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022B1 -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022B1
KR101330022B1 KR1020110119932A KR20110119932A KR101330022B1 KR 101330022 B1 KR101330022 B1 KR 101330022B1 KR 1020110119932 A KR1020110119932 A KR 1020110119932A KR 20110119932 A KR20110119932 A KR 20110119932A KR 101330022 B1 KR101330022 B1 KR 101330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waist
pillar
chai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523A (ko
Inventor
신호윤
이수정
안상빈
Original Assignee
신호윤
안상빈
이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윤, 안상빈, 이수정 filed Critical 신호윤
Priority to KR102011011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0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는 시트; 상기 시트의 뒤쪽에 결합되고 위쪽으로 연장 형성된 등받이 기둥; 상기 등받이 기둥의 상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앞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여 측면 형상이 C자형인 등 받침부; 상기 등받이 기둥의 하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윗부분은 가운데가 뒤쪽으로 돌출되고, 아랫부분은 가운데가 앞쪽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측면 형상이 역S자인 허리 받침부; 및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를 상기 등받이 기둥에 결합하는 탄성 재질의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등받이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는, 상기 등 받침부의 앞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허리 받침부의 앞쪽으로 돌출된 부분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등 받침부의 돌출부분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등 받침부의 하부가 뒤쪽으로 이동하고, 뒤쪽으로 이동한 상기 등 받침부의 하부는 상기 허리 받침부의 상부에 힘을 가하며, 상부에 힘을 받은 상기 허리 받침부의 하부가 앞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가 휴식을 위하여 등받이를 눕혀서 사용하는 경우에 허리를 더욱 강하게 받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펴고 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CHAIR HAVING A WAIST SUPPORT AND A BACK SUPPOR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모두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이나 사무직 근무자를 비롯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일상생활 중 상당한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보내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는 상체의 하중이 척추의 요추에 집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게 되면 척추의 요추 및 골반과 그 주위의 근육에 하중이 집중되어 집중된 하중을 피하려고 무의식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자세를 고쳐 앉아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앉아있는 경우에 신체에 무리가 생기며 극단적으로는 요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척추의 병을 얻기도 한다.
따라서 척추와 등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키면서 편안하고 안락한 착석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의자들은 등받이의 돌출부분이 등이나 허리에 접촉하여 등이나 허리의 한 곳만 받치도록 구성되어 등과 허리를 동시에 받혀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허리 또는 등을 지지하는 다수의 타원형 등받이를 구비하고, 이 타원형 등받이를 회전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에 맞추어 허리와 등을 지지하는 의자(등록특허 10-070069)가 출원되었으나, 구성이 복잡하고 사용자에 따라서 타원형 등받이를 회전해서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06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 받침과 허리 받침을 모두 구비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는, 사용자가 앉는 시트; 상기 시트의 뒤쪽에 결합되고 위쪽으로 연장 형성된 등받이 기둥; 상기 등받이 기둥의 상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앞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여 측면 형상이 C자형인 등 받침부; 상기 등받이 기둥의 하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윗부분은 가운데가 뒤쪽으로 돌출되고, 아랫부분은 가운데가 앞쪽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측면 형상이 역S자인 허리 받침부; 및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를 상기 등받이 기둥에 결합하는 탄성 재질의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등받이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는, 상기 등 받침부의 앞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허리 받침부의 앞쪽으로 돌출된 부분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등 받침부의 돌출부분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등 받침부의 하부가 뒤쪽으로 이동하고, 뒤쪽으로 이동한 상기 등 받침부의 하부는 상기 허리 받침부의 상부에 힘을 가하며, 상부에 힘을 받은 상기 허리 받침부의 하부가 앞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등이 등 받침부를 눌러 힘을 가하면, 허리 받침부의 아랫부분이 앞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기 때문에, 등 받침부와 허리 받침부가 항상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이때, 등 받침부와 허리 받침부 각각을 좌우 대칭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체중의 분산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 기둥의 앞면에 부착되는 탄성 재질의 등받이 패드를 더 포함하여, 등이 닫는 경우에 쿠션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등받이 기둥의 양 옆에 결합되어, 등 받침부와 허리 받침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등받이 판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등 전체를 안정적으로 받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 받침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허리 받침의 높이가 변경되기 때문에 등 받침과 허리 받침에 효율적으로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휴식을 위하여 등받이를 눕혀서 사용하는 경우에 허리를 더욱 강하게 받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펴고 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받침부와 허리 받침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눕혀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받침부와 허리 받침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의자는 시트(10), 등받이 기둥(20), 등받이 패드(21), 등 받침부(30), 허리 받침부(40) 및 등받이 판(50)으로 구성된다.
시트(10)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등받이 기둥(20)은 하부가 시트(10)의 뒤쪽에 결합되고 상부는 위쪽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등받이부분의 전체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특히, 등받이 기둥(20)은 뒤로 눕힐 수 있도록 시트(10)에 결합되며, 그 사이에 등받이 기둥(20)의 각도를 조절하고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등 받침부(30)는 길이방향으로 가운데가 앞쪽으로 돌출된 C자형의 옆모습을 가지고, 좌우 대칭의 두 개로 구성되며, 등받이 기둥(20)의 상부에 결합되어 C자형의 돌출된 부분이 사용자의 등이 접촉한다.
등 받침부(30)는 결합부재(32)를 통해 등받이 기둥(20)에 결합되며, C자형의 돌출된 부분에 힘을 가하면 등 받침부(30)의 하부가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등 받침부(30)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결합부재의 형상과 재질 및 결합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결합부재(32)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등 받침부(30)의 길이방향 중심보다 위쪽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허리 받침부(40)는 길이방향으로 윗부분은 가운데가 뒤쪽으로 돌출되고, 아랫부분은 가운데가 앞쪽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측면 형상이 역S자형상이고, 좌우 대칭의 두 개로 구성되며, 등받이 기둥(20)의 하부에 결합된다.
허리 받침부(40)는 결합부재(422)를 통해 등받이 기둥(20)에 결합되며, 역S자형상의 상부가 뒤쪽으로 밀리면, 하부의 앞으로 돌출된 부분이 앞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한다.
이러한 허리 받침부(40)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결합부재의 형상과 재질 및 결합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등 받침부(30)의 결합부재와 같이, 결합부재(42)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허리 받침부(30)의 길이방향 중심보다 위쪽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의 왼쪽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등 받침부(30)가 허리 받침부(40)보다 앞으로 더 돌출된 상태로, 등 받침부(30)와 허리 받침부(40)가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등받이 부분에 기대는 경우에 사용자의 등 부분이 먼저 등 받침부(30)에 닿게 되며, 이때는 허리 받침부(40)는 사용자의 신체에 닿지 않는다.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대면, 사용자의 체중이 먼저 등 받침부(30)에 전달되어 등 받침부(30)의 돌출된 부분을 누르게 된다. 도 2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등 받침부(30)의 돌출된 부분에 하중이 가해지면, 등 받침부(30)의 하부가 뒤쪽으로 이동한다. 뒤쪽으로 밀린 등 받침부(30)의 하부는 허리 받침부(40)의 상부에 힘을 가하게 된다. 상부에 힘을 받은 허리 받침부(40)는 상부가 뒤로 이동하는 반대작용으로 하부가 앞으로 이동하며, 결국 하부의 돌출된 부분이 앞으로 더욱 돌출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받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허리 받침부(30)는 측면이 역S자 형상이기 때문에 위쪽에 앞쪽으로 휘어지는 구역(41)을 포함한다. 이 구역(41)은 등 받침부(30)의 하부가 과도하게 뒤로 이동하여도 등 받침부(30)의 하단이 허리 받침부(4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등 받침부(30)의 하단이 이 구역(41)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허리 받침부(40)의 움직임을 크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결국 사용자의 체형과 무관하게 등과 허리를 동시에 받치는 상태가 되며, 사용자의 체중을 등 받침부(30)와 허리 받침부(40)에 고르게 분산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등받이 패드(21)는 등받이 기둥(20)의 앞면에 부착되는 탄성 재질의 패드이며,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준다.
또한 등받이 판(50)은 등받이 기둥(20)에 결합되며, 등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의 바깥쪽 양옆에 좌우대칭으로 위치한다. 등받이 판(50)은 결합부재를 통하여 등받이 기둥(20)의 가운데 부분에 결합한 판형상의 부재이며, 이로써 사용자의 등 전체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의자는 사용자가 휴식을 위하여 등받이를 뒤로 눕히고 기대는 경우에 허리를 강하게 받혀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눕혀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의자의 등받이를 뒤로 눕히고 사용자가 기대는 경우에는 사람의 머리 무게에 의하여 상체의 윗부분에 더 많은 하중이 걸리고, 이에 따라서 등 받침부(30)가 더 많은 힘을 받기 때문에 허리 받침부(40)가 더욱 많이 돌출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강하게 받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시트 20: 등받이 기둥
21: 등받이 패드 30: 등 받침부
32, 42: 결합부재 40: 허리 받침부
50: 등받이 판

Claims (4)

  1. 사용자가 앉는 시트(10);
    상기 시트(10)의 뒤쪽에 결합되고 위쪽으로 연장 형성된 등받이 기둥(20);
    상기 등받이 기둥의 상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앞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여 측면 형상이 C자형상인 등 받침부(30);
    상기 등받이 기둥의 하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윗부분은 가운데가 뒤쪽으로 돌출되고, 아랫부분은 가운데가 앞쪽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측면 형상이 역S자형상인 허리 받침부(40); 및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를 상기 등받이 기둥에 결합하는 결합부재(32, 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등받이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는, 상기 등 받침부의 앞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허리 받침부의 앞쪽으로 돌출된 부분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등 받침부의 돌출부분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등 받침부의 하부가 뒤쪽으로 이동하고, 뒤쪽으로 이동한 상기 등 받침부의 하부는 상기 허리 받침부의 상부에 힘을 가하며, 상부에 힘을 받은 상기 허리 받침부의 하부가 앞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부(30)와 상기 허리 받침부(40) 각각이 좌우 대칭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기둥의 앞면에 부착되는 탄성 재질의 등받이 패드(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의 바깥쪽 양옆에 좌우 대칭으로 위치하는 등받이 판(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KR1020110119932A 2011-11-17 2011-11-17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KR10133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32A KR101330022B1 (ko) 2011-11-17 2011-11-17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32A KR101330022B1 (ko) 2011-11-17 2011-11-17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23A KR20130054523A (ko) 2013-05-27
KR101330022B1 true KR101330022B1 (ko) 2013-11-18

Family

ID=4866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932A KR101330022B1 (ko) 2011-11-17 2011-11-17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0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2243A1 (en) 1984-10-12 1986-04-24 Ekkehard Anderle Seat with dynamic backrest portion
KR200423149Y1 (ko) 2006-05-04 2006-08-03 이성찬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2243A1 (en) 1984-10-12 1986-04-24 Ekkehard Anderle Seat with dynamic backrest portion
KR200423149Y1 (ko) 2006-05-04 2006-08-03 이성찬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23A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KR102433495B1 (ko) 자세 유지구
KR101517350B1 (ko)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DK2802241T3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2256839B1 (ko) 개별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JP2008259811A (ja) 背凭れ部に形状記憶スポンジが設けられた椅子
US9700147B2 (en)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CN202445565U (zh) 鱼骨弓型的椅背结构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JP3190627U (ja) 椅子
JP6325981B2 (ja) スライダー方式を利用した矯正椅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101330022B1 (ko)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KR20100002894U (ko) 척추라인 보정의자
KR102012277B1 (ko)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KR101052551B1 (ko) 의자
KR101712824B1 (ko) 듀얼백 의자
KR100414831B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JP3197066U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するための矯正椅子
KR200314743Y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102661446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CN211092850U (zh) 一种坐具
KR20090114811A (ko) 의자시트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