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336B1 -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 Google Patents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336B1
KR102170336B1 KR1020180112522A KR20180112522A KR102170336B1 KR 102170336 B1 KR102170336 B1 KR 102170336B1 KR 1020180112522 A KR1020180112522 A KR 1020180112522A KR 20180112522 A KR20180112522 A KR 20180112522A KR 102170336 B1 KR102170336 B1 KR 10217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chair
squa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071A (ko
Inventor
남달리
Original Assignee
남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달리 filed Critical 남달리
Priority to KR102018011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3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이부와, 상기 받이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다리가 형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다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다리에 의지하여 사용자의 발등을 지지함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지수단;이 더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의 하부에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설치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보관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수단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구현하여 제품의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더욱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리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다가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면 자연스럽게 의자의 받이부에 사용자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으므로 초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Chair with squat function}
본 발명은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의 하부에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설치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보관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수단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구현하여 제품의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더욱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무용이나 학습용으로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받이부와 그 받이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의자는 대부분 앉아서 사무를 보거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기능만을 가진다.
한편, 최근에 건강 및 운동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하체운동으로 주로 스쿼트 운동를 많이 하고 있다.
이러한 스쿼트 운동은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기본적인 하체운동으로 헬스장뿐만 아니라 요가학원, 필라테스학원 등에서 기본 운동으로 널리 수행된다.
하지만, 바쁜 직장 생활로 인해 여가 시간이 충분하지 못한 사람들이 스쿼트 운동을 위해 헬스장이나 학원 등을 이용하기 곤란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집에서 간편히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스쿼트 운동기구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스쿼트 운동기구는 집에서 시간이 남는 짧은 시간을 활용하여 간편히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다소 부피가 커서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제품의 단가가 높아 제품의 사용범용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쿼트 운동기구는 초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다소 무리하게 수행하다가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는 경우에 사용자를 받쳐주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운동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의 하부에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설치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보관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수단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구현하여 제품의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더욱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리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다가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면 자연스럽게 의자의 받이부에 사용자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으므로 초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이부와, 상기 받이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다리가 형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다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다리에 의지하여 사용자의 발등을 지지함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고정다리의 끝단에 형성되는 긴 봉 형상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양단 상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발등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봉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지지봉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사용자의 발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하부가 지면에 의지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판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받이부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을 통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다리 뒤편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을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고정다리의 내부에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이송홈과, 상기 이송홈에 내입되어 상기 이송홈을 타고 전·후방으로 이송되되, 끝단에는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과 함께 이송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홈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이송부재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다리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이송부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되,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조절공과, 상기 고정공과 어느 하나의 상기 조절공을 함께 관통하여 상기 고정다리에 의지하여 상기 이송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에 의하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의 하부에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설치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보관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수단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구현하여 제품의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더욱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리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다가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면 자연스럽게 의자의 받이부에 사용자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으므로 초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이부(1)와, 상기 받이부(1)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다리(2)가 형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다리(2)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다리(2)에 의지하여 사용자의 발등을 지지함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지수단(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10)은 상기 고정다리(2)의 끝단에 형성되는 긴 봉 형상의 지지봉(11)과, 상기 지지봉(11)의 양단 상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발등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2)와, 상기 지지봉(11)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지지봉(1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사용자의 발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하부가 지면에 의지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판체(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를 통한 스쿼트 운동이 요구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10)의 지지판체(13)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지지판체(13)가 지면에 밀착 고정되게 한다.
그런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지지판체(13)의 내부 공간으로 양발을 내입시키되, 발등이 상기 지지부재(12)에 밀착 지지되는 시점까지 밀어 넣어 상기 지지부재(12)에 사용자의 양쪽 발등이 결속 고정되게 한다.
이때, 사용자의 발바닥은 지면에 밀착되는 상기 지지판체(13)에 의해 지지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양쪽 발이 상기 지지수단(10)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면 되는데, 이때 상기 받이부(1)의 끝단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다리 뒤편을 지지함으로 인해 매우 안정적인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리에 힘이 풀려 주저앉는 경우에 상기 받이부(1)에서 자연스럽게 쓰러지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어 무리한 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를 통한 스쿼트 운동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판체(13)를 상방으로 회동 복귀시켜 상기 지지판체(13)가 의자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체(13)가 상방으로 회동 복귀되면 상기 지지판체(13)가 상기 고정다리(2)에 거치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판체(13)가 상기 고정다리(2)에 안정적으로 거치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판체(13)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다리(2)가 내입될 수 있는 안치홈(13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이부(1)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10)을 통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다리 뒤편을 지지하는 지지패널(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패널(20)은 사용자가 상기 지지수단(10)에 의지하여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종아리 부근을 지지함으로, 사용자가 상기 지지수단(10)과 함께 상기 지지패널(20)에 의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자세로 스쿼트 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패널(20)은 상기 받이부(1)의 하방에 부드러운 굴곡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구조상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가 본연의 기능인 의자로서 사용시 착석자의 허벅지 끝단과 무릎 뒷부분을 가볍게 지지할 수 있어 편안하고 안정적인 착석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10)을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고정다리(2)의 내부에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이송홈(31)과, 상기 이송홈(31)에 내입되어 상기 이송홈(31)을 타고 전·후방으로 이송되되, 끝단에는 상기 지지봉(11)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11)과 함께 이송되는 이송부재(32)와, 상기 이송홈(31)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이송부재(32)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용자의 신장, 발 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상기 지지수단(10)의 위치 이송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3)를 통해 상기 이송부재(32)의 결속을 해제한 후에 상기 이송부재(32)와 함께 상기 지지수단(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지지수단(10)의 적합한 위치를 설정한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3)를 통해 위치가 설정된 상기 이송부재(32)를 결속 고정하여 상기 지지수단(10)의 위치를 간편히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수단(30)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발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는 적합한 위치로 상기 지지수단(1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를 통해 누구나 용이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고정다리(2)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공(33a)과, 상기 이송부재(32)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되, 상기 고정공(33a)과 연통되는 조절공(33b)과, 상기 고정공(33a)과 어느 하나의 상기 조절공(33b)을 함께 관통하여 상기 고정다리(2)에 의지하여 상기 이송부재(32)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33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수단(30)을 통해 상기 지지수단(10)의 위치 이송이 요구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3)의 고정핀(33c)을 회수하여 상기 이송부재(32)의 결속을 해제함으로 상기 이송부재(32)와 함께 상기 지지수단(10)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고, 반대로 상기 지지수단(10)의 고정이 요구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33c)을 상기 고정공(33a)과 상기 고정공(33a)과 연통되는 상기 조절공(33b)으로 관통 위치시켜 상기 고정핀(33c)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32)와 함께 상기 지지수단(10)이 견고히 위치가 결속 고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의 하부에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지지수단(10)이 설치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보관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수단(10)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구현하여 제품의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더욱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리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다가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면 자연스럽게 의자의 받이부(1)에 사용자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으므로 초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하여 이송수단(30)을 통해 사용자의 발등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0)을 위치를 적합하게 설정 고정한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10)의 위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수단(10)의 지지판체(13)가 지면에 지지 고정되도록 회동 위치시킨다.
그런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지지수단(10)으로 양발을 내입 고정시켜 스쿼트 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패널(20)에서 지지함으로 사용자는 상기 지지수단(10) 및 지지패널(20)에 의지하여 안정적인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쿼트 운동이 완료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10)의 지지판체(13)를 원위치로 회동 복귀시켜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가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받이부 2. 고정다리
10. 지지수단 11. 지지봉
12. 지지부재 13. 지지판체
13a. 안치홈 20. 지지패널
30. 이송수단 31. 이송홈
32. 이송부재 33. 고정부
33a. 고정공 33b. 이송부재
33c. 고정핀
100.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Claims (5)

  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이부(1)와, 상기 받이부(1)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다리(2)가 형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다리(2)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다리(2)에 의지하여 사용자의 발등을 지지함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지수단(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10)은 상기 고정다리(2)의 끝단에 형성되는 긴 봉 형상의 지지봉(11)과, 상기 지지봉(11)의 양단 상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발등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2)와, 상기 지지봉(11)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지지봉(1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사용자의 발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하부가 지면에 의지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판체(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1)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10)을 통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다리 뒤편을 지지하는 지지패널(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0)을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고정다리(2)의 내부에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이송홈(31)과,
    상기 이송홈(31)에 내입되어 상기 이송홈(31)을 타고 전·후방으로 이송되되, 끝단에는 상기 지지봉(11)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11)과 함께 이송되는 이송부재(32)와,
    상기 이송홈(31)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이송부재(32)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고정다리(2)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공(33a)과,
    상기 이송부재(32)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되, 상기 고정공(33a)과 연통되는 조절공(33b)과,
    상기 고정공(33a)과 어느 하나의 상기 조절공(33b)을 함께 관통하여 상기 고정다리(2)에 의지하여 상기 이송부재(32)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33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0180112522A 2018-09-19 2018-09-19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17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22A KR102170336B1 (ko) 2018-09-19 2018-09-19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22A KR102170336B1 (ko) 2018-09-19 2018-09-19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71A KR20200033071A (ko) 2020-03-27
KR102170336B1 true KR102170336B1 (ko) 2020-10-28

Family

ID=6995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522A KR102170336B1 (ko) 2018-09-19 2018-09-19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3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0618A (ja) * 2013-10-23 2015-04-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運動補助装置
KR101633906B1 (ko) 2015-07-09 2016-06-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211U (ko) * 2006-11-16 2008-05-21 이석형 건강운동 겸용 의자
KR101506066B1 (ko) * 2012-08-30 2015-03-26 이재부 의자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운동 기구
KR20170114874A (ko) * 2016-04-06 2017-10-16 정진우 복근강화 및 수족지압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0618A (ja) * 2013-10-23 2015-04-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運動補助装置
KR101633906B1 (ko) 2015-07-09 2016-06-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71A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874B1 (ko)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US5031905A (en) Exercising device
EP0147415B1 (en) A supporting device
US20030130100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20130005550A1 (en) Exercise chair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US2759730A (en) Exercising apparatus
EP1402926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DK2056776T3 (en) EXERCISE TO EXTEND PATTERN MUSCLE
US7648444B2 (en) Leg exercise device
KR20210042232A (ko) 스쿼트운동기구
KR102170337B1 (ko)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170336B1 (ko)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US11511147B2 (en) Workout station
EP3181198B1 (en) Portable abs exercise device
KR102170338B1 (ko)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CN211752284U (zh) 倒立椅
US5529561A (en) Leg press
KR20180124446A (ko) 런지 운동머신
KR102329351B1 (ko)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US11654329B1 (en) Glute rebuilding device
KR20210131123A (ko) 뱃살 운동기구
KR200493808Y1 (ko) 런지운동머신
TWM556617U (zh) 深蹲訓練器
KR20190113310A (ko) 스쿼트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