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396B1 -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396B1
KR100847396B1 KR1020060021211A KR20060021211A KR100847396B1 KR 100847396 B1 KR100847396 B1 KR 100847396B1 KR 1020060021211 A KR1020060021211 A KR 1020060021211A KR 20060021211 A KR20060021211 A KR 20060021211A KR 100847396 B1 KR100847396 B1 KR 10084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human body
lumbar spine
pelv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692A (ko
Inventor
우상철
Original Assignee
우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상철 filed Critical 우상철
Priority to KR102006002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3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소 잘못된 자세 등으로 변위되거나 삐뚤어진 요추 및 골반을 아주 효과적이면서 간단하고 쉽게 자동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골반 및 요추의 자동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수직으로 세워진 두개의 지지대(100)의 일측과 타측에는 인체의 하체와 상체를 각각 받쳐주는 하체판(11)과 등판(2)을 각각 핀 결합시킨 것과; 상기 하체판(11)과 등판(2) 사이의 일측 지지대(100)에는 모터(M)에 의해 일정한 속도비로 회전구동되는 회전판(15)의 편심지점에 핀 고정된 링크부재(16)가 연결되어 상하 일정한 젖힘 각도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밀판(14)을 힌지 결합한 것과; 상기 밀판(14)의 상단 끝에는 인체의 엉덩이 아랫부분을 괴일 수 있는 일정한 두께와 폭의 굄목(13)을 설치한 것과; 상기 지지대(100)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100) 상단과 그 반대측 지지대(100) 사이에는 인체의 복부를 압박할 수 있는 벨트(7)를 설치한 것이다.
모터, 굄목, 밀판, 회전판, 링크부재

Description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 장치{Automatic rectification device for iumbar splne and peivic bones}
도 1은 본 발명에 속하는 전체를 조립한 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모터와 회전판과 링크부재의 구조에 관한 사시도
도 3과 도4는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밀판의 동작상태를 순서대로 발췌한 부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지인 밀판에 인체의 엉덩이가 안착된 상태의 엉덩이뼈와허리뼈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하는 인체의 허리 이상 상태를 보인 인체 예시도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모터 1:손잡이
2:등판 3:힌지결합부
4:요추 5:천추
6:벨트 7:앞장골
8:천추 9:골반
10:고관절 11:하체판
12,17:상,하 각도조절장치 12-1,17-1:핸들
13:굄목 14:밀판
15:회전판 16:링크부재
100:지지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평소 잘못된 자세 등으로 변위되거나 삐뚤어진 요추 및 골반을 아주 효과적이면서 간단하고 쉽게 자동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골반 및 요추의 자동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척추 및 허리에 관련한 이상은 아주 다양한 형태와 증상으로 나타나지만 특히,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심한 운동을 하거나 또는 자기 체력이상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다가 잘못하여 허리를 다치는 경우 척추의 요추부가 전방으로 심하게 굴곡(뼈의 변형)된 상태로 굳어지는 반면, 엉덩이뼈(골반, 천추, 고관절 등) 전체가 후방(반시계 방향) 약10~15°정도로 심하게 기울어져 변형됨에 따라,
바르게 눕더라도 요추부위의 뼈가 바닥에 닿지 않으며, 직립자세에서 작은 량의 허리 굽히기 등이 사실상 어려울 뿐 아니라 윗몸일으키기와 같은 일상적인 허리운동 및 노동력까지 상실되고,
심한 경우 엉치 부위가 시큰거리고 아프면서 한쪽 다리가 저리고 땡기는 증상이 일어나기도 하며, 더욱 심할 경우는 아픈 다리에 감각이 둔해지고, 발가락 운동에 힘이 빠지며, 마비증상까지 오게 되는 허리질환이 있다.
이러한 허리질환은 전술된 바와 같이 골반, 천추는 후방으로 튀어나는 반면 특히 배가 위치한 전방으로 요추부가 심하게 굴곡된 채 굳어져 있음에 따라 이를 교정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즉, 통상 허리뼈(요추 등과 같은 뼈 허리 척추뼈)가 굴곡된 상태로 굳어져 변형된 경우 가장 바람직하게는 굴곡된 부분 중 가장 낮은 전후방을 받치는 가운데 굴곡된 돌출부분을 하방으로 눌러서 바르게 펴주거나,
또는 상기 굴곡된 부분 중 가운데 돌출부를 상방에서 일정한 힘으로 받치는 가운데 가장 낮은 하측을 일정량씩 들어 올려 펴주는 반복운동이 가장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 정례이나,
위와 같은 허리이상 증상은 손이나 여타한 기구물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위치인 배가 위치한 전방으로 요추가 굴곡됨에 따라 받치고 누르는 등의 행위 자체가 불가능함에 따라 운동에 의한 근본적인 교정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을 인식되고 있다.
다만, 상기한 허리이상에 대하여 운동이 아닌 치료법으로 약물이나 시침 또는 수술 등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 치료법은 일시적이고 임시적인 증상 및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일뿐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상당히 높아, 엉덩이뼈(척추 중 요추 및 골반)의 변형이 근본원인일 경우 그 허리뼈의 교정과 관련한 효과적인 운동이 최선이라는 정례에 비추어 상당히 배치되는 것이어서 가능한 한 자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이상은 종래의 교정기구로서는 허리에 일정한 충격을 가하는 허리안마, 허리마사지기 그리고 허리를 앞, 뒤로 굽혔다 폈다 또는 허리를 옆으로 일정량 비틀어 근육을 풀어주는 기타 허리운동기구 등이 있으나,
이러한 허리운동기구들은 허리 및 척추 주변의 근육을 풀어 일시적인 통증을 완화시키는 정도는 있을지 모르나 굴곡된 상태로 변형되어 굳은 허리 이상의 근본적인 교정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먼저, 정도 이상 전방으로 휘어진 요추 부분에 해당되는 전방 복부를 지지한 가운데 요추를 중심으로 하방향 약 10~15°정도 경사진 엉덩이뼈(골반, 천추, 고관절 등)를 상,하 일정폭 이격시키고, 이를 점차적으로 반복 운동케 하여 엉덩이와 요추부분의 뼈가 서서히 곧게 펴질 수 있도록 근본적인 뼈의 교정을 가능케 하는 새롭고 획기적인 허리 교정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허리 중 특히, 올바른 자세를 취하지 않는 상태에서 무거운 물건을 무리하게 들어올리려다 삐걱하는 경우 또는 과격한 운동을 또는 노동으로 인한 원인 또는 습관적이고 지속적인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요추(4) 부분이 전방으로 심하게 굴곡되는 한편, 엉덩이뼈 전체(골반, 고관절, 천추 포함)는 요추(4)를 중심으로 약 10-15˚ 정도 뒤로 뛰어나오면서 기울어져 허리를 제대로 쓰지 못할 뿐 아니라 심한 허리 통증까지 발생되는 허리 변위현상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추(4), 골반(9), 고관절(10), 천추(8) 등의 변위현상을 근본적이고 아주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세워진 두개의 지지대(100)의 일측과 타측에는 인체의 하체와 상체를 각각 받쳐주는 하체판(11)과 등판(2)을 각각 핀 결합시킨 것과;
상기 하체판(11)과 등판(2) 사이의 일측 지지대(100)에는 모터(M)에 의해 일정한 속도비로 회전구동되는 회전판(15)의 편심지점에 핀 고정된 링크부재(16)가 연결되어 상하 일정한 젖힘 각도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밀판(14)을 힌지 결합한 것과;
상기 밀판(14)의 상단 끝에는 인체의 엉덩이 아랫부분을 괴일 수 있는 일정한 두께와 폭의 굄목(13)을 설치한 것과;
상기 지지대(100)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100) 상단과 그 반대측 지지대(100) 사이에는 인체의 복부를 압박할 수 있는 벨트(6)를 설치한 것과; 을 그 특징요지로 하였다.
그리고 도시된 도5에 의하면 상기 밀판(14)의 일측 끝에 안착되는 굄목(13)은 인체의 엉덩이 아랫부분을 일정한 높이로 받친 가운데 상하 일정한 젖힘 각도로 왕복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그 밀판(14)에 완전 고정될 수도 있으나 고정하지 않고 단순히 올려놓아도 무방할 뿐 아니라 인체의 체형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두께의 굄목(13)을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등판(2)의 일측끝 상단에는 손잡이(1)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인체의 하체와 상체를 각각 받쳐주는 하체판(11)과 등판(2)의 하측에는 각 핸들(12-1,17-1)을 돌리게 되면 상기 하체판(11)과 상체판(2)의 상,하 경사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용 핸들을 갖는 상,하 각도조절장치(12,17)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모터(M)는 회전판(15)과 링크부재(16) 및 이와 연결된 밀판(14)의 작동시 초저속운동이 요구되는바, 따라서 일정한 속도비의 감속모터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누었을 때 인체 중 골반(9)과 천추(8), 고관절(10)가 포함된 인체의 엉덩이 부분이 위치하는 지점에 하방의 모터(M), 회전판(15), 링크부재(16) 사이의 편심운동(캠방식 운동)에 의해 요추(4)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대간 힌지 결합부(3)를 기준으로 상,하 일정한 젖힘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밀판(14)이 설치됨에 따라,
요추(4)를 기준으로 약 10~15°정도 하방 기울어진 뼈의 변형상태가 되는 골반(9)과 천추(8), 고관절(10)를 상,하 일정한 높이 간격으로 반복 굴신운동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
골반와 천추, 고관절의 위 같은 변형에 대하여 근본적이고 체계적으로 자동 교정/회복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즉, 여타한 이유로 요추(4)를 기준으로 변위된 골반(9)와 천추(8), 고관절(10)를 하측방에서 위, 아래로 일정간격 반복 굴신운동을 시키게 되면 고관절의 연골이 유연성이 증대되면서 후방으로 심하게 변위되어 돌출되었던 것이 전방으로 점차적으로 이동되고 정상적으로 회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상체판(2)과 하체판(11) 그리고 밀판(14) 위에 무릎을 세운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상단의 손잡이(1)를 잡고 당기면서 엉덩이 부분을 밀판(14) 위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하는 한편, 요추(4)는 지지대(100)와 힌지 결합된 밑판(14)이 힌지결합부(3)와 일치하는 상부위치에 맞춘 다음 복부에 벨트(6)를 걸어 압박/고정시킨다. 이렇게 복부를 벨트(6)로 압박하면 이와 동시에 골반(7)에 일정한 가압력이 전달되어 골반(7)은 후방으로 약간 밀리면서 천추(5)가 밀판(14)에 닫게 되고, 이의 영향으로 그 천추와 연결된 요추(4)를 일정한 당김력이 주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하체판(11)과 상체판(2)의 하측 상,하 각도조절장치에 구비하는 핸들(12-1.17-1)을 적절히 조절하여 등판(2)이 흉추와 요추와 완전 밀착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준비자세를 완벽이 갖추게 되면 벨트(6)에 의해 골반(7)을 압박한 상태에서 모트(15)를 회전시켜 밀판(14)의 힌지결합부(3)를 중심으로 상,하 일정한 각도로 젖힘 반복운동시켜게 되는데, 이때 천추(8)와 골반을 포함하는 엉덩이뼈는 요추(4)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젖혀졌다 펴졌다를 반복하면서 굴신(屈伸)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밀판(14)의 힌지결합부(3) 위에 위치하는 요추(4)를 중심으로 굴신운동이 반복 운동이 이루어지면 요추(4)의 관절은 그 반복굴신운동으로 인해 요추 관절의 유연성이 증대되고, 이로서 관절(10)은 후방으로 조금씩 신전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마침내 요추의 변형에 따른 관절간 밀착된 이상상태가 정상상태로 서서히 다시 버러지게되고, 동시에 전방으로 심하게 휘어진 요추(4)부가 다시 후방으로 신전 이동되어 정상 위치에 원위치 자리 잡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지속 반복하는 중 전방으로 굴곡된 요추(4) 부분이 정상 상태로 고르게 정열 확인되면 이로써 관절이 교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판(14)의 상,하 작동거리를 인체의 체형이나 허리척추의 변형상태, 증상 또는 교정운동의 단계 등에 따라 예컨데, 15㎜, 20㎜, 25㎜ 등으로 조절이 필요한 경우는 상기 회전판(15)에 편심 고정되는 링크부재(16)의 조절볼트(22)를 풀은 후 일정한 간격의 상향, 또는 하향조절한 후 잠궈 고정하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요추 부분이 전방으로 심하게 굴곡되는 한편, 엉덩이 전체(골반, 고관절, 천추 포함)는 요추(4)를 중심으로 심하게 뒤로 뛰어나오면서 약 10-15˚ 정도 기울어진 허리뼈(요추 등)의 변형에 대하여 복부에 벨트로 압박하는 가운데 요추를 중심으로 엉덩이뼈(골반, 고관절, 천추 포함)를 상,하 직접적으로 굴신시키는 새로운 허리뼈 운동방법과 그 수단을 제공함에 따라 요추의 교정과 고관절의 전방 이동 및 이로 인한 바른 자세회복에 상당한 효과가 기대되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1)

  1. 수직으로 세워진 두개의 지지대(100)의 일측과 타측에는 인체의 하체와 상체를 각각 받쳐주는 하체판(11)과 등판(2)을 각각 핀 결합시킨 것과;
    상기 하체판(11)과 등판(2) 사이의 일측 지지대(100)에는 모터(M)에 의해 일정한 속도비로 회전구동되는 회전판(15)의 편심지점에 핀 고정된 링크부재(16)가 연결되어 상하 일정한 젖힘 각도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밀판(14)을 힌지 결합한 것과;
    상기 밀판(14)의 상단 끝에는 인체의 엉덩이 아랫부분을 괴일 수 있는 일정한 두께와 폭의 굄목(13)을 설치한 것과;
    상기 지지대(100)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100) 상단과 그 반대측 지지대(100) 사이에는 인체의 복부를 압박할 수 있는 벨트(6)를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한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 장치.
KR1020060021211A 2006-03-03 2006-03-03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 장치 KR10084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211A KR100847396B1 (ko) 2006-03-03 2006-03-03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211A KR100847396B1 (ko) 2006-03-03 2006-03-03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692A KR20070090692A (ko) 2007-09-06
KR100847396B1 true KR100847396B1 (ko) 2008-07-18

Family

ID=3868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211A KR100847396B1 (ko) 2006-03-03 2006-03-03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7028A1 (ko) * 2017-05-26 2018-11-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추 안정화 운동 장치
KR20210096860A (ko) * 2020-01-29 2021-08-06 정석환 중심이동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5024B (zh) * 2015-04-09 2019-08-30 河南省肿瘤医院 一种医用护理装置
CN106038023B (zh) * 2016-05-23 2018-01-12 张志� 腰腹、腹腰康复治疗机
CN106901885A (zh) * 2017-04-13 2017-06-30 广汉市朗加家居有限公司 用于腰椎间盘突出康复的智能装置
CN109009963A (zh) * 2018-06-15 2018-12-18 郭亮 一种腰间盘病人护理用支撑震动康复装置
CN110075482B (zh) * 2019-05-08 2020-11-24 西安医学院 一种多功能健美操形体训练教学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866B1 (ko) 2002-01-10 2004-09-07 (주)대연이엔지 골반 교정장치
KR100464142B1 (ko) 2001-08-17 2005-01-03 최병길 척추 교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142B1 (ko) 2001-08-17 2005-01-03 최병길 척추 교정기
KR100446866B1 (ko) 2002-01-10 2004-09-07 (주)대연이엔지 골반 교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7028A1 (ko) * 2017-05-26 2018-11-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추 안정화 운동 장치
KR20180129444A (ko) * 2017-05-26 2018-12-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추 안정화 운동 장치
KR102034891B1 (ko) 2017-05-26 2019-10-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추 안정화 운동 장치
US11744761B2 (en) 2017-05-26 2023-09-05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stabilization
KR20210096860A (ko) * 2020-01-29 2021-08-06 정석환 중심이동 운동기구
KR102334051B1 (ko) * 2020-01-29 2021-12-02 정석환 중심이동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692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396B1 (ko) 골반 및 요추부 자동 교정 장치
KR101496683B1 (ko) 하지 부위 변형의 개선 방법 및 이의 실행을 위한 장치
KR100245627B1 (ko) 운동용 보조의자를 이용한 운동장치
US8882802B2 (en) Chiropractic machine
KR20080006337A (ko) 신체교정용 침대
US11123251B2 (en) Abdominal and leg massage device and method of use
US11369540B2 (en) Pelvic massage device and method of use
CN104470590A (zh) 脊柱矫正用康复运动器械
KR20090002112U (ko) 허리의 스트레칭 및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바른자세를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의자
US20100234195A1 (en) Exercising apparatus for calf muscle stretching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CN113018096B (zh) 一种刚柔耦合腰椎康复治疗器
KR101625518B1 (ko) 정형용 교정장치
KR200459422Y1 (ko) 어깨 관절 운동이 가능한 척추교정기
JP3224958U (ja) 脊椎矯正用運動器具
KR101931432B1 (ko)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CN112891146A (zh) 膝关节骨性关节炎减负调节支具
KR101272352B1 (ko) 하체 교정장치
JPH08187261A (ja) 人体の整復運動装置
KR200450660Y1 (ko) 골반 교정 장치
RU13021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движений в суставах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таза и позвоночника
KR20010099438A (ko) 허리의 근육 신장기
JP4233449B2 (ja) 骨盤矯正装置
JP3248888B2 (ja) 脊椎関節矯正用補助ブロック
CN109549767A (zh) 一种老年病临床治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