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860B1 -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860B1
KR102668860B1 KR1020230082907A KR20230082907A KR102668860B1 KR 102668860 B1 KR102668860 B1 KR 102668860B1 KR 1020230082907 A KR1020230082907 A KR 1020230082907A KR 20230082907 A KR20230082907 A KR 20230082907A KR 102668860 B1 KR102668860 B1 KR 102668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chair
support
coupling
elastic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Original Assignee
김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근 filed Critical 김대근
Priority to KR1020230082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마사지 기능 및 호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의자에 설치되어 인체의 허리부위를 가압 지지하는 등받이장치에 있어서, 둔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인체의 표준 둔부의 폭을 초과하는 길이로 양측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에 전측으로 굴곡 연장된 제1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의자의 시트부에 안착되는 제1지지부; 하단부가 각 상기 제1결합부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부; 양단이 각 상기 연장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허리부위를 감싸 지지하는 탄성시트로 구비되는 탄성벨트부; 및 한쌍의 상기 연장부 사이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의자의 등받이에 접촉 지지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탄성벨트부와 상기 등받이 사이가 이격되어 탄성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양단에 전측으로 굴곡 연장되어 한쌍의 상기 연장부의 각 상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backrest apparatus of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사지 기능 및 호환성이 개선된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인체 골격의 중추적인 골격으로, 우리 몸을 지탱하고 지지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구조로서 인대, 근육, 연골 등과 상호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우리 몸의 기둥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허리가 아픈 증세인 요통(腰痛)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인간이 진화하여 이족 보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숙명적인 질환으로서, 남녀노소에 구별 없이 전 인구의 약 80% 이상이 요통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통은 운동부족으로 허리 기능이 약화되거나 과다한 부하로 인해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경직 및 그에 따른 신경의 압박, 원활하지 못한 혈액순환, 요추부를 지지하는 근육과 인대의 연부조직 약화로 척추의 지지력이 감소하변서 발생하는 협착 및 그에 따른 신경의 압박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된다.
특히, 현대인들은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다. 예컨대, 운전을 한다던가 자동차나 비행기 등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이동하거나, 직장인, 학생 등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긴 현대인들은 장시간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이 척주에 많은 무리를 주어 척추나 허리에 관련된 많은 질병들이 유발되며 피로감을 느낀다.
이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포함된 의자가 일부 개시되었다. 이러한 의자의 허리 지지구조는 등받이의 하단 중앙부에 쿠션형태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지지구조는 실질적으로 상기 의자에 고정된 형태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등을 상기 지지구조에 정확하게 안착시키지 못하거나 자세를 바꾸는 경우 허리 지지 효과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의자와 별도로 구비되는 허리 지지장치가 일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허리 지지장치는 상기 의자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며, 그 사이즈가 획일적으로 양산되어 다양한 인체 및 의자 사이즈에 탄력적으로 호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허리 지지장치의 유동으로 인하여 허리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며, 허리 통증 완화 효과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어려웠다.
더욱이, 종래의 허리 지지구조 또는 허리 지지장치는 실질적으로 등의 하부만 제한적으로 접촉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상기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바람직한 착석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179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사지 기능 및 호환성이 개선된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자에 설치되어 인체의 허리부위를 가압 지지하는 등받이장치에 있어서, 둔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인체의 표준 둔부의 폭을 초과하는 길이로 양측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에 전측으로 굴곡 연장된 제1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의자의 시트부에 안착되는 제1지지부; 하단부가 각 상기 제1결합부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부; 양단이 각 상기 연장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허리부위를 감싸 지지하는 탄성시트로 구비되는 탄성벨트부; 한쌍의 상기 연장부 사이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의자의 등받이에 접촉 지지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탄성벨트부와 상기 등받이 사이가 이격되어 탄성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양단에 전측으로 굴곡 연장되어 한쌍의 상기 연장부의 각 상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연장부의 상하단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각도구속부가 포함된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벨트부는 한쌍의 상기 연장부 사이 폭을 초과하는 길이로 연장되되, 상기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탄성이 조절되도록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탄성벨트부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권취되어 중첩되도록 회전 조작되는 탄성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각도구속부를 통해 조절된 상기 연장부의 회전 각도가 구속 지지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의 일측으로부터 전측으로 돌설되어 각 상기 연장부의 후면측을 지지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탄성벨트부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결합되는 권취보빈과, 상기 권취보빈이 축방향으로 권취 회전되는 각도를 구속하도록 상기 권취보빈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구속부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걸림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각 상기 연장부는 상기 탄성조절수단이 구비되는 보조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와 상기 보조결합부의 일단은 보조힌지부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보조힌지부에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보조결합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벨트부의 전면부에 논슬립층이 적층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하단에 구비된 지지부의 각 전단부에 결합된 한쌍의 연장부에 양단이 체결된 탄성벨트부가 요추 상측을 가압 및 상측으로 견인하는 탄발력을 제공함으로써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 감소 및 추체 간의 이완을 통한 디스크 환자 등의 통증 및 증상 완화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연장부에 구비되는 탄성조절수단의 회전 조절을 통하여 탄성벨트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도조절수단을 통한 허리와의 경사각도까지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신체 및 증상에 최적화된 허리 가압력 및 견인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탄성벨트부의 전면에 형성된 논슬립층을 통해 탄성벨트부의 배치 위치 및 각도에 상관없이 허리와 접촉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탄성벨트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다양한 직물 형태로 교체 및 세척을 위한 분리가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 및 위생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에서 탄성벨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벨트부가 연장부에 권취된 상태에 대한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의 측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구속부에 대한 투영단면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의 길이조절수단에 대한 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들의 폭조절수단에 대한 단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의 측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에서 탄성벨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이하에서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100)와 등받이장치(100)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동일한 번호로 설명 및 도시한다. 상기 등받이장치(100)는 등받이가 있는 의자(1)에 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의자(1)에 착석시 허리부위를 가압 지지하면서 자세 교정 및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등받이장치(100)가 상기 의자(1)에 거치된다 함은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단순히 상기 의자(1)에 안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등받이장치(100)는 제1지지부(10), 연장부(40), 탄성벨트부(30) 및 제2지지부(2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1지지부(10)는 상기 등받이장치(100)의 하부 구조로, 상기 의자(1)의 시트부(3)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지지부(10)는 제1프레임(11) 및 제1결합부(12,1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프레임(11)은 인체의 표준 둔부의 폭을 초과하는 길이로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결합부(12,13)는 상기 제1프레임(11)의 양단으로부터 전측으로 굴곡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결합부(12,13)는 상기 제1프레임(11)의 양단에 상호 마주보게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10)는 상기 제1프레임(11)과 한쌍의 상기 제1결합부(12,13) 사이에 둔부 수용공간(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지지부(10)가 상기 시트부(3)에 안착되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자(1)에 착석시 상기 사용자의 둔부가 상기 둔부 수용공간(10a)을 통해 상기 시트부(3)에 간섭없이 착석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지지부(10)와 상기 사용자의 둔부가 이격됨에 따라 착석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0)는 기설정된 길이의 바(bar) 또는 관체의 양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0)는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바 또는 관체로 형성되며,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각 상기 연장부(40)는 하단부(41)가 각 상기 제1결합부(12,13)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각 상기 연장부(40)의 하단부(41)와 각 상기 제1결합부(12,13)의 전단부는 상호 힌지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벨트부(30)는 양단이 각 상기 연장부(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인체의 허리부위를 감싸 지지하는 탄성시트(31)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탄성시트(31)는 상기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용이하게 탄발 신장되면서도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허리부위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벨트부(30)는 상기 탄성시트(31)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허리를 가압함으로써 통증 완화 및 자세 교정 등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탄성시트(31)는 탄성,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직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판직물 또는 스판망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계절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탄성벨트부(30)를 통기성이 우수한 망사 형태 또는 보온감을 제공하는 직물 형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벨트부(30)는 상하폭이 상기 인체의 허리부분을 감싸 지지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연장된 길이는 한쌍의 상기 연장부(40)가 양측으로 이격된 이격간격을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벨트부(30)의 전면부에는 논슬립층(32)이 적층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슬립층(32)은 상기 탄성시트(31)의 전면부에 실리콘 코팅되어 형성되거나, 별도의 실리콘시트가 상기 탄성시트(31)의 전면부에 적층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벨트부(30)는 상기 논슬립층(32)의 밀착성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상기 탄성벨트부(30)가 상기 허리부위를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가압 지지함에 따라 자세 교정 및 마사지 효과가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탄성벨트부(30)에는 지압돌출부(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압돌출부(33)는 소정의 두께로 돌출된 블록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면부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탄성벨트부(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압돌출부(33)는 후술되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시트(31)와 상기 논슬립층(32) 사이에 형성되는 포켓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논슬립층(32)의 전면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압돌출부(33)는 쿠션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세라믹, 옥, 자석 등과 같은 기능성 소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압돌출부(33)는 척추/요추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복수개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척추/요추 주변의 지압 기능이 보강됨으로써 통증감소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압돌출부(33)가 양측으로 이격된 한쌍으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압돌출부(33)는 양측으로 이격되되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정렬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탄성벨트부(30)는 탄성보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보강밴드는 상기 탄성시트(31)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시트(31)의 폭방향 양단 또는 중앙부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보강밴드는 상기 탄성시트(31)의 상하폭보다 작은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보강밴드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탄성벨트부(30)가 상기 허리부위에 더욱 타이트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지압 및 견인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20)는 상기 등받이장치(100)의 상부 구조로, 상기 의자(1)의 등받이(2) 전면에 접촉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지지부(20)는 제2프레임(21) 및 제2결합부(22,2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프레임(21)은 한쌍의 상기 연장부(40) 사이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양측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상기 제1프레임(11)과 상기 제2프레임(21)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22,23)는 상기 제2프레임(21)의 양단으로부터 전측으로 굴곡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결합부(22,23)는 상기 제2프레임(21)의 양단에 마주보게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부(20)는 기설정된 길이의 바 또는 관체의 양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상기 제2결합부(22,23)의 전단부에 각 상기 연장부(40)의 상단부(42)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각 상기 연장부(40)의 상단부(42)와 상기 제2결합부(22,23)의 전단부는 상호 힌지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한쌍의 상기 제2결합부(22,23)와 각 상기 연장부(40)가 힌지 연결시 힌지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 상기 연장부(40)의 상단부(42)가 후향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40)의 상단부(42)가 후향 절곡되는 절곡부위가 제거된 절개부(도 5의 42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40)의 상단부가 후향 절곡되더라도 상기 허리부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10)가 상기 시트부(3)에 안착되고, 상기 제2프레임(21)이 상기 등받이(2)에 접촉 지지되면, 한쌍의 상기 연장부(40)는 상기 등받이(2)의 전측에 상기 제2결합부(22,23)의 수평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장부(40)에 결합된 상기 탄성벨트부(30)와 상기 등받이(2) 사이가 이격되면서 탄성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장치(100)가 거치된 상기 의자(1)에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면 상기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상기 탄성벨트부(30)의 전면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2) 측으로 기대면 상기 허리부위가 상기 탄성벨트부(30)에 밀착되며, 상기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탄성벨트부(30)가 상기 등받이(2) 측으로 탄발 신장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20)를 통해 상기 탄성벨트부(30)와 상기 등받이(2)가 이격되어 상기 탄성공간(s)이 확보되므로 상기 탄성벨트부(30)가 용이하게 탄발 신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벨트부(30)의 양단에 한쌍의 상기 연장부(40)에 결합되되 상기 탄성벨트부(30)의 후측으로 상기 탄성공간(s)이 확보됨에 따라 상기 탄성벨트부(30)가 후측으로 신장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등부터 옆구리까지 감싸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허리부분이 안정적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으며, 옆구리까지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사용자가 허리를 비틀거나 비스듬하게 앉는 등과 같이 자세를 변경시에도 상기 탄성벨트부(30)가 탄성을 통해 상기 허리부위를 감싸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사용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벨트부(30)는 탄발복원력을 갖는 탄성소재로 구비되므로,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허리부위가 전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자(1)에 착석시 등부분은 실질적으로 상기 탄성벨트부(30)에 지지된 상태이며, 상기 제1지지부(10) 및 상기 제2지지부(2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실질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벨트부(30)를 제외한 상기 등받이장치(100)의 다른 부품이 신체에 직접 접촉됨으로 인한 불편감 최소화되며, 사용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벨트부(30)는 후술되는 제1벨크로부(34,35) 및 제2벨크로부(45a,45b)를 통해 상기 연장부(4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벨트부(30)를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분리 및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의 등받이장치(100)를 여러 사람이 사용시 각 사용자에 따라 상기 탄성벨트부(3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위생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벨트부가 연장부에 권취된 상태에 대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벨트부(30)는 양단부의 후면측에 상기 제1벨크로부(34,35)가 구비되며, 한쌍의 상기 연장부(40) 사이 폭을 초과하는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0)에는 상기 탄성벨트부(30)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을 중첩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탄성조절수단(4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조절수단(44)이 한쌍의 상기 연장부(40)에 각각 일체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탄성조절수단(44)은 권취보빈(45)과 걸림부(47)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보빈(45)은 상기 탄성벨트부(30)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권취보빈(45)의 외주면에 상기 제1벨크로부(34,35)와 결합되는 상기 제2벨크로부(45a,45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보빈(45)에 상기 탄성벨트부(30)의 양단 중 일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보빈(45)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회전 조작되면, 상기 권취보빈(45)의 외주면에 상기 탄성벨트부(30)가 권취되어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보빈(45)에 상기 탄성벨트부(30)가 권취되면 한쌍의 상기 연장부(4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벨트부(3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탄성이 조절될 수 있다. 즉, 한쌍의 상기 연장부(4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벨트부(30)의 길이가 한쌍의 상기 연장부(40) 사이 간격과 대응하는 길이와 근접할수록 상기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권취보빈(45)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구속부(45c)가 복수개로 이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부(47)는 상기 권취보빈(45)이 축방향으로 권취 회전되는 각도를 구속하도록 상기 구속부(45c)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구조이며, 상기 권취보빈(45)의 일단측과 대응되는 상기 연장부(4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속부(45c)는 상기 권취보빈(45)의 일단 테두리에 상기 권취보빈(45)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교번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47)는 상기 연장부(40)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구속부(45c) 중 하나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권취보빈(45)의 회전 각도를 구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보빈(45)은 축회전 조작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조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권취보빈(45)이 상기 연장부(40)의 상단부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부(47)가 상기 구속부(45c)와 이격되어 걸림 구속이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권취보빈(45)이 회전 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보빈(45)이 상기 연장부(40)의 하단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부(47)가 상기 구속부(45c)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권취보빈(45)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권취보빈(45)의 타단측에는 상기 권취보빈(45)을 상기 연장부(40)의 하단부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권취보빈(45)의 회전 조작이 완료된 후 상기 걸림부(47)가 복수개의 상기 구속부(45c) 중 하나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된 상태가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보빈(45)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권취보빈(45)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핸들부(4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46)를 파지하여 상기 권취보빈(45)을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권취보빈(45)은 스위치로 제어되는 별도의 동력수단을 통해 승강 및 회전 동작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는,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구속부(45c)는 상기 권취보빈(45)의 내주면을 따라 반경 내측방향으로 교번 돌출된 톱니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47)는 상기 연장부(40)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 외측방향으로 교번 돌출되어 상기 구속부(45c)와 형합되는 톱니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탄성벨트부의 이웃하는 양단에 상호 후크 결합되는 후크 및 후크 걸이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후크 걸이는 상기 탄성벨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복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후크 및 후크 걸이를 대신하여 상기 탄성벨트부의 양단에 벨크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탄성벨트부의 양단이 상기 후크/후크 걸이 또는 상기 벨트로를 통해 중첩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탄성벨트부의 텐션이 조절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의 측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구속부에 대한 투영단면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장부(40)의 상하단부는 상기 제1결합부(12,13) 및 상기 제2결합부(22,23)와 각각 힌지부를 통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는 제1힌지부(14,15)와 제2힌지부(2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결합부(12,13)의 전단부 및 상기 연장부(40)의 하단부(41)는 상기 제1힌지부(14,15)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부(22,23)의 전단부 및 상기 연장부(40)의 상단부(42)는 상기 제2힌지부(24,25)를 통해 힌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부(14,15)와 상기 제2힌지부(24,25)는 상기 제1지지부(10) 및 상기 제2지지부(20)의 회전 각도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각도구속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힌지부(14,15)와 상기 제2힌지부(24,25)는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할 뿐 그 구조는 실질적으로 상호 대응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힌지부(14,15)를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힌지부(14)는 결합볼트부(16)와, 가압너트부(16b)와, 복수개의 와셔(16d,16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볼트부(16)는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 조작이 용이한 나비볼트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볼트부(16)의 나사부(16c)는 상기 연장부(40) 및 상기 제1결합부(12)의 두께의 합을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볼트부(16)의 나사부(16c)가 상기 연장부(40)의 하단부(41) 및 상기 제1결합부(12)에 형성된 결합공에 동시에 관통되면, 상기 가압너트부(16b)가 상기 나사부(16c)의 단부측에 나사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볼트부(16)의 헤드부(16a)와 상기 연장부(40) 사이, 상기 가압너트부(16b)와 상기 제1결합부(12,13) 사이에 상기 와셔(16d,16e)가 하나 이상 복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볼트부(16)와 상기 가압너트부(16b)의 체결력이 상기 와셔(16d,16e)의 면적에 대응하여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10)와 상기 연장부(40)가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힌지부(14)를 구성하는 부품 자체가 상기 각도구속부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볼트부(16)를 회전 조작하여 느슨하게 풀면, 상기 결합볼트부(16)의 나사부(16c)가 힌지축으로 기능하면서 상기 연장부(40)가 상기 나사부(16c)를 중심으로 전측 또는 후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힌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볼트부(16)를 죄어 상기 헤드부(16a) 및 상기 가압너트부(16b) 사이에 상기 연장부(40)의 하단부(41)와 상기 제1결합부(12)가 클램핑 가압 고정되면 상기 연장부(40)의 힌지 회전 각도가 구속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연장부(40)와 상기 제1결합부(12)간의 회동 각도를 구속하기 위한 톱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볼트부(16)를 죄어 결합시 상기 톱니부의 맞물림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탄성벨트부(30)를 통해 상기 연장부(40)에 전달되더라도 상기 연장부(40)가 후측으로 불필요하게 회동됨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톱니부는 상기 연장부(40)와 상기 제1결합부(12)의 대향면 또는 상기 연장부(40), 상기 제1결합부(12) 및 상기 와셔(16d,16e) 간의 대향면에 방사형으로 이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톱니부는 상기 제1결합부(12) 또는 상기 연장부(40)의 반원형 단부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된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톱니부의 대향측 구조에 톱니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연장부(40)가 상기 제1힌지부(14,15)를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면, 상기 연장부(40)의 경사각도에 따라 상기 탄성벨트부(30)의 경사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2)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연장부(40)와 상기 제1결합부(12,13)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상기 탄성벨트부(30)와 상기 허리부위 사이의 각도가 커지면서 상기 탄성벨트부(30)가 상기 사용자의 요추부위를 가압 및 상측으로 견인하도록 감싸 배치되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등받이장치(100)는 상기 허리부위를 지압할 뿐만 아니라 요추부위를 상측으로 견인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한편 좁아진 추체 사이의 간격을 넓혀줌으로써 요추부위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크 환자 등의 허리 통증 및 증상 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각도구속부가 상기 제1힌지부(14)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힌지부(24)에도 구비되므로, 상기 연장부(40)와 상기 제1지지부(10)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지지부(20)와의 각도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힌지부(14)에 구비된 상기 결합볼트부(16)를 조작하여 상기 연장부(40)가 후측으로 경사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힌지부(24)에 구비된 상기 결합볼트부를 조작하여 상기 연장부(40)가 경사진 각도에 따른 상기 제2지지부(20)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등받이(2)와 상기 제2지지부(20)가 접촉될 수 있는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장부(40)와 상기 제1지지부(10) 간의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연장부(40)와 상기 제2지지부(20) 간의 각도는 작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연장부(40)의 각도를 상기 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증상 및 통증 정도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힌지부(14,15)와 상기 제2힌지부(24,25)는 상기 결합볼트부(16)를 조임 및 풀림 조작하여 상기 제1지지부(10)와 상기 제2지지부(20)가 한쌍의 상기 연장부(40) 사이에 실질적으로 중첩되도록 접철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등받이장치(100)를 미사용시 컴팩트한 사이로 접어 좁은 공간에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하므로 공간활용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10)에는 상기 연장부(40)의 후면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결합부(12)의 일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설된 스토퍼부(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부(17)는 베이스부(17a)와 승강돌기부(1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7a)는 전측으로 개구된 나사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돌기부(17b)는 일측의 나사산이 상기 나사홈부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돌기부(17b)가 나사 체결된 깊이에 따라 상기 승강돌기부(17b)와 상기 연장부(40) 사이의 이격 각도/간격이 조절된 상태가 구속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도구속부를 통해 조절된 상기 연장부(40)의 회전 각도가 상기 스토퍼부(17)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탄성벨트부(30)를 통해 상기 연장부(40)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연장부(40)가 상기 등받이(2) 측으로 불필요하게 회동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17)를 통해 상기 연장부(40)의 최대 경사각도가 제한됨에 따라 상기 탄성벨트부(30)와 상기 등받이(2) 사이의 상기 탄성공간(s)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의 길이조절수단에 대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3과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부(40,140)에는 상기 탄성벨트부(3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43,1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수단(43,143)은 상기 권취보빈(45)의 내주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1연장바(43a,143a)와, 상기 제1연장바(43a,143a)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2연장바(40a,14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47)가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제1연장바(43a,143a)의 외주일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바(43a,143a)의 내주에 상기 제2연장바(40a,140a)의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되 후술되는 걸림구조를 통해 걸림 구속되면 상기 길이조절수단(43,143)을 통한 상기 연장부(40,14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장바(43a)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삽입홀(43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바(40a)에는 복수개의 상기 삽입홀(43b) 중 적어도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통홀(43e)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장바(40a)는 중공형 관체로 구비되되 상기 제2연장바(40a)의 내측에는 일단측에 구속돌기(43d)가 돌설된 U자형 스프링(43c)이 내삽될 수 있다.
상기 구속돌기(43d)가 상기 제2연장바(40a)의 내주면에 접촉되면 상기 U자형 스프링(43c)은 압축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바(43a) 및 상기 제2연장바(40a) 간의 승강 이동시 상기 삽입홀(43b)과 상기 연통홀(43e)이 연통되면 상기 구속돌기(43d)가 상기 U자형 스프링(43c)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삽입홀(43b)과 상기 연통홀(43e)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길이조절수단(43)을 상기 연장부(4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연장바(14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삽입홈(143b)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바(143a)에는 상기 제1연장바(143a)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상기 구속돌기(143d)가 돌설된 탄성바(143c)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속돌기(143d)가 상기 제2연장바(140a)의 외주면에 접촉되면 상기 탄성바(143c)가 상기 연장부(40)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탄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바(143a)와 상기 제2연장바(143a)의 승강 이동시 상기 구속돌기(143d)와 상기 삽입홈(143b)의 위치가 대응되면 상기 구속돌기(143d)가 상기 삽입홈(143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길이조절수단(143)을 통한 상기 연장부(14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길이조절수단(43,143)을 통해 상기 연장부(40,1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연장부(40,140)에 결합된 상기 탄성벨트부(30)의 높이까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개인별 신체 사이즈 및 증상에 맞게 상기 탄성벨트부(3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들의 폭조절수단에 대한 단면예시도이다. 이때, 상기 폭조절수단(218)은 상기 제1지지부(210)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제1지지부(210)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는 상기 폭조절수단(218)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폭조절수단(218)이 상기 제1지지부(210)에 구비된 것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210)는 중공형 관체로 구비되되, 일측지지부(211a) 및 타측지지부(211b)로 양측으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폭조절수단(218)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일측에 회전지지부(218b)가 돌설되고 타측에 나사연장부(218c)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지지부(218b)와 상기 나사연장부(218c) 사이에 회전그립부(21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지지부(218b)에는 상기 일측지지부(211a)의 내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설된 걸림단턱(211c)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홈부(218d)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연장부(218c)는 상기 타측지지부(211b)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그립부(218a)를 회전 조작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일측지지부(211a)와 상기 타측지지부(211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둔부 수용공간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가변 조절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의 측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결합부(348)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각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탄성조절수단(344)이 구비되는 보조결합부(3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조절수단(344)은 상기 연장부(340)와 별도로 구비되는 상기 보조결합부(348)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340)와 상기 보조결합부(348)의 일단은 보조힌지부(349)를 통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힌지부(349)에는 상기 연장부(340)와 상기 보조결합부(348)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힌지부(349)와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전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 그리고 이에 포함된 상기 각도구속부와 대응되므로 그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결합부(348)의 일단에는 링크연결부(348a)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연결부(348a)의 전단이 상기 보조결합부(348)와 힌지 체결되고, 상기 링크연결부의 후단이 상기 연장부(340)의 상단부에 힌지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힌지부(349)는 상기 링크연결부(348a)의 전단과 상기 보조결합부(348)를 힌지 체결하는 제1보조힌지부(349a) 및 상기 링크연결부(348a)의 후단과 상기 연장부(340)의 상단부를 힌지 체결하는 제2보조힌지부(349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탄성벨트부(330)가 상기 연장부(340)와 별도로 구비되는 상기 보조결합부(348)에 결합되면, 상기 탄성벨트부(330)의 각도를 조절시 상기 제1지지부(310) 및 상기 제2지지부(320)까지 각도를 변형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340)에 구비되는 상기 길이조절수단(343)이 상기 탄성조절수단(344)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장부(340)에 다양한 조절수단이 밀집됨으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해지고 내구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310)에는 쿠션패드(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쿠션패드(350)는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310)의 둔부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부(3)가 딱딱한 의자(1)에 상기 등받이장치(300)를 적용시 쿠션감을 통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쿠션패드(350)를 통해 상기 등받이장치(300)는 상기 의자뿐만 아니라 벽 등과 같이 상기 제2지지부(320)가 접촉 지지될 수 있는 수직벽부가 구비된 다양한 공간에서 허리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장부(340)의 하단부(341)에 지지패드(34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장부(340)의 하단부(341)가 상기 의자(1)의 시트부(3)에 직접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340)의 하단부(341)에 구비되는 상기 제1힌지부(314) 등의 돌출 구조로 인하여 상기 시트부(3)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의자 2: 시트부
3: 등받이 10: 제1지지부
11: 제1프레임 12,13: 제1결합부
14,15: 제1힌지부 20: 제2지지부
21: 제2프레임 22,23: 제2결합부
24,25: 제2힌지부 30: 탄성벨트부
31: 탄성시트 32: 논슬립층
40: 연장부 44: 탄성조절수단
45: 권취보빈 47: 걸림부
100: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Claims (5)

  1. 의자에 설치되어 인체의 허리부위를 가압 지지하는 등받이장치에 있어서,
    둔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인체의 표준 둔부의 폭을 초과하는 길이로 양측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에 전측으로 굴곡 연장된 제1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의자의 시트부에 안착되는 제1지지부;
    하단부가 각 상기 제1결합부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부;
    양단이 각 상기 연장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허리부위를 감싸 지지하는 탄성시트로 구비되는 탄성벨트부;
    한쌍의 상기 연장부 사이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의자의 등받이에 접촉 지지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탄성벨트부와 상기 등받이 사이가 이격되어 탄성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양단에 전측으로 굴곡 연장되어 한쌍의 상기 연장부의 각 상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연장부의 상하단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각도구속부가 포함된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벨트부는 한쌍의 상기 연장부 사이 폭을 초과하는 길이로 연장되되, 상기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탄성이 조절되도록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탄성벨트부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권취되어 중첩되도록 회전 조작되는 탄성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각도구속부를 통해 조절된 상기 연장부의 회전 각도가 구속 지지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의 일측으로부터 전측으로 돌설되어 각 상기 연장부의 후면측을 지지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탄성벨트부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결합되는 권취보빈과,
    상기 권취보빈이 축방향으로 권취 회전되는 각도를 구속하도록 상기 권취보빈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구속부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걸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연장부는 상기 탄성조절수단이 구비되는 보조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와 상기 보조결합부의 일단은 보조힌지부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보조힌지부에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보조결합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벨트부의 전면부에 논슬립층이 적층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KR1020230082907A 2023-06-27 2023-06-27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KR10266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907A KR102668860B1 (ko) 2023-06-27 2023-06-27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907A KR102668860B1 (ko) 2023-06-27 2023-06-27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8860B1 true KR102668860B1 (ko) 2024-05-22

Family

ID=9132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907A KR102668860B1 (ko) 2023-06-27 2023-06-27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88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797Y1 (ko) 2000-03-10 2000-08-16 길영옥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440058Y1 (ko) * 2006-12-21 2008-05-28 글로벌모닝스타홀딩스(주) 형상가변식 매트
JP3200258U (ja) * 2015-05-15 2015-10-15 準 中澤 椅子の背もたれに取り付ける書類収納ポケット
KR20190050548A (ko) * 2017-11-03 2019-05-13 전명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용 등받이
KR20210025178A (ko) * 2019-08-27 2021-03-09 주식회사 이앤지 의자용 착탈식 요추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797Y1 (ko) 2000-03-10 2000-08-16 길영옥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440058Y1 (ko) * 2006-12-21 2008-05-28 글로벌모닝스타홀딩스(주) 형상가변식 매트
JP3200258U (ja) * 2015-05-15 2015-10-15 準 中澤 椅子の背もたれに取り付ける書類収納ポケット
KR20190050548A (ko) * 2017-11-03 2019-05-13 전명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용 등받이
KR20210025178A (ko) * 2019-08-27 2021-03-09 주식회사 이앤지 의자용 착탈식 요추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2792B2 (ja) 腰椎支持座布団
US6626494B2 (en) Chair and method for correcting an improper alignment of spinal vertebrae
US7285102B1 (en) Dual use massage chair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WO2007139365A1 (en)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and traction and massage function
JP6080036B2 (ja) 腰痛改善器
KR20150025851A (ko) 체중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용 좌석 걸이장치
KR102668860B1 (ko)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JP2009045365A (ja) 姿勢補助椅子
NO20170920A1 (en) Back rest to be used with seat or chair
JP2006095262A (ja) クッション
JP3137036U (ja) 椅子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KR101313685B1 (ko)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KR200357018Y1 (ko) 허리 교정용 의자
JP3836857B2 (ja) 整体装置
KR200456599Y1 (ko) 척추 받침대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JP2003052486A (ja) 椅 子
JP2008073276A (ja) 骨盤クッション
JP3022144U (ja) 椅 子
KR102283973B1 (ko) 골반 교정용 의자
KR102359635B1 (ko) 요추지지방석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CN215899267U (zh) 一种靠睡支架
KR102691859B1 (ko) 거꾸로가 아닌 바른 자세로 척추를 교정하여 허리 디스크를 치료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