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454Y1 -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 Google Patents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54Y1
KR200494454Y1 KR2020200004676U KR20200004676U KR200494454Y1 KR 200494454 Y1 KR200494454 Y1 KR 200494454Y1 KR 2020200004676 U KR2020200004676 U KR 2020200004676U KR 20200004676 U KR20200004676 U KR 20200004676U KR 200494454 Y1 KR200494454 Y1 KR 200494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utout
exercise
function
balanc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호
Original Assignee
김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호 filed Critical 김규호
Priority to KR2020200004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Landscapes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허리를 지지하여 요통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는,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놓이게 되어 몸무게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의 끝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된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등받이로써 역할을 수행하는 제 2 패널; 및 상기 제 2 패널의 일부분이 제 2 패널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제외한 양 측면부와 상단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삽입용 주머니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찜질팩을 수용한 찜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Balance chair with exercise and heat function}
본 고안은 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허리를 지지하여 요통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의 기본적인 기능은 휴식 및 작업 시 사용자의 상체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의자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있다. 업무용이나, 학생용, 기타 특수 용도의 의자들이 개발됐다.
의자는 통상 엉덩이를 엉덩이 받침 부분과 등받이 부분, 그리고 엉덩이 받침 부분의 하부에 연결된 다리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자에는 사람이 허리를 굽힌 상태로 앉아 있게 되기 때문에 장시간 앉는 것은 허리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고, 또한 자세가 구부정하거나 비뚤어진 상태로 앉아 있게 될 때는 단시간 앉아 있더라도 허리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허리를 잘 받치고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의자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의자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7350호가 공개되어 있다. 등록특허에 개시된 의자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수용되는 제1 판부의 전방이 경사지게 들어 올려져 있으면서 제2 판부와 연결부를 통해 만곡지게 연결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하는 순간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와 등부위가 의자에 밀착되면서 척추를 비롯한 허리 및 등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고 오랜 시간 앉아 있더라도 허리가 아프지 않고 안락함을 주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해줄 수 있는 착석 시 바른 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의자는 단순히 의자 용도로만 사용되고, 바른 자세만을 유도할 뿐 허리 근육의 긴장도를 풀어주기에 역부족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517350호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른 자세를 유도함은 물론이고 온열 기능이 포함되어 허리 근육을 이완시켜 주고, 쉬는 시간에는 운동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는,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놓이게 되어 몸무게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의 끝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된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등받이로써 역할을 수행하는 제 2 패널; 상기 제 2 패널의 일부분이 제 2 패널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제외한 양 측면부와 상단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삽입용 주머니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찜질팩을 수용한 찜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패널, 연결부, 그리고 제 2 패널은 일체형으로 탄성 재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는 하단부는 절개되지 않고, 양 측면부와 상단부가 라운드지게 절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찜질부는, 찜질팩; 상기 찜질팩을 수용하는 커버; 및 상기 찜질부가 상기 제 2 패널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삽입용 주머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는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의 하단부는 상기 제 2 패널의 중간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패널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찜질부의 커버는 상기 찜질팩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에는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의 출입구는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널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와 제 2 패널이 만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고안은 등받이 부분에 찜질팩을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착석자가 원하는 시간에 찜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본 고안은 찜질팩을 착탈시키는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바닥에서 운동 시 탄력 증가에 의해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의 찜질부를 제거한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의 찜질부를 제거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의 일부 구성요소인 찜질부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의 일부 구성요소인 찜질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의 일부 구성요소인 찜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에 찜질부를 착탈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에 착석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1)는,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제 1 패널(10), 제 2 패널(20), 그리고 찜질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널(1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놓이게 되어 몸무게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제 1 패널(10)은 엉덩이가 중앙에 모이도록 중앙부를 중심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패널(2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패널(10)의 끝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된 연결부(30)를 매개로 연결되고, 등받이로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30)는 착석자의 몸체 쪽, 즉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엉덩이 부분을 밀어 넣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패널(20)의 일부분이 제 2 패널(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제외한 양 측면부와 상단부가 절개(20b)된 절개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찜질부(4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절개부(21)에 삽입되는 삽입용 주머니(41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찜질팩(42)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패널(10), 연결부(30), 그리고 제 2 패널(20)은 일체형으로 탄성 재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1)는 하단부는 절개되지 않고, 양 측면부와 상단부가 라운드지게 절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찜질부(40)는,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찜질팩(42)과, 상기 찜질팩(42)을 수용하는 커버(41)와, 상기 찜질부(40)가 상기 제 2 패널(20)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41)에 구비되어 상기 절개부(21)에 삽입되는 삽입용 주머니(4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1)는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1)의 하단부는 상기 제 2 패널(20)의 중간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1)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패널(20)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찜질부(40)의 커버(41)는 상기 찜질팩(42)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41b)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41b)에는 벨크로 테이프(41c)가 부착되어 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41)의 출입구(41b)는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30)는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널(20)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21)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30)와 제 2 패널(20)이 만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1)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패널(10)과 제 2 패널(20)이 연결부(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패널(10)과 제 2 패널(20)에는 쿠션(11, 22)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패널(10)과 제 2 패널(20)에는 각각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홀들(10a, 10b, 2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힘을 받는 방향을 따라 내측과 외측에 복수개의 리브들이 형성되어 좌우로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2 패널(20)의 내측에는 찜질부(40)가 장착되어 있다. 찜질부(40)는 제 2 패널(20)에 대하여 착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찜질부(40)가 제거된 상태의 밸런스 체어(1)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패널(20)에는 절개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절개부(21)에 찜질부(400를 삽입 또는 해제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절개부(21)는 제 2 패널(20)의 일부가 절개된 것으로 하단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제 2 패널(20)로부터 절개(20b)되어 이루어지고, 하단부를 중심으로 앞뒤로 탄성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절개부(21)는 제 2패널(20)보다 조금 내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 찜질부(40)를 착탈하기 매우 유지하다. 절개부(210의 하단부 위치는 연결부(30)와 제 2 패널(20)이 만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부분인 연결부(30)에서 외측으로 라운드게 형성되기 시작하는 제 2 패널(20)과의 연결 부위 높이에 절개부(21)의 하단부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21)는 찜질부(40)를 착탈시키기 위한 역할도 수행하지만 후술하는 운동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 2 패널(20)이 더 많이 휘어지게 조력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찜질부(40)가 도시되어 있다. 찜질부(40)는 커버(41)를 포함한다. 커버(41)는 내부에 찜질팩(4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출입구(41b)가 형성되어 있고, 출입구(41b)에는 벨크로 테이프(41c)가 부착되어 찜질팩(42)을 넣은 상태에서 출입구(41b)를 폐쇄하여 찜질팩(42)이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커버(41)의 외면에는 삽입용 주머니(41a)가 형성되어 절개부(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을 참고하면, 찜질부(40)의 제 2 패널(20)에 대한 착탈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착석자가 밸런스 체어(1)에 착석한 상태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착석자의 그 몸무게에 의해 제 1 패널(10)을 도 10에서와 같이 누르게 되고, 이러한 제 1 패널(10)과 연결부(30)를 누르게 되는 하중은 제 2 패널(20)이 착석자의 등에 밀착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착석자는 허리 부분을 제대로 편 바른 자세로 앉도록 안내된다. 이때 제 2 패널(20) 내측에는 찜질부(40)가 삽입되어 있으며 온열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밸런스 체어(1)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모습이 단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바닥에 밸런스 체어(1)를 놓고, 등을 기대어 착석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착석자가 체어(1)에 착석한 상태에서 뒤로 누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패널(20)은 외측방향으로 더욱 라운드지게 휘어져 착석자의 등의 라운드진 라인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 2 패널(20)에는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절개된 부분만큼 더욱 라운드지게 휘어질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세가 가능하게 된다.
도 13과 도 14는 착석자가 도 12와 같은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 올린 자세가 도시되어 있다. 체어(1)의 탄성력의 도움에 의해 착석자는 용이하게 다리를 들어 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체어(1)를 이용하여 스트레칭 형태의 운동과 다리와 복근, 그리고 허리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밸런스 체어
10 : 제 1 패널 20 : 제 2 패널
21 : 절개부 30 : 연결부
40 : 찜질부 41 : 커버
42 : 찜질팩

Claims (10)

  1.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놓이게 되어 몸무게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의 끝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된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등받이로써 역할을 수행하는 제 2 패널;
    상기 제 2 패널의 일부분이 제 2 패널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제외한 양 측면부와 상단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삽입용 주머니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찜질팩을 수용한 찜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하단부는 절개되지 않고, 양 측면부와 상단부가 라운드지게 절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부는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찜질부는,
    찜질팩;
    상기 찜질팩을 수용하는 커버;및
    상기 찜질부가 상기 제 2 패널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삽입용 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찜질부의 커버는 상기 찜질팩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에는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탈착되며, 상기 커버의 출입구는 하단부에 형성되며 커버의 폭은 출입구인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더 크게 형성되어 찜질팩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는,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 연결부, 그리고 제 2 패널은 일체형으로 탄성 재질에 의해 이루어진,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하단부는 상기 제 2 패널의 중간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패널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널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와 제 2 패널이 만나는 부분에 위치하는,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KR2020200004676U 2020-12-18 2020-12-18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KR200494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676U KR200494454Y1 (ko) 2020-12-18 2020-12-18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676U KR200494454Y1 (ko) 2020-12-18 2020-12-18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454Y1 true KR200494454Y1 (ko) 2021-10-15

Family

ID=7807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676U KR200494454Y1 (ko) 2020-12-18 2020-12-18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5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743U (ko) * 2009-05-25 2010-12-03 김진영 의자 등받이용 기능성 쿠션
KR20120065170A (ko) * 2010-12-10 2012-06-20 민신복 발열 및 냉각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KR101436747B1 (ko) * 2013-06-28 2014-09-11 진광복 자세교정 의자
KR101517350B1 (ko) 2013-07-17 2015-05-06 (주)하루엘에이치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102163201B1 (ko) *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743U (ko) * 2009-05-25 2010-12-03 김진영 의자 등받이용 기능성 쿠션
KR20120065170A (ko) * 2010-12-10 2012-06-20 민신복 발열 및 냉각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KR101436747B1 (ko) * 2013-06-28 2014-09-11 진광복 자세교정 의자
KR101517350B1 (ko) 2013-07-17 2015-05-06 (주)하루엘에이치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102163201B1 (ko) *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JPH01201505A (ja) 上体衣服
JP3984544B2 (ja) 折畳み式椅子
US7237844B2 (en) Portable vertebrae decompression device with adjustable height support
KR101517350B1 (ko)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JP2007503281A (ja) 背部支持システム
US6368260B1 (en) Rehabilitation chair
US5248182A (en) Chair body support
US5374109A (en) Three point cross-legged support seat
US9687078B2 (en) Portable therapeutic seat device
KR200494454Y1 (ko) 운동 기능과 온열 기능을 구비한 밸런스 체어
US3004794A (en) Orthopedic cushion and arm rest unit
US5088476A (en) Gravity traction device with a safety strap and base support and method
KR102139153B1 (ko) 요추 보호 장치
JP3143418U (ja) 坐禅椅子
KR102303524B1 (ko) 자세교정 의자
KR102668860B1 (ko)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KR102487012B1 (ko) 다리의 벌어짐을 고정하는 자세교정용 보조 의자
CN216854219U (zh) 一种腰椎健康仿生束腰靠垫及座椅
KR200470425Y1 (ko) 골반균형 및 둔부고정용 방석
US20200405058A1 (en) Recliner support system
KR200320983Y1 (ko) 척추교정이단의자방석
JP3006346U (ja) 正座のための補助装置
KR100588101B1 (ko)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KR200245178Y1 (ko) 바른 자세 유지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