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566A -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566A
KR20200101566A KR1020190019254A KR20190019254A KR20200101566A KR 20200101566 A KR20200101566 A KR 20200101566A KR 1020190019254 A KR1020190019254 A KR 1020190019254A KR 20190019254 A KR20190019254 A KR 20190019254A KR 20200101566 A KR20200101566 A KR 2020010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ic stimulation
chair
stimulation
electrical st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898B1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19001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89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0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4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 및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수단을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 및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에 의한 전기자극은 상기 운동기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CHAIR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극을 통하여 사용자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면서 치료나 운동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기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의자'에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이 적용된 '안마의자'의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각 부위(목, 등, 허리, 둔부, 팔, 다리 및 발 등)를 기계식으로 마사지 한다.
의자와 같은 기기에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의 장점은 의자가 사람들이 평소에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생활용품이라는 점에 있다. 즉, 사람들은 업무시간에는 사무실에서 의자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비업무시간에는 집 안에서 TV를 보거나 컴퓨터 등을 이용할 때에 의자를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의자에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면, 평소의 생활 속에서 필수적으로 의자를 사용할 때에, 사람들은 의자에 적용되어 있는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을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안마의자'는 기계식으로 작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뿐이어서, 단순히 마사지 효과만이 발휘될 뿐이다. 하지만 과학기술이 점점 발전함에 따라, 단순한 마사지 효과를 넘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5082호 (공고일자: 1999.08.16.)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전기자극을 통하여 사용자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면서 치료나 운동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 및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등받이, 팔걸이 및 헤드 레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에 의한 전기자극은 상기 좌판, 등받이, 팔걸이 및 헤드 레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수단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 및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에 의한 전기자극은 상기 운동기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등받이, 팔걸이 및 헤드 레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에 의한 전기자극은 상기 좌판, 등받이, 팔걸이 및 헤드 레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에서의 운동강도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은 상기 선택된 운동강도에 따라 상이한 동작조건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자동차용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생체정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원이 파악되면, 상기 전극자극수단은 상기 신원이 파악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미리 저장된 동작조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에 따르면, 전기자극을 통하여 사용자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면서 치료나 운동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접촉부에 대한 여러가지 예시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의 여러가지 구현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기본구성유닛(110)과 전기자극수단(120)을 포함한다. 기본구성유닛(110)은 통상의 의자를 구성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착석하면 둔부가 닿는 부분인 좌판이나 등이 닿는 부분인 등받이 등이 기본구성유닛(110)에 포함될 수 있고, 이것 외에도 의자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분들이 기본구성유닛(11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와 구조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구성품들은 모두 본 발명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에 있어서 기본구성유닛(100)에 포함될 수 있다.
전기자극수단(120)은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전기자극(Electrical Stimulation)을 제공한다는 것은 인위적으로 전기신호를 사용자의 신체에 직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전기자극수단(120)에 의하여 제공되는 전기자극은 미약한 저주파(예를 들면, 대략 1Hz ~ 150Hz 대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주파는 인체에 흐르는 전류와 유사하여 인체를 투과하기가 용이하고 신경과 근육을 자극하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인체에 인위적으로 전기자극을 주는 경우에 근육운동이나 치료 등 여러가지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유는, 전기신호를 인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근육 수축을 유도하고, 또한 전기신호의 제공을 중단하여 수축된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함으로써 사람이 실제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 운동을 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자극을 통하여 운동효과뿐만 아니라 치료효과가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몸의 중심이 되는 중심근육이 불안전한 사람은 균형능력, 자세유지, 보행 등에 장애가 있을 수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윗몸일으키기와 같은 복부근육운동을 하더라도 쉽게 근력이 증가되지 않을 수 있지만, 전기자극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부 등 중심근육을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기자극은 균형능력, 자세유지, 보행 등의 장애를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윗몸일으키기와 같은 근육운동을 스스로 하기 어렵지만 중심근육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환자들에게는, 혼자서 운동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전기자극은 유일한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전기자극은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에너지 소모량을 늘리고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변비를 치료할 수 있고, 근육통에 대한 통증을 완화시키는 등 여러가지 치료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자극수단(120)을 통상의 의자에 적용함으로써 전기자극에 의하여 발휘되는 장점을 극대화시켰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만약 전기자극수단(120)을 별도의 기기로 형성하면, '전기자극'을 받기 위하여 별도의 전기자극기기를 이용해야겠다고 특별히 의도하는 경우에만, 해당 기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통상의 의자에 전기자극수단(12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특별히 '전기자극'을 받고자 하는 의사가 없더라도, 통상적으로 의자를 이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전기자극'까지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의자는 현대사회에서 점점 더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생활용품이라 할 수 있다. IT기술이 발달하면서 많은 현장근무가 사무직으로 대체되고 있고 그에 따라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처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업무가 아니더라도 개인용 PC를 통해 장시간 의자에 앉은 상태로 인터넷 검색이나 게임 등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에 최소 몇 시간 이상은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게 되는데, 이러한 의자에 전기자극수단(120)이 구비되는 경우, 전기자극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전기자극'에 의한 긍정적인 효과를 더 많이 누릴 수 있다.
전기자극수단(120)은 접촉부(121), 컨트롤러(122), 전원공급부(123)를 포함한다. 접촉부(121)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접촉부(121)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신체에 전달될 수 있다. 컨트롤러(122)는 전기자극수단(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또한 접촉부(12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기자극의 세기나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방식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3)는 전기자극수단(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내장된 배터리이거나 또는 유선으로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기자극수단(120)은 온/오프 스위치 조작 등을 하기 위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온/오프 스위치없이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석했다고 감지되는 순간 자동으로 전기자극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전기자극수단(120)은 주로 저주파의 전류를 발생하여 인체와의 접촉으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것으로, 저주파 생성 및 공급의 메커니즘 자체는 종래에 알려져 있는 어떠한 기술이든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접촉부에 대한 여러가지 예시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기본구성유닛(110)으로서 좌판(111)과 다리(112)를 포함한다. 좌판(111)은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에 앉게 되는 부분이고, 다리(112)는 좌판(111)의 하단에서 전체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좌판(111) 및 다리(112)는 의자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인데, 본 실시예는 다른 구성없이 기본구성만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간단한 구조에도 전극자극수단(120)이 적용될 수 있다. 전기자극수단(120)에 있어서 접촉부(121)는 좌판(111)에 구비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접촉부(121)는 신체에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매체이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하여 컨트롤러(122)나 전원공급부(123) 등은 외부에 노출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컨트롤러(122)나 전원공급부(123) 등의 다른 구성은 외부에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여러가지 구조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포함하는 전기자극수단(100)에 대한 내용은 도면에서 단순하게 표현되어 있다(동일한 이유로 다른 도면들에서도 전기자극수단은 단순하게 표현되어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접촉부(121)는 인체에 전기자극을 전달하는 접촉전극(121a)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접촉전극(121a)은 금속 등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전극(121a)은 좌판(111)이 형성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에 둔부가 닿는 부분의 신체형상을 따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접촉부(121)는 접촉전극(121a)과 패드(12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촉전극(121a)은 패드(121b)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체에 접촉할 수 있게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드(121b)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신체와 밀착되고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패드(121b)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패드(121b)는 접촉전극(121a)과 함께 전기자극을 신체에 더욱 원활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의자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간단한 구조뿐만 아니라 더 복잡한 구조의 의자로 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의자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의 여러가지 구현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기본구성유닛(110)으로서 좌판(111), 다리(112), 등받이(113), 헤드 레스트(114) 및 팔걸이(115)를 포함한다. 좌판(111)은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에 앉게 되는 부분이고, 다리(112)는 좌판(111)의 하단에서 전체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에, 등받이(113)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고, 헤드 레스트(114)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며, 팔걸이(115)는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기본구성유닛(110)과 함께 전기자극수단(120)이 구비되며, 전기자극수단(120)은 좌판(111), 등받이(113), 헤드 레스트(114) 및 팔걸이(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좌판(111), 등받이(113), 헤드 레스트(114) 및 팔걸이(115) 중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부분은, 해당 구성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기자극수단(120)에 있어서의 접촉부가 배치될 수 있다.
좌판(111)을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좌판(111)에 접촉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둔부 부위에 전기자극이 제공될 수 있다. 등받이(113)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등받이(113)에 접촉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등 부위에 전기자극이 제공될 수 있다. 헤드 레스트(114)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헤드 레스트(114)에 접촉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머리 부위에 전기자극이 제공될 수 있다. 팔걸이(115)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팔걸이(115)에 접촉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팔 부위에 전기자극이 제공될 수 있다.
좌판(111), 등받이(113), 헤드 레스트(114), 팔걸이(115)를 통하여 전기자극을 제공할 때에,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태양이 부위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좌판(111)과 등받이(113)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대부분 옷을 착용한 상태에서 착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가 전기자극수단(120)의 접촉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는 않는다. 이에 비하여, 헤드 레스트(114)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석시에 모자를 착용하는 등의 특수한 상황에 있지 않다면,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전기자극수단(120)의 접촉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가능성이 높다. 팔걸이(115)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 부분은 전기자극수단(120)의 접촉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팔 부분은 반팔옷을 입고 있는 경우에 전기자극수단(120)의 접촉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전기자극을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효율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전달효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자동차용 의자가 될 수 있다. 자동차용 의자로 사용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기본구성유닛(110)으로서 좌판(111), 등받이(113) 및 헤드 레스트(1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의자(100)에서는 팔걸이가 제외되어 있으나, 팔걸이가 더 추가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전기자극수단(120)을 구비하여 좌판(111), 등받이(113), 헤드 레스트(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고,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부분에는 전기자극수단(120)에 있어서의 접촉부가 배치된다. 자동차용 의자는 운행 중인 자동차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가 용이하다. 또한 장거리 운행을 하는 경우에 자동차 내의 좁은 공간에 장시간 있게 되는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피로가 축적될 수 있는데, 적절한 전기자극을 통하여 피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기본구성유닛(110)으로서 좌판(111), 다리(112), 등받이(113) 및 팔걸이(1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의자(100)에서는 헤드 레스트가 제외되어 있으나, 헤드 레스트가 더 추가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실시예의 의자(100)는 기본구성유닛(110)과 함께 운동기구(130)를 더 포함한다. 운동기구(130)는 소정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축부재(131)와 축부재(131)의 말단에 양측으로 형성된 발걸이(132)를 포함한다. 운동기구(130)는 다리를 대상으로 하는 운동을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좌판(111)에 착석한 후에 발걸이(132)의 하부에 양 발의 발등을 댄 상태에서 다리를 위로 올렸다 내렸다 하기를 반복함으로써 다리에 대한 근육운동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의자(100)에서 운동기구(130)로서 다리에 대한 운동기구가 제시되어 있으나, 다리 이외의 다른 부위에 대한 운동기구이더라고 상관없고, 신체에 있어서 복수의 부위에 대한 다수의 운동기구이더라도 상관없다.
상기한 기본구성유닛(110) 및 운동기구(130)와 함께 전기자극수단(120)이 구비되며, 전기자극수단(120)은 좌판(111), 등받이(113), 팔걸이(115), 운동기구(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좌판(111), 등받이(113), 팔걸이(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좌판(111), 등받이(113), 팔걸이(115) 중 해당 부위에 전기자극수단(120)의 접촉부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둔부 부위, 등 부위, 팔 부위 등에 전기자극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운동기구(130)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운동기구(130) 중 신체와 접촉하는 부위(도 6의 운동기구(130)에서는 발걸이(132)에 해당)에 전기자극수단(120)의 접촉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운동기구(130)를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운동기구(130) 자체에 의한 운동효과와 전기자극에 의한 근육의 수축/이완의 운동효과 등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발휘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기본구성유닛(110)으로서 좌판(111), 다리(112), 등받이(113) 및 팔걸이(115)를 포함하고, 이러한 기본구성유닛(110)과 함께 운동기구(130)를 더 포함한다. 운동기구(130)는 소정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축부재(131)와 축부재(131)의 말단에 양측으로 형성된 발걸이(132)를 포함한다. 운동기구(130)는 다리에 대한 근육운동을 하기 위한 것인데, 다리 이외의 다른 부위에 대한 운동기구이더라고 상관없고, 신체의 복수의 부위에 대한 다수의 운동기구이더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기본구성유닛(110) 및 운동기구(130)와 함께 전기자극수단(120)이 구비되며, 전기자극수단(120)은 좌판(111), 등받이(113), 팔걸이(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에 있어서, 전기자극수단(120)은 운동기구(1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며, 또한 의자(100)에는 사용자가 운동기구(130)에서 운동할 때의 강도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140)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부(140)는 버튼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이얼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의 근육운동기구는 사용자 자신의 신체조건이나 목표에 따라 운동량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덤벨이 구비된 벤치프레스의 경우, 사용자 자신의 근육량이나 운동목표 등을 감안하여 덤벨의 무게를 적정하게 선택하여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운동기구(130)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는 의자를 베이스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근육운동기구에서 무게를 변경하면서 운동량을 조정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까지 구비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전기자극을 통한 근육의 이완/수축으로 운동효과를 부여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기자극의 세기나 동작조건 등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근육이 이완하거나 수축하는 정도가 달라지게 할 수 있고, 이것이 사용자에게는 운동량이 상이한 것으로 느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의 운동기구에서, 운동강도를 증가하거나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종래의 근육운동기구라면 발걸이(132)의 무게를 증가하거나 감소시켜야 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전기자극수단(120)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발걸이(132)의 무게가 증가되거나 감소된 것이 느껴지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한 느낌을 갖지는 못하더라도 무게가 증가되거나 감소된 것과 같은 운동효과를 볼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기자극의 세기나 주파수 등이 달라지게 조정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140)에 '0.5kg, 1kg, 1.5kg, 2kg'의 선택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4개의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중량에서 운동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는 '전기자극의 세기'나 '대응 주파수대의 전기자극'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선택된 중량에 해당되는 운동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전기자극의 세기'나 '대응 주파수대의 전기자극'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및 동작방식에 따르면, 사용자는 의자에서 전기자극을 제공받음과 동시에 운동을 할 수 있고, 또한 운동량이나 운동강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물리적인 수단이 없더라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운동량이나 운동강도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의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에는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하듯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에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생체정보 검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는 기본구성유닛(110), 전기자극수단(120), 생체정보 검출부(150)를 포함한다. 기본구성유닛(110)은 통상의 의자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좌판(111), 다리(112), 등받이(113), 헤드 레스트(114), 팔걸이(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극수단(120)은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부(121), 컨트롤러(122), 전원공급부(123)를 포함한다. 좌판(111), 다리(112), 등받이(113), 헤드 레스트(114), 팔걸이(115), 접촉부(121), 컨트롤러(122), 전원공급부(123) 등에 대해서는 컨트롤러(122)에 데이터베이스(122a)가 구비된 점을 제외하고 큰 차이가 없으므로, 상기 차이나는 점(이에 대해서는 후술)을 제외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생체정보 검출부(150)는 의자(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생체정보로는 지문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신원확인용 생체정보가 있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기(151)는 팔걸이(115)의 단부(端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팔을 팔걸이(115)에 놓아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팔걸이(115) 단부에 있는 지문인식기(151)에 손가락을 대고 지문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여러명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어떠한 동작조건(전기자극이 제공되는 신체부위, 해당 신체부위에 제공되는 전기자극의 세기 등)하에서 전기자극수단(120)을 작동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는 사용자마다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라는 사용자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약하게 하여 둔부 부분을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기를 희망할 수 있고, B라는 사용자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하여 팔 부분과 머리 부분을 통하여 전기자극이 제공되기를 희망할 수 있다. 그런데 각 사용자가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100)를 이용할 때마다, 자신의 원하는 동작조건으로 세팅하는 것은 대단히 번거로울 수 있다. 하지만, 생체정보 검출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경우에 사용자별로 맞춤형 동작조건에 따라 전기자극수단(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자극수단(120)의 컨트롤러(122)는 데이터베이스(122a)를 포함하는데, 데이터베이스(122a)에는 사용자별로 자신이 선호하는 전기자극수단(120)의 동작조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동작조건 데이터는 사용자가 전기자극수단(120)을 이용하면서 자신의 지문과 함께 입력시킬 수 있고, 이를 위해 의자(100)에는 별도의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22a)에 자신이 선호하는 동작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라면, 의자(100)에 착석하여 지문인식기(151)에 자신의 지문을 인식시킴으로써 자신의 신원이 파악될 수 있고, 컨트롤러(122)는 데이터베이스(122a)에서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동작조건을 검색한 후 그에 따라 전기자극수단(120)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정보 검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이 선호하는 맞춤형 동작조건에 따라 편리하게 전기자극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110: 기본구성유닛
120: 전기자극수단
121: 접촉부
122: 컨트롤러
123: 전원공급부

Claims (9)

  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 및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 팔걸이 및 헤드 레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에 의한 전기자극은 상기 좌판, 등받이, 팔걸이 및 헤드 레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수단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4.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 및
    사용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에 의한 전기자극은 상기 운동기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등받이, 팔걸이 및 헤드 레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에 의한 전기자극은 상기 좌판, 등받이, 팔걸이 및 헤드 레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추가로 제공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6.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에서의 운동강도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수단은 상기 선택된 운동강도에 따라 상이한 동작조건에서 작동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는 자동차용 의자로 사용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생체정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원이 파악되면, 상기 전극자극수단은 상기 신원이 파악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미리 저장된 동작조건에 따라 작동되는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KR1020190019254A 2019-02-19 2019-02-19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KR10228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54A KR102284898B1 (ko) 2019-02-19 2019-02-19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54A KR102284898B1 (ko) 2019-02-19 2019-02-19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566A true KR20200101566A (ko) 2020-08-28
KR102284898B1 KR102284898B1 (ko) 2021-08-04

Family

ID=7229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254A KR102284898B1 (ko) 2019-02-19 2019-02-19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272B1 (ko) * 2021-07-05 2022-02-08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전위발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082Y1 (ko) 1997-05-23 1999-08-16 강근구 안마용 의자
KR20070019404A (ko) * 2005-08-12 2007-02-15 청기의료기(주) 인체를 요동, 마사지 및 온열시키는 의자
KR200449037Y1 (ko) * 2009-07-27 2010-06-09 이창두 저주파 치료용 변기커버
KR20140030699A (ko) * 2012-09-03 2014-03-12 주식회사 장원 손바닥 전기자극 장치
KR101658486B1 (ko) * 2015-11-10 2016-09-21 정상재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082Y1 (ko) 1997-05-23 1999-08-16 강근구 안마용 의자
KR20070019404A (ko) * 2005-08-12 2007-02-15 청기의료기(주) 인체를 요동, 마사지 및 온열시키는 의자
KR200449037Y1 (ko) * 2009-07-27 2010-06-09 이창두 저주파 치료용 변기커버
KR20140030699A (ko) * 2012-09-03 2014-03-12 주식회사 장원 손바닥 전기자극 장치
KR101658486B1 (ko) * 2015-11-10 2016-09-21 정상재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272B1 (ko) * 2021-07-05 2022-02-08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전위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898B1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103B1 (ko) 사용자의 숙면 및 개운한 기상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안마의자 및 그 제어방법
EP2772241B1 (en) Method for determining body type for thermotherapy device
KR101639730B1 (ko)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골반 교정 운동 장치
JP2017504378A (ja) 体重の均衡維持を補助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201906170U (zh) 一种多功能电动按摩垫
CN105664441A (zh) 一种靠枕式脊椎保健与康复器械
KR101863005B1 (ko) 의료용 다기능 쿠션
Foo et al. User experiences of garment-based dynamic compression for novel haptic applications
KR20180002629U (ko) 척추 디스크 및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펄스전자기장을 장착한 안마의자
US10130835B1 (en) Three exercise combination device to alleviate sciatica and low back pain
KR102284898B1 (ko)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KR101633906B1 (ko)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JP2020534982A (ja) 電気刺激型室内用自転車
KR102284897B1 (ko)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좌변기
JPWO2004030754A1 (ja) 電位治療器
US20100086759A1 (en) Fitness and therapy mat for standing and walking
CN107095510A (zh) 带有治疗颈椎腰椎功能的沙发
KR20220078844A (ko) 발마사지 기능을 포함하는 마사지 의자
CN101836933A (zh) 颈椎、腰椎康复机
JP2002085516A (ja) 健康具
KR101638601B1 (ko) 휴대용 척추 운동 기구
KR20200001897A (ko) 팰트니스용 골반 자극 운동기
JP3219214U (ja) マッサージ装置
CN207754895U (zh) 带有治疗颈椎腰椎功能的沙发
KR100718647B1 (ko) 치료보조용 척추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