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212A -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212A
KR20180008212A KR1020160090242A KR20160090242A KR20180008212A KR 20180008212 A KR20180008212 A KR 20180008212A KR 1020160090242 A KR1020160090242 A KR 1020160090242A KR 20160090242 A KR20160090242 A KR 20160090242A KR 20180008212 A KR20180008212 A KR 2018000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pulse
user
muscle
sec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복
장주웅
박범규
정준호
심대보
이근영
이영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루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루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루메드
Priority to KR102016009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8212A/ko
Publication of KR2018000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S100)은,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단계(S110); b)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바탕으로 전기 자극해야 할 신체 부위를 선정하는 자극부위 선정단계(S120); c)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자극부위선정단계를 통해 선정된 신체 부위 정보를 바탕으로 전기 자극 전류량 값을 계산하는 자극전류값 도출단계(S130); 및 d) 자극부위 선정단계를 통해 선정된 신체 부위와 대응되는 패드에 자극전류값 도출단계를 통해 획득한 자극 전류량을 인가하여 해당 부위에 대한 전기 자극을 실시하는 전기자극 실시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에 따르면, 근육 운동을 함에 있어서, 해당 근육에 대한 전기 자극을 수행함으로써, 근육 운동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Control Method for Electrically Stimulating Muscles Apparatus, and Electrically Stimulating Muscles Apparatus Operated Therby}
본 발명은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 중 전기 근육 자극을 운동 종류 및 운동 부위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허빌리테이션을 보조하는 기구나 운동기구(소위 건강기구를 포함함)에 응용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으로서 전기적 근육 자극(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이 주목받고 있다.
전기적 근육 자극에 의한 운동은 덤벨운동과 같이 무거운 것을 사용하는 운동과는 상위하며, 근육을 전기적으로 자극함으로써 근육이 수축되는 것을 이용해서 근육을 단련시킨다는 것이며, 보다 안정성이 높은 운동 방법으로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각 기구에 있어서는 근육을 전기로 자극하기 위해서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전극의 위치의 조절 또는 설정은 통상은 사용자나 보조자의 경험치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전기적 근육 자극에 의한 운동에 있어서는 전기에 의해 근육의 어디를 자극해도 좋다는 것은 아니고, 충분한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극을 근육의 신경근 접합부(운동신경이 근육에 접합되는 부분)를 자극할 수 있는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근육 운동과 함께 전기 근육 자극을 적절히 병행할 경우, 근육 운동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 제어되지 못하여, 사용자에 맞는 최적의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7597호 (2012년 11월 22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근육 운동을 함에 있어서, 해당 근육에 대한 전기 자극을 수행함으로써, 근육 운동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은,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단계; b)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바탕으로 전기 자극해야 할 신체 부위를 선정하는 자극부위 선정단계; c)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자극부위선정단계를 통해 선정된 신체 부위 정보를 바탕으로 전기 자극 전류량 값을 계산하는 자극전류값 도출단계; 및 d) 자극부위 선정단계를 통해 선정된 신체 부위와 대응되는 패드에 자극전류값 도출단계를 통해 획득한 자극 전류량을 인가하여 해당 부위에 대한 전기 자극을 실시하는 전기자극 실시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단계에서,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키, 몸무게, 가슴둘레길이, 허리둘레길이,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지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단계는; a-1) 사용자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a-2)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및 a-3)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입력단계는; a-4) 기 저장된 여러 트레이닝 코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a-5) 선택된 트레이닝 코스를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단계는; a-6) 관리자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a-7) 관리자가 관리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및 a-8) 관리자가 관리하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입력단계는; a-9) 관리자에 의해 기 저장된 여러 트레이닝 코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a-10)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닝 코스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60분 미만, 전기 자극 주파수 2 내지 150 Hz, 펄스동작 3 내지 5초, 펄스정지 10초 미만,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1.0초 및 펄스 폭 5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스동작 시간대 펄스정지 시간 비는, 1:1 내지 1:5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펄스 적응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적응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4분 내지 6분, 전기 자극 주파수 80 내지 90 Hz, 펄스동작 연속, 펄스 상승시간 0.0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근육 강화 기본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근육 강화 기본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15분 내지 25분, 전기 자극 주파수 80 내지 90 Hz, 펄스동작 3초 내지 5초, 펄스휴지 3초 내지 5초, 펄스 상승시간 0.2 내지 0.6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근육 강화 고급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근육 강화 고급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15분 내지 25분, 전기 자극 주파수 80 내지 90 Hz, 펄스동작 3초 내지 5초, 펄스휴지 3초 내지 5초,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0.2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신진 대사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진 대사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15분 내지 25분, 전기 자극 주파수 5 내지 9 Hz, 펄스동작 연속,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0.2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신체 이완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이완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5분 내지 15분, 전기 자극 주파수 90 내지 110 Hz, 펄스동작 0.5 내지 1.5초, 펄스휴지 0.5 내지 1.5초,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0.2 초, 및 펄스 폭 100 내지 2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스커트 동작, 런지 동작 프런트 레프트, 런지 동작 프런트 라이트, 런지 동작 사이트 레프트, 런지 동작 사이트 라이트, 크런치 동작, 크런치 동작 다이애거널 레프트, 크런치 동작 다이애거널 라이트, 니 크런치 동작, 몸통 회전 동작 레프트, 몸통 회전 동작 라이트, 크런치 동작, 탁자 자세 동작, 이두박근 동작, 버터플라이 리버스 동작 레프트, 버터플라이 리버스 동작 라이트 및 오버스트레칭 동작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위 선정단계에서, 전기 자극해야 할 신체 부위는, 가슴, 배, 등, 어깨, 팔, 엉덩이, 허벅지, 무릎 및 종아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 실시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신호값을 입력받아, 자극부위를 변경하거나 자극전류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상반신, 팔,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에 장착되는 전기자극 조끼; 상기 전기자극 패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입력받은 후 입력값을 제어부에 송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조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근육 자극 조끼를 착용하기 전 물을 분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 근육 자극 조끼를 착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기 근육 자극 조끼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에 의해 제어될 때, 전기 근육 자극 장치의 출력부로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조끼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100)는 이하 후술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S100)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S100)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반신, 팔,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에 장착되는 전기자극 조끼(200); 전기자극 패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입력받은 후 입력값을 제어부에 송신하는 입력부(110); 및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 제어부(120) 및 출력부(130)는, 상부 고정지지대(140)에 서로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고정지지대(140)는, 지면 상에 고정된 하부 고정지지대(160)에 장착된 수직 지지대(150)에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중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수직 지지대(150)의 상부에 핸들(14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조끼(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장착 조끼(210)에 전기 자극 패드(220) 및 케이블(230)이 장착된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자극 패드(220)는, 운동 중 자극을 가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벌크로 결속 부재 등을 활용하여 전기 자극 패드(220)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에 의해 제어될 때, 전기 근육 자극 장치의 출력부로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S100)은, 정보 입력단계(S110), 자극부위 선정단계(S120), 자극전류값 도출단계(S130) 및 전기자극 실시단계(S14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입력단계(S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이때, 입력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키, 몸무게, 가슴둘레길이, 허리둘레길이,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지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정보 입력단계(S110)는, 각각의 사용자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는 기 저장된 여러 트레이닝 코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트레이닝 코스를 업로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여러 사용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여러 사용자를 따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관리자는 예를 들어 헬쓰 트레이너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관리자 역시, 각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업로드 할 수 있으며, 기 저장된 각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기 저장된 여러 트레이닝 코스 중 하나의 선택하는 각 사용자에게 전송한 후, 선택된 트레이닝 코스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60분 미만, 전기 자극 주파수 2 내지 150 Hz, 펄스동작 3 내지 5초, 펄스정지 10초 미만,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1.0초 및 펄스 폭 5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언급한 여러 인자들을 적절한 범위 내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펄스동작 시간대 펄스정지 시간 비는, 1:1 내지 1:5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S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운동에 대한 적절한 전기 자극 범위를 제공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운동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언급한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의 구성 요소를 예시와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언급한 기 저장된 크레이닝 코스는, 펄스 적응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펄스 적응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4분 내지 6분, 전기 자극 주파수 80 내지 90 Hz, 펄스동작 연속, 펄스 상승시간 0.0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기 저장된 크레이닝 코스는, 근육 강화 기본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근육 강화 기본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15분 내지 25분, 전기 자극 주파수 80 내지 90 Hz, 펄스동작 3초 내지 5초, 펄스휴지 3초 내지 5초, 펄스 상승시간 0.2 내지 0.6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기 저장된 크레이닝 코스는, 근육 강화 고급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근육 강화 고급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15분 내지 25분, 전기 자극 주파수 80 내지 90 Hz, 펄스동작 3초 내지 5초, 펄스휴지 3초 내지 5초,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0.2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기 저장된 크레이닝 코스는, 신진 대사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진 대사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15분 내지 25분, 전기 자극 주파수 5 내지 9 Hz, 펄스동작 연속,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0.2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기 저장된 크레이닝 코스는, 신체 이완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체 이완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5분 내지 15분, 전기 자극 주파수 90 내지 110 Hz, 펄스동작 0.5 내지 1.5초, 펄스휴지 0.5 내지 1.5초,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0.2 초, 및 펄스 폭 100 내지 2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언급한 기 저장된 크레이닝 코스는, 스커트 동작, 런지 동작 프런트 레프트, 런지 동작 프런트 라이트, 런지 동작 사이트 레프트, 런지 동작 사이트 라이트, 크런치 동작, 크런치 동작 다이애거널 레프트, 크런치 동작 다이애거널 라이트, 니 크런치 동작, 몸통 회전 동작 레프트, 몸통 회전 동작 라이트, 크런치 동작, 탁자 자세 동작, 이두박근 동작, 버터플라이 리버스 동작 레프트, 버터플라이 리버스 동작 라이트 및 오버스트레칭 동작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여러 동작들은, 여러 가지로 선택되어 특정 근육 운동에 활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자극부위 선정단계(S120)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바탕으로 전기 자극해야 할 신체 부위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전기 자극해야 할 신체 부위는, 가슴, 배, 등, 어깨, 팔, 엉덩이, 허벅지, 무릎 및 종아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반신만을 전기 자극할 수 있는 전기 근육 자극 조끼(20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깨, 팔, 엉덩이, 허벅지, 무릎 및 종아리에 대응되는 구조로 제작된 밴드 또는 패드를 활용하여 전기 자극을 수행할 수 있다.
자극전류값 도출단계(S130)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자극부위선정단계를 통해 선정된 신체 부위 정보를 바탕으로 전기 자극 전류량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계산된 전기 자극 전류량 값은 앞서 언급한 대상 신체 부위와 운동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전기자극 실시단계(S140)는, 자극부위 선정단계를 통해 선정된 신체 부위와 대응되는 패드에 자극전류값 도출단계를 통해 획득한 자극 전류량을 인가하여 해당 부위에 대한 전기 자극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경우에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신호값을 입력받아, 자극부위를 변경하거나 자극전류값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근육 자극 장치(100)의 출력부(130)에 나타내는 운동모습을 따라하며 손쉽게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조끼(200)에는 심박수, 체온 및 호흡량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기록한 후, 이후 운동 일정에 반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구성의 정보 입력단계, 자극부위 선정단계, 자극전류값 도출단계 및 전기자극 실시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근육 운동을 함에 있어서, 해당 근육에 대한 전기 자극을 수행함으로써, 근육 운동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범위로 제어되는 전기 자극에 의해서, 운용 종류에 따른 신체 각 부위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해당 운동에 따른 운동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반복 활용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운동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에 따르면, 관리자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운동정보를 저장하거나 수정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운동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전기 자극 범위로 각각 특정지어진 펄스 적응코스, 근육 강화 기본 코스, 근육 강화 고급 코스, 신진 대사 코스 및 신체 이완 코스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운동에 대한 적절한 전기 자극 범위를 제공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운동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S100: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S110: 정보 입력단계
S120: 자극부위 선정단계
S130: 자극전류값 도출단계
S140: 전기자극 실시단계
10: 사용자
100: 전기 근육 자극 장치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30: 출력부
140: 상부 고정지지대
150: 수직 지지대
160: 하부 고정지지대
140: 핸들
200: 전기 근육 자극 조끼
210: 장착 조끼
220: 전기 자극 패드
230: 케이블

Claims (18)

  1. 전기 근육 자극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단계(S110);
    b)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바탕으로 전기 자극해야 할 신체 부위를 선정하는 자극부위 선정단계(S120);
    c)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자극부위선정단계를 통해 선정된 신체 부위 정보를 바탕으로 전기 자극 전류량 값을 계산하는 자극전류값 도출단계(S130); 및
    d) 자극부위 선정단계를 통해 선정된 신체 부위와 대응되는 패드에 자극전류값 도출단계를 통해 획득한 자극 전류량을 인가하여 해당 부위에 대한 전기 자극을 실시하는 전기자극 실시단계(S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S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단계(S110)에서,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키, 몸무게, 가슴둘레길이, 허리둘레길이,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지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단계(S110)는;
    a-1) 사용자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a-2)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및
    a-3)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단계(S110)는;
    a-4) 기 저장된 여러 트레이닝 코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a-5) 선택된 트레이닝 코스를 업로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단계(S110)는;
    a-6) 관리자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a-7) 관리자가 관리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및
    a-8) 관리자가 관리하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단계(S110)는;
    a-9) 관리자에 의해 기 저장된 여러 트레이닝 코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a-10)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닝 코스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60분 미만, 전기 자극 주파수 2 내지 150 Hz, 펄스동작 3 내지 5초, 펄스정지 10초 미만,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1.0초 및 펄스 폭 5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동작 시간대 펄스정지 시간 비는, 1:1 내지 1:5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펄스 적응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적응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4분 내지 6분, 전기 자극 주파수 80 내지 90 Hz, 펄스동작 연속, 펄스 상승시간 0.0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근육 강화 기본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근육 강화 기본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15분 내지 25분, 전기 자극 주파수 80 내지 90 Hz, 펄스동작 3초 내지 5초, 펄스휴지 3초 내지 5초, 펄스 상승시간 0.2 내지 0.6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근육 강화 고급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근육 강화 고급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15분 내지 25분, 전기 자극 주파수 80 내지 90 Hz, 펄스동작 3초 내지 5초, 펄스휴지 3초 내지 5초,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0.2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신진 대사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진 대사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15분 내지 25분, 전기 자극 주파수 5 내지 9 Hz, 펄스동작 연속,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0.2 초, 및 펄스 폭 300 내지 4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신체 이완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이완 코스는, 전기 자극 작동시간 5분 내지 15분, 전기 자극 주파수 90 내지 110 Hz, 펄스동작 0.5 내지 1.5초, 펄스휴지 0.5 내지 1.5초, 펄스 상승시간 0.0 내지 0.2 초, 및 펄스 폭 100 내지 200 마이크로섹크로 구성된 제어요소 군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레이닝 코스는, 스커트 동작, 런지 동작 프런트 레프트, 런지 동작 프런트 라이트, 런지 동작 사이트 레프트, 런지 동작 사이트 라이트, 크런치 동작, 크런치 동작 다이애거널 레프트, 크런치 동작 다이애거널 라이트, 니 크런치 동작, 몸통 회전 동작 레프트, 몸통 회전 동작 라이트, 크런치 동작, 탁자 자세 동작, 이두박근 동작, 버터플라이 리버스 동작 레프트, 버터플라이 리버스 동작 라이트 및 오버스트레칭 동작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위 선정단계(S120)에서, 전기 자극해야 할 신체 부위는,
    가슴, 배, 등, 어깨, 팔, 엉덩이, 허벅지, 무릎 및 종아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 실시단계(S140)에서,
    사용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신호값을 입력받아, 자극부위를 변경하거나 자극전류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S100)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18. 제 17 항에 따른 기록 매체;
    사용자의 상반신, 팔,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에 장착되는 전기자극 조끼(200);
    상기 전기자극 패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입력받은 후 입력값을 제어부에 송신하는 입력부(110); 및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100).
KR1020160090242A 2016-07-15 2016-07-15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KR20180008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242A KR20180008212A (ko) 2016-07-15 2016-07-15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242A KR20180008212A (ko) 2016-07-15 2016-07-15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212A true KR20180008212A (ko) 2018-01-24

Family

ID=6102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242A KR20180008212A (ko) 2016-07-15 2016-07-15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82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156A (ko) * 2018-01-24 2019-08-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육의 협응패턴 분석에 기반하는 착용형 보행 재활로봇 장치
KR20210156891A (ko) * 2020-06-18 2021-12-28 (주)자이네스 근력강화슈트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156A (ko) * 2018-01-24 2019-08-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육의 협응패턴 분석에 기반하는 착용형 보행 재활로봇 장치
KR20210156891A (ko) * 2020-06-18 2021-12-28 (주)자이네스 근력강화슈트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8527B2 (en) Exosuit system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resisting and aligning core biomechanical functions
McAtee Facilitated stretching
EP3259016A2 (de) 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reizen
CN107530540A (zh) 用于控制刺激脉冲的系统
US8219191B1 (en) Recumbent stepping exercise device with stimulation and related methods
JP2005536290A (ja) 可変電気筋肉刺激を与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DE102015002565A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von Stimulations-Impulsen
KR20190103279A (ko) 전기 자극 장치
Caulfield et al. Self directed home based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improves exercise tolerance and strength in healthy elderly
Hanuszkiewicz et al. Effects of selected forms of physical activity on body posture in the sagittal plane in women post breast cancer treatment
US7699760B2 (en) Physical therapy system
KR20180008212A (ko) 전기 근육 자극 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근육 자극 장치
Cacchio et al. Effects of 8-week strength training with two models of chest press machines on muscular activity pattern and strength
KR101633906B1 (ko) 근기능 저하 방지 장치
JP2009082428A (ja) 運動処方提案装置
US8923978B1 (en) Exercise device with stimulation based on volitional contribution and related methods
KR20160068154A (ko) 원격 ems 트레이닝 시스템
CN210278156U (zh) 实景仿真自主式健身器
KR102020292B1 (ko)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CN204246754U (zh) 多功能上肢锻炼器
Kiliç et 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Six Weeks Electro Muscle Stimulation Training on Physical Changes in the Sedentary Men and Women.
KR20210029063A (ko) 인체생리신호를 활용한 자가 운동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의류
da Fonseca et al. Towards indoor rowing assisted by electrical stimulation for persons with paraplegia
Vrbová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health, Beauty, Fitness, Sports Training and Rehabilitation: A users guide
OSAMA EFFECTS OF FUNCTIONAL SUSPENSION TRAINING ON L-SIT CROSS IN STILL RINGS FOR EGYPTIAN ELITE MALE ARTISTIC GYMNA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