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906B1 -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906B1
KR101633906B1 KR1020150097948A KR20150097948A KR101633906B1 KR 101633906 B1 KR101633906 B1 KR 101633906B1 KR 1020150097948 A KR1020150097948 A KR 1020150097948A KR 20150097948 A KR20150097948 A KR 20150097948A KR 101633906 B1 KR101633906 B1 KR 101633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unit
user
heigh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김철민
이창형
정덕영
신명준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력을 기를 수 있도록 기계적 기구와 전기 신호를 이용해 단련시키는 근력강화장치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쿼트 자세를 유지하도록 기초형상으로 바닥에 맞닿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와 결합되어지며 사용자의 종아리와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체를 받치는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3)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높낮이를 제어하며,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와 연결되어져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하여, 근력이 약한자 또는 노약자의 하체 근육을 유지 시키기 위한 의료장비를 제공하여 스쿼트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하는 근력 유지 및 강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는 기계적인 기술와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시키는 기능적 전기 자극기(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를 연동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근력 강화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MUSCULAR FUNCTION DETERIORATION PROTECTION}
본 발명은 근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근력을 기를 수 있도록 기계적 기구와 전기 신호를 이용해 단련시키는 근력강화장치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체근력을 키우기 위한 운동으로 스쿼트 운동 자세가 유용하다. 스쿼트 운동자세는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동작으로, 가장 기본적인 하체 운동이라 할 수 있으며 운동시에는 대퇴사두근, 대둔근, 슬굴곡근이 운동이 되어진다. 그러나 맨몸으로 운동시에는 기초근력이 요구되어지며 근력이 약한 노약자의 경우에는 맨몸으로 운동을 하기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체운동을 유도하며 기초 근력을 키우도록 하는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26918호 "스쿼트 운동 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4715호 "스쿼트 재활 운동장치" 가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신체의 일부인 등을 기대어 상하로 움직이는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발이 접하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어 키의 변화에 따른 정확한 스쿼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근력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 구동부만을 구비하여 근육에 전기적인 자극을 주어 단련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근력이 약한자 또는 노약자의 하체 근육을 유지 시키기 위한 의료장비를 제공하여 스쿼트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하는 근력 유지 및 강화를 위한 치료장치로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는 기계적인 기술와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시키는 기능적 전기 자극기(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를 연동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근력 강화를 할 수 있도록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스쿼트 자세를 유지하도록 기초형상으로 바닥에 맞닿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와 결합되어지며 사용자의 종아리와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체를 받치는 하체 받침부(15)와 ;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3)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높낮이를 제어하며,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와 연결되어져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하여,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서 상기 베이스부(11)는 의자의 형상으로 외형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발바닥과 상기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바닥에서부터 지지하는 바닥부(11a)와,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바닥부(11a)와 연결되는 높이조절부(11b)와, 상기 높이조절부(11b)와 연결되어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조절하는 받침부(11c)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17)를 통해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서 상기 하체 받침부(15)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접하는 제 1 하체 받침부(15a)와, 종아리가 접하는 제 2 하체 받침부(15b)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7)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하체 받침부(15b)가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로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는 상기 받침부(11c)로 부터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서 상기 등 받침부(13)는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7)를 통해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로 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17)는 상하버튼, 각도조절버튼, 비상정지버튼, 저주파 자극 버튼을 구비하여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스쿼트 자세를 유지하도록 의자의 형상으로 외형을 형성하고 바닥에서부터 지지하는 바닥부(11a)와,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바닥부(11a)와 연결되는 높이조절부(11b)와, 상기 높이조절부(11b)와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받침부(11c)로 구비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와 결합되어지고 사용자의 종아리와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체를 받치며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접하는 제 1 하체 받침부(15a)와, 종아리가 접하는 제 2 하체 받침부(15b)로 구비되는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3)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높낮이를 제어하며,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와 연결되어져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하여,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서 상기 베이스부(11)는 상기 제어부(17)를 통해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서 상기 하체 받침부(15)는 상기 제어부(17)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하체 받침부(15b)가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로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는 상기 받침부(11c)로 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서 상기 등 받침부(13)는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7)를 통해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로 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17)는 상하버튼, 각도조절버튼, 비상정지버튼, 저주파 자극 버튼을 구비하여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 따르면, 스쿼트 자세를 유지하도록 기초형상으로 바닥에 맞닿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와 결합되어지며 사용자의 종아리와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체를 받치는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3)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높낮이를 제어하며,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와 연결되어져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하여, 근력이 약한자 또는 노약자의 하체 근육을 유지 시키기 위한 의료장비를 제공하여 스쿼트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하는 근력 유지 및 강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는 기계적인 기술와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시키는 기능적 전기 자극기(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를 연동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근력 강화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 조절이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부분이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 부분이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높이가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 적용되는 전기 자극기의 성능을 정리한 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의 기본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의 펼침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기초형상의 베이스부를 성형하는 관련 기술, 베이스부의 각 결합부와 제어부를 연결하여 구동하는 관련 기술, 각 결합부가 구동하고 고정되는 관련 기술, 제어부를 통해 전기 자극을 전송하는 관련 기술, 제어부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관련 기술 등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 조절이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부분이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 부분이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높이가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는 베이스부(11)와 하체 받침부(15), 등 받침부(13), 제어부(17)로 구성된다.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10)는 스쿼트 자세를 유지하도록 기초형상으로 바닥에 맞닿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베이스부(11)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1)와 결합되어지며 사용자의 종아리와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체를 받치는 하체 받침부(15)를 구비한다. 하체 받침부(15)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3)를 구비하고 베이스부(11)의 높낮이를 제어하며, 하체 받침부(15)와 등 받침부(13)와 연결되어져 하체 받침부(15)와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제어부(17)를 구비하여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가능하도록 한다.
베이스부(11)는 의자의 형상으로 외형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발바닥과 상기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바닥에서부터 지지하는 바닥부(11a)와, 하체 받침부(15)와 등 받침부(13)의 높이를 조절하며 바닥부(11a)와 연결되는 높이조절부(11b)와, 높이조절부(11b)와 연결되어 하체 받침부(15)와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조절하는 받침부(11c)를 구비하여 제어부(17)를 통해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하체 받침부(15)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접하는 제 1 하체 받침부(15a)와, 종아리가 접하는 제 2 하체 받침부(15b)로 구비되고 제어부(17)와 연결되어 제 2 하체 받침부(15b)가 제 1 하체 받침부(15a)로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제 1 하체 받침부(15a)는 받침부(11c)로 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등 받침부(13)는 제 1 하체 받침부(15a)와 연결되며 제어부(17)를 통해 제 1 하체 받침부(15a)로 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제어부(17)는 상하버튼, 각도조절버튼, 비상정지버튼, 저주파 자극 버튼(각 버튼 미도시)을 구비하여 제공되며 각 버튼 외에도 상기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10)에 열선을 제공하여 히터버튼 더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7)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화면으로 구비되어 제공가능하며 또한, 각 버튼은 터치형 또는 물리적 버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가능하다.
제어부(17)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다리 조절 상하버튼을 구비하여 제 1 하체 받침부(15a)가 제 2 하체 받침부(15b)으로 부터 고정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며 90°~ 180°로 구동가능하다.
엉덩이 각도조절버튼을 구비하여 받침부(11c)로 부터 제 1 하체 받침부(15a)가 각을 가지어 상하로 움직이며 0°~ 72°로 구동가능하다.
등 각도조절버튼을구비하여 등 받침부(13)가 제 1 하체 받침부(15a)로 부터 상하로 움직이며 87°~ 162°로 구동가능하다.
높이 조절 상하버튼을 구비하여 의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26cm 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히터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접촉하는 각 받침부의 시트에 내장되어진 열선을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평균온도는 43℃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에 적용되는 전기 자극기의 성능을 정리한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의 기본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의 펼침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10)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시키는 기능적 전기 자극기(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를 연동하여 근육에 자극을 주도록 한다.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10)와 기능적 전기 자극기는 직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7)를 통해 전기 자극을 실시하게 되면 제어부(17)에 구비된 프로그램이 동작하며, 사용자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모노 페이직 또는 바이 페이직 등의 저주파 전기 자극을 순차적으로 자극이 필요한 부위에 인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10)는 등 받침부(13) 위에 사용자가 편히 기댈 수 있는 헤드부(16)와 팔을 받치는 팔 받침부(14) 및 사용자의 신체를 고정하는 벨트(12)를 더 구비하여 적용가능하다. 이때, 벨트(12)는 전기 자극이 가능한 전기 자극 장치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도록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10)는 스쿼트 자세를 유지하도록 기초형상으로 바닥에 맞닿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와 결합되어지며 사용자의 종아리와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체를 받치는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3)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높낮이를 제어하며,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와 연결되어져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하여, 근력이 약한자 또는 노약자의 하체 근육을 유지 시키기 위한 의료장비를 제공하여 스쿼트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하는 근력 유지 및 강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는 기계적인 기술와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시키는 기능적 전기 자극기(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를 연동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근력 강화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 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11 : 베이스부
11a : 바닥부
11b : 높이조절부
11c : 받침부
12 : 벨트
13 : 등 받침부
14 : 팔 받침부
15 : 하체 받침부
15a : 제 1 하체 받침부
15b : 제 2 하체 받침부
16 : 헤드부
17 : 제어부

Claims (10)

  1. 스쿼트 자세를 유지하도록 기초형상으로 바닥에 맞닿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와 결합되어지며 사용자의 종아리와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체를 받치는 하체 받침부(15)와 ;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3)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높낮이를 제어하며,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와 연결되어져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하여,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는 의자의 형상으로 외형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발바닥과 상기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를 바닥에서부터 지지하는 바닥부(11a)와,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바닥부(11a)와 연결되는 높이조절부(11b)와, 상기 높이조절부(11b)와 연결되어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조절하는 받침부(11c)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17)를 통해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 받침부(15)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접하는 제 1 하체 받침부(15a)와, 종아리가 접하는 제 2 하체 받침부(15b)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7)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하체 받침부(15b)가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로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는 상기 받침부(11c)로 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부(13)는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7)를 통해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로 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는 상하버튼, 각도조절버튼, 비상정지버튼, 저주파 자극 버튼을 구비하여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6. 스쿼트 자세를 유지하도록 의자의 형상으로 외형을 형성하고 바닥에서부터 지지하는 바닥부(11a)와,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바닥부(11a)와 연결되는 높이조절부(11b)와, 상기 높이조절부(11b)와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받침부(11c)로 구비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와 결합되어지고 사용자의 종아리와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체를 받치며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접하는 제 1 하체 받침부(15a)와, 종아리가 접하는 제 2 하체 받침부(15b)로 구비되는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3)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높낮이를 제어하며,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와 연결되어져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하여,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는 상기 제어부(17)를 통해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하체 받침부(15)와 상기 등 받침부(13)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 받침부(15)는 상기 제어부(17)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하체 받침부(15b)가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로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는 상기 받침부(11c)로 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부(13)는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7)를 통해 상기 제 1 하체 받침부(15a)로 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는 상하버튼, 각도조절버튼, 비상정지버튼, 저주파 자극 버튼을 구비하여 스쿼트의 기본 자세를 취해 주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단련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KR1020150097948A 2015-07-09 2015-07-09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KR101633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48A KR101633906B1 (ko) 2015-07-09 2015-07-09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48A KR101633906B1 (ko) 2015-07-09 2015-07-09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906B1 true KR101633906B1 (ko) 2016-06-27

Family

ID=5634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948A KR101633906B1 (ko) 2015-07-09 2015-07-09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9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072A (ko) * 2018-09-19 2020-03-27 남달리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20200033071A (ko) * 2018-09-19 2020-03-27 남달리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20200033073A (ko) * 2018-09-19 2020-03-27 남달리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CN113350136A (zh) * 2021-06-03 2021-09-07 哈尔滨学院 一种减压放松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8262A (ja) * 1990-10-08 1992-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同報転送装置
US6685658B1 (en) * 1999-04-07 2004-02-03 Balgrist/Schweiz. Paraplegikerzentrum Device and method for a locomotion therapy
KR20100085138A (ko) * 2007-10-26 2010-07-28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운동 보조 장치
KR20140114715A (ko) * 2013-03-19 2014-09-2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스쿼트 재활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8262A (ja) * 1990-10-08 1992-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同報転送装置
US6685658B1 (en) * 1999-04-07 2004-02-03 Balgrist/Schweiz. Paraplegikerzentrum Device and method for a locomotion therapy
KR20100085138A (ko) * 2007-10-26 2010-07-28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운동 보조 장치
KR20140114715A (ko) * 2013-03-19 2014-09-2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스쿼트 재활 운동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072A (ko) * 2018-09-19 2020-03-27 남달리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20200033071A (ko) * 2018-09-19 2020-03-27 남달리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20200033073A (ko) * 2018-09-19 2020-03-27 남달리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170337B1 (ko) 2018-09-19 2020-10-28 남달리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170336B1 (ko) 2018-09-19 2020-10-28 남달리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170338B1 (ko) 2018-09-19 2020-10-28 남달리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CN113350136A (zh) * 2021-06-03 2021-09-07 哈尔滨学院 一种减压放松装置
CN113350136B (zh) * 2021-06-03 2022-06-14 哈尔滨学院 一种减压放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9714B1 (en) Lower extremity exercise device with stimulation and related methods
US11590045B2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synchronized body motions of a user
Park et al.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with changes in chair height on the gait of patients who had a stroke
KR101633906B1 (ko)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US8801638B2 (en) Delordosation device
Kim et al. Effects of horse-riding exercise on balance, gai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US20140276273A1 (en) Musculoskeletal vibration system providing independent vibration and bias control
US7996080B1 (en) Recumbent stepping exercise device with stimul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1639730B1 (ko)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골반 교정 운동 장치
US10130835B1 (en) Three exercise combination device to alleviate sciatica and low back pain
US20070072741A1 (en) Cross-crawl chair
Kim et al. Effects of the Neurac® technique in patients with acute-phase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JP2020010781A (ja) マッサージ機
KR101885112B1 (ko) 재활훈련 시스템
KR101739686B1 (ko)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
CN112672722A (zh) 按摩机
ممشلی et al. Timing of the core muscles during landing in healthy subjects
Choi et al. The effects of performing a one-legged bridge with hip abduction and use of a sling on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in healthy adults
JP2001212163A (ja) 特殊牽引治療器
KR102570486B1 (ko) 발마사지 기능을 포함하는 마사지 의자
KR101683871B1 (ko) 전신 운동의자
KR20180008212A (ko)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KR20200101566A (ko)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JP7351605B2 (ja) マッサージ機
CN211512541U (zh) 一种利于神经恢复的下肢力量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