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824B1 - 듀얼백 의자 - Google Patents

듀얼백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824B1
KR101712824B1 KR1020150162334A KR20150162334A KR101712824B1 KR 101712824 B1 KR101712824 B1 KR 101712824B1 KR 1020150162334 A KR1020150162334 A KR 1020150162334A KR 20150162334 A KR20150162334 A KR 20150162334A KR 101712824 B1 KR101712824 B1 KR 101712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haft
backrest
frame
angle restri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박범전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현 filed Critical 이재현
Priority to KR102015016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백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착석자의 요추 좌우주변근육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압박하여 지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착석자가 가슴부위를 펼친 상태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 사용감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착석자의 허리교정효율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백 의자{DUAL-BACK CHAIR}
본 발명은 착석자의 요추 좌우주변근육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압박하여 지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착석자가 가슴부위를 펼친 상태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 사용감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착석자의 허리교정효율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듀얼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무직 근로자들은 일상생활중 상당한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보내고 있는 바, 기본적으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는 상체의 하중이 척추뼈 및 골반에 작용하는 상태로 되어 장시간 의자에 않아있게 되면 척추 및 골반 그리고 이들 주위의 근육에 스트레스가 가해져서 피로감이나 통증이 수반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척추 등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키면서 편안하고 안락한 착석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의자 뒷부분에 등받이를 설치하여 착석자의 어깨부 위에서 허리에 이르는 상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착석자의 등부분을 받쳐주기 위해 설치되어지는 등받이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착석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3355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3355호(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의 경우, 좌판부의 후측에 위치한 등받이가 대게 착석자의 허리 좌우부위를 압박하기 때문에 착석자가 허리부위에 편안함을 느낄 수 없어 사용감이 좋지 않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등받이를 통한 허리교정효율 또한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33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착석자의 요추 좌우주변근육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압박하여 지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착석자가 가슴부위를 펼친 상태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 사용감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착석자의 허리교정효율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듀얼백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측에 프레임이 구비되는 둔부안착부와; 상기 둔부안착부의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전측이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일측과 타측이 상기 둔부안착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각각 전후회전이동되는 등받침부와;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침부의 전후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백 의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축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전후좌우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각도제한부를 전후좌우상하이동시켜 위치조절하는 위치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회전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구비되어 제 1가이드축과; 상기 제 1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가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가이드축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하이동몸체와; 상기 상하위치조절부재의 상하이동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좌우방향으로 연장구비되는 제 2가이드축과; 상기 제 2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가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가이드축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좌우이동몸체와; 상기 좌우위치조절부재의 좌우이동몸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구비되고, 상기 각도제한부가 나사결합되는 제 3가이드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침부의 양측의 전후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통해 상기 등받침부가 착석자의 요추 좌우주변 근육부위를 착석자의 전방방향으로 밀면서 보다 용이하게 압박하여 지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착석자가 가슴부위를 펼친상태로 허리 좌우전체부위에 압박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편안함을 느낄수 있어 사용감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 착석자의 허리교정효율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듀얼백 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등받침부에 각도제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등받침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등받침부에 각도제한부가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등받침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등받침부에 각도제한부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등받침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등받침부에 각도제한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3은 등받침부에 전후좌우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프레임에 각도제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프레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프레임에 각도제한부가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0은 프레임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프레임에 각도제한부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프레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4 및 도 25는 프레임에 각도제한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6은 프레임에 전후좌우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28 및 도 29는 등받침부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듀얼백 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등받침부에 각도제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듀얼백 의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둔부안착부(10), 등받침부(20) 및 각도제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둔부안착부(10)는 착석자의 둔부를 안착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둔부안착부(10)의 후측에는 상기 등받침부(20)가 설치되는 프레임(110)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등받침부(20)는 상기 둔부안착부(10)의 프레임(110)의 전면 일측방향과 전면 타측방향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등받침부(210) 및 타측등받침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전측과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전측은 각각 착석자의 등부위와 접한 상태로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와 상기 타측등받침부(220)로 구성되는 상기 등받침부(20)가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과정 중에 상기 등받침부(2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둔부안착부(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하여 전후각도조절된다.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와 상기 타측등받침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는 착석자의 요추부위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은 착석자의 요추 좌측 주변 근육부위를 압박하여 지압할 수 있고,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일측은 착석자의 요추 우측 주변 근육부위를 압박하여 지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착석자의 가슴부위가 펼쳐진 상태로 착석자가 편암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등받침부(20)가 착석자의 요추 좌우 주변 근육부위를 보다 효율적으로 압박하여 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등받침부(20)의 일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타측 및 상기 등받침부(20)의 타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등받침부(20)의 일측과 타측의 전후회전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도 4는 등받침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등받침부에 각도제한부가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착석자의 요추 좌우주변 근육부위를 압박하는 상기 등받침부(20)의 압박세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등받침부(20)의 후측에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가령, 상기 등받침부(20)의 일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후측면 일측에는 상기 등받침부(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40)이 각각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가이드축(4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착석자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가이드축(4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각도제한부(30)가 상기 가이드축(40)의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110) 방향으로 보다 많이 후퇴하면서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착석자의 요추 좌우주변 근육부위를 각각 압박하는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일측이 압박세기가 상대적으로 점차 작아지게 된다.
상기 각도제한부(30)가 상기 가이드축(40)의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110) 방향으로 보다 적게 후퇴하면서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착석자의 요추 좌우주변 근육부위를 각각 압박하는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일측이 압박세기가 상대적으로 점차 커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등받침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등받침부에 각도제한부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등받침부(20)의 후측에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가령, 상기 등받침부(20)의 일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후측면 일측에는 상기 등받침부(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축(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축(4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이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후측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축(40)의 일측이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후측면과 면접촉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4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40)은 착석자에 의해 각각 정역회전되어 상기 각도제한부(30)를 상기 가이드축(4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제한부(30)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일측방향으로 점차 이동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10)의 타측방향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110) 방향으로 보다 많이 후퇴하면서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착석자의 요추 좌우주변 근육부위를 각각 압박하는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일측이 압박세기가 점차 작아지게 된다.
상기 각도제한부(30)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타측방향으로 점차 이동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10)의 일측방향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110) 방향으로 보다 적게 후퇴하면서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착석자의 요추 좌우주변 근육부위를 각각 압박하는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일측이 압박세기가 점차 커질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등받침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등받침부에 각도제한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또는, 착석자의 상체 상하길이에 따라 상기 각도제한부(30)의 상하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등받침부(20)의 후측에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가령, 상기 등받침부(20)의 일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타측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후측면 일측에는 상기 등받침부(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40)의 상부는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타측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축(40)의 상부는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후측면 일측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일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후측면과 면접촉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4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40)은 착석자에 의해 각각 정역회전되어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제한부(30)를 상기 가이드축(4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등받침부에 전후좌우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또는, 상기 각도제한부(30)는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등받침부(20)의 후측에 전후좌우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령, 상기 각도제한부(30)를 전후좌우상하이동시켜 위치조절하는 위치조절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50)는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가이드축(510), 상하이동몸체(520), 제 2가이드축(530), 좌우이동몸체(540) 및 제 3가이드축(5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축(510)은 상기 등받침부(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축(510)의 상부는 상기 등받침부(20)의 일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후측면에 착석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520)는 상기 등받침부(20)의 일측등받침부(210)의 후측면 및 상기 타측등받침부(220)의 후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 1가이드축(51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가이드축(51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 1가이드축(5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이드축(530)은 상기 상하이동몸체(520)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이드축(530)의 일측 또는 타측은 상기 상하이동몸체(520)에 정역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540)는 상기 상하이동몸체(520)와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 2가이드축(53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가이드축(53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 2가이드축(53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3가이드축(550)은 상기 좌우이동몸체(540)에 상기 좌우이동몸체(54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가이드축(550)에는 상기 각도제한부(30)가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기 착석자에 의해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정역회전하여 상기 제 3가이드축(55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프레임에 각도제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상기 각도제한부(30)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은 프레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프레임에 각도제한부가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특히, 도 17 내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령, 도 17 내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 상기 프레임(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40)이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프레임(110)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축(4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착석자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가이드축(4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20은 프레임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프레임에 각도제한부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는, 도 20 내지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서 각각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가령,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축(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40)의 일측 또는 타측은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 또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 착석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각각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40)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축(4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23은 프레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4 및 도 25는 프레임에 각도제한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는, 도 23 내지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 각각 상기 프레임(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가령,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 상기 프레임(1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40)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 또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 착석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각각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40)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축(4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26은 프레임에 전후좌우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또는, 도 26 및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제한부(30)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 각각 상기 프레임(110)의 전후좌우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가령,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는 상기 각도제한부(30)를 전후좌우상하이동시켜 위치조절하는 상기 위치조절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50)는 크게, 상기 제 1가이드축(510), 상기 상하이동몸체(520), 상기 제 2가이드축(530), 상기 좌우이동몸체(540) 및 상기 제 3가이드축(5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가이드축(510)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면 타측에 각각 베어링결합되어 착석자에 의해 정역회전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등받침부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등받침부(2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등받침부(20)의 전측면 타측은 각각 상기 등받침부(20)의 전방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 등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상기 등받침부(20)의 전측면 중간부는 상기 등받침부(20)의 전측에서 상기 등받침부(20)의 후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호형상 등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등받침부(20)의 전측이 상기 등받침부(20)의 전방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 등으로 형성 또는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등받침부(20)가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등 상기 등받침부(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등받침부(20)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침부(20)의 양측의 전후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상기 각도제한부(30)를 통해 상기 등받침부(20)가 착석자의 요추 좌우주변 근육부위를 착석자의 전방방향으로 밀면서 보다 용이하게 압박하여 지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착석자가 가슴부위를 펼친상태로 허리 좌우전체부위에 압박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편안함을 느낄수 있어 사용감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 착석자의 허리교정효율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둔부안착부, 20; 등받침부,
30; 각도제한부.

Claims (9)

  1. 후측에 프레임이 구비되는 둔부안착부와;
    상기 둔부안착부의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전측이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일측과 타측이 상기 둔부안착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각각 전후회전이동되는 등받침부와;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등받침부의 전후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백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축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백 의자.
  3. 후측에 프레임이 구비되는 둔부안착부와;
    상기 둔부안착부의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전측이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일측과 타측이 상기 둔부안착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각각 전후회전이동되는 등받침부와;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등받침부의 전후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백 의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백 의자.
  5. 후측에 프레임이 구비되는 둔부안착부와;
    상기 둔부안착부의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전측이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일측과 타측이 상기 둔부안착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각각 전후회전이동되는 등받침부와;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등받침부의 전후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백 의자.
  6. 후측에 프레임이 구비되는 둔부안착부와;
    상기 둔부안착부의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전측이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일측과 타측이 상기 둔부안착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각각 전후회전이동되는 등받침부와;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전후좌우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등받침부의 전후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백 의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제한부를 전후좌우상하이동시켜 위치조절하는 위치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등받침부의 후측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회전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구비되어 제 1가이드축과;
    상기 제 1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가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가이드축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하이동몸체와;
    상기 상하이동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좌우방향으로 연장구비되는 제 2가이드축과;
    상기 제 2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가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가이드축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좌우이동몸체와;
    상기 좌우이동몸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구비되고, 상기 각도제한부가 나사결합되는 제 3가이드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백 의자.
  8. 삭제
  9. 삭제
KR1020150162334A 2015-11-19 2015-11-19 듀얼백 의자 KR101712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34A KR101712824B1 (ko) 2015-11-19 2015-11-19 듀얼백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34A KR101712824B1 (ko) 2015-11-19 2015-11-19 듀얼백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824B1 true KR101712824B1 (ko) 2017-03-07

Family

ID=5841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334A KR101712824B1 (ko) 2015-11-19 2015-11-19 듀얼백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4415B4 (de) 2017-05-05 2022-10-13 Audi Ag Fahrzeugsitz für ein Kraftfahrzeug, Si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Verstellen eines Fahrzeugsitz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474U (ko) * 1997-02-01 1998-10-15 심상옥 등판 각도 변화가 가능한 의자
KR200323355Y1 (ko) 2003-05-20 2003-08-14 이철웅 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
US7278688B1 (en) * 2006-10-04 2007-10-09 Hsiang-Lin Hung Elastic support structure for a human body to lean against
KR20080050046A (ko) * 2006-12-01 2008-06-05 성진세미텍주식회사 운반용 대차
KR20110098442A (ko) * 2010-02-26 2011-09-0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등받이 회동 범위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좌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474U (ko) * 1997-02-01 1998-10-15 심상옥 등판 각도 변화가 가능한 의자
KR200323355Y1 (ko) 2003-05-20 2003-08-14 이철웅 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
US7278688B1 (en) * 2006-10-04 2007-10-09 Hsiang-Lin Hung Elastic support structure for a human body to lean against
KR20080050046A (ko) * 2006-12-01 2008-06-05 성진세미텍주식회사 운반용 대차
KR20110098442A (ko) * 2010-02-26 2011-09-0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등받이 회동 범위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좌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4415B4 (de) 2017-05-05 2022-10-13 Audi Ag Fahrzeugsitz für ein Kraftfahrzeug, Si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Verstellen eines Fahrzeugsitz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736B2 (en) Seats with twistable seat elements
KR100768480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20230125096A (ko) 자세 유지구
JP2010246922A (ja) 着座用家具製品
JP4875304B2 (ja) 椅子
US20100201168A1 (en) Padding Structure for a Chair
KR100763474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JP2011527927A (ja) 姿勢校正用椅子
WO2006073019A1 (ja) 椅子
JP2011139954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5625811B2 (ja) 立席型のシート装置
KR101712824B1 (ko) 듀얼백 의자
JP2006334025A (ja) 着座用家具
KR102004312B1 (ko) 이중 관절식 등받이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용 의자
JP4800633B2 (ja) 椅子
EP2129264A2 (en) Ergonomic structure
CN108471881A (zh) 用于椅子或座椅的运动靠背
CN113749447A (zh) 一种可调节的椅座
JP5088847B2 (ja) 椅子
JP3197066U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するための矯正椅子
KR20110048189A (ko) 기능성 쿠션시트
JP6680508B2 (ja) 腰痛対策椅子
KR20170058580A (ko) 등받이 의자
KR20140034998A (ko)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