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404B1 - 근육 이완 장치 - Google Patents

근육 이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404B1
KR101524404B1 KR1020140034614A KR20140034614A KR101524404B1 KR 101524404 B1 KR101524404 B1 KR 101524404B1 KR 1020140034614 A KR1020140034614 A KR 1020140034614A KR 20140034614 A KR20140034614 A KR 20140034614A KR 101524404 B1 KR101524404 B1 KR 101524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neck
user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계훈
Original Assignee
장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계훈 filed Critical 장계훈
Priority to KR102014003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6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이용자의 등 부분을 받치는 등 받침부와, 이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치는 엉덩이 받침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몸체;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설치되어서, 이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이용자의 경추 부분 근육을 이완시키는 경추부 근육 이완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추부 근육 이완부는 지지지 구조와, 경추 받침 유닛과, 좌우 회전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구조에는 편평하고 상부를 향하는 접촉면이 마련되고, 상기 경추 받침 유닛은, 상기 접촉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되는 중심 샤프트와, 상기 중심 샤프트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몸체와, 베벨기어부와, 이용자의 목을 받치는 목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심 샤프트는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좌우 회전 모터(150)에 의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 몸체는 상기 중심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접촉면과 접촉하며 구름운동하며, 상기 베벨기어부는 상기 중심 샤프트에 중심이 고정된 링기어와, 상기 중심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링기어와 상호작용하는 두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목 받침부는 상기 두 피니언 기어 각각에 연결되어서 회전하고 이용자 목의 양쪽을 각각 감싸며 받치는 두 목 받침대를 구비하는 근육 이완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근육 이완 장치 {MUSCLE RELAX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근육 이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추와 요추 부분의 근육을 이완시키는 근육 이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화로 인하여 척주의 기립근이 약해지고 요방형근, 광배근 등 척주 주변의 근육이 강직되면서 척주 마디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추간판이 눌려 신경이 압박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해 하체에 통증이 발생된다. 병원 진료시 척주관 협착증, 척주 협착증 등의 진단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단단하게 굳어 있는 근육을 풀어주지 않으면 치료해도 호전되지 않는다. 또한, 경추부 역시 위와 같은 증상으로 팔을 들지 못하고 통증이 심하여 움직일 수 조차 없는 경우도 있다. 추간판이 심하게 손상되거나 파열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지만, 초기의 경우에는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줌으로써 호전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요추, 경추 견인 장치들이 개발되어서 물리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몸을 로프나 밴드 등으로 고정하고 강제로 근육을 신전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몸을 고정하고 강제로 근육을 신전시킬 때 신경과 근육이 긴장되고, 몸을 고정할 때 묶인 압박감 때문에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갑자기 무리한 힘을 가하면 근육이나 신경, 혈관 등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경추와 요추 부분의 근육을 이완시키는 근육 이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이용자의 등 부분을 받치는 등 받침부와, 이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치는 엉덩이 받침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몸체;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설치되어서, 이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이용자의 경추 부분 근육을 이완시키는 경추부 근육 이완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추부 근육 이완부는 지지 구조와, 경추 받침 유닛과, 좌우 회전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구조에는 편평하고 상부를 향하는 접촉면이 마련되고, 상기 경추 받침 유닛은, 상기 접촉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되는 중심 샤프트와, 상기 중심 샤프트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몸체와, 베벨기어부와, 이용자의 목을 받치는 목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심 샤프트는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좌우 회전 모터(150)에 의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 몸체는 상기 중심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접촉면과 접촉하며 구름운동하며, 상기 베벨기어부는 상기 중심 샤프트에 중심이 고정된 링기어와, 상기 중심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링기어와 상호작용하는 두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목 받침부는 상기 두 피니언 기어 각각에 연결되어서 회전하고 이용자 목의 양쪽을 각각 감싸며 받치는 두 목 받침대를 구비하는 근육 이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경추 조절부는 상기 목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지지 구조를 상기 목 받침부보다 상기 등 받침부 쪽에 가까운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높이 조절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추 조절부는 상기 목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지지 구조를 직선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근육 이완 장치는 상기 베이스 몸체에 설치되어서 이용자의 요추 부분 근육을 이완시키는 요추부 근육 이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추부 근육 이완부는 상기 엉덩이 받침부에서 상기 등 받침부 쪽으로 연장되고 위로 볼록하게 배치되는 호 형상의 요추 받침부와, 상기 요추 받침부의 양측에 결합된 두 골반 받침대를 구비하는 골반 받침부와, 상기 요추 받침부를 상기 엉덩이 받침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높이 조절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두 골반 받침대 각각은 상기 요추 받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두 골반 받침대는 상기 요추 받침부가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추 부분의 근육이 경직되면 몸의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우선 집중력이 떨어지고 혈압이 상승되며 눈이 흐려지고 업무의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신경이 압박을 받게 되면 목과 어깨 팔 등에 극심한 통증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근육 이완 장치는 두부를 회전시키며 근육을 풀어주고, 고개를 깊이 숙이 듯이 두부를 들어올려 신전시켜준다. 두부에서 어깨의 상부로 연결되는 경추부의 모든 근욕을 신전시켜 신경과 혈관의 긴장을 풀어주고 소통이 원활하게 해준다. 따라서 경직되거나 긴장되어 있는 근육 때문에 틀어져 있던 경추 부분이 회복되면서 통증이 감소될 수 있다.
요추 부분이 일자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 천장관절에 상습적인 통증이 발생될 수 있는데 등 부분 뿐만 아니라 복부가 폴리지 않으면 효과를 보기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한 근육 이완 장치는 요추 부분을 가볍게 들어올려 주므로 복부의 긴장도 동시에 풀릴 수 있다. 대요근이나 장골근 등은 손이나 기타 방법으로 풀어줄 수 없으나 본 근육 이완 장치를 사용할 경우 복직근이 신전되면서 자연스럽게 이완시킬 수 있다.
또한, 척주 질환이 발생된 경우 요방형근을 풀어주어야 하는데 장골 상부로 연결되는 근육들이 신전되므로 허리와 엉덩이의 근육이 이완된다. 그러므로 등 부분과 복부의 근육이 동시에 신전되면서 경직되었던 부분들이 서서히 풀리면서 협착되어 있던 척주 관절 부분들이 회복될 수 있다.
그리고 장골의 옆 부분에서 감싸쥐 듯 잡아쥐면서 동시에 상향으로 들어올려주면서 밀어내는 역할을 동시에 하므로 장골부의 근육과 하체로 이어지는 근육이 이완되어 변형된 골반을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육 이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근육 이완 장치의 경추 받침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회전 몸체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추 받침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회전 몸체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경추 받침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회전 몸체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근육 이완 장치의 요추 받침부와 및 골반 받침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요추 받침부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경추 받침 유닛이 우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경추 받침 유닛이 좌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경추 받침 유닛이 위로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경추 받침 유닛이 아래로 내려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요추 받침부가 위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승한 상태의 요추 받침부와 골반 받침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요추 받침부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육 이완 장치를 구성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육이완 장치(100)는 베이스 몸체(110)와, 베이스 몸체(110)에 설치되어서 경추 부분의 근육을 이완시키는 경추부 근육 이완부(120)와, 베이스 몸체(110)에 설치되어서 요추 부분의 근육을 이완시키는 요추부 근육 이완부(170)를 포함한다. 이용자(U)는 근육 이완 장치(100)의 위에 누워서 근육 이완 장치(100)를 사용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용자(U)의 누운 방향을 따라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기준축선(A)을 도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용자(U)가 근육 이완 장치(100)에 누웠을 때, 기준축선(A) 상에서 이용자(U)의 머리가 향하는 쪽을 근육 이완 장치(100)의 제1 방향으로, 이용자(U)의 다리가 향하는 쪽을 근육 이완 장치(100)의 제2 방향으로 각각 설정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용자(U)가 근육 이완 장치(100)에 누웠을 때, 이용자(U)의 정면 쪽을 근육 이완 장치(100)의 위 방향으로, 이용자(U)의 등 쪽을 근육 이완 장치(100)의 아래 방향으로 각각 설정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용자(U)가 근육 이완 장치(100)에 누웠을 때, 이용자(U)의 좌측을 근육 이완 장치(100)의 좌측으로, 이용자(U)의 우측을 근육 이완 장치(100)의 우측으로 각각 설정한다. 이하, 근육 이완 장치(100)를 구성하는 베이스 몸체(110)와, 경추부 근육 이완부(120)와, 요추부 근육 이완부(170) 각각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 몸체(110)는 바닥 위에 놓여서 근육 이완 장치(100)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베이스 몸체(110)의 상면(111)은 대체로 편평하며 상방을 향한다. 베드이스 몸체(110)의 상면(111)에는 기준축선(A)의 제1 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위치하는 엉덩이 받침부(112)와, 등 받침부(113)가 형성된다. 이용자(U)가 근육 이완 장치(100) 위에 누운 상태에서 이용자(U)의 엉덩이 부분은 엉덩이 받침부(112)에 의해 지지되고 이용자(U)의 등 부분은 등 받침부(113)에 의해 지지되며 이용자(U)의 발은 바닥에 닿는다. 베이스 몸체(110)에 경추부 근육 이완부(120)와 요추부 근육 이완부(170)가 설치된다.
경추부 근육 이완부(120)는 베이스 몸체(110)에 설치되어서 이용자(U)의 경추 부분의 근육을 이완시킨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경추부 근육 이완부(120)는 지지 구조(130)와, 경추 받침 유닛(140)과, 좌우 회전 모터(150)와, 높이 조절부(160)와, 위치 조절부(165)를 구비한다.
지지 구조(130)는 지지판(131)과, 머리 지지대(136)와, 회전 결합부(138)를 구비한다. 지지 구조(130)는 등 받침부(112)보다 제1 방향 쪽에 위치한다.
지지판(131)에는 대체로 위를 향하는 편평한 접촉면(132)이 마련된다. 지지판(131)의 위에 경추 받침 유닛(140)이 위치한다. 지지판(131)에는 좌우 회전 모터(150)가 고정된다.
머리 지지대(136)는 지지판(131)에 고정되고 지지판(131)보다 제2 방향 쪽에 위치한다. 머리 지지대(136)에는 이용자(U)의 뒤통수와 접촉하는 머리 받침부(137)가 마련된다.
회전 결합부(138)는 지지판(131)의 제2 방향 쪽 끝단에 형성된다. 회전 결합부(138)에 의해 지지 구조(13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B)(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제2 회전축선에 해당)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경추 받침 유닛(140)은 회전 연결부(141)와, 중심 샤프트(142)와, 회전 몸체(143)와, 베벨기어부(145)와, 목 받침부(148)를 구비한다.
회전 연결부(141)는 지지 구조(130)에 고정된 제1 부재(141a)와, 중심 샤프트(142)가 고정되는 제2 부재(141b)와, 제2 부재(141b)에 고정되고 제1 부재(141a)에 접촉면(132)과 직각을 이루는 회전축선(C)(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제1 회전축선에 해당)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141c)를 구비한다. 회전 연결부(141)는 지지 구조(130)의 제2 방향 끝단에 위치한다.
중심 샤프트(142)는 제2 부재(141b)로부터 회전축선(C)의 반경방향 바깥 쪽으로 연장된다. 중심 샤프트(142)는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회전 몸체(143)는 중심 샤프트(14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몸체(143)는 대체로 상자 형태로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회전 몸체(143)는 중심 샤프트(142)가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접촉면(132)과 접촉하며 구름운동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 몸체(143)에는 접촉면(132)과 접촉하는 원호 형상의 접촉부(144)가 마련된다.
베벨기어부(145)는 회전 몸체(143)의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링기어(146)와, 두 개의 피니언 기어(147a, 147b)를 구비한다. 링기어(146)는 중심 샤프트(142)에 그 중심이 고정된다. 두 피니언 기어(147a, 147b)는 중심 샤프트(14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고 회전 몸체(14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몸체(143)가 중심 샤프트(142)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두 피니언 기어(147a, 147b)는 링기어(146)와 상호작용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목 받침부(148)는 이용자(U) 목의 양쪽을 각각 감싸며 받치는 두 개의 목 받침대(148a, 148b)와, 두 목 받침대(148a, 148b)로부터 각각 아래로 연장되어서 두 피니언 기어(147a, 147b)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다리부(149a, 149b)를 구비한다. 두 목 받침대(148a, 148b)는 회전 몸체(143)가 회전함에 따라 두 피니언 기어(147a, 147b)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좌우 회전 모터(150)는 지지판(131)에 설치되어서 중심 샤프트(142)를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킨다.
높이 조절부(160)는 지지 구조(130)를 회전축선(B)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목 받침부(148)의 높이를 조절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160)는 지지 다리(161)와, 높이 조절 모터(162)와, 제1 운동변환기구(163)와, 높이 조절 다리(164)를 구비한다.
지지 다리(161)는 지지 구조(130)의 회전 결합부(138)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지지 구조(130)를 지지한다.
높이 조절 모터(162)는 회전 모터로서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제1 운동변환기구(163)는 높이 조절 모터(162)에 의한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운동변환기구(163)로서 통상적인 구조의 볼스크루 장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운동변환기구(163)는 기준축선(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크루 샤프트와, 스크루 샤프트에 결합된 이동 너트부를 구비한다. 스크루 샤프트가 높이 조절 모터(162)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이동 너트부가 스크루 샤프트의 연장축선을 따라서 직선이동하게 된다.스크루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 너트부의 직선이동방향이 달라진다.
높이 조절 다리(164)는 이동 너트부와 지지 구조(13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높이 조절 다리(164)와 지지 구조(132)는 회전 결합부(138)보다 제1 방향에 이동한 위치에서 결합된다. 이동 너트부의 직선이동에 따라 높이 조절 다리(164)의 하단이 함께 이동하면서 높이 조절 다리(164)의 상단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
위치 조절부(165)는 높이 조절부(160)를 직선운동시킴으로써 목 받침부(148)와 등 받침부(11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위치 조절부(165)는 위치 조절 모터(166)와, 제2 운동변환기구(167)를 구비한다.
위치 조절 모터(166)는 회전 모터로서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제2 운동변환기구(167)는 위치 조절 모터(166)에 의한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운동변환기구(167)로서 통상적인 구조의 볼스크루 장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운동변환기구(167)는 기준축선(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크루 샤프트와, 스크루 샤프트에 결합된 이동 너트부를 구비한다. 스크루 샤프트가 위치 조절 모터(166)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이동 너트부가 스크루 샤프트의 연장축선을 따라서 직선이동하게 된다.이동 너트부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 너트부에 고정된 높이 조절부(160)가 기준축선(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스크루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 너트부의 직선이동방향이 달라진다.
요추부 근육 이완부(170)는 베이스 몸체(110)에 설치되어서 이용자(U)의 요추 부분의 근육을 이완시킨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요추부 근육 이완부(170)는 요추 받침부(171)와, 골반 받침부(180)와, 요추 높이 조절부(190)를 구비한다.
요추 받침부(171)는 엉덩이 받침부(112)에서 등 받침부(113) 쪽으로 연장되고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호 형상이다. 요추 받침부(171)의 상면에는 요추가 안착될 수 있는 요추 안착홈(172)이 마련된다. 요추 받침부(171)는 엉덩이 받침부(112)와 인접한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D)(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제3 회전축선에 해당)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골반 받침부(180)는 요추 받침부(1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골반 받침 부재(181, 182)를 구비한다. 두 골반 받침 부재(181, 182)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두 골반 받침 부재(181, 182) 중 하나의 골반 받침 부재(181)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골반 받침 부재(181)는 요추 받침부(171)의 측면 바깥에 위치하는 골반 받침대(183)와, 골반 받침대(183)로부터 요추 받침부(171) 쪽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84)와, 제1 연장부(184)의 끝단에 마련되고 요추 받침부(17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185)와, 회전 결합부(185)로부터 요추 받침부(171)의 중심 쪽으로 더 연장된 제2 연장부(186)를 구비한다. 골반 받침부(180)는 회전 결합부(185)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골받 받침대(183)가 요추 받침부(171)에 대해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요추 높이 조절부(190)는 요추 받침부(171)를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요추 받침부(171)의 높이를 조절한다. 요추 높이 조절부(190)는 높이 조절 모터(191)와, 제3 운동변환기구(192)와, 높이 조절 다리(193)와, 골반 받침 연결 바아(194)를 구비한다.
높이 조절 모터(191)는 회전 모터로서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제3 운동변환기구(192)는 높이 조절 모터(191)에 의한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운동변환기구(192)로서 통상적인 구조의 볼스크루 장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운동변환기구(192)는 기준축선(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크루 샤프트와, 스크루 샤프트에 결합된 이동 너트부를 구비한다. 스크루 샤프트가 높이 조절 모터(191)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이동 너트부가 스크루 샤프트의 연장축선을 따라서 직선이동하게 된다.스크루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 너트부의 직선이동방향이 달라진다.
높이 조절 다리(193)는 이동 너트부와 요추 받침부(17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높이 조절 다리(193)와 요추 받침부(171)는 회전축선(D)보다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결합된다. 이동 너트부의 직선이동에 따라 높이 조절 다리(193)의 하단이 함께 이동하면서 높이 조절 다리(193)의 상단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
골반 받침 연결 바아(194)는 높이 조절 다리(193)의 중간 부분과 골반 받침부(180)의 제2 연장부(185)를 연결한다. 골반 받침 연결 바아(194)에 의해 골반 받침대(183)의 요추 받침대(171)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가 변하게 된다.
이제, 위에서 구성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된 근육 이완 장치(100)를 그 작용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용자(U)는 근육 이완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근육 이완 장치(100) 위에 바로 눕는다. 이때, 이용자(U)의 등 부분은 베이스 몸체(110)의 등 받침부(113)에 접하고, 엉덩이 부분은 엉덩이 받침부(112)에 접하며, 종아리 부분은 아래로 내려서 발이 바닥에 닿게 된다. 또한, 이용자(U)의 목은 두 목 받침대(148a, 148b)에 안착되고, 머리는 머리 받침부(137)와 접하며, 요추는 요추 받침부(171)의 요추 안착홈(172)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먼저 경추부 근육 이완부(12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좌우 회전 모터(150)에 의해 중심 샤프트(142)가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중심 샤프트(142)가 우측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두 목 받침대(148a, 148b)가 함께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몸체(143)의 접촉부(144)가 접촉면(132)을 따라 구름운동하며 회전 몸체(143)가 중심 샤프트(14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목이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함께 머리가 자연스럽게 구르게 된다. 또한, 베벨기어부(145)의 두 피니언 기어(147a, 147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두 목 받침대(148a, 148b) 중 우측의 목 받침대(148b)는 제1 방향 쪽으로 이동하고 좌측의 목 받침대(148a)는 제2 방향 쪽을 이동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는 좌우 회전 모터(150)에 의해 중심 샤프트(142)가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중심 샤프트(142)가 좌측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두 목 받침대(148a, 148b)가 함께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몸체(143)의 접촉부(144)가 접촉면(132)을 따라 구름운동하며 회전 몸체(143)가 중심 샤프트(14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목이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함께 머리가 자연스럽게 구르게 된다. 또한, 베벨기어부(145)의 두 피니언 기어(147a, 147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두 목 받침대(148a, 148b) 중 좌측의 목 받침대(148b)는 제1 방향 쪽으로 이동하고 우측의 목 받침대(148b)는 제2 방향 쪽을 이동한다. 도 6a 내지 도 7c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머리는 좌우로 회전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구르게 되고, 이와 함께 두 목 받침대(148a, 148b)는 경추 7번에 해당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추와 연결되는 근육들은 갈비뼈 상부에 정지를 하게 되는데 두부와 늑골 사이에 경추가 두부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누워있는 상태에서 두부를 굴려주지 않고 그대로 좌우 회전을 시키면 목이 비틀려서 신경과 혈관, 근육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종래의 물리치료 기계들은 일직선 상태에서 바로 비틀어 주거나 견인시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에 반해, 본 근육 이완 장치는 두부가 구르듯이 좌우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한, 두 목 받침대(148a, 148b)는 경추 7번에 해당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유는 누워 있을 때 등 부분과 목 부분의 높이가 바닥에서 약 40mm의 차이가 있고, 흉쇄유돌근의 정지부인 유양돌기 부분이 뒷목 하 부분보다 약 50mm의 높이에 위치하고, 회전하였을 때 상부로 약 60mm 정도 이동하므로 목의 상부 받침 부분이 유양돌기 부분을 계속 밀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반대 쪽 편의 받침 부분은 반대로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승모근의 상부를 눌러주게 된다. 두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경추부의 근육을 손으로 감싸 쥐듯이 받침부분이 접촉되어서 압박을 가하지 않고도 편안히 이완시킬 수 있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목 받침부(148)는 높이 조절부(160)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된다. 경추부의 자라형 목인 경우 두부 전체를 도 8a의 상태와 같이 위로 올려주고, 일자형인 경우 두부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내려주어서, 경추부의 근육을 가볍게 신전시킴으로써, 경추 교정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위치 조절부(165)에 의해 사용자(U)의 신장에 따라 목 받침부(148)의 기준축선(A) 상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척주 협착증이나 척주관 협착증 등의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척주 주변의 근육을 풀어주고 다른 치료 방법을 병행해야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일반적인 꺼꾸리 운동법이 권장되는데 노약자나 심혈과 질환자에게는 무리가 따르며, 복부의 대요근, 장골근 등 근육이 이완되지 않는다. 또한, 물구나무 자세에서는 장기가 처지면서 간, 위장, 심장 등이 압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이완 장치(100)의 요추부 근육 이완부(170)에 의하면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요추 받침부(171)가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요추 받침부(171)의 상단은 선추부와 흉추부보다 약 25mm 정도 위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요추 높이 조절부(190)에 의하여 요추 받침부(171)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고, 상승과 하강은 반복되게 된다. 이때 골반 받침대(183)에 의해 장골 상부의 옆부분 즉 엉덩이의 중둔근, 대퇴근막장근 등 부분이 다리 쪽으로 신전된다. 척주 기립근이 신전되면서 굳은 부분이 풀리게 되고 골반을 잡아 빼주는 듯한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척주 기립근을 이완시킴과 동시에 장골을 밀어 내는 동작이 병행되므로 틀어진 장골을 바로 잡을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근육이완 장치 110 : 베이스 몸체
112 : 엉덩이 받침부 113 : 등 받침부
120 : 경추부 근육 이완부 130 : 지지 구조
131 : 지지판 132 : 접촉면
136 : 머리 지지대 137 : 머리 받침부
138 : 회전 결합부 140 : 경추 받침 유닛
141 : 회전 연결부 141a : 제1 부재
141b : 제2 부재 141c : 연결부재
142 : 중심 샤프트 143 : 회전 몸체
144 : 접촉부 145 : 베벨기어부
146 : 링기어 147a, 147b : 피니언 기어
148 : 목 받침부 148a, 148b : 두 개의 목 받침대
149a, 149b : 두 개의 다리부 150 : 좌우 회전 모터
160 : 높이 조절부 161 : 지지 다리
162 : 높이 조절 모터 163 : 제1 운동변환기구
166 : 높이 조절 다리 165 : 위치 조절부
166 : 위치 조절 모터 167 : 제2 운동변환기구
170 : 요추부 근육 이완부 171 : 요추 받침부
172 : 요추 안착홈 180 : 골반 받침부
181, 182 : 골반 받침 부재 183 : 골반 받침대
184 : 제1 연장부 185 : 회전 결합부
186 : 제2 연장부 190 : 요추 높이 조절부
191 : 높이 조절 모터 192 : 제3 운동변환기구
193 : 높이 조절 다리 194 : 골반 받침 연결 바아

Claims (5)

  1. 이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이용자의 등 부분을 받치는 등 받침부(113)와, 이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치는 엉덩이 받침부(112)를 구비하는 베이스 몸체(110); 및
    상기 베이스 몸체(110)에 설치되어서, 이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이용자의 경추 부분 근육을 이완시키는 경추부 근육 이완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경추부 근육 이완부(120)는 지지 구조(130)와, 경추 받침 유닛(140)과, 좌우 회전 모터(150)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구조(130)에는 편평하고 상부를 향하는 접촉면(132)이 마련되고,
    상기 경추 받침 유닛(140)은, 상기 접촉면(132)과 직각을 이루는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되는 중심 샤프트(142)와, 상기 중심 샤프트(14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몸체(143)와, 베벨기어부(145)와, 이용자의 목을 받치는 목 받침부(148)를 구비하며,
    상기 중심 샤프트(142)는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좌우 회전 모터(150)에 의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 몸체(143)는 상기 중심 샤프트(14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접촉면(132)과 접촉하며 구름운동하며,
    상기 베벨기어부(145)는 상기 중심 샤프트(142)에 중심이 고정된 링기어(146)와, 상기 중심 샤프트(14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몸체(14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링기어(146)와 상호작용하는 두 피니언 기어(147a, 147b)를 구비하며,
    상기 목 받침부(148)는 상기 두 피니언 기어(147a, 147b) 각각에 연결되어서 회전하고 이용자 목의 양쪽을 각각 감싸며 받치는 두 목 받침대(148a, 148b)를 구비하는 근육 이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추 조절부(120)는 상기 목 받침부(148)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160)를 더 구비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160)는 상기 지지 구조(130)를 상기 목 받침부(148)보다 상기 등 받침부(113) 쪽에 가까운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높이 조절 모터(1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이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추 조절부(120)는 상기 목 받침부(148)와 상기 등 받침부(11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165)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치 조절부(165)는 상기 지지 구조(130)를 직선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모터(1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이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110)에 설치되어서 이용자의 요추 부분 근육을 이완시키는 요추부 근육 이완부(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추부 근육 이완부(170)는 상기 엉덩이 받침부(112)에서 상기 등 받침부(113) 쪽으로 연장되고 위로 볼록하게 배치되는 호 형상의 요추 받침부(171)와, 상기 요추 받침부(171)의 양측에 결합된 두 골반 받침대(183)를 구비하는 골반 받침부(180)와, 상기 요추 받침부(171)를 상기 엉덩이 받침부(112)와 인접한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높이 조절 모터(19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이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두 골반 받침대(183) 각각은 상기 요추 받침부(17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두 골반 받침대(183)는 상기 요추 받침부(171)가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이완 장치.
KR1020140034614A 2014-03-25 2014-03-25 근육 이완 장치 KR101524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614A KR101524404B1 (ko) 2014-03-25 2014-03-25 근육 이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614A KR101524404B1 (ko) 2014-03-25 2014-03-25 근육 이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404B1 true KR101524404B1 (ko) 2015-05-29

Family

ID=5339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614A KR101524404B1 (ko) 2014-03-25 2014-03-25 근육 이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4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464B1 (ko) * 2016-03-08 2017-03-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목 받침대
KR20180055087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CN111568698A (zh) * 2020-05-27 2020-08-25 上海海事大学 一种颈部肌肉劳损辅助训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650A (ko) * 2001-08-17 2001-09-28 최병길 드롭교정기
KR100367628B1 (ko) * 2000-03-31 2003-01-14 김성환 경추교정기
KR200309583Y1 (ko) * 2003-01-08 2003-04-18 윤두만 목 안마기
KR20040090638A (ko) * 2003-04-18 2004-10-26 정원하 경부용 물리치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628B1 (ko) * 2000-03-31 2003-01-14 김성환 경추교정기
KR20010088650A (ko) * 2001-08-17 2001-09-28 최병길 드롭교정기
KR200309583Y1 (ko) * 2003-01-08 2003-04-18 윤두만 목 안마기
KR20040090638A (ko) * 2003-04-18 2004-10-26 정원하 경부용 물리치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464B1 (ko) * 2016-03-08 2017-03-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목 받침대
KR20180055087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CN111568698A (zh) * 2020-05-27 2020-08-25 上海海事大学 一种颈部肌肉劳损辅助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6337A (ko) 신체교정용 침대
CN106264827B (zh) 一种人体舒展牵引设备
KR100945059B1 (ko) 마사지 장치
KR101524404B1 (ko) 근육 이완 장치
US10130835B1 (en) Three exercise combination device to alleviate sciatica and low back pain
KR20130115643A (ko)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KR20190036643A (ko) 천골부 가압기능이 보강된 심신안정장치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JP5114783B2 (ja) 健康運動器具
CN105997327A (zh) 一种通过倚靠使转轴杆倾斜而实现椎骨牵引的牵引椅
CN206560493U (zh) 一种通过倚靠使转轴杆倾斜而实现椎骨牵引的牵引椅
KR101272352B1 (ko) 하체 교정장치
CN209966688U (zh) 一种脊柱侧弯矫正装置
KR102047714B1 (ko) 척추교정 및 허리근력강화를 위한 의료보조기구
KR200450660Y1 (ko) 골반 교정 장치
CN111228096A (zh) 一种病人趴卧式颈部颈椎按摩器械
CN106726067B (zh) 多功能悬垂式脊椎牵引康复治疗机
CN201572220U (zh) 自牵引脊椎减压治疗康复设备
JPS639288Y2 (ko)
CN204562497U (zh) 一种充气式腰椎三屈位牵引专用支撑垫
CN211067865U (zh) 一种脊柱理疗躺椅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CN210056385U (zh) 一种腰间盘突出康复矫正座椅
CN203969845U (zh) 一种保健床垫
CN103816000B (zh) 自重式牵引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