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795A -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795A
KR20110078795A KR1020090135693A KR20090135693A KR20110078795A KR 20110078795 A KR20110078795 A KR 20110078795A KR 1020090135693 A KR1020090135693 A KR 1020090135693A KR 20090135693 A KR20090135693 A KR 20090135693A KR 20110078795 A KR20110078795 A KR 2011007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air
pressure
pair
pelv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3047B1 (ko
Inventor
유승현
이남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3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0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1Pneumatic massage by localized pressure, e.g. air streams or j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09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8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공기주머니를 등이니 복부 등에 위치시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한 후 디지털로 표현하되, 체간의 비대칭의 압력차이를 측정하여 체간의 비대칭성을 평가하며, 상기 2개의 공기 주머니를 체간(경부, 흉부, 요부)와 골반 전 후벽에 위치시켜 체간과 골반의 심부근육을 수축시키는 훈련을 할 때 피드백 기능을 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게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평가 및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공급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과 제1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 차단 및 배출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과; 경부, 흉부 및 요부 등의 체간과 골반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게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과 제2 연결수단을 통해 공급 또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체간과 골반을 가압 또는 감압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을 연결하는 제3 연결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의 내부 압력을 소정의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연산 처리하여 상기 체간과 골반의 비대칭성을 평가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부의 처리 상태나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골반, 좌대형, 교정장치, 좌판, 지지대, 에어펌프, 에어백, 공기압

Description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Stabilization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of trunk and pelvis}
본 발명은 공기백과 압력 측정수단으로 체간의 압력차이를 측정하여 체간의 비대칭성을 평가하고 교정하며, 또 체간과 골반의 심부 근육 수축훈련시 치료에 도움이 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2개의 공기주머니를 등이니 복부 등에 위치시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한 후 디지털로 표현하되, 체간의 비대칭의 압력차이를 측정하여 체간의 비대칭성을 평가하며, 상기 2개의 공기 주머니를 체간(경부, 흉부, 요부)와 골반 전 후벽에 위치시켜 체간과 골반의 심부근육을 수축시키는 훈련을 할 때 피드백 기능을 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게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평가 및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체간(體幹)이란 몸의 동체(胴體)부분을 뜻하는 것으로서 어깨에서 골반까지의 부위를 말하며, 경부(cervical region)는 목 부분, 흉부는 가슴, 요부는 허리를 말한다. 또한, 체간은 몸 가운데 중축을 이루는 부분. 머리, 목, 가슴, 배, 꼬리의 다섯 부분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최근, 안정화 운동기술이 척추질환 치료운동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장시간 부적절한 자세유지나 척추 측만증과 척추 전방전위증 등과 같은 질환 등에 의해 척추와 관련된 근골격계질환으로 인한 통증, 예컨대, 경부, 흉부, 요부, 골반, 천장관절통을 포함한 모든 몸의 중심부가 되는 척추통증은 누구나 한번쯤 겪고 있고, 그로 인해 병원을 찾는 사람도 많다.
요통은 허리근육 중 다열근, 복횡근 등을 포함한 심부근육이 활동량이 적은 반면, 요추신전근 등을 포함한 천부 근육이 과도하게 활동을 하여 척추의 안정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심부근육과 천부근육의 활동 불균형으로 인해 척추안정성의 감소와, 근육 불균형으로 인한 비대치성 척추변형 및 손상으로 인한 통증을 유발하고 있고, 그 정도가 심하면 신경을 압박하여 환자에게 정신적, 신체적, 경제적 고통을 야기시킨다.
근육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압력을 이용한 각종 치료방법이 논문 등을 통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 하나로서, 사용자의 골반의 크기에 관계없이 설정된 공기압으로 압박하고, 골반에 대각선 방향의 압박을 가하여 비틀어진 골반을 교정하며, 안마나 주무름 및 두드림 기능을 부여하여서 다양한 모드로서 골반 교정기능을 행하는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2003-41106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는 사용자가 깔고 앉는 좌판(11)과 좌판(11)의 양측 단부에서 상부로 세워지는 좌우 지지대(12a,12b)가 구비되는 좌대(10)와; 상기 좌우 지지대(12a,12b)의 내측면들에 장착되며 그 내부로 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수축·팽창하는 좌우 1쌍의 에어백(20a,20b)과; 상기 1쌍의 에 어백(20a,20b)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공기주입수단;으로 구성되는 골반 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수단은, 상기 좌우측 에어백(20a,20b)에 각각 연결되어 전후방셀에 공기를 주입하는 좌우측 에어펌프(31a,31b)와; 상기 좌우측 에어백(20a,20b)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모두 선택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좌우방향 제어밸브(32a,32b)와; 상기 좌우측 에어백(20a,20b)과 좌우방향 제어밸브(32a,32b) 사이에서 공기압을 감지하는 좌우측 공기압센서(38a,38b)와; 상기 좌우측 에어백(20a,20b)의 전후방셀의 공기를 각각 배출하는 좌우측 전후방 배기밸브(33a,33b,34a,34b)와; 상기 좌우측 에어펌프(31a,31b), 좌우 방향 제어밸브(32a,32b), 좌우측 전후방 배기밸브(33a,33b,34a,34b), 원적외선 발생부(I) 및 저주파 발진기(F)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5)와; 상기 제어장치(35)로부터 표시신호를 받아 표시하는 표시부(36)와;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스위치에 따라 해당신호를 상기 제어장치(35)에 입력하는 키입력부(37)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는 에어백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압력 레벨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설정압력 레벨로 가압할 수 있고, 또 좌우측 에어백의 전후방 셀을 대각선으로 팽창하고 수축시켜 비틀려 있는 골반을 교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하나의 공기백을 사용하므로 체간과 골반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여 체간과 골반의 불균형(비대칭성)을 평가하고, 교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간과 골반의 심부근육을 수축시키는 안정화 운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부, 흉부 및 요부 등과 같은 체간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여 체간의 불균형을 교정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간과 골반안정화 운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피드백하여 체간과 골반안정화 운동을 교정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공기주머니를 등이니 복부 등에 위치시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한 후 디지털로 표현하되, 체간의 비대칭의 압력차이를 측정하여 체간의 비대칭성을 평가하며, 상기 2개의 공기 주머니를 체간(경부, 흉부, 요부)와 골반 전 후벽에 위치시켜 체간과 골반의 심부근육을 수축시키는 훈련을 할 때 피드백 기능을 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게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 특징, 양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합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공급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과 제1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 차단 및 배출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과; 경부, 흉부 및 요부 등의 체간과 골반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게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과 제2 연결수단을 통해 공급 또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체간과 골반을 가압 또는 감압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을 연결하는 제3 연결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의 내부 압력을 소정의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연산 처리하여 상기 체간과 골반의 비대칭성을 평가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부의 처리 상태나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은 에어펌프로,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은 제어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연결수단은 파이프 또는 호스로, 상기 제3 연결수단은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제2 압력 측정수단은 압력 센서로, 상기 중앙처리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상기 입력장치는 키패드 혹은 터치 패널로, 또 상기 표시부는 LED 또는 LCD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간과 골반안정화 평가방법에 있어서, 경부, 흉부 및 요 부 등의 체간과 골반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밀착되게,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을 위치시키는 위치 조절단계와;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을 제어하여 공기 공급을 준비하는 공기공급 준비단계와;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을 통해서 상기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단계와; Abdominal drawing-inmaneuver(ADIM)이라는 복부운동을 실시하여 한쌍의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압력을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복부운동 실시단계와; 상기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ADIM 복부운동을 중지하는 복부운동 중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에 의하면, 체간과 골반의 불균형(비대칭성)을 측정하여 체간과 골반의 불균형을 교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간과 골반의 안정화 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피드백하므로 체간과 골반의 안정화 운동을 실시간으로 수정하여 불균형을 교정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공기주머니를 등이니 복부 등에 위치시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한 후 디지털로 표현하되, 체간의 비대칭의 압력차이를 측정하여 체간의 비대칭성을 평가하며, 상기 2개의 공기 주머니를 체간(경부, 흉부, 요부)와 골반 전 후벽에 위치시켜 체간과 골반의 심부근육을 수축시키는 훈 련을 할 때 피드백 기능을 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의 설명도로,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 모니터링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공기 공급수단(111a)은 체간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공기백(131a)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기이다.
제2 공기 공급수단(111b)은 체간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는 제2 공기백(131b)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기이다.
제1 공기 조절수단(121a)은 제1 공기 공급수단(111a)과 제1 공기백(131a) 사이에 위치되어 공기의 공급, 차단 및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제1 공기 조절수단(121a)은 모니터링부(150)의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공기 조절수단(121b)은 제2 공기 공급수단(111b)과 제2 공기백(131b) 사이에 위치되어 공기의 공급, 차단 및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제2 공기 조절수단(121b)은 모니터링부(150)의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은 모니터링부(150)의 중앙처리부(151)의 밸브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제1 공기백(131a)는 체간의 일측에 장착되며, 제1 공기 공급수단(111a)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체간과 골반을 가압 또는 감압한다. 이로써 체간과 골반의 안정화를 가져온다.
제2 공기백(131b)는 체간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며, 제2 공기 공급수단(111b)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체간과 골반을 가압 또는 감압한다. 이로써 체간과 골반의 안정화를 가져온다. 제2 공기백(131b)은 제1 공기백(131a)과 대칭되는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제1공기백과 연결 스트랩(제3 연결수단(133))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은 경부, 흉부 및 요부 등의 체간과 골반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게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과 제2 연결수단(123)을 통해 공급 또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체간과 골반을 가압 또는 감압한다. 공기백은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부(150)는 입력장치(161)에서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의 압력을 측정하여 체간과 골반의 비대칭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한다. 모니터링부(150)는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 중앙처리부(151), 입력장치(161), 표시부(171)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은 압력센서들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의 내부 압력을 각기 측정하는 수단이다.
중앙처리부(151)는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을 통해 측정된 상 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의 내부 압력을 소정의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연산 처리하여 체간과 골반의 비대칭성을 평가한다.
표시부(171)는 중앙처리부(151)의 처리 상태나 결과,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표시한다.
도 2은 도 2는 도 1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는 공기를 공급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과 제1 연결수단(113)을 통해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 차단 및 배출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과; 경부, 흉부 및 요부 등의 체간과 골반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게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과 제2 연결수단(123)을 통해 공급 또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체간과 골반을 가압 또는 감압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을 연결하는 제3 연결수단(133)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과;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을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의 내부 압력을 소정의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연산 처리하여 상기 체간과 골반의 비대칭성을 평가하는 중앙처리부(151)와; 상기 중앙처리부(151)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161) 및; 상기 중앙처리부(151)의 처리 상태나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17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은 에어펌프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은 제어 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연결수단(113, 123)은 파이프 또는 호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연결수단(133)은 한쌍 혹은 복수개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스트랩(벨크로, 찍찍이 등으로 이루어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은 압력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부(151)는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161)는 숫자나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 혹은 터치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171)는 복수의 LED 또는 1장 혹은 복수의 LCD 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본 발명은 체간과 골반안정화 평가방법에 있어서, 경부, 흉부 및 요부 등의 체간과 골반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밀착되게,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을 위치시키는 위치 조절단계와;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을 제어하여 공기 공급을 준비하는 공기공급 준비단계와;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을 통해서 상기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단계와; Abdominal drawing-inmaneuver(ADIM)이라는 복부운동을 실시하여 한쌍의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을 통해 측정된 압력을 표시부(171)상에 표시하는 복 부운동 실시단계와; 상기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ADIM 복부운동을 중지하는 복부운동 중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상기 위치 조절단계에서는, 평가 또는 비대칭성을 교정하고자 하는 부분, 즉 인체의 경부, 흉부 및 요부와 같은 체간과 골반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밀착되게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을 위치시킨다.
다음에, 상기 공기공급 준비단계에서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을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로 한다.
이어서, 상기 가압단계에서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을 가압하여 상기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 내부 압력이 70mmHg에 도달하도록 가압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 내부 압력이 70mmHg에 도달하면,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의 가압을 중단한다.
다음에, 상기 복부운동 실시단계에서는 Abdominal drawing-inmaneuver(ADIM)이라는 복부운동을 실시하도록 표시부 또는 음성으로 안내하여 상기 복부운동을 실시하게 한다.
한쌍의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을 통해 측정된 압력을 표시부(171)상에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복부에는 복횡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복직근 등 4종류의 근육이 있습니다. 이들 근육 중 가장 심부에 위치하는 복횡근을 수축시키는 운동을 ADIM(Abdominal drawing-in maneuver) 복부운동이라 말하며, 체간의 안정화 운동에 기여합니다.
또한, 상기 복부운동 실시단계는 엎드린 자세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을 배꼽 밑에 위치시킨 후, 내부 압력이 70mmHg에 도달하도록 공기를 주입시킨 후 Abdominal drawing-in maneuver(ADIM)이라는 복부운동을 실시하여 4~10mmHg에 도달하게 되면 정상적인 골반안정화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만일, 바로 누운자세라면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을 허리 뒤에 위치시키고, 70mmHg만큼 공기를 주입시킨 후 Abdominal drawing-in maneuver(ADIM)이라는 복부운동을 실시한다. 이때, 양쪽 다리를 수직으로 올려준 다음 천천히 내려 이 수치의 변함이 없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을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의 압력을 표시부(171)상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71)에 수치로 표시되는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의 내부 압력이 동일하면 체간과 골반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하고, 내부 압력이 상이하면 체간과 골반이 불균형(비대칭성)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체간과 골반의 불균형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복부운동을 실시하여 측정되는 체간과 골반의 안정화(교정) 운동을 실시한다.
다음에, 복부운동 중지단계에서는 상기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 내부 압력이 4~10mmHg에 도달하면 ADIM 복부운동을 중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부, 흉부 및 요부 등과 같은 체간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여 체간의 불균형을 교정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간과 골반안정화 운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피드백하여 체간과 골반안정화 운동을 교정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는 종래 골반 교정을 행하는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a, 111b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 113 제1 연결수단,
121a, 121b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 123 제2 연결수단,
131a, 131b 제1 및 제2 공기백, 133 제3 연결수단,
141a, 141b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 151 중앙처리부,
161 입력장치, 171 표시부.

Claims (13)

  1. 체간의 일측에 장착되어, 공기가 주입되는 제1공기백;
    체간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제1공기백과 대칭되는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제1공기백과 연결 스트랩에 의해 연결되는 제2공기백;
    상기 제1의 공기백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측정수단;
    상기 제2의 공기백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측정수단;
    상기 제1압력측정수단과 상기 제2 압력측정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수신하여 연산처리하여 체간의 비대칭성을 평가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력, 제1압력측정수단 및 제2압력측정수단의 검출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2.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공급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과 제1 연결수단(113)을 통해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 차단 및 배출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과;
    경부, 흉부 및 요부 등의 체간과 골반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게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과 제2 연결수단(123)을 통해 공급 또 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체간과 골반을 가압 또는 감압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을 연결하는 제3 연결수단(133)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과;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을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의 내부 압력을 소정의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연산 처리하여 상기 체간과 골반의 비대칭성을 평가하는 중앙처리부(151)와;
    상기 중앙처리부(151)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161) 및;
    상기 중앙처리부(151)의 처리 상태나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은 중앙처리부(151)의 밸브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은 에어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은 공기 조절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수단(113, 123)은 파이프 또는 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수단(133)은 벨크로를 포항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은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15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161)는 키패드 혹은 터치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71)는 LED 또는 LCD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12. 체간과 골반안정화 평가방법에 있어서,
    경부, 흉부 및 요부 등의 체간과 골반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밀착되게,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을 위치시키는 위치 조절단계와;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조절수단(121a, 121b)을 제어하여 공기 공급을 준비하는 공기공급 준비단계와;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 공급수단(111a, 111b)을 통해서 상기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단계와;
    복부운동을 실시하도록 표시부 또는 음성을 통해 안내하고 한쌍의 제1 및 제2 압력 측정수단(141a, 141b)을 통해 측정된 압력을 표시부(171)에 표시하는 복부운동 실시단계와;
    상기 한쌍의 제1 및 제2 공기백(131a, 131b)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ADIM 복부운동을 중지하도록 안내하는 복부운동 중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평가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운동은 Abdominal drawing-inmaneuver(ADI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간과 골반안정화 평가방법.
KR1020090135693A 2009-12-31 2009-12-31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KR10117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693A KR101173047B1 (ko) 2009-12-31 2009-12-31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693A KR101173047B1 (ko) 2009-12-31 2009-12-31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795A true KR20110078795A (ko) 2011-07-07
KR101173047B1 KR101173047B1 (ko) 2012-08-10

Family

ID=4491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693A KR101173047B1 (ko) 2009-12-31 2009-12-31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0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934A (ko) * 2014-01-27 2015-08-05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검사 장치
KR20190052861A (ko) * 2017-11-09 2019-05-17 주식회사 리라이브 공압 조절장치
KR20200137255A (ko) * 2019-05-29 2020-1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 동작 분석 시스템 및 척추 동작 분석 방법
KR20210107972A (ko) * 2020-02-24 2021-09-02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스마트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6109A (en) 1995-12-01 2000-05-23 Buser; Byron Maxwell Pelvic reduction device
JP2002360376A (ja) 2001-06-06 2002-12-17 Keitaro Igawa 骨盤サポート椅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934A (ko) * 2014-01-27 2015-08-05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검사 장치
KR20190052861A (ko) * 2017-11-09 2019-05-17 주식회사 리라이브 공압 조절장치
KR20200137255A (ko) * 2019-05-29 2020-1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 동작 분석 시스템 및 척추 동작 분석 방법
KR20210107972A (ko) * 2020-02-24 2021-09-02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스마트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047B1 (ko) 201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8276A (en) Exercise monitoring device
EP1983962B1 (en) Pressurised medical device
US20180104138A1 (en) Residual pressure control in a compression device
JP2005537876A (ja) 座台型骨盤矯正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851906B1 (ko) 숙취해소 또는 소화촉진 모드가 포함된 안마의자 및 제어방법
KR101173047B1 (ko)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KR20070027506A (ko) 압축 처리 시스템
WO2006109112A1 (en) Apparatus for assisting vascular flow through external compression synchronized with venous phasic flow
KR101675453B1 (ko) 성장 발육 및 정서적 안정을 촉진하는 마사지 기능을 포함하는 안마의자
KR100787163B1 (ko) 골반교정장치
WO2018212480A1 (ko) 척추 상태 측정용 등받이 및 척추 교정 스트레칭 기구
KR102330442B1 (ko) 척추측만증 스마트 교정기
US20080188781A1 (en) Therapy device for biomechanical rehabilitation massage
US20160206500A1 (en) Compress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circulation
KR100537080B1 (ko)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Zhao et al.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digital monitoring and biofeedback system for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therapy device
KR200450660Y1 (ko) 골반 교정 장치
KR101854289B1 (ko) 골반교정 기능이 마련된 에어 커프
KR102554976B1 (ko) 신체 균형을 위한 온열벨트
KR100893402B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
US20030144621A1 (en) Portable lumbar stabilization and extremities rehabilitation muscle feedback kit
KR20170142314A (ko) 요실금치료 및 골반정형 시트장치
JP3962033B2 (ja) マッサージ機
JP2021512768A (ja) ヘルニアおよび他の筋骨格系損傷を管理および予防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CN214344254U (zh) 一种气囊式盆底肌群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