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660Y1 - 골반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골반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660Y1
KR200450660Y1 KR2020080008243U KR20080008243U KR200450660Y1 KR 200450660 Y1 KR200450660 Y1 KR 200450660Y1 KR 2020080008243 U KR2020080008243 U KR 2020080008243U KR 20080008243 U KR20080008243 U KR 20080008243U KR 200450660 Y1 KR200450660 Y1 KR 200450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unit
bed
pelvic
pelv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153U (ko
Inventor
임상만
Original Assignee
임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만 filed Critical 임상만
Priority to KR2020080008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660Y1/ko
Publication of KR20090013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1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6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반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반을 교정 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올라가 엎드릴 수 있는 넓이 및 길이를 갖는 베드와, 상기 베드가 안착되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를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베드의 상측면과 일정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드에 올라가 엎드려있는 피지압자의 엉치뼈를 지압하기 위한 엉치뼈 지압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을 상기 베드의 상측면과 일정 이격거리를 갖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와 프레임에 연결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서포터가 임의의 소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베드에 올라가 엎드려있는 사용자의 골반 양측의 고관절을 지압하기 위한 골반측면 지압유닛;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압시간 및 지압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지압시간 및 지압횟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과 골반측면 지압유닛을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반 교정 장치{a device for pelvis correction}
본 고안은 골반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료를 요하는 환자가 편안하게 엎드린 상태에서 환자의 상부에서 엉치뼈를 압박하여 1차 교정 후 좌우측 골반을 압박하며 인장함으로써 엉치뼈와 고관절을 바르게 교정을 수행하되 수동 및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골반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반은 전체가 절구 또는 수반(水盤) 모양과 닮은 고리모양의 골격으로서 요골(腰骨)이라고도 하는데, 두개(頭蓋)나 흉곽(胸廓)의 뼈와는 달리 매우 두껍고 견고한 벽을 형성하고 있는 골격으로 요추(腰椎) 이상의 척주가동부분(脊柱可動部分)을 떠받치는 외에 체간(體幹)의 중량도 떠받치고 있다.
이러한 골반은 크게 4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다. 즉 바깥쪽과 앞쪽의 벽을 만드는 좌우의 관골과 뒤쪽의 벽을 만드는 천골(薦骨)과 미골(尾骨)이다.
좌우의 관골은 장골(腸骨), 치골(恥骨), 좌골(坐骨)이 화골유합(化骨癒合)된 것으로 앞쪽에서는 치골결합부분에서 결합하며, 뒤쪽에서는 중앙부의 천골의 좌우 옆쪽에 있는 귀 모양의 면에서 결합하여 천장관절(薦腸關節)을 이루고 있다.
미골은 천골의 아래 끝에 부착되어 있다.
즉, 골반은 하나의 뼈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크게 4개의 뼈가 합쳐서 이루어진 것이며, 위로는 척추와 연결되어 있고, 아래로는 고관절을 통해 다리뼈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골반은 상체의 체중을 떠받치게 되며, 인체 골격이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현대인의 많은 수가 바르지 못한 생활습관, 운동부족, 하이힐, 임신과 출산 등의 이유로 인해 골반이 전제적으로 혹은 골반을 이루고 있는 뼈 중 일부가 있어야 할 위치로부터 벗어나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골반이 틀어지게 되면, 골반에 연결되어 있는 척추의 위치도 변형을 가지고 오게 되어, 여러 가지 형태의 허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골반에 연결된 양쪽의 다리뼈로 균형을 잃게 되어 소위 짝 다리가 되며, 골반의 내부에 위치한 장기(臟器)들에도 악영향을 주게 되어 각종 질병이 유발된다.
따라서 변형된 골반의 위치를 바로 잡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골반교정은 전통적으로 전문가에 의한 물리치료에 의한 방식을 사용하지만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일시적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치료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많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최근에 들어 골반 및 척추를 교정하는 여러 종류의 교정장치가 선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은 주로 골반부위의 상하 또는 좌우 운동을 골반 교정을 하고 있었으나 실제 그 효과는 미비했으며, 교정장치 자체의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작동하기가 어려웠을 뿐 아니라 제품단가가 고가여서 주로 의료기관 등에서만 사용 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사용료도 높아 일반인들이 부담없이 이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치료를 요하는 환자가 편안하게 엎드린 상태에서 환자의 상부에서 엉치뼈를 압박하여 1차 교정 후 좌우측 골반을 압박하며 인장함으로써 엉치뼈와 고관절을 바르게 교정을 수행하되 수동 및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골반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의 특징은, 골반을 교정 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올라가 엎드릴 수 있는 넓이 및 길이를 갖는 베드와, 상기 베드가 안착되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를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베드의 상측면과 일정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드에 올라가 엎드려있는 피지압자의 엉치뼈를 지압하기 위한 엉치뼈 지압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을 상기 베드의 상측면과 일정 이격거리를 갖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와 프레임에 연결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서포터가 임의의 소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베드에 올라가 엎드려있는 사용자의 골 반 양측의 고관절을 지압하기 위한 골반측면 지압유닛;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압시간 및 지압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지압시간 및 지압횟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과 골반측면 지압유닛을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 또는 골반측면 지압유닛은 사용자의 골반을 압박하기 위한 지압패드와; 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혹은 역회전을 수행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지압패드를 통해 압박력으로 제공하기 위한 가압력전달부; 및 소정치 이상의 압박력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 또는 골반측면 지압유닛은 사용자의 골반을 압박하기 위한 지압패드와; 수동으로 정회전 혹은 역회전을 수행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지압패드의 위치를 이송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동작에 의해 이송되는 지압패드의 위치가 한계치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크류의 구동을 억제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감지센서는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의 인장력을 기준으로 한계치 이상 인장력이 증가하는 경우 즉 압박력이 임계치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환자에게 불필요한 고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환자는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숙련자의 지압과 같은 만족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의 측면도로서, 첨부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는, 베이스(10)와 엉치뼈 지압유닛(30)과 2개의 골반측면 지압유닛(20), 및 콘트롤러(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는 골반을 교정 받고자 하는 사람(이하 '환자'라 함)이 올라가 엎드릴 수 있는 넓이 및 길이를 갖는 베드(11)와, 상기 베드(11)가 안착되기 위한 프레임(12) 및 상기 프레임(12)을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1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30)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베드(11)에 올라가 엎드려 있는 환자의 엉치뼈 부분을 지압하기 위한 것으로, 지압패드(31)와, 모터(M) 및 상기 모터(M)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지압패드(31)를 통해 압박력으로 제공하기 위한 가압력전달부(32)로 구성된다.
이외 소정치 이상의 압박력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감지센서(S)가 구비된다.
상기 지압패드(31)는 가압력전달부(32)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모터(M)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 이동한다. 이러한 지압패드(31)는 환자의 엉치뼈 부분을 지압하기 위해, 상기 가압력전달부(32)에 의해 베드(11)에 엎드려 있는 환자를 향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환자의 엉치뼈 부분을 직접 가압한다.
또한, 지압패드(31)는 하면에 환자의 엉덩이 굴곡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만곡부(참조번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으며, 환자 엉치뼈 부분의 지압 시 엉치뼈 부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이 있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30)은 베이스(10)에 연결되어 엉치뼈 지압유닛(30)을 지지하는 서포터(14)에 의해 소정 각도 예를 들어 10° 내지 40°의 각도로 조정가능하여 환자의 체형에 따라 엉치뼈 부분의 지압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참조번호 20으로 지칭되는 골반측면 지압유닛은 베드(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베드(11)에 올라가 엎드려있는 환자의 골반 양측의 고관절을 지압하는 데, 참조번호 14로 지칭되는 서포터가 실제적으로 프레임(12)과 연결되는 회전축의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또한, 골반측면 지압유닛(20)은 베드(11)의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효과적인 고관절 지압을 행하기 위해 베드(1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90°정도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반측면 지압유닛(20)은 지압패드(21)와, 핸들(22) 및 상기 핸들(22)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지압패드(21)의 위치를 이송시키는 스크류(23)로 구성된다.
이외 상기 스크류(23)의 동작에 의해 이송되는 지압패드(21)의 위치가 한계치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크류(23)의 구동을 억제하기 위한 감지센서(S)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골반측면 지압유닛(20)은 스크류(23)의 일단에 연결된 지압패드(21)가 핸들(22)의 구동에 따라 환자를 향해 이동시켜 환자의 일측 고관절 부분을 직접 가압하며, 지압패드(21)는 일측 고관절 부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이 있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관절을 가압하는 측은 고관절을 감싸는 상태로 가압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트롤러(4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압시간 및 지압횟수를 저장하고, 입력된 지압시간 및 지압횟수에 따라 엉치뼈 지압유닛(30), 골반측면 지압유닛(20)을 작동시킨다.
이러한 콘트롤러(40)는 입력단에 지압시간 및 지압횟수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미도시)가 연결되고, 출력단에는 골반교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연결된다.
아울러 콘트롤러(40)는 선택적으로 엉치뼈 지압유닛(30)과 골반측면 지압유닛(20)을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각각 작동시키기는 것도 가능하며,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포터(14)를 포함하여 엉치뼈 지압유닛(30)과 골반측면 지압유닛(20)을 베드(11)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엉덩이 부근의 고관절을 압박교정함과 동시에 이를 발끝부근으로 인장하여 인장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명은 본 고안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가 수동 혹은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적으로 상기 골반측면 지압유닛(20)과 엉치뼈 지압유닛(30)의 구성중 핸들(22)은 모터(M)와 대치 및 동일한 구성이며, 스크류(23)는 가압력전달부(32)와 대치 및 동일한 구성이다.
즉, 전체적으로 자동시스템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골반측면 지압유닛(20)의 구성은 엉치뼈 지압유닛(30)의 구성과 동일해지며, 수동시스템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엉치뼈 지압유닛(30)의 구성은 골반측면 지압유닛(20)의 구성과 동일해진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S)는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의 인장력을 기준으로 한계치 이상 인장력이 증가하는 경우 즉 압박력이 임계치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환자에게 불필요한 고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를 자동으로 구현하는 경우 별도의 오 퍼레이터의 도움 없이 환자 스스로 골반교정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골반교정장치는 엉치뼈 지압유닛(30)의 하측에 대응하는 베드(11)상면에 설치된 에어쿠션(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쿠션은 평상시에 납작하게 이루어져 있다가, 소정의 에어펌프(미도시)에 의해 내측에 에어가 주입될 경우 대략 4㎝∼10㎝ 정도 부풀어 오르고, 내측에 주입된 에어를 제거하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에어쿠션(50)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엉치뼈가 에어쿠션에 위치하도록 천정을 바라보며 드러누운 상태에서 에어쿠션에 에어를 주입하여 에어쿠션을 약 10분∼15분 동안 부풀어 오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는 엉치뼈 부분이 들려지면서 자신의 몸무게에 의해 에어쿠션을 통해 프레싱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엉치뼈에 무리를 주지 않는 상태에서 엉치뼈를 지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20 : 골반측면 지압유닛
30 : 엉치뼈 지압유닛
40 : 콘트롤러

Claims (6)

  1. 골반을 교정 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올라가 엎드릴 수 있는 넓이 및 길이를 갖는 베드와, 상기 베드가 안착되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를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베드의 상측면과 일정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드에 올라가 엎드려있는 피지압자의 엉치뼈를 지압하기 위한 엉치뼈 지압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을 상기 베드의 상측면과 일정 이격거리를 갖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와 프레임에 연결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서포터가 임의의 소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베드에 올라가 엎드려있는 사용자의 골반 양측의 고관절을 지압하기 위한 골반측면 지압유닛;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압시간 및 지압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지압시간 및 지압횟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과 골반측면 지압유닛을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 또는 골반측면 지압유닛은 사용자의 골반을 압박하기 위한 지압패드와;
    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혹은 역회전을 수행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지압패드를 통해 압박력으로 제공하기 위한 가압력전달부; 및
    소정치 이상의 압박력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엉치뼈 지압유닛 또는 골반측면 지압유닛은 사용자의 골반을 압박하기 위한 지압패드와;
    수동으로 정회전 혹은 역회전을 수행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지압패드의 위치를 이송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동작에 의해 이송되는 지압패드의 위치가 한계치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크류의 구동을 억제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의 인장력을 기준으로 한계치 이상 인장력이 증가하는 경우 즉 압박력이 임계치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환자에게 불필요한 고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서포터를 포함하여 엉치뼈 지압유닛과 골반측면 지압유닛이 일체로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서포터가 힌지인 골반측면 지압유닛을 기준으로 연직방향에 대해 10° 내지 40°의 각으로 회동하여 엉치뼈 지압유닛의 기압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 장치.
KR2020080008243U 2008-06-19 2008-06-19 골반 교정 장치 KR200450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43U KR200450660Y1 (ko) 2008-06-19 2008-06-19 골반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43U KR200450660Y1 (ko) 2008-06-19 2008-06-19 골반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53U KR20090013153U (ko) 2009-12-30
KR200450660Y1 true KR200450660Y1 (ko) 2010-10-20

Family

ID=4447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243U KR200450660Y1 (ko) 2008-06-19 2008-06-19 골반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6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4420B (zh) * 2014-08-29 2016-03-09 温州市川洋妇婴用品有限公司 一种产妇骨盆矫正复原装置
CN114903669B (zh) * 2022-05-23 2024-05-14 云量几何(上海)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颅骨矫形固定器的制造方法及颅骨矫形固定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274Y1 (ko) 2003-04-02 2003-06-27 정승연 골반교정기
US6585668B2 (en) 1999-12-16 2003-07-01 Elias Nissim Human touch massager
KR20070023237A (ko) * 2005-08-24 2007-02-28 정두환 골반 및 척추교정기
KR20070109624A (ko) * 2006-05-12 2007-11-15 유병찬 골반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5668B2 (en) 1999-12-16 2003-07-01 Elias Nissim Human touch massager
KR200318274Y1 (ko) 2003-04-02 2003-06-27 정승연 골반교정기
KR20070023237A (ko) * 2005-08-24 2007-02-28 정두환 골반 및 척추교정기
KR20070109624A (ko) * 2006-05-12 2007-11-15 유병찬 골반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53U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707B1 (en) Orthoses
KR100368543B1 (ko) 가압 치료 기구
US20050043660A1 (en) Orthoses
US7837639B2 (en)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KR101433320B1 (ko) 체형 교정기
KR20080006337A (ko) 신체교정용 침대
KR20120100613A (ko)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JP2010000343A (ja) 腰椎牽引装置
CN105816297A (zh) 下腰段失衡康复治疗机
KR100787163B1 (ko) 골반교정장치
KR100847396B1 (ko)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 장치
KR200450660Y1 (ko) 골반 교정 장치
US5772686A (en) Pelvic retroverter
JP2001212163A (ja) 特殊牽引治療器
KR101173047B1 (ko)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JP2006141694A (ja) ストレッチ台
KR101524404B1 (ko) 근육 이완 장치
WO2009154407A2 (ko) 골반 교정 장치
KR20170036998A (ko) 리모콘의 탈부착이 용이한 안마의자
KR101123693B1 (ko) 신체교정용 장치, 신체교정용 장치의 제어기 및 제어 방법
KR100435157B1 (ko) 척추 및 골반 교정기
KR101272352B1 (ko) 하체 교정장치
KR102006783B1 (ko) 자가 견인 의료기기
KR20100135422A (ko) 척추 견인용 허리 교정기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