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350B1 -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 Google Patents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350B1
KR101517350B1 KR1020130084247A KR20130084247A KR101517350B1 KR 101517350 B1 KR101517350 B1 KR 101517350B1 KR 1020130084247 A KR1020130084247 A KR 1020130084247A KR 20130084247 A KR20130084247 A KR 20130084247A KR 101517350 B1 KR101517350 B1 KR 101517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user
chair
plat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835A (ko
Inventor
위성범
이송구
Original Assignee
(주)하루엘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루엘에이치 filed Critical (주)하루엘에이치
Priority to KR102013008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3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수용되는 제1 판부의 전방이 경사지게 들어올려져 있으면서 제2 판부와 연결부를 통해 만곡지게 연결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하는 순간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와 등부위가 의자에 밀착되면서 척추를 비롯한 허리 및 등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고 오랜 시간 앉아있더라도 허리가 아프지 않고 안락함을 주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해줄 수 있는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를 수용하는 제1 판부와, 사용자의 착석시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하는 제2 판부와, 그리고 상기 제1 판부 및 제2 판부를 만곡지게 연결해주는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시 엉덩이 뒷부분이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와 연결부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1 판부에는 엉덩이가 앉혀지는 부위를 기준으로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전방들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판부는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진 형상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CHAIR}
본 발명은 착석시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수용되는 제1 판부의 전방이 경사지게 들어올려져 있으면서 제2 판부와 연결부를 통해 만곡지게 연결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하는 순간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와 등부위가 의자에 밀착되면서 척추를 비롯한 허리 및 등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고 오랜 시간 앉아있더라도 허리가 아프지 않고 안락함을 주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해줄 수 있는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의 기본적인 기능은 휴식 및 작업시 사용자의 상체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바, 휴식시에 사용자의 요추를 편안하고 좋은 자세로 유지시켜주는 의자들은 많이 소개되어 있지만, 전방으로 숙여서 작업을 할 때 요추의 자세를 유지하거나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의자들은 많지 않다.
즉 학생이나 사무직 종사자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중의 상당한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작업을 하는데, 의자에 앉아서 특정 작업을 하다보면 사용자들의 상체가 전방으로 숙여지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 내지 등 부위는 의자의 등받이부와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기존 소개되고 있는 올바른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에 아무리 앉아있다 하더라도 허리나 등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기에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는 경우 허리나 등이 아프고 앉은 자세가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기존의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의 유형을 살펴보면, 크게 등받이에 주안점을 둔 의자와 좌석에 주안점을 둔 의자와, 그리고 이들의 복합 형태의 의자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최근의 의자들은 등받이 구조에 주안점을 둔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의자들로 대표적인 것이 소위 "듀오백"이라 불리는 등받이부를 좌우로 분할하여 각각 사용자의 등부위에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의자 형태를 들 수 있다(참고로, 듀오백은 의자제품의 브랜드인 것으로 듀오백 브랜드명을 가지는 의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비슷하게 등받이부를 좌우로 이등분하여 설계된 제품 모두를 가리킨다).
그러나 상기한 의자 형태는 사용자의 착석시 허리를 꼿꼿이 세우는 경우에 안정된 허리 및 등 부위를 지지하고 척추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전술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이 작업을 하면서 상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이나 허리 부위가 의자의 등받이부와 떨어지고 밀착되지 않기에 아무리 허리 등에 좋은 구조가 도입된 의자라 하더라도 자세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기존 의자 형태를 보완하고자 공개특허 제10-2012-0061581호(2012.06.13)『요추부 지지 의자』가 소개된바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061581호는 착석자의 요추가 작업시 또는 휴식시 어떠한 경우라도 정상적인 만곡(좋은 자세)을 유지하여 요통을 줄이고 추후 요추 반곡의 변형, 추간판 탈출증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의자의 구조를 좌판이 앞으로 20도 내지 30도까지 기울어지는 구조를 갖고 이와 동시에 뒤로 4도 내지 11도로 기울어지는 구조를 갖는 요추부 지지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 제10-2012-0061581호에 개시된 구조만으로는 의자의 전방 기울어짐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걸림고리 및 받침대부)의 도입이 필요하고, 이하 설명되는 본원발명에서와 같은 사용자의 착석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가 의자의 등받이부에 밀착되고, 이에 안정적이고 안락하게 지지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 특수 목적의 의자 즉, 자세교정용 의자가 가지는 문제점 내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착석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허리 및 등부가 자연스럽게 의자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여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상체를 숙이거나 그 외 여러 동작을 취하더라도 의자에 대한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의 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오랜 시간 의자에 앉아있더라도 요통이 생기지 않고 안락함을 가지고 앉을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는,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를 수용하는 제1 판부와, 사용자의 착석시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하는 제2 판부와, 그리고 상기 제1 판부 및 제2 판부를 만곡지게 연결해주는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시 엉덩이 뒷부분이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와 연결부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1 판부에는 엉덩이가 앉혀지는 부위를 기준으로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전방들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판부는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진 형상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심을 가르는 가상의 중심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판부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 측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형상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나아가 상기 제2 판부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 측이 전방으로 오므라진 형상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는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심을 가르는 가상의 중심선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선이 위치하는 상기 제2 판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한 본 발명의 의자 즉, 제1 판부와 제2 판부가 만곡진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통해 일체 연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판부에는 전방들림부가 형성되고, 제2 판부는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하중으로 전방들림부가 아래로 내려가고 이와 동시에 제2 판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에 밀착되어 이를 지지해주고, 사용자의 상체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전방들림부 구조로 인해 밀착 지지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오랜 시간 의자에 앉아있더라도 허리가 아프지 않으며 바른 자세를 유지해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판부에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판부는 양측이 상부로 오므라진(들어올려진) 형상을 이루고, 또는 제2 판부는 양 측이 전방으로 오므라진 형상을 취하여 사용자의 착석시 허리 및 등 부위가 제2 판부에 지지되면서 기존 의자에 비해 보다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중심선이 위치하는 제2 판부 즉, 사용자의 척추가 위치하는 제2 판부를 후방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척추가 의자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2 판부가 좌우 분리형성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다양한 각도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길이방향으로 즉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이하 언급되는 가상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자는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를 수용하는 제1 판부(10)와, 사용자의 착석시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하는 제2 판부(20)와, 그리고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와, 연결부는 하나의 재질로 일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30)는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특히 엉덩이 뒷부분이 위치하는 곳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지게 형성되는 부분이고,
이하 설명될 제2 판부(20)가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지게 형성(S1)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만곡진 형상을 취하게 된다(도 3 및 도 5 참조).
다음으로 사용자의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배열되는 제1 판부(10)에는 엉덩이가 앉혀지는 부위를 기준으로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전방들림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판부(20)의 경우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진 형상(S1)으로 설계된다.
상기한 구조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전방들림부(15)가 아래로 내려가고 이에 의해 제1 판부(10)와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판부(2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사용자의 허리 및 등부위에 밀착되게 된다.
특히 도 3 및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 판부(20)가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진 형상(S1)즉, 사용자의 착석시 만곡되는 허리와 다시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등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됨으로써 전방들림부(15)가 아래로 내려감과 동시에 제2 판부(2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사용자의 허리 및 등부위가 제2 판부에 밀착 지지되게 된다(도 7 참조).
그리고 전방들림부(15)가 형성된 제1 판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30)가 만곡지게 형성되기에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상체를 뒤로 젖히더라도(즉, 하중이 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만곡지게 형성된 연결부(15)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에 대한 제2 판부의 밀착 및 지지 상태는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부(20)의 경우 길이방향으로 제2 판부의 중심을 가르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0)가 형성되는데, 후방으로 돌출되어 만곡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에 착석시 사용자의 척추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의자에 앉더라도 척추가 직접적으로 의자에 접촉되지 않게되어 역시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또한 상기 돌출부(40)를 형성함으로써 결국 제2 판부가 척추를 기준으로 좌편과 우편으로 나뉘는 결과가 되어 기존의 기능성 의자인 소위 듀오백의 등판과 같은 효과를 함께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재질을 하드 재질이 아닌 탄성이 어느 정도 있는 재질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한 부분이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부(40)는 제2 판부(20)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부(10) 일부 지점으로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시 꼬리뼈 역시 직접적으로 의자에 접촉되지 않게 되는바,
결국 사용자가 특정 부위에 대한 통증없이 안락함을 느끼면서 편안하게 오랜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있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40)로 인해서 일정의 통풍 기능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돌출부 구조로 인해 제2 판부와 연결부, 그리고 제1 판부에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접촉되지 않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공간을 통해 외부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 구조로 인해 사용자 신체의 일정 부위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게 되어 오랜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 전면이 의자에 접촉되는 것에 비해 땀이 덜 나는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판부(10)에는 다수의 관통공(17)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 구조와 함께 통풍 기능을 강화시킨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후면으로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부위를 기준으로 양 측으로 보강 리브(5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의자 착석시 연결부에 대한 탄성을 보강해주게 된다.
다음으로 제1 판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안락함 내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제1 판부에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가상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양 측이 상부로 들어올려진 형상(S2)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이는 제1 판부 양 측이 상부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사용자의 허벅지와 엉덩이를 감싸는 형태가 되기 때문이고,
나아가 상기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의자 착석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하중을 이동하더라도 제1 판부가 하중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앉은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고 제2 판부에 대한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의 밀착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도 8 참조)
또한 제2 판부(20) 역시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안락함 내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제2 판부에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 측이 전방으로 오므라진 형상(S3)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체가 감싸지는 느낌을 사용자가 받을 수 있고 안락함을 느끼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2 판부(20) 전방의 단부에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솟아오른 솟음부(19)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좌우 허벅지가 자연스럽게 솟음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기능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더 설명한다.
즉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즉, 제1 판부(10)에 착석하게 되면 전방들림부(15)로 인해 전방이 들어올려졌던 제1 판부(10)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고 이로 인해 제1 판부(10)와 연결부(30)를 통해 일체 연결 형성되어 있던 제2 판부(20)가 전방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에 밀착되고 이를 지지하게 된다(도 7의 B 참조).
물론 사용자가 작업상태에 따라 상체를 좀 더 전방으로 숙이는 경우 탄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의자의 제1 판부(10)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에 대한 제2 판부(20)의 밀착 및 지지 상태가 유지되면서 보다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도 7의 C 참조).
그리고 연결부(30)의 후면에 형성된 보강리브(50)가 연결부(30) 및 이와 연결된 제2 판부(20)의 사용자에 대한 지지상태를 탄성적으로 보강해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의자"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기술되는 청구범위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 판부 20: 제2 판부 30: 연결부
40: 돌출부 50: 보강리브
15: 전방들림부 17: 관통공 19: 솟음부

Claims (4)

  1.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를 수용하는 제1 판부;
    사용자의 착석시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하는 제2 판부; 및
    상기 제1 판부 및 제2 판부를 만곡지게 연결해주는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시 엉덩이 뒷부분이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와 연결부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1 판부에는 엉덩이가 앉혀지는 부위를 기준으로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전방들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판부는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심을 가르는 가상의 중심선이 구비되어,
    상기 제1 판부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 측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판부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 측이 전방으로 오므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심선이 위치하는 제2 판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부는 단부가 제1 판부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 판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후면에는 보강리브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84247A 2013-07-17 2013-07-17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10151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247A KR101517350B1 (ko) 2013-07-17 2013-07-17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247A KR101517350B1 (ko) 2013-07-17 2013-07-17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835A KR20150009835A (ko) 2015-01-27
KR101517350B1 true KR101517350B1 (ko) 2015-05-06

Family

ID=5248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247A KR101517350B1 (ko) 2013-07-17 2013-07-17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3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0481S1 (en) 2018-07-31 2019-12-24 Ablue Co., Ltd. Chair
KR200494454Y1 (ko) 2020-12-18 2021-10-15 김규호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KR20220116969A (ko) 2021-02-16 2022-08-23 (주)굿프렌드 바른 자세 의자
KR20220128824A (ko) 2021-03-15 2022-09-22 (주)리솔 전위 치료시스템이 삽입된 척추보정기구
KR20220143534A (ko) * 2021-04-16 2022-10-25 최유리 자세 교정형 의자
KR20220146055A (ko) 2021-04-23 2022-11-01 탐탐케어주식회사 보조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76B1 (ko) * 2016-06-14 2017-01-24 서준석 다기능 조립식 의자
KR101750887B1 (ko) * 2016-11-29 2017-06-26 서준석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CN108652843A (zh) * 2017-03-31 2018-10-16 天津市泰斯特仪器有限公司 一种轻便轮椅车架
KR102109497B1 (ko) * 2018-06-04 2020-05-12 동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리 및 골반 교정용 의자
KR102303524B1 (ko) * 2020-11-16 2021-09-23 주식회사 로이첸 자세교정 의자
KR102487012B1 (ko) * 2020-12-17 2023-01-09 김용석 다리의 벌어짐을 고정하는 자세교정용 보조 의자
KR102497522B1 (ko) * 2021-02-05 2023-02-08 신일테크(주) 자세 교정과 안락감을 제공하는 좌식 의자
KR102310862B1 (ko) * 2021-04-19 2021-10-14 윤석균 좌식의자
KR102369046B1 (ko) * 2021-04-28 2022-03-02 주식회사 알파메딕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09Y1 (ko) 2004-04-12 2004-08-27 강연아 척추보호를 위한 분리형 좌의자
KR101045677B1 (ko) 2010-11-19 2011-06-30 서준석 절첩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09Y1 (ko) 2004-04-12 2004-08-27 강연아 척추보호를 위한 분리형 좌의자
KR101045677B1 (ko) 2010-11-19 2011-06-30 서준석 절첩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0481S1 (en) 2018-07-31 2019-12-24 Ablue Co., Ltd. Chair
KR200494454Y1 (ko) 2020-12-18 2021-10-15 김규호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KR20220116969A (ko) 2021-02-16 2022-08-23 (주)굿프렌드 바른 자세 의자
KR20220128824A (ko) 2021-03-15 2022-09-22 (주)리솔 전위 치료시스템이 삽입된 척추보정기구
KR20220143534A (ko) * 2021-04-16 2022-10-25 최유리 자세 교정형 의자
KR102574701B1 (ko) * 2021-04-16 2023-09-06 최유리 자세 교정형 의자
KR20220146055A (ko) 2021-04-23 2022-11-01 탐탐케어주식회사 보조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835A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350B1 (ko)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101598473B1 (ko)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JP6936369B2 (ja) 姿勢保持具
KR101750887B1 (ko)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JP2008259811A (ja) 背凭れ部に形状記憶スポンジが設けられた椅子
US9700147B2 (en)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2109497B1 (ko) 허리 및 골반 교정용 의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JP3137036U (ja) 椅子
JP2007125106A (ja) 椅子および椅子用パッド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JPH11239526A (ja)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KR102303524B1 (ko) 자세교정 의자
CN211833607U (zh) 一种保持正确坐姿的坐垫
KR102574701B1 (ko) 자세 교정형 의자
KR102323964B1 (ko) 자세 교정 의자
KR200207201Y1 (ko) 접철식 명상용 방석
KR20120061581A (ko) 요추부 지지 의자
KR102614324B1 (ko) 의자 시트
JP7312010B2 (ja) 折り畳み式椅子
KR200285597Y1 (ko) 에어쿠션 의자
KR20210039776A (ko) 명상용 방석
KR20210085228A (ko) 기능성 의자
KR20230095275A (ko) 척추 케어용 의자 결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