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101B1 -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 Google Patents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101B1
KR100588101B1 KR1020040033873A KR20040033873A KR100588101B1 KR 100588101 B1 KR100588101 B1 KR 100588101B1 KR 1020040033873 A KR1020040033873 A KR 1020040033873A KR 20040033873 A KR20040033873 A KR 20040033873A KR 100588101 B1 KR100588101 B1 KR 100588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pport
user
knee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9120A (ko
Inventor
박명진
Original Assignee
박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진 filed Critical 박명진
Priority to KR102004003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10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63F9/0406Dice-throwing devices, e.g. dice cu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63F9/0406Dice-throwing devices, e.g. dice cups
    • A63F2009/0411Dice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둔부 및 등 부위를 받쳐주기 위한 시트; 시트의 양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착석시 양팔을 받쳐주는 한편 착석 자세를 바르게 교정해주기 위한 팔걸이부재; 시트 하부에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 및 고정하며, 사용자가 시트에 앉으면 내려 앉고, 일어서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 시트 하부에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 및 고정하며, 그 몸체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는 자세로 앉을 시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각각 받쳐주기 위한 발목받침부가 마련되어 있는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 시트 하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의자 구조체 전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한편,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와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를 각각 고정시켜 주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몸체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는 자세로 앉을 시 사용자의 무릎을 각각 받쳐주기 위한 무릎받침대가 마련되어 있는 보조 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의 양측 무릎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며, 운동의 강약 조절을 위한 타이머 및 카운터 기능, 라디오 및 MP3 기능, 음이온 발생 및 온열 기능 등을 구비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Medical treatment and a combination auxiliary health apparatus and knee ch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에 있어서의 콘트롤러의 부분 발췌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를 헬스 보조기구로 이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에 있어서의 허리 고정용 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에 있어서의 손잡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시트 112...시트 보조카바
114...시트받침편 115a,115b...팔걸이부재
116...허리고정용 밴드 116c...고정 클립
116p...밀착판 116r...롤몸체부
117a,117b...손잡이 120...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
120a...실린더 본체부 120b...높이(길이) 조절용 레버부
122...가이드관 130...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
132a,132b...발목받침부 140...메인 프레임
140h...장공 142...가이드봉
144...스프링 146a,146b...미끄럼 방지구
150...보조 프레임 150h...장공
152a,152b...무릎받침대 154...볼트
156...결합부 받침대 160...콘트롤러
161...타이머 162...카운터
163...오디오부 164...음이온 발생용 스위치
165...음이온 발생부 166...온열 발생용 스위치
167...디스플레이부 168...외부 전원용 접속홈
169...영상용 접속홈 170...네트워크용 접속홈
본 발명은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장시간 동안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작업을 하거나, 그와 같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다리가 저리게 되는 사태를 방지하면서, 고정된 자세에서 장시간 무릎을 구부린 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기구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중량 또한 가벼워 설치 장소 및 이동에 큰 어려움이 없이 사용자가 손쉽게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운동량이 부족하여 이를 보충하기 위해 헬스를 즐기게 되는데 특히 자가 운전 등으로 인해 다리의 운동량이 점점 더 부족하게 됨에 따라 다리의 근육이 빠지면서 점차 힘이 없어져 무기력하게 되고, 특히 장시간 의자에 앉아 일을 하는 현대인들은 다리가 매우 취약해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스트레칭을 하여 위축되어 있는 근육을 긴장시키도록 권유하고 있으나 이를 실행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또한 이러한 스트레칭만 가지고는 허약해진 다리 근력을 키울 수는 없다. 물론, 다리의 근력을 키워주기 위해 등산을 하거나, 헬스 클럽과 같은 곳에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도 있으나 이 역시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만 하는 것이므로, 일부의 사람들만 실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다리운동 기구들은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고가여서 일반적 인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부담이 되었던 게 사실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현대인들의 다리운동 부족 문제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9454에는 "의자 겸용 다리운동기구"가 소개되어 있다. 이 의자 겸용 다리운동기구는 중량을 조절하는 중량조절부를 의자 본체가 고정설치된 프레임 본체에 일체로 설치하여 기구 자체를 소형화하였고, 다리의 상하 운동 및 무릎 부위를 좌우로 운동시켜 다리의 상하좌우 및 허벅지와 종아리 부위의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의자 겸용 다리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의자 본체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 운동을 할 시, 의자 본체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하여 상,하부 프레임, 연결 프레임, 지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등 여러 지지부재들이 기계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기구적으로 다소 복잡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중량 또한 비교적 무거워, 설치 및 이동에 많은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구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중량 또한 가벼워 설치 장소 및 이동에 큰 어려움이 없이 사용자가 손쉽게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동안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작업을 하거나, 그와 같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다리가 저리게 되는 사 태를 방지하면서, 고정된 자세에서 장시간 무릎을 구부린 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둔부 및 등 부위를 받쳐주기 위한 시트;
상기 시트의 양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양팔을 받쳐주는 한편 착석 자세를 바르게 교정해주기 위한 팔걸이부재;
상기 시트 하부에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 및 고정하며, 사용자가 시트에 앉아 체중을 실으면 일정 높이만큼 내려 앉고, 실었던 체중을 해제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
상기 시트 하부에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와 대략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 및 고정하며, 그 몸체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는 자세로 앉을 시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각각 받쳐주기 위한 발목받침부가 마련되어 있는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
상기 시트 하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의자 구조체 전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한편,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와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를 각각 고정시켜 주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몸체의 양측에 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는 자세로 앉을 시 사용자의 무릎을 각각 받쳐주기 위한 무릎받침대가 마련되어 있는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보조프레임의 양측 무릎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며, 운동의 강약 조절을 위한 타이머 및 카운터 기능, 라디오 및 MP3 기능, 음이온 발생 및 온열 기능 등을 구비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고, 도 4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100)는 시트(110), 팔걸이부재(115a)(115b),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120),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130), 메인 프레임(140) 및 보조 프레임(150), 콘트롤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110)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둔부 및 등 부위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시트(110)는 일반적인 사무용 의자의 시트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합성수지나 목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110)의 형태가 등받이 일체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둔부 받침부위와 등받이 부위가 각각 별개의 부재로 마련되어 등받이 부재가 둔부 부재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110)의 상면부에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착석감을 좋게 하고, 사용자가 시트에 앉았다 일어섰다 동작을 반복할 때 시트와 둔부와의 충격 및 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시트 보조카바(112)가 더 설치된다. 이 시트 보조카바(112)는 연질 발포성의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직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이 시트 보조카바(112)를 제작할 시 바람직하게는 그 표면에 맥반석, 운모, 규석, 황토, 게르마늄 등을 균일하게 코팅 처리한다. 이는 그와 같은 물질들이 인체에 기능적으로 작용하여 인체의 혈액 순환 및 신진 대사를 촉진하여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이다.
상기 팔걸이부재(115a)(115b)는 상기 시트(110)의 양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양팔을 받쳐주는 한편 착석 자세를 바르게 교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의자를 헬스 보조기구로 사용할 시 착석 및 기립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그때 사용자가 양 손으로 이 팔걸이부재(115a) (115b)를 잡음으로써 몸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팔걸이부재(115a)(115b)에는 사용자(특히, 허리디스크 환자)가 시트 (110)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의 몸체 전면부의 배 및 허리부위를 앞쪽에서 잡아줌으로써 허리를 곧게 편 채로의 착석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허리고정용 밴드(116)가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은 허리고정용 밴드(1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본체(116)와, 밴드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장치가 그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 팔걸이부재(115a)에 고정되는 롤몸체부(116r)와, 롤몸체부(116r)로부터 풀린 밴드를 타측 팔걸이부재(115b)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밴드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클립(116c)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클립(116c)의 고정을 위해 타측 팔걸이부재(115b)에는 고정클립 삽입용 홈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허리고정용 밴드(116)에는 사용자가 착석했을 시 사용자의 배부위에 좀 더 밀착하여 몸체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착석자세를 더욱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밀착판(116p)이 더 마련된다. 이 밀착판 (116p)은 인체의 배부위에 접촉시 인체와 보다 자연스럽게 접촉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소정 곡률을 갖는 곡면판재로 구성되며, 재질은 합성수지, 목재, 섬유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팔걸이부재(115a)(115b)의 대략 선단부에는 사용자가 시트(110)에 앉아 운동을 할 경우 양 손으로 잡음으로써 보다 안정된 자세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17a)(117b)가 각각 더 마련된다. 이 손잡이(117a)(117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접이식(힌지식) 구조로 구성되며, 평상시에는 접어서 팔걸이부재(115a)(115b)의 몸체 내부에 안장시키고, 운동할 시에 펴서(세워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120)는 시트(110) 하부에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시트(110)를 지지 및 고정하며, 사용자가 시트(110)에 앉아 체중을 실으면 일정 높이만큼 내려 앉고, 실었던 체중을 해제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120)는 일반 사무용 의자의 시트부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높이 조절용의 가스 압축식 실린더 장치와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축의 높낮이(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실린더 본체부(120a)와 그 실린더 본체부(120a)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높이(길 이) 조절용 레버부(120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 (120)는 높이(길이) 조절용 레버부(120b)가 시트(110)의 배면에 설치되는 시트받침편(114)에 고정되고, 실린더 본체부(120a)의 하단부는 메인 프레임(140)에 고정된다. 특히, 실린더 본체부(120a)의 소정 부위에는 사용자가 시트(110)에 체중을 실었다가 해제할 시, 시트(110)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되는 메인 프레임(140)에 설치되는 가이드봉(142) 및 스프링(144)과 함께 시트 탄성 복귀 수단을 이루는 가이드관(122)이 설치된다.
상기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130)는 시트(110) 하부에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120)와 대략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시트 (110)를 지지 및 고정하며, 그 몸체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는 자세로 앉을 시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각각 받쳐주기 위한 발목받침부(132a)(132b)가 마련된다. 이 발목받침부(132a)(132b)는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130)에 끼움식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데, 지지바(130)로부터 발목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충분한 충격흡수력을 갖는 재질(예컨대, 연질 발포성 합성수지, 합성고무, 스펀지 등)로 제작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40)은 시트(110) 하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의자 구조체 전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한편,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120)와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130)를 각각 고정시켜 준다. 즉, 상기 시트(110)의 하면부에 그 일단이 각각 고정된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120)와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130)의 타단을 각각 고정시켜 주는 것이다. 이 메인 프레임 (140)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120)의 실린더 본체부(120a)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관(122)과 함께 시트 탄성 복귀 수단을 이루는 것으로서, 가이드관(122)에 대응하는 가이드봉(142)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봉(142)에는 스프링(144)이 설치된다. 또한, 이 메인 프레임(140)의 몸체 후면부 양측에는 메인 프레임(140)이 바닥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체의 안착 상태를 안정되게 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구(146a)(146b)가 각각 설치된다. 이 미끄럼 방지구(146a)(146b)는 어느 정도의 탄성과 충격 완화 특성을 가지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고무 재질 정도면 무난하다.
상기 보조 프레임(150)은 메인 프레임(140)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몸체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는 자세로 앉을 시 사용자의 무릎을 각각 받쳐주기 위한 무릎받침대(152a)(152b)가 마련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보조 프레임(150)을 메인 프레임(140)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보조 프레임(150)과 메인 프레임(140)의 결합방식으로 볼트 체결 방식이 채용된다. 이를 위해 메인 프레임(140)의 결합측 단부는 사각관 형태로 구성되고, 그 사각관 내부로 철편 형태의 보조 프레임(150)의 결합측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54)를 체결함으로써 보조 프레임(150)이 메인 프레임(140)에 결합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볼트 체결 메커니즘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보조 프레임(150)의 메인 프레임(140)에의 결합 깊이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무릎받침대 (152a)(152b)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메인 프레임(140)과 보조 프레임(150)의 결합부에 각각 장공(140h)(150h)을 형성하여 볼트 (154)로 체결한다. 또한, 이 메인 프레임(140)과 보조 프레임(150)의 결합부위의 구조적인 취약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그 결합부위의 하부에 설치되어 결합부위를 받쳐주는 결합부 받침대(156)가 더 마련된다.
상기 무릎받침대(152a)(152b)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의자에 무릎을 꿇고 앉는 자세로 앉을 시 무릎을 받쳐주는 부위로, 사용자가 그 부위로부터 상대적인 접촉 압박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이 무릎받침대(152a)(152b)는 상기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130)의 발목받침부(132a)(132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충격흡수력을 갖는 재질(예컨대, 연질 발포성 합성수지, 합성고무, 스펀지 등)로 제작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그와 같은 재질에 옥이나 기타 원적외선이 발생될 수 있는 물질(재질)을 함께 혼합하여 제작한다. 이는 무릎 관절 부위가 좋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에 그것으로 인해 간접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 무릎받침대(152a)(152b)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시 열을 발생하는 전열선(미도시)이 내장된다. 이는 경우에 따라서는 무릎받침대(152a)(152b) 부위를 따뜻하게 해줌으로써 무릎 관절 부위에 대한 찜질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이와 같은 전열선은 후술되는 콘트롤러(160)의 온열 발생용 스위치(16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콘트롤러(160)는 상기 보조프레임(150)의 양측 무릎받침대(152a)(152b) 사이에 설치되며, 운동의 강약 조절을 위한 타이머 및 카운터 기능, 라디오 및 MP3 기능, 음이온 발생 및 온열 기능 등을 구비한다.
도 5는 이와 같은 콘트롤러(160)를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발췌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트롤러(160)에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체력 등에 따라 운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동시간의 설정 및 측정을 위한 타이머(161)와 운동 횟수의 측정을 위한 카운터(162)가 마련된다. 또한, 라디오 및 MP3 기능을 갖는 오디오부(163)와, 음이온 발생용 스위치(164) 및 음이온 발생부 (165), 온열 발생용 스위치(166)가 각각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161)와 카운터(162)는 각종 전기/전자 제품 등에 통상적으로 채용되어 숫자를 표시하는 일반적인 LED 계기(숫자)판 형태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그와 같은 타이머(161)와 카운터(162)의 측면부의 공간에는 인체의 하반부 골격 구조를 투시적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167)가 더 마련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67)에 표시되는 인체의 투시적 골격 이미지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사전에 이미지 처리하여 콘트롤러 내부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해 놓은 것으로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무릎의자를 의료용 혹은 헬스 보조기구로 사용할 시 자세교정을 위해 참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콘트롤러(160)의 동작을 위한 전원으로서는 콘트롤러(160) 몸체 내부에 건전지를 내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를 콘트롤러(160)의 몸체 내부에는 건전지의 내장을 위한 건전지 안착실(미도시)이 마련되고, 몸체의 외면부 소정 부위에는 외부의 전원 단자를 접속할 수 있는 접속홈(168)이 마련된다. 또한, 콘트롤러(160)의 몸체에는 외부의 기기로부터 특정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67)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용 접속홈(169)과,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네 트워크용 접속홈(170)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를 헬스 보조기구로 이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100)에 무릎을 꿇고 앉는 자세로 시트(110)에 앉는다. 이때, 무릎은 무릎받침대(152a)(152b) 부위에 위치시키고, 발목은 발목받침부(132a)(132b)에 의해 받쳐지도록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무릎꿇고 앉기 자세를 취함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이 시트(110)에 실리면서 시트(110)를 X자 형태로 받치고 있는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120)와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130)는 각각 어느 정도 밑으로 내려 앉으면서 시트(110)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110)가 어느 정도 내려 앉은 상태에서, 도 6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에 실었던 체중을 해제하면서 몸을 약간 일으켜 세워주면, 시트(110)와 함께 누름압력을 받고 있던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120)의 실린더 본체부(120a)가 스프링(1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를 구부린 상태로 자신의 다리의 힘만으로 몸 전체를 지탱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리의 근육들은 상당한 운동에 따른 수축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도 6a에서와 같이 앉음(sit-down) 자세를 취하면 수축되었던 다리의 근육은 일시적으로 풀리고, 그 상태에서 또 다시 도 6b에서와 같은 선(stand-up) 상태를 취하면 다리의 근육은 다시 수축되게 된다.
결국, 이상과 같이, 사용자가 시트(110)에 앉았다 일어섰다를 수십회 반복함 으로써 다리의 근육도 함께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되고, 그 결과 상당한 다리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일련의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현재의 체력 상태에 따라 콘트롤러(160)에 마련되어 있는 타이머(161)와 카운터 (162)의 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적절한 운동시간이나 운동횟수를 조절함으로써 최상의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는 기구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중량 또한 가벼워 설치 및 이동에 큰 어려움이 없이 사용자가 손쉽게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 사무실, 병원, 헬스 클럽은 물론, 항공기, 잠수함, 우주선 등과 같이 특정의 제한된 좁은 공간에서의 활용 효과가 클 것이다.
또한, 장시간 동안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에 본 발명의 무릎의자를 채용할 경우, 작업자의 다리가 완전히 접히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종래와 같이 장시간 동안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시의 다리 접힘에 의한 혈액순환 장애로 다리가 저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의 능률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둔부 및 등 부위를 받쳐주기 위한 시트;
    상기 시트의 양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양팔을 받쳐주는 한편 착석 자세를 바르게 교정해주기 위한 팔걸이부재;
    상기 시트 하부에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 및 고정하며, 사용자가 시트에 앉아 체중을 실으면 일정 높이만큼 내려 앉고, 실었던 체중을 해제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
    상기 시트 하부에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와 대략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 및 고정하며, 그 몸체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는 자세로 앉을 시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각각 받쳐주기 위한 발목받침부가 마련되어 있는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
    상기 시트 하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의자 구조체 전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한편,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와 시트 지지 및 발목받침용 지지바를 각각 고정시켜 주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몸체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는 자세로 앉을 시 사용자의 무릎을 각각 받쳐주기 위한 무릎받침대가 마련되어 있는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보조프레임의 양측 무릎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며, 운동의 강약 조절을 위한 타이머 및 카운터 기능, 라디오 및 MP3 기능, 음이온 발생 및 온열 기능 등을 구비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상면부에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착석감을 좋게 하고, 사용자가 시트에 앉았다 일어섰다 동작을 반복할 때 시트와 둔부와의 충격 및 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시트 보조카바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보조카바의 표면에는 맥반석, 운모, 규석, 황토, 게르마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균일하게 코팅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재에는 사용자가 시트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의 몸체 전면부의 배 및 허리부위를 앞쪽에서 잡아줌으로써 허리를 곧게 편 채로의 착석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허리고정용 밴드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고정용 밴드는 밴드 본체(116)와, 밴드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장치가 그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 팔걸이부재(115a)에 고정되는 롤몸체부(116r)와, 롤몸체부(116r)로부터 풀린 밴드를 타측 팔걸이부재(115b)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밴드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클립(116c)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고정용 밴드에는 사용자가 착석했을 시 사용자의 배부위에 좀 더 밀착하여 몸체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착석자세를 더욱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밀착판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재의 대략 선단부에는 사용자가 시트에 앉아 운동을 할 경우 양 손으로 잡음으로써 보다 안정된 자세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가 각각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접이식(힌지식)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는 축의 높낮이(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실린더 본체부와, 그 실린더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높이(길이) 조절용 레버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부의 소정 부위에는 사용자가 시트에 체중을 실었다가 해제할 시, 시트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시트 탄성 복귀 수단의 일 구성요소를 이루는 가이드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장치의 실린더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관과 함께 시트 탄성 복귀 수단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관에 대응하는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봉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몸체 후면부 양측에는 메인 프레임이 바닥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체의 안착 상태를 안정되게 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결합부위의 구조적인 취약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결합부위의 하부에 설치되어 결합부위를 받쳐주는 결합부 받침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는 무릎받침대는 충분한 충격흡수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되, 그와 같은 재질에 옥이나 기타 원적외선이 발생될 수 있는 물질(재질)이 함께 혼합되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15.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받침대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시 열을 발생하는 전열선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에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체력 등에 따라 운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동시간의 설정 및 측정을 위한 타이머와 운동 횟수의 측정을 위한 카운터, 라디오 및 MP3 기능을 갖는 오디오부와, 음이온 발생용 스위치 및 음이온 발생부, 온열 발생용 스위치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와 카운터의 측면부의 공간에는 인체의 하반부 골격 구조를 투시적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의 몸체에는 외부의 기기로부터 특정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용 접속홈과,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용 접속홈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KR1020040033873A 2004-05-13 2004-05-13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KR100588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873A KR100588101B1 (ko) 2004-05-13 2004-05-13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873A KR100588101B1 (ko) 2004-05-13 2004-05-13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316U Division KR200361231Y1 (ko) 2004-05-13 2004-05-13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120A KR20050109120A (ko) 2005-11-17
KR100588101B1 true KR100588101B1 (ko) 2006-06-14

Family

ID=3728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873A KR100588101B1 (ko) 2004-05-13 2004-05-13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4323C2 (en) 2018-05-22 2022-04-05 Native Bionics Scandinavia Ab Sitting furni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120A (ko)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983B2 (en) Ergonomic chair
US20080119338A1 (en) Body posture and physical fitness exercise device
CA2391048C (en) Rehabilitation chair
US20160023051A1 (en) Multipurpose yoga device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US20100323861A1 (en) Total abs office chair
KR101300822B1 (ko) 복근운동 보조기구
US10272289B2 (en) Lower extremity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enhanced leg mobility during lower body exercise
FI123644B (fi) Selän hoitolaite
US9616268B2 (en) Exercise cushion
JP4146414B2 (ja) 身体伸張器具
JP2022017841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JP3144423U (ja) 運動器具
KR100588101B1 (ko)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KR200361231Y1 (ko)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
KR100953220B1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KR20210094179A (ko) 운동 및 체형교정용 의료기구
KR102615718B1 (ko) 운동용 침대
JP3172700U (ja) 座椅子
JP5902857B1 (ja) 腹筋運動補助具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KR102570514B1 (ko) 마사지 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운동기구
JP2004016577A (ja) 健康維持を目的とする室内運動器具
JP3161619U (ja) 座椅子
JP3066001U (ja) 腰伸ば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