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232A - 스쿼트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쿼트운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2232A KR20210042232A KR1020190124955A KR20190124955A KR20210042232A KR 20210042232 A KR20210042232 A KR 20210042232A KR 1020190124955 A KR1020190124955 A KR 1020190124955A KR 20190124955 A KR20190124955 A KR 20190124955A KR 20210042232 A KR20210042232 A KR 202100422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upport frame
- shear
- transverse
- central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63B23/03558—Compound apparatus having multiple stations allowing an user to exercise different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단련을 목적으로 하는 스쿼트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로 하체 근력을 단련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스쿼트운동은 가장 기본적인 하체운동의 하나로서 자리잡고 있는 바,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체중을 이용하는 고효율적인 운동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쿼트운동기구는 베이스본체프레임(100)과 전단받침프레임(200)과 중앙받침프레임(300)과 각도조절부(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닥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다른 구성의 받침이 되는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은 발판(110), 전단횡프레임(120), 중앙횡프레임(130), 후단횡프레임(140) 및 종프레임(15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중간 허리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신체를 받침하는 중앙받침프레임(300)은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 및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중간 허리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신체를 받침하는 중앙받침프레임(300)은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 및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으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40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쿼트운동기구는 베이스본체프레임(100)과 전단받침프레임(200)과 중앙받침프레임(300)과 각도조절부(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닥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다른 구성의 받침이 되는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은 발판(110), 전단횡프레임(120), 중앙횡프레임(130), 후단횡프레임(140) 및 종프레임(15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중간 허리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신체를 받침하는 중앙받침프레임(300)은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 및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중간 허리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신체를 받침하는 중앙받침프레임(300)은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 및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으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40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쿼트운동을 위한 스쿼트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체 근육을 단련하기 위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복합적인 스쿼트운동을 할 수 있는 스쿼트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헬스장 및 가정용 운동기구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스쿼트운동이 트랜드가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기본적인 하체운동인 스쿼트운동은,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체중을 이용하는 고효율적인 운동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배경이 되는 종래기술에는, 등록특허 제1905367호(2018.09.28), '스쿼터 운동 기구'가 알려져 있으며,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487600호(2018.10.04), '다목적 운동기구'가 도 1의 아랫 도면에 개시되어 있다. 더하여, 등록특허 제1720874호(2017.03.23.),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가 도 1의 윗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어 발이 지지되는 전방지지부;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되, 전방지지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후방지지부; 후방지지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종아리가 지지되는 종아리 지지부;를 포함하고,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이 가능하다. 후방지지부는, 종아리 지지부가 삽입되어 상하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상하부방향으로 관통된 길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은, 길이조절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종아리 지지부는, 길이조절공에 삽입되되, 연통공까지 삽입되어 종아리가 지지될 수 있는 높이가 조절가능하다. 전방지지부와 후방지지부는,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쪽 중 어느 한쪽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후방지지부는, 지지프레임의 중앙부와 전방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지지프레임은, 몸체와, 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한 회전부 및 몸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몸체를 밀거나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회전부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면에 지지되고, 몸체는, 회전부가 지면에 지지됨에 따라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다. 전방지지부는, 상부에 지지프레임의 끝단으로 돌출된 지면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프레임은, 세워지면, 지면지지부의 끝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세워진 상태로 유지가능하다. 종아리 지지부는, 후방지지부에 삽입되는 삽입프레임과, 삽입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판형상의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된 쿠션부재를 포함한다.
스쿼트운동은 일반적으로 몸의 중심이 뒤로 가기 때문에 기립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서 운동을 지속하기가 용이하지가 않고, 이러한 이유로 스쿼트운동의 동작을 장시간 진행하지 못하고 쉽게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장시간 스쿼트운동을 실시하는 중에 바른 자세의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복합적인 운동의 실시가 가능하고, 스쿼트운동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스쿼트운동기구는, 베이스본체프레임(100); 전단받침프레임(200); 중앙받침프레임(300); 및 각도조절부(400);를 포함하며,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은 바닥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다른 구성의 받침이 되며, 발판(110); 전단횡프레임(120); 중앙횡프레임(130); 후단횡프레임(140); 및 종프레임(150);을 포함하고,
발판(110)은 전단횡프레임(120)과 중앙횡프레임(130) 사이에 개재되며 사용자의 좌우 발을 받침하도록 평판형상을 취하여서, 종프레임(150)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전단횡프레임(12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전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횡프레임(13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전단횡프레임(120)과 이격되고,
후단횡프레임(14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후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종프레임(15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종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전단횡프레임(120), 중앙횡프레임(130) 및 후단횡프레임(140)의 각 중간과 연결되고,
전단받침프레임(20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전단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신체를 받침하며,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 및 전단받침프레임쿠션부(230);를 포함하고,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이 전단횡프레임(120)에 고정되고,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는 전단이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의 상단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고정되고,
전단받침프레임쿠션부(230)는 쿠션부재로 제공되며, 횡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중앙받침프레임(30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중간 허리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신체를 받침하며,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 및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을 포함하고,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이 종프레임(150)에 힌지로 고정되되,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가 종방향으로 굴절하여 기울임이 가능케 틸팅힌지결합(hi)으로 고정이 이루어지고,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이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고정되고,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은 평판형상의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어서 후면이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의 상단에 고정되고,
각도조절부(400)는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쿼트운동을 실시하는 중에 장시간 바른 자세의 유지를 용이하게 지속할 수가 있고, 스쿼트운동의 효과를 높이면서서, 실내 또는 실외 등 공간의 제약없이 하나의 운동기구를 활용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운동의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사시도, 다른 부분에서 보인 사시도 및 부분도이다. 단, 여기에 사용된 도면의 부호는 본 발명의 것과는 관련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한 부분을 측면도로 보인 것으로서, 도 4 A는 각도조절부(4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B는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를 나타낸 것이고; 도 4C는 이들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한 부분을 측면도로 보인 것으로서, 도 4 A는 각도조절부(4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B는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를 나타낸 것이고; 도 4C는 이들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쿼트운동기구는 베이스본체프레임(100); 전단받침프레임(200); 중앙받침프레임(300); 및 각도조절부(400);를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지며 도 2의 예시를 참조한다.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은 판형상이나 구조물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도록 바닥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다른 구성의 받침이 되는 것으로 발판(110); 전단횡프레임(120); 중앙횡프레임(130); 후단횡프레임(140); 및 종프레임(150);을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진다.
발판(110)은 이격 배치된 전단횡프레임(120)과 중앙횡프레임(130) 사이에 개재되며 사용자의 좌우 발을 받침하도록 평판형상을 취하여서, 종프레임(150)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전단횡프레임(120)은 막대형상을 취하여 베이스본체프레임(100)/종프레임(150)의 전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전단횡프레임(120)은 종프레임(150)과 함께 평면(위)에서 보아 ㅏ 형상을 이룬다. 전단횡프레임(120)에는 스쿼트운동기구를 보관, 사용하기 위하여 이동시에 필요한 이동용바퀴(a10), 전방 손잡이(a20) 및 후방 손잡이(a3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동용바퀴(a1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어서, 스쿼트운동기구 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면에 지지되고, 지면에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는 지면에 지지되지 않는다. 손잡이(a30) 베이스본체프레임(100) 몸체를 밀거나 잡아당길 수 있다. 이동용바퀴(a10)가 지면에 지지됨에 따라 이동용바퀴(a10)의 회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스쿼트운동기구를 세우거나, 바퀴를 이용해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은 미끄럼방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는, 발판(110)의 상측면에 구비되어 발바닥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을 방지하고,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미끄럼을 방지한다.
중앙횡프레임(130)은 막대형상을 취하여 전단횡프레임(120)과 이격되도록 베이스본체프레임(100)/종프레임(150)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중앙횡프레임(130)은 종프레임(150)과 함께 평면에서 보아 + 형상을 이룬다.
후단횡프레임(140)은 막대형상을 취하여 베이스본체프레임(100)/종프레임(150)의 후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후단횡프레임(140)은 종프레임(150)과 함께 평면에서 보아 ㅓ 형상을 이룬다.
종프레임(150)은 막대형상을 취하여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종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전단횡프레임(120), 중앙횡프레임(130) 및 후단횡프레임(140)의 각 중간과 고정, 연결된다.
후단횡프레임(140)의 좌우 양단에는 각각 측면(옆)에서 보아 ㄱ 형태를 취하는 푸쉬업바(50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때, 하중을 버티어서 스쿼트운동기구가 뒤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단횡프레임(140) 각각의 후방으로, 푸쉬업바(500)의 종방향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후단연장종프레임(16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를 참조한다.
전단받침프레임(20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종프레임(150)의 전단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사용자의 발과 같은 신체 부위를 받침하도록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 및 전단받침프레임쿠션부(230)를 기본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진다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는 전단횡프레임(1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파이프로서, 하단이 전단횡프레임(120)에 고정된다.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는 전단횡프레임(120)과 함께 정면(앞)에서 보아 ㅗ 형상을 이룬다.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는 종방향으로 관통공이 구비된 파이프로서,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의 상단에 구성된다.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의 관통공에 전단받침프레임쿠션부(230)이 종방향 이동을 통하여 길이조절이 가능케 고정된다.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는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와 함께 측면에서 보아 T 또는 ┏ 형상을 이룬다.
전단받침프레임쿠션부(230)는 평면에서 보아 ㅓ 형상을 갖는 파이프구조물로서, 좌우로 배치되는 부분에 원통형의 쿠션부재 좌우 한 쌍이 횡방향으로 끼워지고, 종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이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에 끼워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쿠션부재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가령, 발(발목)이나 다리(정강이) 부분과 접촉하여 지지할 때 쿠션을 제공한다.
중앙받침프레임(30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종프레임(150)의 중간 허리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신체 부위를 받침하도록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 및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진다. 중앙받침프레임(30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 상부로 구성되되 전단받침프레임(2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운동시에 사용자의 체중이 후방으로 집중이 되는데 이때, 후방으로 뒤집어 지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을 갖는 파이프이다.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는 종프레임(150)과 함께 측면에서 보아 ㅗ 형상을 이룬다. 관련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하단에는 종프레임(150)에 대하여 회전(굴절) 가능케 힌지로 고정될 수 있는 틸팅굴절축(g1)이 형성되어서,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가 종방향의 뒤로(후방으로) 기울여질 수 있도록 기여하는 틸팅힌지결합(hi)이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 틸팅굴절축(g1)은 틸팅힌지결합(hi)을 위해서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의 하단에는 종프레임(150)의 몸체와 횡방향으로 놓이는 샤프트로 일시에 꿰어질 수 있게 천공(구멍이 뚫림)되어 이루어진다. 더하여, 틸팅굴절축(g1)을 중심으로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가 소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진 뒤에는(틸팅각도 조절 뒤에는),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에는 조절된 틸팅각도를 유지할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의 아래쪽 몸체 후면에는, 틸팅굴절축(g1)로부터 수직방향 위로 이격, 배치되는 틸팅고정편(311)이 구성되며, 틸팅고정편(311)은 종방향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틸팅고정편(311)에는 횡방향으로 틸팅핀고정편축공(g2)이 천공이 된다. 틸팅각도 조절시에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가 뒤로 젖혀지면(회전되면) 틸팅고정편(311)이 각도조절부(400)를 스치듯이 슬립하여 지나가면서 가이드를 받고 틸팅각도 조절이 끝나면 결정된 위치에서 고정핀으로 고정이 된다.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는, 수직방향 및 횡방향의 파이프구조물로서 전방에서 보아 T 형상을 취하며, 횡방향은 그 전방에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의 후면이 고정되어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며, 수직방향의 하단이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의 상단에 상하로 이동 가능케 고정 배치되어 수직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때, 길이조절공이 형성되어서 핀(볼트, 나사 등)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은 사용자의 신체 다른 어느 부위 가령, 종아리나 허벅지 부분과 접촉할 때 쿠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면과 평면에서 보아 평판 형태이며 측면에서 보아 ┏ 형상을 갖는 쿠션부재로 이루어져서, 후면이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의 상단에 고정된다. 쿠션부재는 이를 감싸는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무릎을 굽힐 때, 허벅지와 종아리가 90°이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400)는, 틸팅힌지결합(hi)을 굴절축으로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가 틸팅(기울임)이 된 후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틸팅각도에서 기울임이나 움직임을 멈추고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각도조절부(400)는 종프레임(150)의 상단에 배치되어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도 3 및 도4를 참조한다.
각도조절부(400)는 90° 원호 형상을 취하는 각도기 모양의 판재이다. 그리고 각도조절부(400) 전단의 하단이 종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돌출편(410)을 이루고, 돌출편(410)에는 횡방향으로 돌출편축(h1)이 천공(뚫린 구멍)된다. 돌출편축(h1)은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하단의 틸팅굴절축(g1)과 샤프트로 일축에 꿰어지면 더욱 단단한 고정을 이룰 수 있다.
각도조절부(400)의 원호 형상 판재 몸체에는 복수의 틸팅고정공(h2)이 횡방향으로 천공된다. 도 3의 예시에는 4개의 틸팅고정공(h2)이 형성되었다. 틸팅고정공(h2)은 돌출편축(h1)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호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이 틸팅굴절축(g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틸팅고정편(311)이 각도조절부(400)와 대면(접촉)된 상태에서 서로 지나가면서 틸팅각도가 조절이 된 후, 틸팅핀고정편축공(g2)과 복수의 틸팅고정공(h2)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면 고정핀으로 일시에 꿰어져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틸팅각도를 보다 섬세하게 부여하기 위해서는 틸팅고정공(h2)의 개 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동일 원주상에(원주 위에) 틸팅고정공(h2)을 밀집시키는 데에는 공간적 제약이 따른다. 또한 동일 원주상에 틸팅고정공(h2)이 근접하여 줄줄이 천공되어 뚫려있게 되면, 그 원주상에 놓인 부분의 물리적 강도가 약해져서 강한 하중이 걸리면 각도조절부(400) 판재의 몸체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내재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있다.
도 4 A의 우측 도면에, 돌출편축(h1)을 중심으로 하여서 반지름(r1, r2)이 다르고 이에 따라 크기가 다른 두 원호의 원주(c1, c2)가 표시되어 있다. 두 원주(c1, c2)는 동심원(동심 원호)상에 있으며, 이를 내 원주(c1)와 외 원주(c2)로 명칭하기로 한다. 내 원주(c1)와 외 원주(c2) 각각에 틸팅고정공(h2)이 배치되는데, 내 원주(c1)상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내 틸팅고정공(h2a)이 배치되고, 외 원주(c2)상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외 틸팅고정공(h2b)이 배치된다. 더하여, 내 틸팅고정공(h2a)과 외 틸팅고정공(h2b)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되며, 이를 도 A의 좌측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내 틸팅고정공(h2a)의 순번(1)과 순번(2) 사이에 외 틸팅고정공(h2b)의 순번(1a)이 배치되는 방식의 구성이 반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틸팅각도는 순번(1), 순번(1a), 순번(2), 순번(2a), 순번(3), 순번(3a), 순번(4), 순번(4a)... 순으로 촘촘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각도조절부(400)의 크기를 키우지 않고도 기존 크기에서 섬세한 틸팅각도를 조절할 틸팅고정공(h2b)의 충분한 숫자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4 B에서, 틸팅고정편(311)에는 두 원주(c1, c2)의 다른 반지름(r1, r2) 각 끝 점에 위치되며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소정각(a0)을 가지고 기울여진 가상의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두 개의 틸팅핀고정편축공(g2)(g21, g22)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를 내 틸팅핀고정편축공(g21)과 외 틸팅핀고정편축공(g22)이라고 명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토대로, 내 틸팅핀고정편축공(g21)에 복수의 내 틸팅고정공(h2a) 중 하나가 대응되어서(조합이 되어서) 고정핀으로 고정되거나, 외 틸팅핀고정편축공(g22)에 복수의 외 틸팅고정공(h2b) 하나가 대응되어서 고정핀으로 고정이 되는 것이다. 어느 조합이 서로 일치되어, 고정핀으로 고정이 될 수 있을지는 틸팅각도의 변경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도 4 C에는, 외 틸팅핀고정편축공(g22)에 외 틸팅고정공(h2b)의 어느 한 순번(1a)이 대응/조합하여 고정을 이룬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이때, 내 틸팅핀고정편축공(g21)의 양측에 내 틸팅고정공(h2a)의 순번(1)과 순번(2)가 위치되므로, 내 틸팅고정공(h2a)과 내 틸팅고정공(h2a)은 서로 대응되지 못한다. 반대로, 내 틸팅고정공(h2a)과 내 틸팅고정공(h2a)이 서로 대응되면, 외 틸팅핀고정편축공(g22)과 외 틸팅고정공(h2b)이 서로 대응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반 수단과 방법을 통하여 보다 세분화된 틸팅각도를 얻으며 보다 섬세하고 전문적인 운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베이스본체프레임(100); 발판(110); 전단횡프레임(120); 중앙횡프레임(130); 후단횡프레임(140); 종프레임(150);
전단받침프레임(200);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 전단받침프레임쿠션부(230);
중앙받침프레임(300);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
각도조절부(400);
전단받침프레임(200);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 전단받침프레임쿠션부(230);
중앙받침프레임(300);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
각도조절부(400);
Claims (1)
- 베이스본체프레임(100); 전단받침프레임(200); 중앙받침프레임(300); 및 각도조절부(400);를 포함하는 스쿼트운동기구에 있어서,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은 바닥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다른 구성의 받침이 되며, 발판(110); 전단횡프레임(120); 중앙횡프레임(130); 후단횡프레임(140); 및 종프레임(150);을 포함하고,
발판(110)은 전단횡프레임(120)과 중앙횡프레임(130) 사이에 개재되며 사용자의 좌우 발을 받침하도록 평판형상을 취하여서, 종프레임(150)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전단횡프레임(12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전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횡프레임(13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전단횡프레임(120)과 이격되고,
후단횡프레임(14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후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종프레임(15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종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전단횡프레임(120), 중앙횡프레임(130) 및 후단횡프레임(140)의 각 중간과 연결되고,
전단받침프레임(20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전단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신체를 받침하며,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 및 전단받침프레임쿠션부(230);를 포함하고,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이 전단횡프레임(120)에 고정되고,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는 전단이 전단받침프레임고정대(210)의 상단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고정되고,
전단받침프레임쿠션부(230)는 쿠션부재로 제공되며, 횡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전단받침프레임조절대(2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중앙받침프레임(300)은 베이스본체프레임(100)의 중간 허리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신체를 받침하며,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 및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을 포함하고,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이 종프레임(150)에 굴절 가능한 힌지로 고정되어서,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가 종방향으로 기울임이 가능케 틸팅힌지결합(hi)이 구성되고,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이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고정되고,
중앙받침프레임쿠션(330)은 평판형상의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어서 후면이 중앙받침프레임조절대(320)의 상단에 고정되고,
각도조절부(400)는 중앙받침프레임고정대(31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운동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4955A KR20210042232A (ko) | 2019-10-09 | 2019-10-09 | 스쿼트운동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4955A KR20210042232A (ko) | 2019-10-09 | 2019-10-09 | 스쿼트운동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2232A true KR20210042232A (ko) | 2021-04-19 |
Family
ID=7571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4955A KR20210042232A (ko) | 2019-10-09 | 2019-10-09 | 스쿼트운동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4223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1114098A1 (de) | 2020-06-15 | 2021-12-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ixelarray zur reduzierung des bildinformationsverlustes und bildsensor mit demselben |
KR102418714B1 (ko) * | 2022-02-18 | 2022-07-07 | 변현정 | 후면 어깨 운동 기구 |
KR102454133B1 (ko) * | 2022-04-06 | 2022-10-14 | 장경원 | 바렐 운동기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7600B1 (ko) | 2003-01-10 | 2005-05-03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회전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
KR101720874B1 (ko) | 2015-10-01 | 2017-03-29 | 김수현 |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
KR101905367B1 (ko) | 2018-06-01 | 2018-10-05 | 구경식 | 스쿼트 운동 기구 |
-
2019
- 2019-10-09 KR KR1020190124955A patent/KR2021004223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7600B1 (ko) | 2003-01-10 | 2005-05-03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회전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
KR101720874B1 (ko) | 2015-10-01 | 2017-03-29 | 김수현 |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
KR101905367B1 (ko) | 2018-06-01 | 2018-10-05 | 구경식 | 스쿼트 운동 기구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1114098A1 (de) | 2020-06-15 | 2021-12-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ixelarray zur reduzierung des bildinformationsverlustes und bildsensor mit demselben |
KR102418714B1 (ko) * | 2022-02-18 | 2022-07-07 | 변현정 | 후면 어깨 운동 기구 |
KR102454133B1 (ko) * | 2022-04-06 | 2022-10-14 | 장경원 | 바렐 운동기구 |
WO2023195581A1 (ko) * | 2022-04-06 | 2023-10-12 | 장경원 | 바렐 운동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13745B2 (en) | Portable calisthenics exercise device | |
US9974999B2 (en) | Machine or apparatus for performing exercises | |
US10821325B2 (en) | Balancing push up bar | |
US5725460A (en) | Adjustable weight lifter's bench | |
US6312365B1 (en) | Exercise apparatus for leg muscles | |
US20050059536A1 (en) | Collapsi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 |
KR20210042232A (ko) | 스쿼트운동기구 | |
US9446284B2 (en) | Squat exercising | |
US7435207B2 (en) |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 |
JP7089111B2 (ja) | 身体均衡補助器具 | |
EP2537564B1 (en) |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 |
US20140128231A1 (en) |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 |
US20130310232A1 (en) | Exercise Apparatus | |
US20190217154A1 (en) |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 |
US11311773B2 (en) | Balancing push up bar | |
US8827882B2 (en) | Proprioception balance and coordination enhancement system | |
US9302149B1 (en) |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 |
US6048294A (en) | Exercise apparatus | |
US20180344036A1 (en) | Core Exercising Stool | |
US10870031B2 (en) | Hip flexor bench | |
TWI632936B (zh) | 蹲立健身器 | |
KR101935587B1 (ko) | 교체 장착이 가능한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 |
KR200483889Y1 (ko) | 복합 운동 기구 | |
KR20170050500A (ko) | 입식형 자세교정장치 | |
KR200477862Y1 (ko) | 조절 가능한 스쿼트 운동 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