구비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시, 각진 주름에 응력이 집중하여 실제 예상되는 제품의 크기보다 수축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기능성 좌식의자(100)는 각진 주름이 아닌, 물결(wavy)형상의 주름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정형파(sinusoidal wave)가 반복되는 형상이거나, 골진(corrugated) 형태일 수 있다. 어떠한 형태이든 예리한 절곡없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진 주름의 형태이면 무방하다.
즉, 상기 제1리브부(151)는 상기 제1곡면홀(251)에서 상기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리브부(151)의 적어도 일부분이 물결(wavy)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곡면홀(252)에서 상기 타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리브부(152)의 적어도 일부분이 물결(wavy)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제1관통홀(191), 상기 제2관통홀(192), 상기 제3관통홀(193), 상기 제1결합홀(195) 및 상기 제2결합홀(196)에 결합하는 후크결합(또는 스냅핏(snap-fit) 결합)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후방에서 제2상부지지파트 후면(112b)을 바라본 모습이고, 도 6(b)는 전방에서 제2상부지지파트 전면(112b)을 바라본 모습이다.
쿠션부(300)는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쿠션부(300)와 상기 제1지지부(110) 및 상기 제2지지부(130)는 서로 후크 앤 루프 결합(Hook-and-loop fastener, 일명 벨크로(Velcro))을 이용해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쿠션부(300)의 크기 및 오랜 시간 받을 수 있는 사용자의 체압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스냅핏(Snap-fit) 결합 또는 후크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쿠션부(300)는 각 위치에서 상기 제1관통홀(191), 상기 제2관통홀(192), 상기 제3관통홀(193), 상기 제1결합홀(195) 및 상기 제2결합홀(196)에 결합가능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a) 및 도 6(b)는 제2상부지지파트(112)의 제2관통홀(192)에 삽입된 상부제1후크(3411)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에 탈부착가능한 쿠션부(3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쿠션부(300)는 상기 제1지지부(110)에 탈부착가능한 상부쿠션부(310) 및 상기 제2지지부(130)에 탈부착가능한 하부쿠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는 상기 제1지지부(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쿠션부(310), 및 상기 제2지지부(1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쿠션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300)는 사용자의 착석시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해, 쿠션부(300)의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를 넣어 탄력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쿠션부(310)는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의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쿠션(311),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쿠션(312),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113)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쿠션(3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쿠션부(310)는 상기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111, 112, 113)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쿠션(311) 및 상기 제2쿠션(312) 사이는 상기 제1절개부(117)가 위치한 곳이고, 상기 제1쿠션(311) 및 상기 제3쿠션(313)사이는 상기 제2절개부(119)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쿠션부(320)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 중 어느 하나의 궁둥이와 접촉하는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패드(321), 및 사용자의 양 궁둥이 중 다른 하나의 궁둥이와 접촉하는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패드(3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쿠션부(320)는 상기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131, 132)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패드(321)는 상기 제1힙홀(231)을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패드(32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패드 관통홀(32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322)는 상기 제2힙홀(232)을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패드(32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패드 관통홀(322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힙홀(231)과 상기 제1패드 관통홀(3211)은 연통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힙홀(231)과 상기 제2패드 관통홀(3221)도 연통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드(321) 및 상긴 제2패드(322)는 제2지지부의 형상을 따라, 둥근 형태일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쿠션(311)은 상기 제1관통홀(191)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쿠션 후크(3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쿠션(312)은 상기 제2관통홀(192)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쿠션 후크(3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쿠션(313)은 상기 제3관통홀(193)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3쿠션 후크(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쿠션 후크(341), 상기 제2쿠션 후크(342) 및 상기 제3쿠션 후크(343)는 각각 상기 제1쿠션(311)의 내부, 상기 제2쿠션(312)의 내부 및 상기 제3쿠션(31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쿠션 후크(341)는 상기 제1쿠션(311)에서 사용자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제1쿠션 후크(341)의 머리가 노출되고, 상기 제1쿠션 후크(341)의 후크부분이 상기 제1관통홀(191)을 마주보도록 상기 제1쿠션(311)을 관통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쿠션 후크(341)의 후크부분이 상기 제1관통홀(191)에 결합될 것이다.
이는 상기 제1쿠션(311) 중 사용자와 접촉하는 면에 함몰부를 형성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상기 제1쿠션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스펀지나 솜이 의도치 않게 이동하여 한쪽으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쿠션 후크(342) 및 상기 제3쿠션 후크(343)도 각각 상기 제2쿠션(312) 및 상기 제3쿠션(313)에 대해서 상기 제1쿠현 후크(341)와 마찬가지 형태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2관통홀(192) 및 상기 제3관통홀(193)에 결합될 것이다.
일례로,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쿠션 후크(341)가 상기 제1쿠션(3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2개씩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쿠션(311) 중 상부에 위치한 후크는 후크의 머리가 상기 제1쿠션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전방에서 바라볼 때,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를 점선으로 위치만 개략적으로 표시하였다. 반면 상기 제1쿠션(311)의 하부에 위치한 후크는 후크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후크의 위치, 후크의 크기, 후크의 개수는 일례이므로 후크의 위치, 크기 및 개수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도 7(a)는 상기 제2쿠션(312)은 상기 제2쿠션 후크(3421, 3422)를 상부와 하부에 각각 1개씩 포함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3쿠션(313)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제1쿠션 후크(341), 상기 제2쿠션 후크(342), 및 상기 제3쿠션 후크(343)는 각각 상기 제1관통홀(191), 상기 제2관통홀(192), 및 상기 제3관통홀(193)에 삽입되어 후크결합할 수 있다.
도 7(b)는 하부제2관통홀(1922)을 삽입되었던 하부제2후크(3422)를 분리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간단히 각 쿠션에 구비된 후크를 분리함으로써, 상부쿠션부(310)를 분리한 후 다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 낡은 쿠션을 새로운 쿠션으로 대체할 수 있다.
결합시에도 각 쿠션에 구비된 후크를 각 후크를 마주보는 관통홀에 삽입함으로써 다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하부쿠션부(320)도 마찬가지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패드(321)는 상기 제1결합홀(195)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패드 후크(351)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322)는 상기 제2결합홀(196)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패드 후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패드 후크(351) 및 상기 제2패드 후크(352)는 각각 상기 제1결합홀(195) 및 상기 제2결합홀(196)에 삽입되어 후크결합할 수 있다.
도 8(b)는 상기 제1패드 후크(351)가 3개의 후크(1951, 1952, 1953)로 구비되고, 상기 제2패드 후크(352)도 3개의 후크(1961, 1962, 1963)로 구비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별도의 후크를 이용하거나 쿠션부에 장착된 후크들을 활용하면, 관통홀(191, 192, 193) 및 결합홀(195, 196)에 다른 물건을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사용자의 장시간 착석에도 쾌적함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에 형성될 수 있는 통풍부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착석시 에어홀부(200)를 통해서도 공기가 유입되고 유출될수 있지만, 상기 쿠션부(300)는 사용자와 접촉하는 면에 일종의 공기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쿠션부(310)는 상기 상부쿠션부(310)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쿠션 통풍부(36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쿠션부(320)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하부쿠션 통풍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쿠션 통풍부(360) 및 상기 하부쿠션 통풍부(380)는 길게 연장되어 개구된 채널(channel)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쿠션(311), 상기 제2쿠션(312) 및 상기 제3쿠션(313)은 각각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부를 향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상부채널(361), 제2상부채널(362) 및 제3상부채널(36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쿠션(311) 및 상기 제2쿠션(312)의 사이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1절개부(117)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쿠션(311) 및 상기 제3쿠션(313)의 사이로 공기는 상기 제2절개부(119)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제1상부채널(361)은 상기 제1절개부(117) 및 상기 제2절개부(119)를 향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쿠션의 양측을 향해 각각 곡선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채널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면, 채널의 길이, 위치 및 개수는 달라져도 무방하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패드(321)는 상기 제1패드 관통홀(3211) 및 상기 제1힙홀(231)과 연통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궁둥이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전방을 향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연통채널(3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패드(322)는 상기 제2패드 관통홀(3221) 및 상기 제2힙홀(232)과 연통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궁둥이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전방을 향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연통채널(38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드(321)는 상기 제1연통채널(381)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전방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322)는 상기 제2연통채널(385)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전방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는 각 패드가 한 개의 연통채널과 2개의 전방채널을 구비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제1패드(321)는 상기 제1연통채널(381)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2개의 제1전방채널(3821, 38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패드(322)는 상기 제2연통채널(382)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2개의 제2전방채널(3861, 38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채널(3211, 3212), 및 상기 제2전방채널(3861, 3862)은 곡선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패드(321) 및 상기 제2패드(322)는 상기 제2지지부(130)에 부착시 힙중심홀(233)과 중첩이 방지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힙중심홀(233)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1패드(321) 및 상기 제2패드(322) 사이를 통해 상기 전방절개부(137)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드(321) 및 상기 제2패드(322) 사이의 공간은 사용자가 착석을 하더라도 비워져 있는 공간이므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는 상기 제2지지부(130)의 후면에서 상기 제2지지부(130)를 지지하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1391) 및 제2돌출부(13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는 곡면으로 형성된 함몰지지파트(135)에 의해 사용자의 착석시 좌우로 흔들릴 수 있다. 소파나 쿠션의자와 같은 부드러운 바닥면에서는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사용하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형상에 따라 바닥면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좌우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딱딱한 바닥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따라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흔들림이 크게 느껴질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391) 및 상기 제2돌출부(1392)는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흔들림을 줄이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돌출부(1391) 및 상기 제2돌출부(1392)는 각각 상기 힙중심홀(233)에서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돌출부(1391) 및 상기 제2돌출부(1392)는 상기 제2지지부(13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수 있다. 만약 상기 제2지지부(130)가 우측방향으로 힘을 받아 회전하려고 한다면 상기 제2돌출부(1392)가 바닥면에 닿아있으므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2지지부(130)가 좌측방향으로 힘을 받아 회전하려고 한다면, 상기 제1돌출부(1391)가 바닥면에 닿아있으므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1돌출부(1391) 및 상기 제2돌출부(1392)는 곡면 형태의 함몰지지파트(135)를 바닥면에서 고정시키는 지지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도 9(b)는 상기 제1돌출부(1391)를 지나는 CS1-CS2로 표기된 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1돌출부(1391)는 제2지지부의 후면(130b)에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도 9는 좌우로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391, 1392), 일종의 다리, 를 포함하는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돌출부(1391) 및 상기 제2돌출부(1392)는 제2지지부(130)에서 돌출된 형태로 상기 제2지지부(130)에 고정된 형태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필요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사용자의 코어근육운동(Core muscle training)에 효과적일 수 있다. 코어근육이란, 인체의 세로축인 척추와 가로욱인 복부, 허리, 골반부, 횡격만극과 관련된 골격 및 근육을 뜻한다. 이러한 코어근육의 강화는 신체의 균형 및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어느정도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상기 코어근육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반면,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사용자는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 10(a) 내지 도 10(d)는 사용자가 탈부착할 수 있는 다리인, 돌출착탈부(138)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9는 다리 역할을 하는 돌출부(1391, 1392)가 제2지지부(130)과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반면, 도 10은 다리 역할을 하는 돌출착탈부(138)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130)에 탈부착가능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부(130)는 상기 함몰지지파트(135)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홀부(198) 및 상기 체결홀부(198)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돌출착탈부(13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착탈부(138)는 상기 체결홀부(198)에 결합시 상기 제2지지부(130)의 후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착탈부(138)가 상기 체결홀부(198)에 결합시, 전술할 돌출부(1391, 1392)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부(198)은 상기 돌출착탈부(138)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2지지부(130), 구체적으로는 함몰지지파트(13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착탈부(138)와 상기 체결홀부(198)은 후크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다른 결합방법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출다리(1381) 및 상기 제2돌출다리(1382)는 각각 상기 제1체결홀(1981) 및 상기 제2체결홀(1982)에 후크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부(198)는 상기 제2지지부(130)의 너비방향을 따른 상기 제2지지부(130)의 중심에서 상기 제2지지부(130)의 일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1981) 및 상기 제2지지부(130)의 너비방향을 따른 상기 제2지지부(130)의 중심에서 상기 제2지지부(130)의 타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19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30)는 상기 힙중심홀(233)에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제1체결홀(1981) 및 제2체결홀(198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착탈부(138)는 상기 제1체결홀(198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돌출다리(1381), 및 상기 제2체결홀(198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돌출다리(138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다리(1381) 및 상기 제2돌출다리(1382)는 각각 상기 제1체결홀(1981) 및 상기 제2체결홀(1982)에 결합시 상기 제2지지부(130)의 후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다리(1381) 및 상기 제2돌출다리(1382)를 각각 상기 제1체결홀(1981) 및 상기 제2체결홀(1982)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1돌출다리(1381) 및 상기 제2돌출다리(1382)는 각각 상기 제1체결홀(1981) 및 상기 제2체결홀(198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 일정한 형태로 상기 돌출착탈부(138)가 상기 체결홀부(198)에 결합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2지지부(130)는 상기 함몰지지파트(135)에서 상기 체결홀부(198)를 포함하는 일정한 영역이 상기 돌출착탈부(138)가 결합되는 면의 크기에 맞추어 함몰된 형태를 갖는 다리착탈부(19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c)는 상기 제2돌출다리(1382) 중 상기 제2체결홀(1982)을 마주보는 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함몰지지파트(135)가 함몰된 제2착탈부(1972)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착탈부(1972)는 함몰되어 상기 제2돌출다리가 결합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2함몰면(1972a) 및 상기 제2함몰면(1972a)의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함몰면(1972a)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130b)를 연결하는 제2함몰측면(1972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함몰면(1972a)상에는 상기 제2체결홀(1982)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함몰된 형태의 제2착탈부(1972)는 상기 제2지지부의 전면, 즉 사용자가 착석하는 쪽의 면이 함몰된 형태에 대응되어 볼록하게 튀어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130b)의 일부가 두께방향으로 깍여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함몰면(1972a)에 위치한 상기 제2체결홀(1982)에 상기 제2돌출다리(1382)가 후크결합시, 상기 제2함몰측면(1972b)에 의해 상기 제2돌출다리(138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2돌출다리(1382)를 상기 제2체결홀(1982)에 결합시, 상기 제2함몰측면(1972b)에 의해 결합을 가이드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제2돌출다리(1382)를 상기 제2체결홀(198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출다리(1382) 및 상기 제2착탈부(1972)의 형태는 위에서 바라보아 구형과 같은 대칭적인 형상이 아니라,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돌출다리(1381) 및 상기 제2돌출다리(1382)는 각각 좌우길이보다 전후길이가 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돌출다리(1382)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제2돌출다리(1382)를 결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2착탈부(197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착탈부(1971)도 상기 제2착탈부(1972)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함몰면 및 제1함몰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함몰면에는 상기 제1체결홀(1981)이 위치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돌출다리(1381)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1체결홀(미도시)을 마주보는 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함몰지지파트(135)가 함몰된 제1착탈부(미도시)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0(b)는 상기 제1돌출다리(1381)가 상기 제1체결홀(1981)에 후크결합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돌출다리(1381)는 상기 제1체결홀(1981)을 마주보는 면에 돌출후크(1381a)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후크(1381a)를 통해 상기 제1돌출다리(1381)는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130b)에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진 않으나, 상기 제2돌출다리(1382)도 상기 제1돌출다리(1381)와 마찬가지로 돌출후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130b)에 결합할 것이다.
도 10(d)는 상기 제1돌출다리(1381)를 상기 제1체결홀(1981)을 통해 상기 제2지지부(130)에 결합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제2돌출다리(1382)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는 상기 제1돌출다리(1381) 및 상기 제2돌출다리(1382)가 상기 제2지지부(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돌출다리에 구비되는 돌출후크에 힘을 가해 상기 각각의 돌출후크를 제1체결홀(1981) 및 상기 제2체결홀(1982)을 통해 빼냄으로써, 상기 제1돌출다리(1381) 및 상기 제2돌출다리(1382)를 상기 제2지지부(1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11(a)는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91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를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착석시 궁둥이 부위를 따뜻하게 해줄 수 있는 온열기능이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는 상기 제2지지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910)는 상기 제2지지부(130)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지지부(110)도 가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910)는 열선을 이용할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가 얇은 두께의 곡판(curved sheet)형태로 일체로 형성됨을 고러하면, 바람지하게 상기 가열부(910)는 필름(film)형태로 구비되는 필름히터일 수 있다. 필름히터는 유연하게 변형가능하므로, 상기 제2지지부의 형상에 맞게 변형되어 상기 제2지지부의 상면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1(a)에서는 상기 필름히터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필름히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전기공급이 필수적이다. 배터리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가열부(910)의 사용시간을 고려하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에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는 상기 가열부(9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9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915)은 상기 힙중심홀(233)을 통해 상기 제2지지부(130)의 후면에서 상기 제2지지부(13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열부(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힙중심홀(233)을 통과하는 케이블(915)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상기 케이블(915)이 단선(open)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능성 좌식의자(100)의 후방에서 상기 힙중심홀(233)까지 상기 케이블(915)이 안전하게 지날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함몰지지파트 중 상기 힙중심홀의 후방에 위치한 영역이 상기 힙중심홀에서 상기 연결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부로 융기되어 형성된 돌출함몰부(233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915)은 상기 돌출함몰부의 하부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힙중심홀(233)로 삽입되어 상기 가열부(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b)에서 CR1-CR2에 의해 절단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였다. 상기 힙중심홀(233)과 상기 연결지지부(150)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기 힙중심홀의 후방에 위치한 영역의 하부에 상기 케이블(915)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915)이 상기 함몰지지파트(135)에 의해 반복적으로 눌리게 되면 상기 케이블(915)이 단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지지파트(135)는 상기 함몰지지파트(135) 중 상기 힙중심홀(233)과 상기 연결지지부(150)의 사이에 위치한 영역의 일부가 상기 힙중심홀(233)에서 상기 연결지지부(1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부로 융기되어 형성된 돌출함몰부(23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915)은 상기 돌출함몰부(2331)의 하부에 형성된 이격공간(233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열부(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b)는 상기 돌출함몰부(2331)에 의해 상기 함몰지지파트(135)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이격공간(2332)에 상기 케이블(915)이 지나가는 것을 도시한 일례이다. 상기 함몰지지파트(135)가 사용자의 하중을 받더라도, 상기 이격공간(2332)이 확보되므로 상기 케이블(915)의 단락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기능성 좌식의자(10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체압분산을 위해 상부지지파트(11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지지파트(1110)가 서로 분리된 제1상부지지파트(1111) 및 제2상부지지파트(1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1) 및 제2상부지지파트(1112) 사이에 하나의 절개부만을 포함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반면, 하부지지파트(115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양 궁둥이 및 양 허벅지를 각각 지지해야 하므로 2개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b) 및 도 12(c)를 참조하면, 상부쿠션부(1310)도 2개의 쿠션이 각각 제1상부지지파트(1111) 및 제2상부지지파트(1112)에 탈부착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1)에는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1111)에 쿠션을 탈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12)에는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1112)에 쿠션을 탈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자 110: 제1지지부
115: 지지결합파트 111: 제1상부지지파트
112: 제2상부지지파트 113: 제3상부지지파트
117: 제1절개부 119: 제2절개부
130: 제2지지부 131: 제1하부지지파트
132: 제2하부지지자트 135: 함몰지지파트
139: 돌출부 150: 연결지지부
151: 제1리브부 152: 제2리브부
155: 중심리브부 230: 힙홀부
300: 쿠션부 310: 상부쿠션부
320: 하부쿠션부 900: 가열부
915: 케이블

Claims (21)

  1.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허리(waist)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제1지지부의 전방 및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양 궁둥이(buttocks) 및 양 허벅지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연결지지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지지결합파트; 및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형태의 함몰지지파트; 및
    상기 함몰지지파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연결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부의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곡면홀 및 제2곡면홀;
    상기 제1곡면홀과 상기 제2곡면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리브부;
    상기 연결지지부의 외측면 중 일측면과 상기 제1곡면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리브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의 외측면 중 타측면과 상기 제2곡면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브부는
    상기 제1곡면홀에서 상기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리브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물결(wavy)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곡면홀에서 상기 타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리브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물결(wavy)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함몰지지파트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위로 경사지고,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곡면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는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2상부지지파트 및 제3상부지지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를 분리하는 제1절개부; 및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를 분리하는 제2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는
    상기 함몰지지파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지지파트 및 제2하부지지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하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2하부지지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하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2하부지지파트를 분리하는 전방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함몰지지파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돌출착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착탈부는
    상기 체결홀부에 결합시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너비방향을 따른 상기 제2지지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너비방향을 따른 상기 제2지지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착탈부는
    상기 제1체결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돌출다리; 및
    상기 제2체결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돌출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다리 및 상기 제2돌출다리는 각각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에 결합시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지지파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힙중심홀;
    상기 제2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힙중심홀을 통해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에서 상기 제2지지부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지지파트는
    상기 힙중심홀과 상기 연결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한 영역의 일부가 상기 힙중심홀에서 상기 연결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부로 융기되어 형성된 돌출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돌출함몰부의 하부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쿠션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쿠션부는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의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쿠션;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쿠션;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쿠션부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 중 어느 하나의 궁둥이와 접촉하는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패드; 및
    사용자의 양 궁둥이 중 다른 하나의 궁둥이와 접촉하는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는
    각각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결합홀, 및 제2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쿠션은
    상기 제1관통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쿠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쿠션은
    상기 제2관통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쿠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3쿠션은
    상기 제3관통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3쿠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는
    상기 제1결합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패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제2결합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패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쿠션 후크, 상기 제2쿠션 후크, 상기 제3쿠션 후크, 상기 제1패드 후크 및 상기 제2패드 후크는 각각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상기 제3관통홀,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되어 후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쿠션부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쿠션 통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쿠션부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하부쿠션 통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 상기 제2쿠션 및 상기 제3쿠션은 각각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부를 향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상부채널, 제2상부채널 및 제3상부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양 측면 중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힙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양 측면 중 타측면이 일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힙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는
    상기 제1힙홀을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패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패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제2힙홀을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패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패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는
    상기 제1패드 관통홀 및 상기 제1힙홀과 연통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궁둥이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전방을 향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연통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제2패드 관통홀 및 상기 제2힙홀과 연통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궁둥이 부위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전방을 향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연통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지지파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힙중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힙중심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 사이를 통해 상기 전방절개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상기 제1연통채널의 양 측중 적어도 일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전방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제2연통채널의 양 측중 적어도 일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홈(groove)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전방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채널 및 상기 제2전방채널은 각각
    곡선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연결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부를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곡면홀 및 제2곡면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함몰지지파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힙중심홀;
    상기 힙중심홀보다 전방에서 상기 제2지지부의 양 측면 중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힙홀; 및
    상기 힙중심홀보다 전방에서 상기 제2지지부의 양 측면 중 타측면이 일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힙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21.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허리(waist)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제1지지부의 전방 및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양 궁둥이(buttocks) 및 양 허벅지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연결지지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지지결합파트; 및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사용자의 양 궁둥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형태의 함몰지지파트; 및
    상기 함몰지지파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부지지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상부지지파트는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지지결합파트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2상부지지파트 및 제3상부지지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2상부지지파트를 분리하는 제1절개부; 및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상부지지파트 및 상기 제3상부지지파트를 분리하는 제2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길이가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
KR1020210067623A 2021-05-26 2021-05-26 기능성 좌식의자 KR10235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23A KR102353586B1 (ko) 2021-05-26 2021-05-26 기능성 좌식의자
JP2021139609A JP2022182937A (ja) 2021-05-26 2021-08-30 機能性座椅子
CN202111012654.2A CN115399592A (zh) 2021-05-26 2021-08-31 功能性座椅
US17/462,104 US11583086B2 (en) 2021-05-26 2021-08-31 Functional legless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23A KR102353586B1 (ko) 2021-05-26 2021-05-26 기능성 좌식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586B1 true KR102353586B1 (ko) 2022-01-19

Family

ID=8005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623A KR102353586B1 (ko) 2021-05-26 2021-05-26 기능성 좌식의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83086B2 (ko)
JP (1) JP2022182937A (ko)
KR (1) KR102353586B1 (ko)
CN (1) CN1153995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406B1 (ko) 2023-02-20 2023-12-27 주식회사 광덕티엔디 통기성이 향상된 파손방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
KR20240084202A (ko) 2022-12-06 2024-06-13 김계한 신전 자세의 유도 기능을 가진 의자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1657A1 (en) * 2018-03-30 2019-10-03 Backjoy Orthotics, Llc Posture seat
KR102163201B1 (ko) *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USD996863S1 (en) * 2022-09-23 2023-08-29 Loctek Ergonomic Technology Corp. Cush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032Y1 (ko) * 2000-06-19 2000-12-15 이충현 절첩식 테이블의 좌판과 쿠션시트의 결합구조
KR20160091930A (ko) * 2013-11-29 2016-08-03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자세 유지구
KR101750887B1 (ko) * 2016-11-29 2017-06-26 서준석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05575B (de) * 1955-07-29 1961-04-27 Mauser Kg Sitzmoebel mit auf dem Traggestell befestigter Sitzwanne
US3138404A (en) * 1963-07-29 1964-06-23 Relaxo Bak Inc Auxiliary body support for vehicle seats
US3740096A (en) * 1971-05-04 1973-06-19 Bridg A Back Inc Orthopedic seat
US3749442A (en) * 1971-08-30 1973-07-31 J Berg Seat having relatively adjustable sections
US4088367A (en) * 1977-06-20 1978-05-09 Rohr Industries, Inc. Vehicle seat assembly
ATE7451T1 (de) * 1980-01-21 1984-06-15 Bernard Curtis Watkin Sitzschalen.
WO1984004221A1 (en) * 1983-04-15 1984-10-25 Mekania Verken Ab Heating pad preferably for car seats
US4828325A (en) * 1986-05-16 1989-05-09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custom fitted composite foamed cushion, a preform kit and the resultant product of the process
USD307221S (en) * 1987-03-02 1990-04-17 Mudge William E Orthopedic chair seat
US5887951A (en) * 1995-09-15 1999-03-30 Willingham; W. Preston Orthopedic seating orthosis for correcting posture and restricting gluteal spreading
US6550858B1 (en) * 2000-09-21 2003-04-22 Lear Corporation Extricable seat assembly
AUPR851701A0 (en) * 2001-10-26 2001-11-29 Sorrenti, Marcus Seating apparatus
US7607738B2 (en) * 2005-09-15 2009-10-27 Matthew Wayne Gregory Contoured seat and method
US7438356B2 (en) * 2005-12-29 2008-10-21 Tranquilease, Llc Portable heated stadium seat and method
US8690241B2 (en) * 2008-12-26 2014-04-08 Taiwan Paiho Limited Fastening assembly and cushion having fastening assembly
US10034548B2 (en) * 2009-01-23 2018-07-31 Backjoy Orthotics,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JP5502901B2 (ja) * 2009-01-23 2014-05-28 バックジョイ・オーソティック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動的に姿勢を矯正するための方法と器具
US20120068507A1 (en) * 2010-09-16 2012-03-22 Spongex LLC Elevation seats, including elevation seats employing suction member(s) for surface securing the elevation seats
KR20120061581A (ko) 2010-12-03 2012-06-13 최광영 요추부 지지 의자
US9049936B2 (en) * 2011-01-14 2015-06-09 Currier Plastics Integral coccyx and lumbar support system
US8485596B1 (en) * 2011-01-20 2013-07-16 Kathy J. Martin Stadium blanket with seat
DE202011100998U1 (de) * 2011-05-20 2011-08-03 Ass-Einrichtungssysteme Gmbh Sitzschale für Sitzmöbel
US9480339B2 (en) * 2012-12-31 2016-11-01 Sava Cvek Seat with pelvic support
AU353216S (en) * 2013-06-18 2014-01-14 Starway Int Home Living Co Chair or bosun chair
US9795218B2 (en) * 2013-12-04 2017-10-24 P.A.S. Corporation Cushion for chair and chair
KR101598473B1 (ko) 2014-05-23 2016-02-29 이동균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WO2018173100A1 (ja) * 2017-03-21 2018-09-27 有限会社Opti 座椅子
WO2019191657A1 (en) * 2018-03-30 2019-10-03 Backjoy Orthotics, Llc Posture seat
USD870481S1 (en) * 2018-07-31 2019-12-24 Ablue Co., Ltd. C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032Y1 (ko) * 2000-06-19 2000-12-15 이충현 절첩식 테이블의 좌판과 쿠션시트의 결합구조
KR20160091930A (ko) * 2013-11-29 2016-08-03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자세 유지구
KR101750887B1 (ko) * 2016-11-29 2017-06-26 서준석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4202A (ko) 2022-12-06 2024-06-13 김계한 신전 자세의 유도 기능을 가진 의자 어셈블리
KR102617406B1 (ko) 2023-02-20 2023-12-27 주식회사 광덕티엔디 통기성이 향상된 파손방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78209A1 (en) 2022-12-01
US11583086B2 (en) 2023-02-21
CN115399592A (zh) 2022-11-29
JP2022182937A (ja)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586B1 (ko) 기능성 좌식의자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CN105935213B (zh) 用于任务取向型座位的座位组件
JP2020168583A (ja) 姿勢保持具
KR101598473B1 (ko)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20150009835A (ko)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101815183B1 (ko) 디스크 방지용 방석
KR20180125275A (ko) 인체공학적 구조의 착석용 시트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US20210085084A1 (en) Chair seat board and chair including same
KR102588834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KR100826960B1 (ko) 요람형 좌대
KR102323964B1 (ko) 자세 교정 의자
KR200293961Y1 (ko) 체중 분산형 방석
KR102482778B1 (ko) 의자용 등받이 쿠션
KR200351308Y1 (ko) 척추교정용 방석
KR102617406B1 (ko) 통기성이 향상된 파손방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
CN218922149U (zh) 一种可调节腰部靠垫
KR200207201Y1 (ko) 접철식 명상용 방석
KR20240096030A (ko) 다용도 패드
KR100772166B1 (ko) 의자용 보조등받침
KR20240031483A (ko) 시트 구조물
KR100785993B1 (ko) 보조등받이
KR101330022B1 (ko)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