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292B1 -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292B1
KR102020292B1 KR1020180070319A KR20180070319A KR102020292B1 KR 102020292 B1 KR102020292 B1 KR 102020292B1 KR 1020180070319 A KR1020180070319 A KR 1020180070319A KR 20180070319 A KR20180070319 A KR 20180070319A KR 102020292 B1 KR102020292 B1 KR 102020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sistance
support
exerci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김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훈 filed Critical 김병훈
Priority to KR102018007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42Lying down
    • A63B2208/0252Lying down 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쿼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운동에 사용하는 기구에 있어서, 서서 깊이 웅크린 다음 일어서는 운동으로 웨이트 트레이닝의 대표적인 운동인 스쿼트를 위한 운동기구로서 사용자가 일어서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누워서 사용하는 스쿼트를 실시할 수 있으며, 로잉 운동 또한 실시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Lying squat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스쿼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운동에 사용하는 기구에 있어서, 서서 깊이 웅크린 다음 일어서는 운동으로 웨이트 트레이닝의 대표적인 운동인 스쿼트를 위한 운동기구로서 사용자가 일어서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누워서 사용하는 스쿼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과 몸짱 열풍으로 사람들은 과거에 비해서 건강과 신체 형태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도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스포츠 센터를 다니거나 각종 동호회 활동 등을 통하여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하고 있다.
이는 통계로도 나타나 국민들의 여가시간 활용방법 중 운동 및 스포츠 활동이 TV 시청을 앞질러 능동적인 체육활동이 국민의 대표적인 여가 활동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비례하여 과거에 비해 질 좋은 체육시설이 주변에 많이 만들어 지고 있다. 따라서 일반인들 누구나 저렴한 가격으로 질 좋은 시설에서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동안에는 소위 유산소성 운동이 운동 중 에너지 소비가 많고 부상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 때문에 일반인의 건강관리 수단으로 적극 소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근육증대와 체지방 감소를 통한 체성분 상태의 개선, 골다공증과 부상 방지, 근육 부위별 불균형 방지 등을 위하여 유산소 운동보다 웨이트 트레이닝이 더욱 장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크게 상체 운동과 하체 운동으로 나눌 수 있고, 같은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자세에 따라 운동부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웨이트 트레이닝 종목 중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부위의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이 바로 스쿼트(Squat)이다. 스쿼트는 하체뿐만 아니라 상체의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근육발달을 위한 가장 대표적인 운동이다.
스쿼트 트레이닝은 많은 스포츠 종목에서 운동 수행력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많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도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다양하고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운동인 스쿼트는 무거운 중량을 지탱해야 하고, 앉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가장 어려운 운동 중 하나이다.
즉, 기구 없이 스쿼트를 하는 경우 올바른 자세로 운동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예를 들어 자세를 낮췄을 때 무릎이 발 앞으로 나가게 되면 원하는 운동부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일정 높이 이하로 하체를 낮추는 자세를 취할 경우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넘어지면서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보다 정확한 운동효과를 얻기 위한 스쿼트 자세 교정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1796956호로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지지봉부와 상기 지지봉부의 양단에 체결되어 천장과 바닥에 밀착되는 흡착부와 한 쌍의 상기 지지봉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부는 지지봉몸체와 상기 지지봉몸체에 체결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봉몸체 내부에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봉관을 포함하여, 스쿼트를 함에 있어 지지봉부를 잡음으로써 운동 시, 체중이 뒤로 실려 넘어짐으로써 입을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고, 운동 시 무릎이 발 앞으로 나가지 않게 함으로써 올바른 자세유지와 목표 운동부위가 효과적으로 단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자신의 체중에 의하여 무릎 관절 또는 경추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무릎 관절 및 경추에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96956호 (2017.11.13)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운동에 사용하는 기구에 있어서, 서서 깊이 웅크린 다음 일어서는 운동으로 웨이트 트레이닝의 대표적인 운동인 스쿼트를 위한 운동기구로서 사용자가 일어서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누워서 사용하는 스쿼트를 실시할 수 있으며, 로잉 운동 또한 실시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는, 운동기구의 뼈대로 형성되는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111) 위에 형성되는 레일(112)을 포함하는 베이스부(110);
상기 레일(112)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를 지지하는 몸통 지지부(120);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 지지부(130);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일측단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을 파지하는 손잡이부(140);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움직임에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제공수단(151)과,
상기 저항제공수단(151)과 연결되어 저항을 제어하며 현재 저항수준을 표시하는 저항제어수단(152)을 포함하는 저항부(150);
사용자의 몸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60); 및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센서부(160)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처리수단(171)과,
상기 데이터처리수단(171)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72)을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통 지지부(120)는 사용자의 어깨와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어깨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어깨지지수단(1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부(150)는 상기 몸통 지지부(120)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미리 준비된 바와 연결하는 로잉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항부(150)는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에 로잉 운동을 위한 저항 세팅인 로잉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처리부(170)는 상기 센서부(160)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수단(171)에서 처리하기 위한 기준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신체기준정보DB(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일어서서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누워서 수행할 수 있어, 일어서서 스쿼트를 수행하였을 경우 근육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거나 근육의 피로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계의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센서부에서 사용자의 근육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근육이 약화되어 있거나 무리한 부하가 감지될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무리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근골격계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스쿼트 운동기구는 로잉 모드로 변경이 가능하여, 스쿼트 운동뿐만 아니라, 조정 훈련의 일환이자 유산소운동 중 운동량이 높은 로잉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운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기구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처리수단을 통하여 센서부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처리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자신의 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근골격계에 무리가 갈 정도의 운동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어, 무리한 운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 지지부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저항부 일 실시예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 일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일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 지지부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저항부 일 실시예,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운동기구의 뼈대로 형성되는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111) 위에 형성되는 레일(112)을 포함하는 베이스부(110);
상기 레일(112)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를 지지하는 몸통 지지부(120);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 지지부(130);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일측단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을 파지하는 손잡이부(140);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움직임에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제공수단(151)과,
상기 저항제공수단(151)과 연결되어 저항을 제어하며 현재 저항수준을 표시하는 저항제어수단(152)을 포함하는 저항부(150);
사용자의 몸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60); 및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센서부(160)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처리수단(171)과,
상기 데이터처리수단(171)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72)을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레일(112)을 따라 상기 몸통 지지부(120)가 상기 레일(1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몸통 지지부(120)에 등을 받치고 눕고 발을 상기 발 지지부(130)에 디뎌 고정하는 형태를 기본자세로 한다. 기본자세를 취한 후, 사용자가 발로 상기 발 지지부(130)를 밀어 상기 몸통 지지부(120)를 상기 발 지지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기본자세를 반복함으로써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몸통 지지부(120)에 등을 받치고 누운 후 무릎을 오므려 발을 상기 발 지지부(130)에 닿게 한 다음, 사용자가 발로 상기 발 지지부(130)를 밀어 상기 몸통 지지부(120)를 상기 발 지지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발 지지부(130)로부터 일정거리 이동한 몸통 지지부(120)는 저항부(150)의 저항에 의해 다시 발 지지부(130) 근처로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사용자는 다시 발을 발 지지부(130)에 닿게 하여 기본자세를 취한 후, 발로 상기 발 지지부(130)를 밀어 상기 몸통 지지부(120)를 상기 발 지지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다수 회 반복하여 누워서 편안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허리가 안착되는 부분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일측단부에는 한 쌍의 손잡이부(14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파지할 수 있어 안전하고 편안하게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몸통 지지부(120)는 사용자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 머리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머리 안착부의 내부에는 진동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운동을 하는 동안 두피 마사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통 지지부(120)는 속도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어, 몸통 지지부(120)가 레일(112) 위를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발로 발 지지부(130)를 미는 힘에 상관없이 몸통 지지부(120)가 레일(112) 위를 일정속도로 이동할 수 있어 편안하게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몸통 지지부(120)는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상체를 바닥으로부터 일정각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몸통 지지부(120)에 눕게 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는 바닥에 평행한 상태로 놓이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를 일정각도로 상승시켜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상체를 바닥으로부터 일정각도로 상승시켜 보다 편안한 상태로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발 지지부(130)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하체 길이에 따라 발 지지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조절하여 발 지지부(130)를 완전히 하강시킬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발 지지부(130) 대신 벽이나 기둥을 밀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 지지부(130)는 발이 닿는 발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발 안착부의 내부에는 진동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운동을 하는 동안 발 마사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기존에 서서 하는 스쿼트 운동의 경우 운동을 수행하지 않고 기본자세를 취하더라도 자신의 체중으로 인하여 무릎에 꾸준한 부하가 발생하는 고도 비만 등의 운동 대상자에게는 무릎에 질환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의 경우 상기 몸통 지지부(120)에 등을 기대는 형태로 눕는 자세가 기본자세로 무릎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아 무릎에 발생될 수 있는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스쿼트의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내려앉는 동작을 수행할 때 운동 대상자의 자세가 나쁠 경우 경추에 압박을 주어 이에 따른 질환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의 경우 상기 몸통 지지부(120)에 등을 밀착하고 운동을 수행하는 형태로 스쿼트를 수행하므로 자세의 불안정으로 발생될 수 있는 경추의 압박을 미연에 방지하여 이에 따른 질환에 대한 염려 없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는 트레이너와 같이 가이드를 해주는 사람 없이도 스쿼트 수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통 지지부(120)는 사용자의 어깨와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어깨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어깨지지수단(1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통 지지부(120)에서 사용자의 몸통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어깨지지수단(121)을 통하여 사용자의 몸통은 상기 몸통 지지부(120)에 보다 면밀히 고정되어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몸통이 상기 몸통 지지부(120)에 고정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이동을 통하여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상기 몸통 지지부(120)를 상기 레일(112)을 따라 왕복운동시킴을 통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몸통 지지부(120)에서 사용자의 몸통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경추에 부하로 작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부하는 경추의 무리로 이어져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어깨지지수단(121)을 통하여 사용자 몸통의 이동을 제한하여 사용자의 몸통과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밀착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경추의 잘못된 부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근골격계의 부상을 방지하여 건강한 운동 수행을 유도할 수 있으며, 낙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상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 4 및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저항부(150)는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움직임에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항부(150)는 상기 발 지지부(130)가 위치하는 프레임(11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프레임(111)의 일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항부(15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중 저항을 부가하는 상기 저항제공수단(151)은 회전형부하 또는 수직형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몸통 지지부(120)와 와이어로 연결되며, 와이어에 부여하는 저항을 통하여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이동에 부하를 제공한다. 이때, 저항을 제공하는 방법은 회전형 또는 수직형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회전형이라 함은 드럼에 와이어가 권취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저항을 부여하여 부하를 제공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와이어가 권취되어 있는 드럼의 축에 저항을 부여하여 와이어의 이동에 부하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수직형이라 함은 와이어가 저항을 부여하기 위한 다수개의 무게추로 구성되는 저항세트에 무게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방식을 말한다. 즉, 와이어가 연결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추와 연결되어 해당 무게추의 무게만큼 저항을 제공받아 부하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더불어,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을 통하여 와이어에 부여되는 부하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을 통하여 회전형의 드럼 중심축과 연결되어 저항을 조절하는 기어 또는 수직형의 무게추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제어하여 와이어에 제공되는 저항을 조절하여 부여되는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은 제공되는 저항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72)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는 보다 정확하게 저항 값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저항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부(150)는 상기 몸통 지지부(120)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미리 준비된 바와 연결하는 로잉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잉운동은 유산소운동량이 가장 높은 운동 중 하나이며, 로잉운동 효과는 호산구(eosinophils)를 80%까지 감소시키고, 동시에 혈장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은 10배, 췌장 폴리펩티드(Pancreatic polypeptide)는 2배,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15% 증가시키는 등의 생리학적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운동으로 보고된 바 있다. 더불어 다양한 임상실험에서 로잉운동 후 효과로 근육량 증가와 상하체 모든 근력의 증가가 보고 된 바 있으며, 체중 당 최대산소섭취량의 증가 및 혈청지질의 변화가 보고되었다. 따라서 로잉 운동은 관절의 상해를 줄이면서 체중을 감량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로잉운동은 조정동작과 유사하여 앉은 자세에서 바를 잡아당기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로잉운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는 상기 저항부(150)와 상기 몸통 지지부(120)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상기 몸통 지지부(120)측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저항부(150)와 로잉을 위한 그립으로 준비된 바를 연결하여 로잉 운동을 수행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항부(150)는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에 로잉 운동을 위한 저항 세팅인 로잉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스쿼트 운동을 위한 부하를 제공하기 위한 세팅으로 준비되어 있던 상기 저항부(150)는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로잉 운동을 위한 저항세팅인 로잉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누어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는 사용자에게 스쿼트 운동에 최적화된 부하를 제공하기 위한 저항세팅인 기본모드뿐만 아니라 로잉 운동에 최적화된 부하를 제공하기 위한 저항세팅인 로잉모드를 각각 사용하여 각 운동에 적절한 부하를 제공받을 수 있어 운동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스쿼트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센서부(160)는 근전도 신호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근전도 신호변화를 이용한 피로 측정 방법은 근육이 수축되기 40~100 ms 이전에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측정하여 근육 수축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신체의 움직임 추정 및 근육 피로 발생을 판단하는 방식으로, 근육 피로가 발생하면서 근전도 신호의 크기가 증가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사람이 움직이고자 할 때 신경을 통해 전기신호가 근육에 전달되는데, 이 때 사람의 피부 표면에 부착된 표면 근전도 센서(혹은 표면 전극)를 이용하여 표면 근전도 신호(SEMG)를 측정함으로써 사람의 움직임 의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측정된 근전도 신호 파형을 분석하여 피측정자의 근육에 전달되는 활동 전위를 추정하고, 추정된 활동 전위에 대응하는 근육 수축 힘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근육 피로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근육 피로는 동일한 힘을 유지하거나 동일한 동작을 반복할 때 초기 조건보다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피로가 발생하게 되면 근육이 생성하는 힘의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곧 근육 피로 현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피로가 발생하는 경우, 근육에서 생성하는 힘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근육을 사용하기 위해 근육으로 전달되는 전기신호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근육 수축 특성을 이용하여 근육 피로도를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171)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처리부(170)는 상기 센서부(160)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수단(171)에서 처리하기 위한 기준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신체기준정보DB(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처리수단(171)을 통하여 도출된 정량적인 근육 피로도 데이터는 상기 신체기준정보DB(173)에 기준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근육 피로도 데이터세트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근육의 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근육의 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어, 근육의 상태를 직감에 의존하여 관리할 때에 발생될 수 있는 근육 피로 누적으로 인한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다 건강한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110: 베이스부
111: 프레임 112: 레일
120: 몸통 지지부
121: 어깨지지수단
130: 발 지지부
140: 손잡이부
150: 저항부
151: 저항제공수단 152: 저항제어수단
160: 센서부
170: 데이터처리부
171: 데이터처리수단 172: 디스플레이수단
173: 신체기준정보DB

Claims (5)

  1. 운동기구의 뼈대로 형성되는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111) 위에 형성되는 레일(112)을 포함하는 베이스부(110);
    상기 레일(112)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를 지지하는 몸통 지지부(120);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 지지부(130);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일측단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을 파지하는 손잡이부(140);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 지지부(120)의 움직임에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제공수단(151)과,
    상기 저항제공수단(151)과 연결되어 저항을 제어하며 현재 저항수준을 표시하는 저항제어수단(152)을 포함하는 저항부(150);
    사용자의 몸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60); 및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센서부(160)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처리수단(171)과,
    상기 데이터처리수단(171)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72)을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1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통 지지부(120)는
    사용자의 어깨와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어깨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어깨지지수단(1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부(150)는
    상기 몸통 지지부(120)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미리 준비된 바와 연결하는 로잉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150)는
    상기 저항제어수단(152)에 로잉 운동을 위한 저항 세팅인 로잉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170)는
    상기 센서부(160)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수단(171)에서 처리하기 위한 기준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신체기준정보DB(17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KR1020180070319A 2018-06-19 2018-06-19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KR102020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19A KR102020292B1 (ko) 2018-06-19 2018-06-19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19A KR102020292B1 (ko) 2018-06-19 2018-06-19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292B1 true KR102020292B1 (ko) 2019-09-10

Family

ID=6795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319A KR102020292B1 (ko) 2018-06-19 2018-06-19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2416A (ko) 2022-04-27 2023-11-0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하체 운동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557A (ko) * 2005-02-18 2006-08-23 (주)씨텍메디칼 팔 부착형 생체계측기를 이용한 운동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14715A (ko) * 2013-03-19 2014-09-2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스쿼트 재활 운동장치
KR20170061250A (ko) * 2015-11-26 2017-06-05 주식회사 나노바이오라이프 유산소 운동 중 통증감소를 위한 3차원 체형 맞춤형 리컴번트 사이클 플랫폼 장치
KR101796956B1 (ko) 2016-04-29 2017-11-13 윤지혜 스쿼트 자세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557A (ko) * 2005-02-18 2006-08-23 (주)씨텍메디칼 팔 부착형 생체계측기를 이용한 운동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14715A (ko) * 2013-03-19 2014-09-2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스쿼트 재활 운동장치
KR20170061250A (ko) * 2015-11-26 2017-06-05 주식회사 나노바이오라이프 유산소 운동 중 통증감소를 위한 3차원 체형 맞춤형 리컴번트 사이클 플랫폼 장치
KR101796956B1 (ko) 2016-04-29 2017-11-13 윤지혜 스쿼트 자세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2416A (ko) 2022-04-27 2023-11-0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하체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mai et al.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on both a stable and unstable surface
JP5627466B2 (ja) 腹臥位式爬行運動器具
US8968163B1 (en)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Schütz et al. Joint angles of the ankle, knee, and hip and loading conditions during split squats
US9216312B2 (en) Antigravity spinal exerciser
Snarr et al. Electromyographical comparison of pike variations performed with and without instability devices
Park et al. Effects of Nordic walking and walking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ground reaction force
CN107050828A (zh) 一种基于肌肉质量测定的智能化力量训练方法
Hanuszkiewicz et al. Effects of selected forms of physical activity on body posture in the sagittal plane in women post breast cancer treatment
Kobesova et al. 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Exercises based on developmental kinesiology models
WO2020240562A1 (en) Pelvis training device
Sööt et al. Relationship between leg bone mineral values and muscle strength in women with different physical activity
KR102020292B1 (ko)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US69162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ysiological testing including cardiac stress test
Knopf Foam Roller Workbook: A Step-by-Step Guide to Stretching,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ve Techniques
Krasnow et al. Emerging concepts of posture and alignment
KR200485362Y1 (ko)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Horsak et al. Trunk muscle activation levels during eight stabilization exercises used in the functional kinetics concept: A controlled laboratory study
Matsunaga et al. Comparison of modular control of trunk muscle by Japanese archery competitive level: a pilot study
Lee et al.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using aero-step equipment on the balance ability of normal adults
CN207654661U (zh) 一种多功能立式健体测评仪
RU2508921C1 (ru) Способ миодинамического вытяж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варианты)
Lim et al. The effect of a bridge exercise using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JPWO2007144945A1 (ja) エクササイズ装置
US20200360760A1 (en) Folding biokinetic ski fitness machine for workout of the spine in horizontal position and for strengthening whole musculoskelet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