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861A - 공압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공압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861A
KR20190052861A KR1020170148657A KR20170148657A KR20190052861A KR 20190052861 A KR20190052861 A KR 20190052861A KR 1020170148657 A KR1020170148657 A KR 1020170148657A KR 20170148657 A KR20170148657 A KR 20170148657A KR 20190052861 A KR20190052861 A KR 20190052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air
space
pipe
distribu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543B1 (ko
Inventor
홍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라이브
Priority to KR102017014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5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는 에어셀의 압력변화를 측정하면서 측정되거나 입력된 압력변화에 능동적으로 에어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셀로 주입 도는 배출되는 공기압을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제공하는 공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펌프에 이동관에 연통되며, 상기 이동관이 연결된 위치에서 양측에 각각 내부로 연통되는 제1연결관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형의 제1분배공간부재와, 상기 제1분배공간부재의 제1연결관 단부에 공기의 이동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연결관이 일측의 일면에 연통되도록 제2연결관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일측 타면에 일단이 연통되는 제3연결관이 연결되면서 제3연결관 타단에 제2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일측과 대면하는 타측 일면에 연통되도록 제4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타측 타면에 일단이 연통되는 제5연결관이 연결되면서 제5연결관 타단에 압력센서가 구비되는 제2분배공간부재와,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의 제4연결관 타단에 연통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 공간에 충진재가 수용되는 밀폐형의 에어셀이 포함하는 공압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압 조절장치{AIR PRESSURE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은 공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는 에어셀의 압력변화를 측정하면서 측정되거나 입력된 압력변화에 능동적으로 에어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셀로 주입 도는 배출되는 공기압을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제공하는 공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8012호(발명의 명칭: 복수 개의 측정 자세에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는, 복수 개의 측정 자세에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균형도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처방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특허는, 센서가 구비된 좌우 2개의 발판에 대해 수직 위치, 수평 위치 및 기울기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며, 이에 따른 센서의 출력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측정 자세에 대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건강 정보 등을 생성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6736호(발명의 명칭: 균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는, 사용자의 측정 자세에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균형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균형 진단 및 이에 따른 운동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특허는, 사용자의 좌우측 발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발판부재 내부에 충진재를 구비하는 에어셀을 설치하고, 에어셀 내부로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시키거나,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 및 공기압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특허들은, 오직 보행 동작을 중심으로 양 발의 균형 유지 능력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따라서, 걷기 운동 이외의 운동 과정에서의 신체 균형도 측정 등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운동 동작 과정에서 양 발의 균형뿐만 아니라 동작의 안정성 등을 실시간 측정함으로써, 측정 결과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운동 능력 평가나 적합한 운동 처방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상기 종래기술을 포함하여 기존의 운동요법은 치료과정이나 효과에 대한 검증이 부재하여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상용화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므로 정량화된 과학적인 운동이 표준화된 치료기구와 결합된 치료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며, 생체역학적 원리에 의한 운동치료로서 충분히 예방,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기존의 운동역학 이론과 운동치료요법을 통합한 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012호(발명의 명칭: 복수 개의 측정 자세에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발명의 명칭: 균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하기 위해 공기펌프 등의 부가적인 수단을 이용하면서 특히, 1개의 공기펌프의 작동으로 복수 개의 에어셀로 단일 연계된 분배기구를 통해 공기가 분배되어 공기 유입 또는 배출을 작동시키며, 에어셀에 연계된 다른 분배기구를 통해 에어셀의 압력변화를 측정하도록 센서부가 분배기구에 장착되어 에어셀의 미세 공기압변화를 측정하도록 하면서 에어셀에 가해지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게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공압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공기펌프에 이동관에 연통되며, 상기 이동관이 연결된 위치에서 양측에 각각 내부로 연통되는 제1연결관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형의 제1분배공간부재와,
상기 제1분배공간부재의 제1연결관 단부에 공기의 이동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연결관이 일측의 일면에 연통되도록 제2연결관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일측 타면에 일단이 연통되는 제3연결관이 연결되면서 제3연결관 타단에 제2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일측과 대면하는 타측 일면에 연통되도록 제4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타측 타면에 일단이 연통되는 제5연결관이 연결되면서 제5연결관 타단에 압력센서가 구비되는 제2분배공간부재와,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의 제4연결관 타단에 연통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 공간에 충진재가 수용되는 밀폐형의 에어셀이 포함되는 공압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하기 위해 공기펌프 등의 부가적인 수단을 이용하면서 특히, 1개의 공기펌프의 작동으로 복수 개의 에어셀로 단일 연계된 분배기구를 통해 공기가 분배되어 공기 유입 또는 배출을 작동시키며, 에어셀에 연계된 다른 분배기구를 통해 에어셀의 압력변화를 측정하도록 센서부가 분배기구에 장착되어 에어셀의 미세 공기압변화를 측정하도록 하면서 에어셀에 가해지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게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에어셀의 압력 측정을 통해 신체 균형도 및 동작의 안정성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개인별 균형과 근력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해 적합한 운동 동작의 처방이나 특정 운동 동작에 대한 적정 난이도, 운동 강도, 지속시간 등의 구체적인 지도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압 조절장치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압 조절장치의 블럭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압 조절장치에서 제2분배공간부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압 조절장치에서 제2분배공간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 및 제6, 7연결관이 형성된 정면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펌프(110)에 이동관(120)에 연통되며, 상기 이동관(120)이 연결된 위치에서 양측에 각각 내부로 연통되는 제1연결관(130)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형의 제1분배공간부재(100)와,
상기 제1분배공간부재(100)의 제1연결관(130) 단부에 공기의 이동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1개폐밸브(200a)와,
상기 제1개폐밸브(200a)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연결관(310)이 일측의 일면에 연통되도록 제2연결관(310)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일측 타면에 일단이 연통되는 제3연결관(320)이 연결되면서 제3연결관(320) 타단에 제2개폐밸브(200b)가 구비되며, 상기 일측과 대면하는 타측 일면에 연통되도록 제4연결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타측 타면에 일단이 연통되는 제5연결관(340)이 연결되면서 제5연결관(340) 타단에 압력센서(350)가 구비되는 제2분배공간부재(300)와,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300)의 제4연결관(330) 타단에 연통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 공간에 충진재가 수용되는 밀폐형의 에어셀(400)이 포함되는 공압 조절장치(1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압 조절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분배공간부재(100), 제1개폐밸브(200a), 제2개폐밸브(200b), 압력센서(350), 제2분배공간부재(300) 및 에어셀(400)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이동관(120) 및 연결관(130)(310)(320)(330)(3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분배공간부재(10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밀폐된 형태를 가지며, 일측면 중앙 일면에 이동관(120)이 연결되면서 연통되며, 상기 이동관(120) 단부에 공기펌프(1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관(120)이 연결된 일측면 양측에 각각 제1연결관(130)이 연결되어 연통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공기펌프(110)의 작동으로 제1분배공간부재(100)의 내부 빈 공간에 공기가 충진되면서 충진된 공기가 상기 제1연결관(130)을 통해 공기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밸브(200a)는 제1분배공간부재(100)에 연결된 제1연결관(130) 단부에 연결되며, 이때 제1개폐밸브(200a)는 공기 압력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1개폐밸브(200a)는 후술되는 제2분배공간부재(300) 또는 에어셀(400)의 설정된 공기압력에 의해 공기를 유입하거나 차단하도록 에어셀(400)의 공기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30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밀폐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분배공간부재(100)에 의해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개폐밸브(200a)에 연결되어 제1분배공간부재(100)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2분배공간부재(300)가 구비되면서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300)에 연결되는 하기의 구조들이 마련된다.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300)의 일측 일면에 제2연결관(310)이 연통 및 연결되며, 일측 타면에 제3연결관(320)이 연통 및 연결되면서 상기 제3연결관(320) 단부에 제2개폐밸브(200b)가 구비되며, 이때 제2개폐밸브(200b)는 공기 압력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면서 제2분배공간부재(300) 또는 에어셀(400)의 체크된 공기압력과 설정된 공기압력에 대한 차이가 발생할 경우 즉, 체크된 압력이 클 경우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제1개폐밸브(200a)의 개방시에는 제2개폐밸브(200b)는 차단되게 된다.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300)의 일측에 대응되는 타측의 일면에 제4연결관(330)이 연통 및 연결되며, 상기 일측 타면에는 제5연결관(340)이 연통 및 연결되면서 상기 제5연결관(340) 단부에 압력센서(350)가 구비되어 제2분배공간부재(300)의 공기압 변화를 측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300)의 충진된 공기가 상기 제5연결관(340)을 통해 유입되면서 제5연결관(340) 단부에 구비된 압력센서(350)에 의해 제5연결관(340) 내부에 유입된 공기압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셀(40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형으로서 상기 공간에 충진재가 수용되며, 이때 충진재는 쿠션형으로 공기를 수용하면서 압력변화에 형상이 변형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300)에 연결된 제4연결관(330) 단부에 에어셀(400)이 연통 및 연결되어 제2분배공간부재(3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4연결관(330)을 통해 에어셀(400) 내부로 충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셀(400)의 압력 검출 및 공기량 조절을 수행하도록 제어부(500)가 마련되며, 이때 제어부(500)는 공기펌프(110), 제1개폐밸브(200a), 제2개폐밸브(200b) 및 압력센서(350)를 제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에어셀(400) 각각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기준으로 압력 주입을 수행하여, 에어셀(400)을 이용한 자세검출 및 자세교정을 위해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자세교정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에어셀(400) 각각에 대한 압력 변화를 검출하고 압력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인식하여 각 에어셀(400)의 압력 변화량을 기반으로 앉은 자세 검출 및 자세 교정을 검출한다.
검출된 자세 및 자세 교정 정보에 따라 제어부(500)는 운동 자세 또는 신체 자세의 사용자에 대한 바른 자세가 아닌 경우, 평형 또는 교정 상태에서의 각 에어셀(500)에 대한 공기량과 동일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운동 자세 또는 신체 자세 교정을 수행하며, 이와 동시에 통신수단(520)을 통해 기록정보가 스마트폰에 전송되어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 대한 실시간 경고 및 알람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모니터링부에 의해 구현되도록 한다.
즉, 스마트폰은 모니터링부를 포함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 및 알람/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압력센서(35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에어셀(400)의 내부 압력을 소정의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연산 처리하여 사용자 신체의 접촉면의 비대칭성을 평가하는 중앙처리부(510)와, 상기 중앙처리부(510)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530) 및 상기 중앙처리부(510)의 처리 상태나 결과, 상기 압력센서(350)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부(510)는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력장치(530)는 숫자나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 혹은 터치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540)는 복수의 LED 또는 1장 혹은 복수의 LCD 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에어셀(400)에 연계되어 제2분배공간부재(300)에 연결된 압력센서(350)를 통해 측정된 상기 각 에어셀(400)의 압력을 표시부(540)상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540)에 수치로 표시되는 상기 각 에어셀(40))의 내부 압력이 동일하면 사용자의 신체 접촉면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하고, 내부 압력이 상이하면 신체 접촉면이 불균형(비대칭성)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한다.
또한, 상기 에어셀(400)이 사용자의 신체 접촉면에 주어진 압력에 근력변화에 대한 압력측정치가 주어진 압력에 도달하거나 미도달되는 압력변화의 측정값에 다라 운동자세를 평가하게 된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운동 자세 또는 신체 자세의 불균형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운동을 실시하여 측정되는 운동 자세 또는 신체 자세의 안정화(교정) 운동을 실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300)의 내부에 일측 제2연결관(310)과 제2연결관(320)이 형성된 제1공간(301a) 그리고 타측 제4연결관(330)과 제5연결관(340)이 형성된 제2공간(301b)을 각각 구획되면서 밀폐되도록 제2분배공간부재(300) 내부 중앙측에 격벽(36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301a)의 공기가 제2공간(301b)으로 유입되도록 격벽(360)을 관통하면서 제2공간(301b)에 노출된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감겨진 제1롤링부(371a)가 형성되는 이격된 한 쌍의 제6연결관(370a)과, 상기 제2공간(301b)의 공기가 제1공간(301a)으로 배출되도록 격벽(360)을 관통하면서 한 쌍의 제6연결관(370b)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1공간(301a)에 노출된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감겨진 제2롤링부(371b)가 형성되는 제7연결관(370b)이 구비되되,
상기 제6연결관(370a) 및 제7연결관(370b)이 관형의 튜브형으로 형성하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제1롤링부(371a) 및 제2롤링부(371b)가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격벽(360)은 제2분배공간부재(300)의 내부를 제1공간(301a)과 제2공간(301b)으로 구획되면서 밀폐형으로 제2분배공간부재(300)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밀폐된 제1공간(301a)과 제2공간(301b)으로 구획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6연결관(370a)은 격벽(360)을 기준으로 제1공간(301a)과 제2공간(301b)을 가로질러 연통 및 연결되어 제2연결관(310)을 통해 제1공간(301a)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6연결관(370a)을 통해 제2공간(301b)으로 유입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공간(301b)에 형성된 제6연결관(370a) 단부에 형성된 제1롤링부(371a)가 제6연결관(370a) 내부를 내통하면서 일단이 개방되는 형태이면서 제6연결관(370a)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정의 길이로 내부공간이 밀착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롤형태로 감겨진 형태를 가지며, 반대로 제6연결관(370a)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시 공기압에 의해 롤형태의 제1롤링부(371a)가 수평으로 펴지면서 내부 공간이 확관되어 공기가 유입되면서 개방된 일단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롤링부(371a)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제2공간(301b)에 충진되면서 제4연결관(330)을 통해 에어셀(400)로 공기를 충진하게 되며, 이때 제1공간(301a)에 형성된 제7연결관(370b)의 제2롤링부(371b)는 감겨진 형태를 유지하면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없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7연결관(370b)은 에어셀(400)에 충진된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셀(400)의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개폐밸브(200b)의 작동으로 에어셀(400)과 제2분배공간부재(300)에 충진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격벽(360)을 기준으로 제2공간(301b)과 제1공간(301a)을 가로질러 연통 및 연결되어 에어셀(400)의 내부 공기가 제4연결관(330)을 통해 제2공간(301b)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7연결관(370b)을 통해 제1공간(301a)으로 유입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공간(301a)에 형성된 제7연결관(370b) 단부에 형성된 제2롤링부(371b)가 제7연결관(370b) 내부를 내통하면서 일단이 개방되는 형태이면서 제7연결관(370b)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정의 길이로 내부공간이 밀착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롤형태로 감겨진 형태를 가지며, 반대로 제7연결관(370b)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시 공기압에 의해 롤형태의 제2롤링부(371b)가 수평으로 펴지면서 내부 공간이 확관되어 공기가 유입되면서 개방된 일단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롤링부(371b)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제1공간(301a)에 충진되면서 제3연결관(320)을 통해 배출하게 되며, 이때 제2공간(301b)에 형성된 제6연결관(370a)의 제1롤링부(371a)는 감겨진 형태를 유지하면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없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공압 조절장치 10 제1분배공간부재 100 공기펌프 110
이동관 120 제1연결관 130 제1개폐밸브 200a
제2개폐밸브 200b 제2분배공간부재 300 제2연결관 310
제3연결관 320 제4연결관 330 제5연결관 340
압력센서 350 에어셀 400 제어부 500
중앙처리부 510 통신부 520 입력장치 530
표시부 540

Claims (2)

  1. 공기펌프(110)에 이동관(120)에 연통되며, 상기 이동관(120)이 연결된 위치에서 양측에 각각 내부로 연통되는 제1연결관(130)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형의 제1분배공간부재(100);와,
    상기 제1분배공간부재(100)의 제1연결관(130) 단부에 공기의 이동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1개폐밸브(200a);와,
    상기 제1개폐밸브(200a)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연결관(310)이 일측의 일면에 연통되도록 제2연결관(310)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일측 타면에 일단이 연통되는 제3연결관(320)이 연결되면서 제3연결관(320) 타단에 제2개폐밸브(200b)가 구비되며, 상기 일측과 대면하는 타측 일면에 연통되도록 제4연결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타측 타면에 일단이 연통되는 제5연결관(340)이 연결되면서 제5연결관(340) 타단에 압력센서(350)가 구비되는 제2분배공간부재(300);와,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300)의 제4연결관(330) 타단에 연통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 공간에 충진재가 수용되는 밀폐형의 에어셀(40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배공간부재(300)의 내부에 일측 제2연결관(310)과 제2연결관(320)이 형성된 제1공간(301a) 그리고 타측 제4연결관(330)과 제5연결관(340)이 형성된 제2공간(301b)을 각각 구획되면서 밀폐되도록 제2분배공간부재(300) 내부 중앙측에 격벽(36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301a)의 공기가 제2공간(301b)으로 유입되도록 격벽(360)을 관통하면서 제2공간(301b)에 노출된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감겨진 제1롤링부(371a)가 형성되는 이격된 한 쌍의 제6연결관(370a)과, 상기 제2공간(301b)의 공기가 제1공간(301a)으로 배출되도록 격벽(360)을 관통하면서 한 쌍의 제6연결관(370b)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1공간(301a)에 노출된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감겨진 제2롤링부(371b)가 형성되는 제7연결관(370b)이 구비되되,
    상기 제6연결관(370a) 및 제7연결관(370b)이 관형의 튜브형으로 형성하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제1롤링부(371a) 및 제2롤링부(371b)가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조절장치.
KR1020170148657A 2017-11-09 2017-11-09 공압 조절장치 KR10203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657A KR102032543B1 (ko) 2017-11-09 2017-11-09 공압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657A KR102032543B1 (ko) 2017-11-09 2017-11-09 공압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861A true KR20190052861A (ko) 2019-05-17
KR102032543B1 KR102032543B1 (ko) 2019-10-15

Family

ID=6667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657A KR102032543B1 (ko) 2017-11-09 2017-11-09 공압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200B1 (ko) * 2019-09-27 2021-03-31 대한민국 에어셀을 이용한 인체 지지 장치 및 이의 에어 조절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8795A (ko) * 2009-12-31 2011-07-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KR101093980B1 (ko) * 2011-10-14 2011-12-13 홍승호 좌석용 균형운동장치
KR101138012B1 (ko) 2010-10-25 2012-04-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측정 자세에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53505A (ko) * 2013-11-08 2015-05-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식 운동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8795A (ko) * 2009-12-31 2011-07-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KR101138012B1 (ko) 2010-10-25 2012-04-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측정 자세에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93980B1 (ko) * 2011-10-14 2011-12-13 홍승호 좌석용 균형운동장치
KR20150053505A (ko) * 2013-11-08 2015-05-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식 운동치료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발명의 명칭: 균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200B1 (ko) * 2019-09-27 2021-03-31 대한민국 에어셀을 이용한 인체 지지 장치 및 이의 에어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543B1 (ko)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7011B2 (en) Checking the operation of breathing equipment
CA2423184A1 (en) Bi-level flow generator
US8408421B2 (en) Flow regulating stopcocks and related methods
EP0469797B2 (en) Anaesthetic vaporiser
CA2070031C (en) Air massaging device with a precise pressure control
JP2952037B2 (ja) 高圧流体測定制御装置
US109211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olumetric parameters of liquid in a container
CN103429524B (zh) 旋转式填充机及旋转式填充机的填充量运算方法
US20120277643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differential air pressure devices
CA29628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ommunicating, and analyzing the amount of a fluid in a tank
KR20190052861A (ko) 공압 조절장치
US109572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dovascular fluid injection simulations
CN105555419B (zh) 施涂系统及相应的施涂方法
KR101947637B1 (ko) 피드백을 통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수동식 인공호흡기 및 이를 이용한 인공호흡 주입 방법
KR102105703B1 (ko)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구비된 산소 캡슐
JP2019532314A (ja) レギュレータを備えた電子フローメータ
KR101545055B1 (ko) 좌식 운동치료 장치
JP2023549981A (ja) 匂い感知システム
JPWO2020162953A5 (ko)
ITTO990328A1 (it) Procedimento per il recupero di vapori emessi durante la distribu-zione di un liquido
US20150057559A1 (en) Pulmonary Compliance and Air Flow Resistance
KR102179544B1 (ko) 응급훈련용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JPWO2020075239A1 (ja) 高地トレーニングカプセル
CN208799588U (zh) 流体驱动设备
EP3683783A1 (en) Fluid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