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046B1 -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046B1
KR102369046B1 KR1020210055046A KR20210055046A KR102369046B1 KR 102369046 B1 KR102369046 B1 KR 102369046B1 KR 1020210055046 A KR1020210055046 A KR 1020210055046A KR 20210055046 A KR20210055046 A KR 20210055046A KR 102369046 B1 KR102369046 B1 KR 10236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d
partial electrode
user
muscle
glute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파메딕
주식회사 팩토리얼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파메딕, 주식회사 팩토리얼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파메딕
Priority to KR102021005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Abstract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위치하는 상기 사용자의 대둔근에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는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대둔근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상기 몸체부에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2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상기 대둔근 전극패드들 중 일부-이하 제1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제1부분에 마련되고, 다른 일부-이하 제2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바닥면에 놓이는 몸체부를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2부분을 포함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에 의해 강화되는 대둔근이 디바이스의 몸체부에 짓눌리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엉덩이근육 강화의 실효성을 높이고 신체 라인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training device for hip muscle}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사용자의 대둔근을 강화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저주파 자극 즉, 저주파펄스를 활용하여 신체에 반복적인 전기자극을 가함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도모하는 저주파 자극 활용의 치료 장치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치료기는 저주파펄스 발생장치를 가지는 거치대 상에 사용자가 좌식으로 앉아 치료부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등 다양한 구성과 전기적 신호의 처리를 이용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종래의 치료기의 경우 거치대 상에 사용자가 좌식으로 앉아 치료부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강화되는 근육이 거치대에 짓눌림으로써 강화의 실효성이 낮거나 강화되는 근육의 형상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저주파 자극을 활용하여 근육을 강화하는 기술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KR 제10-1963175호 "전기자극과 LED 광역학 치료 방식을 이용한 요실금 및 변실금 치료용 괄약근 강화 장치" 등이 있다. 종래기술 역시 사용자가 좌식으로 앉아 치료부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강화되는 근육이 거치대에 짓눌림으로써 강화의 실효성이 낮거나 강화되는 근육의 형상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바닥면에 놓이는 몸체부를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2부분을 포함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에 의해 강화되는 대둔근이 디바이스의 몸체부에 짓눌리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엉덩이근육 강화의 실효성을 높이고 신체 라인을 교정할 수 있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대둔근에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는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대둔근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상기 몸체부에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2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상기 대둔근 전극패드들 중 일부-이하 제1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제1부분에 마련되고, 다른 일부-이하 제2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엉덩이 근육 강화용 디바이스는 누운 상태의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위치하는 상기 사용자의 대둔근에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는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대둔근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상기 몸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상기 대둔근 전극패드들 중 일부-이하 제1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제1부분에 마련되고, 다른 일부-이하 제2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기 엉덩이 부분의 엉덩이 만곡점은 상기 제1부분전극패드와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좌측부분 및 제1우측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2좌측부분 및 제2우측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전극패드 중 일부 및 다른 일부는 각각 상기 제1좌측부분 및 상기 제1우측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중 일부 및 다른 일부는 각각 상기 제2좌측부분 및 상기 제2우측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부분에 마련되는 상기 제1부분전극패드 중 상기 일부-이하 제1좌측부분전극패드라 함- 및 상기 제2좌측부분에 마련되는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중 상기 일부-이하 제2좌측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 대둔근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우측부분에 마련되는 상기 제1부분전극패드 중 상기 다른 일부-이하 제1우측부분전극패드라 함- 및 상기 제2우측부분에 마련되는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중 상기 다른 일부-이하 제2우측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 대둔근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과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1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기준거리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뼈(sacral breadth) 너비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기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기시부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 및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좌측양분라인 및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 및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우측양분라인 사이의 거리는 제1이격거리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이격거리는 상기 좌측양분라인이 경유하는 상기 제1좌측부분 또는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와 상기 우측양분라인이 경유하는 상기 제1우측부분 또는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 사이의 최장거리, 최단거리, 평균 거리 또는 중간 거리로부터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이격거리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뼈(sacral breadth) 너비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과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2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과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3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기준거리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기시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정지부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기준거리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기시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정지부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기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기시부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정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정지부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 및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제1수평라인 및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 및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제2수평라인 사이의 거리는 제2이격거리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이격거리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상기 기시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상기 정지부 사이의 거리-이하 좌측대둔근 거리라 함-, 상기 우측 대둔근의 상기 기시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상기 정지부 사이의 거리-이하 우측대둔근 거리라 함- 또는 상기 좌측대둔근 거리와 상기 우측대둔근 거리의 평균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체부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할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만곡점은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와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할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상기 엉덩이 만곡점은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와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는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에 작용하여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를 지지하고,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를 승하강시키거나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의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부분의 저면부는 상기 제2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상향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바닥면에 놓이는 몸체부를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2부분을 포함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에 의해 강화되는 대둔근이 디바이스의 몸체부에 짓눌리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엉덩이근육 강화의 실효성을 높이고 신체 라인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제2부분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통하여 제2부분전극패드를 지지하고,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를 승하강시키거나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대둔근에 인가되는 저주파 자극에 의하여 상기 대둔근이 수축하더라도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와의 밀착력이 감소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와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사이의 접촉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몸체부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대둔근에 인가되는 저주파 자극에 의하여 상기 대둔근이 수축하더라도 제2부분전극패드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와의 밀착력이 감소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와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사이의 접촉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몸체부의 제1부분의 저면부를 제2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상향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부분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제1부분이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사용자 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대둔근에 인가되는 저주파 자극에 의하여 상기 대둔근이 수축하더라도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와의 밀착력이 감소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와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사이의 접촉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엉덩뼈를 포함하는 인체의 골격과 골격에 부착된 대둔근, 중둔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엉덩뼈를 포함하는 인체의 골격과 골격에 부착된 대둔근, 중둔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인체의 골격 중에서 엉덩뼈를 포함하는 부분을 일부 발췌한 골격 모습이며, (b)는 인체의 골격에 부착된 엉덩이근육 중에서 대둔근, 중둔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상기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로서 육각형의 전극패드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대둔근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한 상기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의 형상, 면적, 재료, 개수 등에는 그 제한이 없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인체의 골격 중에서 엉덩뼈에 부착된 대둔근에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이 대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에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에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는 몸체부 및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지지부재(130),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는 사용자(10)의 엉덩이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에는 사용자(10)가 누운 상태에서의 사용자(10)의 상기 엉덩이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몸체부에는 사용자(10)가 앉은 상태에서의 사용자(10)의 상기 엉덩이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제1부분(112a, 112b), 제2부분(114a, 114b) 및 탄성연결부(116)를 포함하는 상기 몸체부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부분(112a, 112b)과 제2부분(114a, 114b)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연결부(116)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은 상기 몸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10)의 대둔근(A1, A2)에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한다. 상기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부와 분리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일부는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몸체부와 분리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10)의 대둔근(A1, A2)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한 상기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도면에는 상기 몸체부에 마련된 4개의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이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몸체부와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둔근 전극패드들(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4개의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을 활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를 한정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일례로,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은 사용자(10)의 대둔근(A1, A2)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상기 몸체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바닥면(20)을 기준으로 바닥면(10)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바닥면(20)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 중 일부는 상기 제1부분에 마련되고,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부분에 마련되는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을 제1부분전극패드(122a, 122b)라 칭하고,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되는 대둔근 전극패드들(124a, 124b)을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몸체부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 4개의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이 예시되어 있으나, 사용자(10)의 대둔근(A1, A2)에 상기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한 상기 대둔근 전극패드들의 개수는 제한이 없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선(30)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좌측부분(112a) 및 제1우측부분(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선(30)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2좌측부분(114a) 및 제2우측부분(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전극패드(122a, 122b) 중 일부(122a) 및 다른 일부(122b)는 각각 제1좌측부분(112a) 및 제1우측부분(112b)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 중 일부(124a) 및 다른 일부(124b)는 각각 제2좌측부분(114a) 및 제2우측부분(114b)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1좌측부분(112a), 제1우측부분(112b), 제2좌측부분(114a) 및 제2우측부분(114b)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제1부분전극패드(122a), 제1부분전극패드(122b), 제2부분전극패드(124a) 및 제2부분전극패드(124b)가 예시되어 있으나, 사용자(10)의 대둔근(A1, A2)에 상기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한 이들 각각의 개수는 제한이 없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좌측부분(112a), 제1우측부분(112b), 제2좌측부분(114a) 및 제2우측부분(114b)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제1부분전극패드(122a), 제1부분전극패드(122b), 제2부분전극패드(124a) 및 제2부분전극패드(124b)를 활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를 한정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일례로, 제1좌측부분(112a)에 마련되는 제1부분전극패드(122a, 122b) 중 일부(122a) 및 제2좌측부분(114a)에 마련되는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 중 일부(124a)는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이하 제1좌측부분(112a)에 마련되는 제1부분전극패드(122a, 122b) 중 일부(122a)를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라 칭하고, 제2좌측부분(114a)에 마련되는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 중 일부(124a)를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라 칭하기로 한다.
도면에는 제1좌측부분(112a) 및 제2좌측부분(114a)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 및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가 예시되어 있으나,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상기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한 이들 각각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1우측부분(112b)에 마련되는 제1부분전극패드(122a, 122b) 중 다른 일부(122b) 및 제2우측부분(114b)에 마련되는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 중 다른 일부(124b)는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이하 제1우측부분(112b)에 마련되는 제1부분전극패드(122a, 122b) 중 다른 일부(122b)를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라 칭하고, 제2우측부분(114b)에 마련되는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 중 다른 일부(124b)를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라 칭하기로 한다.
도면에는 제1우측부분(112b) 및 제2우측부분(114b)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 및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가 예시되어 있으나,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상기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한 이들 각각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선(30)을 기준으로 각각 양분되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되는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 중에서 제1좌측부분(112a) 및 제2좌측부분(114a)에 각각 마련되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 및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를 통하여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선(30)을 기준으로 각각 양분되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되는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 중에서 제1우측부분(112b) 및 제2우측부분(114b)에 각각 마련되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 및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를 통하여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 및 우측 대둔근(A2)에 선택적으로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적어도 일부 및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 및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대향할 수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면적의 중심과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L1, 도 4 참조)는 제1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기준거리는 사용자(10)의 엉덩뼈(sacral breadth) 너비(SB, 도 3 참조)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준거리는 예로서 사용자(10)의 엉덩뼈(sacral breadth) 너비(SB, 도 3 참조)일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에 위치할 경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피부를 경유하여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대향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대향할 수 있다.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대향하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면적의 중심과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대향하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 L1을 상기 제1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 또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거리 L1은 이들 중 서로가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면적의 중심과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거리 L1은 복수개의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면적의 합의 중심과 복수개의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의 합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거리 L1은 예로서 복수개의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면적의 합의 중심을 지나며 몸체부의 중심선(30)에 평행한 선과 복수개의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의 합의 중심을 지나며 몸체부의 중심선(30)에 평행한 선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상기 면적의 중심과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상기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인 L1을 상기 제1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함으로써 본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 및 우측 대둔근(A2)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경우에 상호간의 간섭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 및 우측 대둔근(A2)에 저주파 자극을 효과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적어도 일부 및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기시부(A11) 및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기시부(A21)에 대향할 수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면적 및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좌측양분라인(40a)과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 및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우측양분라인(40b) 사이의 거리는 제1이격거리(40)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격거리(40)는 좌측양분라인(40a)이 경유하는 제1좌측부분(112a) 또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와 우측양분라인(40b)이 경유하는 제1우측부분(112b) 또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 사이의 최장거리, 최단거리, 평균 거리 또는 중간 거리로부터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격거리(40)는 사용자(10)의 엉덩뼈(sacral breadth) 너비(SB, 도 3 참조)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제1이격거리(40)는 예로서 사용자(10)의 엉덩뼈(sacral breadth) 너비(SB, 도 3 참조)일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에 위치할 경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피부를 경유하여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대향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대향할 수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상기 면적 및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상기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좌측양분라인(40a)과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상기 면적 및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상기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우측양분라인(40b) 사이의 거리를 제1이격거리(40) 이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달리,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 또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개로 마련되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 또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의 합을 양분하는 좌측양분라인(40a)과 우측양분라인(40b) 사이의 거리를 제1이격거리(40) 이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상기 면적 및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상기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좌측양분라인(40a)과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상기 면적 및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상기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우측양분라인(40b) 사이의 거리를 제1이격거리(40) 이상으로 마련함으로써 본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 및 우측 대둔근(A2)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경우에 상호간의 간섭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 및 우측 대둔근(A2)에 저주파 자극을 효과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준거리 또는 제1이격거리(40)의 기준이 되는 사용자(10)의 엉덩뼈 너비(SB)는 예로서 사용자(10)의 연령, 성별, 나이, 인종 등에 따른 평균 엉덩뼈 너비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준거리 또는 제1이격거리(40)는 평균 등의 방식으로 산출된 사용자(10)의 엉덩뼈 너비(SB)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대한방사선과 학회지에 등재된 논문인 "성별과 나이에 따른 골반 형태 변화와 골반변위-방사선영상을 이용한 골반계측-"에 따르면 국내 성인 남녀의 엉덩뼈 너비는 남자의 경우 97.76mm±6.07이며, 여자의 경우 102.00mm±7.69로 나타났다. 논문에 따르면, 194명의 성인 남자, 188명의 성인 여자를 대상으로 측정이 진행되었으며, 이들의 평균 나이는 약 49.8세였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 다양한 연령대, 인종 등에 적용됨을 고려할 때,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상기 면적의 중심과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상기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인 L1 또는 제1이격거리(40)은 약 80mm 이상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적어도 일부 및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대향할 수 있다.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적어도 일부 및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대향할 수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면적의 중심과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L2, 도 4 참조)는 제2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의 중심과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L3, 도 4 참조)는 제3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기준거리는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기시부(A11)와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정지부(A12)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기준거리는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기시부(A21)와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정지부(A22)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대둔근(A1, A2)의 기시부(A11, A21)는 천골후면, 장골, 장골 상둔선이며, 정지부(A12, A22)는 둔근조면, 장경인대로 통상 지칭된다. 상기 제2기준거리는 예로서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기시부(A11)와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정지부(A12) 사이의 거리의 ½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기준거리는 예로서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기시부(A21)와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정지부(A22) 사이의 거리의 ½로 정의될 수 있다.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에 위치할 경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피부를 경유하여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대향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대향할 수 있다.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대향하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면적의 중심과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 L2를 상기 제2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 또는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거리 L2는 좌측 대둔근(A1)의 기시부(A11)에 대향하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면적의 중심과 좌측 대둔근(A1)의 정지부(A12)에 대향하는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좌측 대둔근(A1)의 기시부(A11)에 대향하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 또는 좌측 대둔근(A1)의 정지부(A12)에 대향하는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가 복수개일 경우에는 상기 L2는 이들 각각의 중심 사이의 거리의 평균, 중간값 등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에 위치할 경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피부를 경유하여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대향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대향할 수 있다.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대향하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의 중심과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 L3를 상기 제3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 또는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거리 L3은 우측 대둔근(A2)의 기시부(A21)에 대향하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의 중심과 우측 대둔근(A2)의 정지부(A22)에 대향하는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우측 대둔근(A2)의 기시부(A21)에 대향하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 또는 우측 대둔근(A2)의 정지부(A22)에 대향하는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가 복수개일 경우에는 상기 L3은 이들 각각의 중심 사이의 거리의 평균, 중간값 등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상기 면적의 중심과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상기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인 L2를 상기 제2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이 인가될 때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이 효과적으로 자극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상기 면적의 중심과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상기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인 L3를 상기 제3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이 인가될 때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이 효과적으로 자극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적어도 일부 및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기시부(A11) 및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기시부(A21)에 대향할 수 있다.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적어도 일부 및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정지부(A12) 및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정지부(A22)에 대향할 수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면적 및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제1수평라인(50a) 및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면적 및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제2수평라인(50b) 사이의 거리는 제2이격거리(50)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이격거리(50)는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기시부(A11)와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정지부(A12) 사이의 거리-이하 좌측대둔근 거리라 함-,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기시부(A21)와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정지부(A22) 사이의 거리-이하 우측대둔근 거리라 함- 또는 상기 좌측대둔근 거리와 상기 우측대둔근 거리의 평균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제2이격거리(50)는 예로서 사용자(10)의 상기 좌측대둔근 거리와 상기 우측대둔근 거리의 평균의 ½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에 위치할 경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피부를 경유하여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기시부(A11)에 대향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의 정지부(A12)에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가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에 위치할 경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피부를 경유하여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기시부(A21)에 대향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의 정지부(A22)에 대향할 수 있다.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의 상기 면적 및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상기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제1수평라인(50a)과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상기 면적 및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상기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제2수평라인(50b) 사이의 거리는 제2이격거리(50) 이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달리,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 또는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개로 마련되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 또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 각각의 면적의 합을 양분하는 제1수평라인(50a)과 복수개로 마련되는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 또는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 각각의 면적의 합을 양분하는 제2수평라인(50b) 사이의 거리를 제2이격거리(50) 이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제1수평라인(50a)과 제2수평라인(50b) 사이의 거리를 제2이격거리(50) 이상으로 마련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이 인가될 때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 및 우측 대둔근(A2) 각각의 기시부(A11, A21) 및 정지부(A12, A22)에 저주파 자극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 및 우측 대둔근(A2)이 효과적으로 자극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제공하는 인체표준정보 중 엉덩이 수직길이를 참고하면, 국내 성인 남녀의 엉덩이 수직길이는 남자의 경우 약 261mm, 여자의 경우 약 231mm로 나타났다. 3187명의 성인 남자, 3221명의 성인 여자를 대상으로 측정이 진행되었으며, 이들의 연령대는 16세 ~ 69세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 다양한 연령대, 인종 등에 적용됨을 고려할 때, L2와 L3 또는 제2이격거리(50)는 약 100mm 이상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여성을 기준으로 할 경우 대둔근의 상부와 하부를 1/2로 나누어 대둔근 전극 패드를 상기 몸체부에 배치할 경우 높이 약 115mm의 전극 패드를 약 1mm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좌측부분(112a)에 마련되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와 제2좌측부분(114a)에 마련되는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의 높이를 L2 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115mm로 하고 이들 사이의 간격을 약 1mm로 할 수 있다. 제1우측부분(112ba)에 마련되는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와 제2우측부분(114b)에 마련되는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높이를 L3 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115mm로 하고 이들 사이의 간격을 약 1mm로 할 수 있다. 또는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 및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의 면적을 상하로 양분하는 제1수평라인(50a)과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 및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의 면적을 상하로 양분하는 제2수평라인(50b)의 높이를 제2이격거리(50) 방향을 기준으로 약 115mm로 하고 이들 사이의 간격을 약 1mm로 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필요에 따라 다른 수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몸체부에 사용자(10)가 위치할 경우에 사용자(10)의 엉덩이 만곡점(10a, 도 2 참조)은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와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사용자(10)가 위치할 경우에 사용자(10)의 엉덩이 만곡점(10a)은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와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엉덩이 만곡점(10a)은 사용자(10)의 엉덩이의 굴곡의 방향이 바뀌는 자리를 나타내는 곡선 위의 점을 의미한다. 본 기술에서는 엉덩이 만곡점(10a)을 사이에 두고 제1좌측부분전극패드(122a)와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 제1우측부분전극패드(122b)와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가 마련됨으로써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사용자(10)의 대둔근(A1, A2) 강화시 사용자(10)의 엉덩이가 눌려 대둔근(A1, A2)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되며,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에 작용하여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를 지지하고,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를 승하강시키거나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지지부재(130)로서 제2좌측부분(114a)에 마련되어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를 지지하고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지지부재(130)는 공기, 액체 등과 같은 유체의 주입량에 따라 부피의 팽창정도가 달라지는 풍선 등과 같은 부피팽창체(미도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는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를 지지하고, 유체주입기(미도시)를 통하여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승하고, 유체벤트부(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하강할 수 있고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신축됨으로써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제2좌측부분(114a)에 마련되어 지지부재(130)에 의해 동작하는 제2좌측부분전극패드(124a)가 예시되어 있으나, 제2우측부분(114b)에 마련되어 지지부재(130)에 의해 동작하는 제2우측부분전극패드(124b)에도 해당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지지부재(130)로는 스펀지, 고무 등 다양한 구조체,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30)는 상기 제1부분에도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부분전극패드(122a, 122b)에 작용하여 제1부분전극패드(122a, 122b)를 지지하고, 제1부분전극패드(122a, 122b)를 승하강시키거나 제1부분전극패드(122a, 122b)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에 마련되는 지지부재(130)는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되는 지지부재(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는 사용자(10)가 앉은 상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나, 사용자(10)가 앉은 상태에서는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강화할 대상인 대둔근(A1, A2)이 중력에 의해 짓눌려 강화의 효과가 낮아지며, 근육의 모양이 왜곡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한 근육 모양의 왜곡 방지나 근육 강화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10)가 누운 상태로 대둔근(A1, A2)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누운 상태로 사용자(10)에게 전기자극 즉, 저주파 자극을 가할 경우에 대둔근(A1, A2) 수축시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가 사용자(10)의 피부에서 분리되거나 사용자(10)의 피부에 대한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의 밀착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와 사용자(10)의 피부와의 사이에 접촉저항이 높아질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에 탄성력을 제공하거나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를 승하강시켜 사용자(10)의 피부에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가 밀착되도록 하여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와 사용자(10)의 피부와의 사이에 접촉저항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연결부(116)는 사용자(10)가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제1부분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10)가 누운 상태로 사용자(10)에게 전기자극 즉, 저주파 자극을 가할 경우에 대둔근(A1, A2) 수축시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가 사용자(10)의 피부에서 분리되거나 사용자(10)의 피부에 대한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의 밀착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와 사용자(10)의 피부와의 사이에 접촉저항이 높아질 수 있다. 탄성연결부(116)는 사용자(10)가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제2부분이 사용자(10)의 피부를 압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가되는 저주파 자극에 의해 사용자(10)의 대둔근(A1, A2)이 수축되더라도 탄성연결부(116)에 의해 사용자(10)의 피부를 압박하는 상기 제2부분에 의해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는 사용자(10)의 피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와 사용자(10)의 피부와의 사이에 접촉저항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탄성연결부(116)로는 판스프링, 코일스프링배열체, 고무, 형상복원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체,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한편, 도 8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분의 저면부는 상기 제2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바닥면(20)을 기준으로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상향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저면부를 상기 제2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바닥면(20)을 기준으로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상향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예로서 누운 상태로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10)의 등 또는 엉덩이가 상기 제1부분에 위치하는 과정에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제2부분이 사용자(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부분은 사용자(10)의 피부를 압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인가되는 저주파 자극에 의해 사용자(10)의 대둔근(A1, A2)이 수축되더라도 상기 제2부분은 사용자(10)의 피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되며, 사용자(10)의 피부를 압박하는 상기 제2부분에 의해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는 사용자(10)의 피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와 사용자(10)의 피부와의 사이에 접촉저항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중둔근 전극패드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중둔근 전극패드들은 상기 몸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10)의 중둔근(B1, B2)에 중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10)의 중둔근(B1, B2) 상기 중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한 상기 복수의 중둔근 전극패드들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상술한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이 사용자(10)의 중둔근(B1, B2)에 대향하도록 마련될 경우,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대둔근(A1, A2)과 중둔근(B1, B2)을 동시에 강화할 수도 있다.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를 바닥면(20)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부분과 바닥면(20)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상기 제2부분을 포함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사용자(10)가 누운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에 사용자(10)의 상기 엉덩이 부분을 위치할 경우에 사용자(10)의 상기 엉덩이가 상기 몸체부에 눌리는 것을 자연스럽게 줄여주어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 또는 상기 복수의 중둔근 전극패드들을 통해 인가하는 저주파 자극에 의한 대둔근(A1, A2) 또는 중둔근(B1, B2) 강화의 실효성을 높여줄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제1부분으로서 제1우측부분(112b)이, 상기 제2부분으로서 제2우측부분(114b)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술한 지지부재(130), 탄성연결부(116) 및 상기 제1부분의 저면부의 완만한 곡선형상은 상기 몸체부에 모두 동시에 적용되거나 각각 따로 적용되거나 이들 중 일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 상기 복수의 중둔근 전극패드들, 지지부재(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과 연결되는 저주파 펄스 제공부(미도시)가 제공하는 저주파 펄스의 주파수, 펄스 폭, 펄스의 세기, 펄스의 동작시간 등을 제어하여 대둔근(A1, A2)에 인가되는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중둔근 전극패드들과 연결되는 저주파 펄스 제공부(미도시)가 제공하는 저주파 펄스의 주파수, 펄스 폭, 펄스의 세기, 펄스의 동작시간 등을 제어하여 중둔근(B1, B2)에 인가되는 상기 중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는 지지부재(130)가 부피팽창체(예로, 풍선)로 마련되는 경우에 유체공급호스 등과 같은 공압공급관(미도시)을 통하여 지지부재(130)와 연결되는 상기 유체주입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지지부재(130)에 유체를 제공하거나 상기 유체벤트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지지부재(130)에 제공된 상기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지지부재(130)가 승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는 지지부재(130)가 피스톤(미도시) 등으로 마련되는 경우에 상기 피스톤의 동작을 제어하여 지지부재(130)가 승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기술의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10)는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의 엉덩이를 몸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사용자(10)가 누운 상태로 자신의 엉덩이를 상기 몸체부에 위치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사용자(10)가 앉은 상태로 자신의 엉덩이를 상기 몸체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10)의 우측 대둔근(A2)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대둔근 전극패드(122b, 124b)는 사용자(10)의 우측 엉덩이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사용자(10)의 좌측 대둔근(A1)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대둔근 전극패드(122a, 124a) 또한 사용자(10)의 좌측 엉덩이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사용자(10)의 우측 중둔근(B2)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중둔근 전극패드(미도시)는 사용자(10)의 우측 엉덩이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사용자(10)의 좌측 중둔근(B1)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중둔근 전극패드(미도시) 또한 사용자(10)의 좌측 엉덩이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사용자(10)는 제어부(미도시)를 동작시켜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122a, 122b, 124a, 124b) 및 복수의 중둔근 전극패드들(미도시)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사용자(10)의 좌우측 대둔근(A1, A2) 및 중둔근(B1, B2)을 자극할 수 있고, 지속적인 자극을 통하여 좌우측 대둔근(A1. A2) 및 중둔근(B1, B2)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100)은 사용자(10)의 신체 라인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사용자(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켜 대둔근 전극패드(122b, 124b)에만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우측 대둔근(A2)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켜 대둔근 전극패드(122a, 124a)에만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좌측 대둔근(A1)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켜 중둔근 전극패드(미도시)에만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우측 중둔근(B2)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켜 중둔근 전극패드(미도시)에만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좌측 중둔근(B1)을 강화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10)는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여 자신이 원하는 부분의 대둔근(A1, A2), 중둔근(B1, B2)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강화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켜 대둔근 전극패드(122a, 122b)에만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우측 대둔근(A2)과 좌측 대둔근(A1)을 동시에 강화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켜 대둔근 전극패드(124a, 124b)에만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우측 대둔근(A2)과 좌측 대둔근(A1)를 동시에 강화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10)는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여 자신이 원하는 부분의 좌측 대둔근(A1), 우측 대둔근(A2)를 선택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바닥면(20)에 놓이는 몸체부를 바닥면(20)을 기준으로 바닥면(20)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바닥면(20)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2부분을 포함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에 의해 강화되는 대둔근(A1, A2)이 디바이스의 상기 몸체부에 짓눌리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엉덩이근육 강화의 실효성을 높이고 신체 라인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제2부분에 마련되는 지지부재(130)를 통하여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를 지지하고,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를 승하강시키거나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대둔근(A1, A2)에 인가되는 저주파 자극에 의하여 대둔근(A1, A2)이 수축하더라도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가 사용자(10)의 피부에서 분리되거나 사용자(10)의 상기 피부와의 밀착력이 감소하여 사용자(10)의 상기 피부와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 사이의 접촉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몸체부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부(116)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10)의 대둔근(A1, A2)에 인가되는 저주파 자극에 의하여 대둔근(A1, A2)이 수축하더라도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가 사용자(10)의 피부에서 분리되거나 사용자(10)의 상기 피부와의 밀착력이 감소하여 사용자(10)의 상기 피부와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 사이의 접촉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몸체부의 제1부분의 저면부를 제2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바닥면(20)을 기준으로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상향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함으로써 사용자(10)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부분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제1부분이 바닥면(20)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2부분이 사용자(1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10)의 대둔근(A1, A2)에 인가되는 저주파 자극에 의하여 대둔근(A1, A2)이 수축하더라도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가 사용자(10)의 피부에서 분리되거나 사용자(10)의 상기 피부와의 밀착력이 감소하여 사용자(10)의 상기 피부와 제2부분전극패드(124a, 124b) 사이의 접촉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A1: 좌측 대둔근
A11: 좌측 대둔근의 기시부
A12: 좌측 대둔근의 정지부
A2: 우측 대둔근
A21: 우측 대둔근의 기시부
A22: 우측 대둔근의 정지부
B1: 좌측 중둔근
B2: 우측 중둔근
SB: 엉덩뼈(sacral breadth)
10: 사용자
10a: 사용자의 엉덩이 만곡점
20: 바닥면
30: 몸체부의 중심선
40: 제1이격거리
40a: 좌측양분라인
40b: 우측양분라인
50: 제2이격거리
50a: 제1수평라인
50b: 제2수평라인
100: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112a: 제1좌측부분
112b: 제1우측부분
114a: 제2좌측부분
114b: 제2우측부분
116: 탄성연결부
122a: 제1좌측부분전극패드
124a: 제2좌측부분전극패드
122b: 제1우측부분전극패드
124b: 제2우측부분전극패드
130: 지지부재

Claims (11)

  1. 누운 상태의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위치하는 상기 사용자의 대둔근에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는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대둔근 전극패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대둔근 전극패드들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대둔근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상기 대둔근 전극패드들 중 일부-이하 제1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제1부분에 마련되고, 다른 일부-이하 제2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엉덩이 부분의 엉덩이 만곡점은 상기 제1부분전극패드와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좌측부분 및 제1우측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2좌측부분 및 제2우측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전극패드 중 일부 및 다른 일부는 각각 상기 제1좌측부분 및 상기 제1우측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중 일부 및 다른 일부는 각각 상기 제2좌측부분 및 상기 제2우측부분에 마련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측부분에 마련되는 상기 제1부분전극패드 중 상기 일부-이하 제1좌측부분전극패드라 함- 및 상기 제2좌측부분에 마련되는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중 상기 일부-이하 제2좌측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 대둔근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며,
    상기 제1우측부분에 마련되는 상기 제1부분전극패드 중 상기 다른 일부-이하 제1우측부분전극패드라 함- 및 상기 제2우측부분에 마련되는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 중 상기 다른 일부-이하 제2우측부분전극패드라 함-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 대둔근에 상기 대둔근용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에 대향하며,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과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1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1기준거리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뼈(sacral breadth) 너비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기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기시부에 대향하며,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 및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좌측양분라인 및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 및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우측양분라인 사이의 거리는 제1이격거리 이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1이격거리는 상기 좌측양분라인이 경유하는 상기 제1좌측부분 또는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와 상기 우측양분라인이 경유하는 상기 제1우측부분 또는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 사이의 최장거리, 최단거리, 평균 거리 또는 중간 거리로부터 마련되며,
    상기 제1이격거리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뼈(sacral breadth) 너비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에 대향하며,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에 대향하며,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과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2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과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3기준거리 이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2기준거리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기시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정지부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되며,
    상기 제3기준거리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기시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정지부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기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기시부에 대향하며,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정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정지부에 대향하며,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 및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제1수평라인 및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 및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의 면적을 동시에 양분하는 제2수평라인 사이의 거리는 제2이격거리 이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2이격거리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상기 기시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좌측 대둔근의 상기 정지부 사이의 거리-이하 좌측대둔근 거리라 함-,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상기 기시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우측 대둔근의 상기 정지부 사이의 거리-이하 우측대둔근 거리라 함- 또는 상기 좌측대둔근 거리와 상기 우측대둔근 거리의 평균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엉덩이 부분의 상기 엉덩이 만곡점은 상기 제1좌측부분전극패드와 상기 제2좌측부분전극패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엉덩이 부분의 상기 엉덩이 만곡점은 상기 제1우측부분전극패드와 상기 제2우측부분전극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에 작용하여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를 지지하고,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를 승하강시키거나 상기 제2부분전극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의 저면부는 상기 제2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몸체부가 놓이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상향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KR1020210055046A 2021-04-28 2021-04-28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KR102369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46A KR102369046B1 (ko) 2021-04-28 2021-04-28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46A KR102369046B1 (ko) 2021-04-28 2021-04-28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046B1 true KR102369046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046A KR102369046B1 (ko) 2021-04-28 2021-04-28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0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1257A (ko) * 2012-12-03 2014-06-11 주식회사 알파메딕 골반저근 강화용 디바이스
KR20150009835A (ko) * 2013-07-17 2015-01-27 (주)하루엘에이치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JP2020168270A (ja) * 2019-04-05 2020-10-15 Tbcグループ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1257A (ko) * 2012-12-03 2014-06-11 주식회사 알파메딕 골반저근 강화용 디바이스
KR20150009835A (ko) * 2013-07-17 2015-01-27 (주)하루엘에이치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JP2020168270A (ja) * 2019-04-05 2020-10-15 Tbcグループ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gie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pressure sore prevention and wound healing
US7998092B2 (en) Force sensor system for use in monitoring weight bearing
CN106806077B (zh) 一种自动翻身气囊护理床垫
WO2023011503A1 (zh) 一种用于盆底磁刺激的双体位智能座椅
WO2011019165A2 (ko) 골반 교정용 좌판
US20130062922A1 (en) Leg Elevation Device
CN207949448U (zh) 一种具有坐姿调整功能的智能座椅
KR102369046B1 (ko) 엉덩이근육 강화용 디바이스
KR20190026087A (ko) 다기능 자세교정 및 골반 교정용 방석
US20100180371A1 (en) Physical therapy system
KR101633906B1 (ko)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CN106581983A (zh) 一种可进攻的新型脚靶
KR102370439B1 (ko) 혈압을 측정하는 장치
US20180243166A1 (en) Proprioceptor Stimulation Material
KR20110078795A (ko)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KR101237513B1 (ko) 골반 및 힙업 교정장치
CN209474145U (zh) 一种人体减压装置及减压座椅
KR950001376B1 (ko)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KR100735516B1 (ko) 골반저근 근력강화장치
US11406193B2 (en) Pad for improving sitting posture
CN219251568U (zh) 一种妇产科用紧急助产装置
KR20190079903A (ko)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
KR101657910B1 (ko) 둔부 및 대퇴부 자극을 통한 허리 통증저감장치
CN218832368U (zh) 一种用于盆底磁刺激的智能座椅
CN219398721U (zh) 一种盆底肌康复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