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376B1 -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376B1
KR950001376B1 KR1019910018607A KR910018607A KR950001376B1 KR 950001376 B1 KR950001376 B1 KR 950001376B1 KR 1019910018607 A KR1019910018607 A KR 1019910018607A KR 910018607 A KR910018607 A KR 910018607A KR 950001376 B1 KR950001376 B1 KR 950001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head
human
pressing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606A (ko
Inventor
미끼오 후꾸나가
Original Assignee
미끼오 후꾸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851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588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0451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202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3253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1346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끼오 후꾸나가 filed Critical 미끼오 후꾸나가
Publication of KR92000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6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for compressive stressing of a part of the skeletal structure, e.g.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배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당접면(當接面)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저면도.
제3a도는 가압전의 척추의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 확대도.
제3b도는 가압시의 척추의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정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두부당접부재의 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측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측면도.
제16도는 중심위치 검지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표시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정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측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단면도.
제20도는 종래의 척추 교정 치료장치의 사용상태의 정면도.
제21a도는 종래의 척추 교정 치료장치를 사용하기 전의 척추의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 확대도.
제21b도는 종래의 척추 교정 치료장치를 사용한 후의 척추의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 확대도.
본 발명은 측만(Scoliosis) 등에 의하여 굽은 척추의 교정 또는 측만등에 의하여 어긋난 인체의 중심위치를 정상인 상태로 교정하기 위한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측만 등의 인체 골격인 척추의 부당한 굽음을 교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소위 견인치료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또, 이와 같은 견인치료법에 사용되는 장치로서는 제2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인체(a)의 턱부분(b)에 띠모양의 유체(紐體)(c)를 걸어둔 상태에서 중량물(d) 또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등에 의하여 인체(a)의 척추(e)가 길어지는 방향(화살표 A방향)에 턱부분(b)을 견인하고 인체(a)의 축선(e)에 대하여 척추(f)의 굽은 부분 f'를 교정하도록 구성된 척추 교정 치료장치(g)가 있다.
그런데 척추(f)는 제21a, 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추골(h)과 연골(i)이 교대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척추 교정 치료장치(g)로 사용한 견인치료법에 있어서는 추골(h)과 연골(i)과의 연결상태가 제21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정상상태로부터 제21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연골(i)이 당겨서 펴게 된 상태로 된다.
이 연골(i)이 당겨서 펴게 된 상태로 되면 연골(i) 내에 있어서 영양소(j)의 밀도가 빽빽한 상태에서 거침의 상태로 되어 추골(h)에 영양소가 흡수되기 어렵고, 그리고, 추골(h)에 영양소가 흡수되지 못하면 척추(f)의 뼈로서의 본래의 강도가 약해지고 마는 염려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척추를 두부에서 인체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연골을 압축하고 연골로부터의 영양소를 추골이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어서 척추 전체를 튼튼하게 할 수 있어 인체 자신이 갖고 있는 자연치유 현상의 활발화를 도모함으로서 척추가 정상인 직선상태로 복귀한다고 하는 가압치료법의 생각에 도달하고, 이와 같은 가압치료방법에 적합한 것인 동시에 뼈에 악영향을 주는 일없이 척추의 구부러짐 또는 인체중심의 어긋남등의 교정 치료까지도 행할 수 있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에서는, 인체 두부가 접촉되는 두부당접부재와 상기 두부당접부재를 상기 인체 두부측에 누름하는 두부 가압수단을 갖추고 있다.
또 다른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는 인체 두부에 접촉시키는 두부당접부재와 상기 당접부재를 상기 인체 두부측에 누름하는 두부 가압수단과, 상기 인체에 접촉시키는 인체 당접부재를 상기 인체에 누름하는 인체 가압수단을 갖추고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입각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제1도에서 (1)은 치료를 받는 환자인 인체, (2)는 두부, (3)은 견부, (4)는 허리를 포함한 배(背)부, (5)는 다리부, (6)은 척추이다. (7)은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인 인체 두부 가압장치이고, 인체(1)의 두부(2)와 맞닿는 두부당접부재(8)와, 이 두부당접부재(8)를 인체(1)측으로의 가압을 조절하는 가압조절부(9)를 갖고 있다.
가압조절부(9)는 플리(9a, 9a) 사이에 걸쳐서 현가된 유체(9b)의 일단에 부착된 지지부(9c)와 유체(9b)의 타단에 부착된 조절부재(9b)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9c)는 하방을 개구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두부당접부재(8)가 수납되어 있다.
조절부재(9d)는 두부당접부재(8)의 가압방향(제1도 화살표 B)에 반대되는 방향(제1도 화살표 C)으로 작용되도록 복수의 겹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 두부당접부재(8)의 가압력으로 되는 중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 이 조절부재(9a)는 서로 상이한 중량의 것을 여러종류 준비하여 가압력에 따른 중량의 조절부재(9d)를 부착하여도 좋다.
두부당접부재(8)는 밀폐된 주머니 상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두부(2)의 머리꼭대기(2a)에 맞닿는 당접면(8a)을 갖고, 두부가압수단으로서의 압력물질(8b)이 두부당접부재(8)의 내부(8c)에 충전되어 있다.
당접면(8a)은 가압조절부(9)의 지지부(9c)로부터 돌출하여 동시에, 두부(2)의 머리꼭대기(2a)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가능한 것, 예를 들면 고무등의 탄성체, 직물, 종이등에 검코오팅이 실시된 것, 염화비닐 또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기밀성을 갖는 탄성가뇨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당접면(8a)에는 제2a도 내지 제2c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8a)가 일체로 형성되고, 두부(2)를 가압하고 있을 때에 당접면(8a)과 두부(2)와의 마찰을 방지함과 동시에 두부(2)에 마사아지 효과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또 두부당접부재(8)는, 지지부(9c)에 수납되어 있는 부분과 지지부(9c)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당접면(8a)을 별개의 재질로 성형하여도 좋다.
압력물질(8b)은, 예를 들면 물·수은 등의 액체, 모래·사철(砂鐵)등의 분입체, 젤라틴등의 겔상물질등과 같이, 두부당접부재(8)의 당접면(8a)이 두부(2)의 머리꼭대기(2a)에 당접하였을 경우, 당접면(8a)의 변형을 유지하고, 그리고, 균일한 면압력을 두부(2)에 가할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또, 두부당접부재(8)의 내부(8c)에 초음파등을 발진하는 진동발진장치 W을 내장하고, 이 진동발진장치 W의 진동을 두부(2)에 전달시켜 두부(2)에 마사아지 효과를 줄 수도 있다.
더욱, 본 발명의 인체두부 가압장치(7)에 제어장치(S)를 설치하고, 이 제어장치(S)에 의하여 두부(2)에 대하여 일분간에 1회 내지 160회의 범위로 압력물질(8b)의 압력을 증감시킬 수도 있다. 또 이 제어장치(S)를 진동발진장치 W와 접촉하여 진동수를 제어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인체(1)의 축심 R이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우선 두부(2)의 머리꼭대기(2a)에 두부당접부재(8)의 당접면(8a)을 맞닿게 한다. 이때 압력물질(8b)(비중이 큰 수온이 가장 적합하다)은 인체(1)의 체중에 대하여 10%~50%의 비율로 두부당접부재(8)의 내부(8c)에 충전되어 있다.
또 압력물질(8b)의 중량은 연령등의 형편에 따라 인체(1)에 대하여 부담이 되는 경우, 적당한 수량(또는 무게)의 조절부재(9d)를 유체(9b)에 부착하여, 두부(2)로의 가압력(중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두부(2)에 적당한 압력이 설정된 면압력을 가하면, 제3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가압전의 추골(6a, 6a)과 연골(6b)과의 결합상태가 제3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두부(2)가 받은 가압에 작용되어 연골(6b)이 압축된 상태로 된다.
이 사실로서, 연골(6b)내의 영양소 N의 밀도가 제3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빽빽한 상태에서 제3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농밀한 상태로 되고, 연골(6b)의 영양소 N를 추골(6a, 6a)에 용이하게 흡수할 수가 있다. 더욱 두부(2)를 가압한 상태와 가압하지 않은 상태를 반복하여 행함으로 제3a도에 표시한 정상인 상태와 제3b도에 표시한 가압상태를 교대로 연속한 펌프작용이 척추(6)에 작용하여, 연골(6b)의 영양소 N가 보다 한층 추골(6a)에 흡수되기 쉬워진다.
[제2실시예]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인 인체두부 가압장치(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고정가능한 브래킷(11a)를 사이에 두고 파이프부재(11)에 설치되어 있다.
또 브래킷(11a)의 일단측에 고정된 상자체(11b)에는 당접면(12)을 갖는 두부당접부재(13)가 내장되어 있다. 이 두부당접부재(13)의 내부(13a)에는, 공기나 가스등의 기체, 또는 물이나 수은 등의 액체로 이루어지는 물질(14)이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물질(14)의 두부당접부재(13)의 내부(13a)로의 충전량을 두부 가압수단으로서의 펌프(15)를 사이에 두고 증감함으로서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진동발진장치(W)를 두부당접부재(13)에 내장함과 동시에 진동발진장치(W)와 펌프(15)의 각각을 제어장치(S)에 접속하고, 진동발진장치(W)의 진동수 및 펌프(15)의 압력 증감회수를 제어장치(S)에 제어시킬 수도 있다.
[제3실시예]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부재(20a)를 역 U자상을 나타내는 브래킷(20b)이 두부 가압수단으로서의 실린더부재(20c)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20b)의 유단(遊端)측에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인 인체두부 가압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 당접면(22)을 갖는 두부당접부재(23)의 상부에는 스프링(24, 24)이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부재(20c)의 신축(제5도 화살표 D방향)에 의하여 슬링(24, 24)의 스프링힘이 조절됨으로서 두부(2)로의 가압력이 조절된다.
또, 진동발진장치(W)를 두부당접부재(23)에 내장함과 동시에, 진동발진장치(W)와 실린더부재(20c)의 각각을 제어장치(S)에 접속하고, 진동발진장치(W)의 진동수 및 실린더부재(20)의 압력증감회수(신축회수)을 제어장치(S)에 제어시킬 수도 있다.
[제4실시예]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인 인체두부 가압장치(30)가 가압조절부(31)와 당접면(32a)을 갖는 두부당접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조절부(31)는 플리(33, 33) 사이에 걸쳐서 현가(suspension)된 유체(34)의 일단측에 부착된 두부 가압수단으로서의 무게추(35)와 유체(34)의 다른측에 부착된 조절부재(36)로 구성되어 있다.
무게추(35)는 금속 또는 콘크리트블럭 등의 중량이 무거운 경질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조절부재(36)는 무게추(35)의 가압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복수의 조절부재(36)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 가압력(중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 이 조절부재(36)는, 서로 다른 중량의 여러 종류 준비하여, 가압력에 따른 중량의 조절부재(36)를 부착하여도 좋다.
한편, 두부당접부재(32)는 무게추(35)의 하단에 고정되고, 그리고 변형가능한 부재(예를 들면 검, 또는 직물)을 당접면(32a)을 일체로 한 자루모양으로 형성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 두부당접부재(32)의 내부에는 물·수은 등의 액체, 모래·사철 등의 분립체, 젤라틴등의 겔상물질, 공기 또는 가스등의 기체, 실부스러기 또는 면등의 보형부재 등과 같이 두부당접부재(32)가 인체의 두부에 당접하였을 때, 두부당접부재(32)의 변형을 유지하여 균일한 면압력을 두부에 가할 수 있는 물질(37)이 충전되어 있다.
이 물질(31)은, 예를 들면, 물질(37)에 수은, 두부당접부재(32)에 고무, 또는 물질(37)에 면, 두부당접부재(32)에 직물(고무도 좋다)과 같이 사용되는 두부당접부재(32)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제5실시예]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인 인체두부 가압장치(40)가 두부당접부재(41)와 두부 가압수단으로서의 무게추(42, 42)로 구성되어 있다.
두부당접부재(41)는, 미리 인체 두부형상에 밀착하도록 한 형상으로 형성된 당접면(43a)을 갖는 당접부(43)에 철판(44)을 설치하고, 철판(44)에 끈(45, 45)을 사이에 두고 무게추(42, 42)가 매달려 있다.
무게추(42, 42)는 서로 다른 중량의 두부 가압수단(42)을 여러 종류 준비하여 필요한 가압력에 따른 중량의 것이 부착되어진다. 이와 같이 두부당접부재(41)를 미리 인체두부의 형상에 따르는 당접면(43a)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연결가능하게 구성된 무게추(42)를 복수 준비하여 필요한 가압력에 따른 수량을 부착한다. 또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한다. 등, 두부측에서 인체측으로 향하여 견인함으로서 두부의 가압력(중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6실시예]
제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인 인체두부 가압장치(50)에서는 인체(1)가 의자(51)에 착석한 상태에서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당접면(52a)이 일체로 형성된 두부당접부재(52)를 갖는 브래킷(53)을 사이에 두고 볼(54)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 볼(54)은 유압·수압등에 의하여 신축(제8도 화살표 E방향)하는 두부가압수단으로서의 실린더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볼(54)의 신축에 의한 두부당접부재(52)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진동발진장치 W를 두부당접부재(52)에 내장함과 동시에, 진동발진장치 W와 볼(54)의 각각을 제어장치(S)에 접속하고, 진동발진장치 W의 진동수 및 볼(54)의 압력증감회수(신축회수)를 제어장치(S)에 제어시킬 수도 있다.
[제7실시예]
제9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체(1)의 두부(2)를 가압함과 동시에, 인체(1)가 보행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지면(M)에 대하여 수평한 레일(61)이 설치되고, 이 레일(61) 위에 도르래(62)가 활동이 자유로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두부당접부재(63) 및 두부가압수단(64)을 갖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인 인체두부 가압장치(65)에는 유체(66)가 설치되고, 이 유체(66)를 도르래(62)에 걸므로서 인체두부 가압장치(65)가 레일(61)을 사이에 두고 이동가능(제9도 화살표 F방향)하게 된다.
더욱, 유체(66)는 인체(1)의 신장에 따라 복수 종류의 길이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또 진동발진장치(W)를 두부당접부재(63)에 내장함과 동시에, 진동발진장치(W)와 두부가압수단(64)의 각각을 제어장치(S)에 접속하고, 진동발진장치(W)의 진동수 및 두부가압수단(64)의 압력 증감회수를 제어장치(S)에 제어시킬 수도 있다. 이때, 두부가압수단(64)으로서는 상기 제1,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제8실시예]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체(1)를 눕힌대로(위를 보게, 엎드리게의 어느 경우도 좋음)의 상태에서 두부(2)를 가압하도록 한 구성이다.
즉, 당접면(70a)을 갖는 두부당접부재(70)와, 보호커버(71)로부터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인 인체두부 가압장치(72)를 구성함과 동시에, 두부당접부재(70)의 내부에, 물 또는 수은 등의 액체, 또는 공기나 가스등의 기체등의 물질(73)을 충전하고, 두부가압수단으로서의 펌프(74)를 사이에 두고 물질(73)의 충전량을 증감함으로서, 두부당접부재(70)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75)는 밸브, (76)은 압력미터, (77)은 인체접지면, (78)은 인체접지면(77)에 보호커버(7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79)는 인체구속벨트이다. 또 진동발진장치(W)를 두부당접부재(70)에 내장함과 동시에, 진동발진장치(W)와 펌프(74)의 각각을 제어장치(S)에 접속하고, 진동발진장치(W)의 진동수 및 펌프(74)의 압력증감회수를 제어장치(S)에 제어시킬 수도 있다.
더욱, 인체(1)의 두부(2)를 가압하면서 척추(6)의 부당하게 완곡한 돌출부분을 비돌출 방향으로 압축하는 등의 인위적인 치료 또는 처리등을 행할 수도 있다.
[제9실시예]
제11도 및 제12도는 제9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체(1)의 두부(2)와 견부(3)의 양방에 당접하는 인체당접부재(80)와, 이 인체당접부재(80)를 인체(1)측으로 향하여 가압하는 인체가압수단(81)를 설치한 것이다.
인체당접부재(80)는, 두부(2)의 형상에 따라서 당접하는 두부당접부재(82)와 인체(1)의 견부(3)에 따라 당접하는 견부당접부재(8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두부당접부재(82)는 제12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두부(2)의 좌우측 두부에 당접하는 대상의 것, 제12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두부(2)의 좌우측 두부와 두부(2)의 후두부에 당접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상의 것, 또는 제12c도와 같이 두부(2)의 좌우측 두부 및 두부(2)의 전두부에 당접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상의 것, 또한 제12d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두부(2)의 좌우측 두부 및 두부(2)의 전두부 및 후두부에 당접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십자상의 것등, 두부(2)에 대하여 밀착상으로 당접하는 것이면 그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체 가압수단(81)은 실린더(84)와 로드(85, 85)로 구성된 수평실린더부재(86)와, 이 수평실린더부재(86)를 지지하는 기둥체(柱體)(87)를 갖추고 있다. 수평실린더부재(86)는, 기둥체(87)의 상단부에 부착된 실린더(84)의 작용에 의한 로드(85, 85)의 신축에 의하여 인체(1)의 두부(2)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이 로드(85, 85)의 신축량은 각각 따로 따로 신축시켜 두부(2) 및 견부(3)으로서 가압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0실시예]
제13도에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체를 눕힌 상태에서 인체(1)의 두부(2)를 가압하는 인체두부 가압장치(90)와 인체(1)의 배(등)부(4)를 가압하는 인체배부 가압장치(91)를 설치한 것이다.
인체두부 가압장치(90)는 실린더(92)와 로드(93, 93)로 구성된 두부가압수단으로서의 수평실린더부재(94)와 두부당접부재(95)를 갖추고 있다. 이 두부당접부재(95)는 로드(93, 93)에 지지된 상자형체(96)와 상자형체(96)내에 수납되고 그리고 두부(2)에 당접하는 당접면(97)를 갖추고 있다. 수평실린더부재(94)는 실린더(92)의 작용에 의한 인체(1)의 두부(2)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로드(93, 93)의 신축량은 각각 따로 신축시켜 두부(2)로의 가압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인체배부 가압장치(91)는, 인체(1)의 배부(4)의 형상에 따라 밀착하도록 변형가능한 매트(98)를 갖추고 있다.
이 매트(98)의 내부에는 인체(1)의 적당한 곳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실린더부재 등으로 되는 가압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배설되어 있다. 이 가압수단은 레일(도시하지 않음)등을 사이에 두고 매트(98)내를 이동변위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매트(98)의 표면을 복수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매트마다 실린더부재등을 사이에 두고 상하시켜도 좋다.
[제11실시예]
제14도 내지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100)로서 가압치료를 받는 환자인 인체(1)의 두부(2), 견부(3), 배부(4)의 각 개소에 대응한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와 인체견부 가압장치(120) 및 인체배부 가압장치(130)를 갖추고 있다.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100)는, 기초판(101)과, 기초판(101)의 일측면에 세워 설치된 기둥체(102)로 구성되어 있다.
기초판(101)의 상면(103)에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인체(1)의 직립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발모양(104)이 프린트되어 있다. 또, 기초판(101)의 내부에는 인체(1)가 기초판(101)에 직립하였을 때에, 인체(1)의 중심위치를 검지하는 중심위치 검지장치(105)(예를 들면 쉬트상의 압력센서)와, 중심위치 검지장치(105)로부터의 중심위치 정보를 제어부(S)에 출력하는 출력부(106)가 내장되어 있다.
인체두부 가압장치(110)는 수평실린더부재(111)와 두부가압수단(112)이 갖추어져 있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수평실린더부재(111)는, 기둥체(102)의 상단부에 부착된 실린더(111a)와 로드(111b)로 구성되고, 로드(111b)의 신축에 의하여 인체(1)의 두부(2)와 기둥체(102)와의 사이를 두부가압수단(112)이 변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수평실린더부재(111)는, 수직방향의 면내를 회전이동 고정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두부가압수단(112)은, 수평실린더부재(111)의 로드(111b)에 부착된 실린더(112a)와 이 실린더(112a)에 부착된 복수의 로드(112b,112b…)와 로드(112b, 112b…)의 선단에 부착된 두부당접부(113)로 구성되어 있다. 또 로드(112b, 112b…)는 수직방향으로 개별로 신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두부당접부(113)는 하단을 개방한 상자형체(114)와 고무등의 탄성가뇨막으로 이루어지는 두부당접부재(115)를 갖추고 있다. 상자형체(114)의 내부(114a)는 두부당접부재(115)에 의하여 밀폐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상자형체(114)의 내부(114a)에는, 공기 또는 가스등의 기체, 혹은, 물 또는 수은등의 액체물질이 충전되어 있다. 더욱, 이 상자형체(114)의 내부(114a)에는, 초음파등을 발진하는 진동발진장치(116)가 내장되어 있다.
한편, 수평실린더부재(111)와 두부가압수단(112) 및 진동발진장치(116)는 제어장치(S)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두부가압수단(112)의 당접방향 또는 가압력 또는 진동수등을 각부 가압수단(105)에 설치된 중심위치 검지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중심위치정보 및 미리 설정된 수치(예를 들면, 연령이나 성별등)에 입각하여 제어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인체견부 가압장치(120)는 기둥체(102)의 상방 가까이에 위치한 브래킷(121)과 브래킷(121)에 부착된 좌우 한쌍의 수평실린더부재(122, 122)와 수평실린더부재(122, 122)에 부착된 견부가압수단(123, 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래킷(121)은 기둥체(102)에 지지되는 고정부(121a)와 이 고정부(121a)로 부터 좌우측방에 각각 돌출된 지지부(121b, 121b)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또 브래킷(121)은 기둥체(102)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고정가능하게 부착되고, 인체(1)의 견부(3)의 위치에 맞도록 높이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평실린더부재(122)는 기둥체(102)에 부착된 실린더(122a)와 로드(122b)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1)의 양견부(3, 3)와 기둥체(102)와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신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수평실린더부재(122)는 수직방향의 면내를 회전이동, 고정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견부가압수단(123)은 수평실린더부재(122)의 로드(122b)에 부착된 실린더(123a)와 실린더(123a)에 부착된 복수의 로드(123b, 123b…)와 로드(123b, 123b…)의 선단에 부착된 견부당접부(124)로 구성되어 있다. 또 로드(123b, 123b)는 수직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신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견부당접부(124)는 하단을 개방한 상자형체(125)와 고무등의 탄성가뇨막으로 이루워지는 견부당접부재(126)를 갖추고 있다. 상자형체(125)의 내부(125a)는 견부당접부재(126)에 의하여 밀폐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상자형체(125)의 내부(125a)에는 공기나 가스등의 기체, 혹은 물이나 수은등의 액체로 이루워지는 물질이 충전되어 있다. 더욱 상자형체(125)의 내부에는 초음파등을 발진하는 진동발진장치(127)가 내장되어 있다.
한편 수평실린더부재(122)와 견부가입수단(123) 및, 진동발진장치(127)는 제어장치(S)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견부가압수단(123)의 당접방향이나 가압력 또는 진동수등을 중심위치 검지장치로부터의 중심위치정보 및 미리 설정된 수치(예를들면 연령이나 성별등)에 입각하여 제어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인체배부 가압장치(130)는 기둥체(102)의 중도부에 위치한 브래킷(131)에 부착된 한쌍의 굴곡부(132, 132)와 굴곡부(132, 132)에 부착된 배부가압수단(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래킷(131)은 기둥체(102)에 지지되는 고정부(131a)와 이 고정부(131a)로 부터 좌우 측방에 각각 돌출된 지지부(131b, 131b)로 구성되어 있다. 또 브래킷(131)은 기둥체(102)를 레일로서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고정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인체(1)의 신장등에 맞도록 조절가능으로 되어 있다.
굴곡부(132)는 기둥체(102)에 부착된 고정부재(132a)와 고정부재(132a)에 부착된 굴곡부재(132b)와, 굴곡부재(132b)에 부착된 지지부재(132c)로 구성되어 있다.
배부가압수단(133)은, 굴곡부재(132b)에 부착된 지지부재(132c)에 연결된 실린더(133a)와 실린더(133a)에 부착된 로드(133b)와 로드(133b)의 선단에 부착된 당접부(134)로 구성되어 있다. 또 로드(133b)는 인체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굴곡부(132)와 배부가압수단(133)는 제어장치(S)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부가압수단(133)의 당접방향 또는 가압력은 중심위치 검지장치로부터의 중심위치정보 및 미리 설정된 수치(예를 들면 연령 또는 성별등)에 입각하여 제어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우선 인체(1)를 기초판(101)위에 세워, 이 상태에서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와 인체견부 가압장치(120) 및 인체배부 가압장치(130)의 각 당접부(113, 124, 134)의 각각을 인체(1)의 두부(2), 견부(3), 배부(4)에 당접시킨다.
다음에 인체두부 가압장치(110)를 인체(1)의 체중에 대하여 3%~50%(스포츠 선수등 근육질의 사람에는 75%정도까지 가함)의 비율로 가압한다.
이때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의 인체(1)에 대한 가압방향은 인체(1)의 상황(예를 들면 척추(6)의 굽은 방향등)에 따라 적당한 방향에서 가압하면 좋다.
또,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에 의하여 인체(1)의 두부(2)를 가압함과 동시에 인체견부 가압장치(120) 또는 인체배부 가압장치(130)에 의한 견부(3) 또는 배부(4)로의 가압을 조합하여 병용하여도 좋다.
이때, 예를 들면,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의 두부(2)로의 가압과 동시에 인체견부가압장치(120)에 의하여 견부(3)를 가압하는 경우의 인체(1)에 대한 가압력은, 양자의 합계 가압력을 인체(1)의 체중에 대하여 3%~75%의 비율로 가압하고, 양자의 비율은 두부(2)에 대한 가압력을 5할~9할의 비율이 되도록 설정한다. 더욱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의 두부(2)에로의 가압과 동시에 인체배부 가압장치(130)에 의하여 배부(4)를 가압하는 경우는 인체(1)의 척추(6)의 굽은 부분을 인체(1)의 축심측으로 향하여 가압하도록 인체배부 가압장치(130)을 조절함으로서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의 가압을 효율좋게 척추(6)에 부여하도록 설정할 수가 있다.
또 인체중심 위치 검지장치(105)는 제1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건강상태의 인체중심위치(107)의 주변에 설정된 이상, 에리어(108)내에 인체(1)의 중심위치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는 가압방향 또는 가압력의 제어가 행해지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더욱 각 감압수단(112, 123, 133)의 가압은, 일정의 가압력을 적당시간 계속시키는 경우와 소정범위내의 가압력으로 변화시키는 경우의 두가지를 선택할 수 있고, 그리고 각 가압수단(112,123,133)의 가압방향은 일정방향의 가압력을 적당시간 계속시키는 경우와 방향변경하면서 가압력을 가하는 경우의 두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보기에서는 인체(1)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가압처리하고 있는 예를 표시하였지만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100)의 기초판(101)을 인체(1)가 앉기(의자, 정좌, 걸상등을 불문하고) 위한 좌부로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2실시예]
제17도 및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가압치료를 받는 환자인 인체(1)의 다리부(5)를 가압하는 인체 각부 가압장치를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100)에 설치한 것이다.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100)는, 기초판(101)과 기초판(101)의 일측면에 세워 설치된 기둥체(102)로 구성되어 있고, 이 지주(102)에 인체(1)의 두부(2), 견부(3), 배부(4)의 각 개소를 가압하는 인체두부 가압장치(110), 인체견부가압장치(120), 인체배부 가압장치(130)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 기초판(101)에는 인체(1)의 각부(5)로부터 인체(1)측으로 향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설정된 인체 각부 가압장치(143)가 배설되어 있다.
인체 각부 가압장치(143)는 인체(1)의 좌우의 발의 안(5a, 5a)과 맞닿는 좌우 한쌍의 각부 당접부재(144, 144)와, 좌우 한쌍의 각부 당접부재(144, 144)를 인체(1)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각부 가압수단(145, 145)을 갖추고 있다. 또, 인체 각부 가압장치(143)는, 기초판(101)에 고정된 지지부재(146, 146)을 사이에 두고 인체(1)의 양발을 개폐시키는 이동 고정기구(147, 147)에 부착되어 있다.
각부 당접부재(144)는, 실린더(145a)와 로드(145b)로 이루워지는 각부 가압수단(145)의 로드(145b)에 부착되어, 로드(145b)의 신축에 의하여 인체(1)에 대하여 소정량의 압력을 가할 수가 있다. 또 각부 당접부재(144)는 각부 가압수단(14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장치(S)에 의하여 인체(1)에 대한 가압력을 제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더욱, 각부 가압수단(145)은 좌우 각각의 가압력 및 가압방향(예를 들면 전후 좌우로 경사시킨다)을 따로따로 설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각부 당접부재(144)의 당접면(144a)으로부터는 복수의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출몰하여 발의 안(5a)을 자극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동 고정기구(147)는 인체(1)의 양발이 인체(1)의 좌우 방향으로 개폐하도록 원호상으로 연출된 레일부(147a)와 이 레일부(147a)와 각부 가압수단(145)를 연결하는 지지부(147b)를 갖추고 있다. 또 레일부(147a)에는 안내홈(147c)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147c)에 따라서 지지부(147b)가 미끄럼 이동 고정함으로서 각부 가압수단(145)이 미끄럼이동(제17도 화살표 G, H방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우선 인체(1)를 좌우 한쌍의 각부 당접부재(144, 144)의 당접면(144a, 144a) 위에 세우고 이 상태에서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와 인체견부 가압장치(120) 및 인체배부 가압장치(130)의 각 당접부(133, 124, 134)의 각각을 인체(1)의 두부(2), 견부(3), 배부(4)에 당접시킨다.
다음에 인체두부 가압장치(110)를 인체(1)의 체중에 대하여 3%~50%(스포츠 선수등의 근육질의 사람에는 75% 정도까지 가능)의 비율로 가압한다.
이때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의 인체(1)에 대한 가압방향은, 인체(1)의 상황(예를 들면 척추 6의 굽는 방향 등)에 따라 적당한 방향에서 가압하면 좋다.
또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에 의하여 인체(1)의 두부(2)를 가압함과 동시에 인체 각부 가압장치(143), 인체견부가압장치(120), 인체배부 가압장치(130)에 의한 각부(5), 견부(3), 배부(4)로의 가압을 조합하여 병용하여도 좋다. 이때, 예를 들면,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의 두부(2)로의 가압과 동시에 인체 각부 가압장치(143)에 의하여 각부(5)를 상방으로 향하여 가압하는 경우의 인체(1)에 대한 가압력은, 양자의 합계 가압력을 인체(1)의 체중에 대하여 3%~75%의 비율로 가압하고, 양자의 비율은 두부(2)에 대한 가압력을 5할 내지 9할의 비율로 되도록 설정한다. 이때 인체(1)의 중심이 어긋났을 때의 경우등은, 인체 각부 가압장치(143)를 이동 고정기구(147)를 사이에 두고 변위시켜 인체(1)의 양발을 넓혀 좌우 어느 일방측의 각부 가압수단(145)의 가압력을 타방측의 각부 가압수단(145)의 가압력보다도 크게 설정하여 중심의 어긋남을 교정할수가 있다.
또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의 두부(2)로의 가압과 동시에, 인체견부가압장치(120)에 의하여 견부(3)을 가압하는 경우의 인체(1)에 대한 가압력은 양자의 합계 가압력을 인체(1)의 체중에 대하여 3%~75%의 비율로 가압하고, 양자의 비율은 두부(2)에 대한 가압력을 5할 내지 9할의 비율로 되도록 설정한다.
더욱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의 두부(2)로의 가압과 동시에, 인체배부 가압장치(130)에 의하여 배부(4)를 가압하는 경우는 인체(1)의 척추(6)의 굽은 부분을 인체(1)의 중심측으로 향하여 가압하도록 인체배부 가압장치(130)를 조절함으로서, 인체두부 가압장치(110)의 가압을 효율좋게 척추(6)에 부여하도록 설정할 수가 있다.
그런데 각 가압수단(145, 112, 123, 133)의 가압은, 일정한 가압력을 적당한 시간 계속시키는 경우와, 소정범위내의 가압력으로 변화시키는 경우의 두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 이동 고정기구(147)는 인체(1)의 전후방향으로 각부(5)가 넓혀지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리고 전후 좌우로 복합적으로 각부 당접부재(144)를 이동변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체(1)를 세운 상태에서 사용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140)로서 개시하였지만, 인체(1)를 앉게 한 상태, 또는 인체(1)를 눕힌 상태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제11 및 제12실시예에서 표시한 인체두부 가압장치(110)는 상기 제1 내지 제6실시예 및 제8 내지 제10실시예에 표시한 각 인체두부 가압장치(7, 10, 21, 30, 40, 80(인체당접부재), 90)의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역으로 제1 내지 제6실시예 및 제8 내지 제10실시예에 표시한 각 인체두부 가압장치(7, 10, 21, 30, 40, 80(인체당접부재), 90)에 상기 제11 및 제12실시예에서 표시한 인체견부 가압장치(120), 인체배부 가압장치(130), 인체 각부 가압장치(143)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3실시예]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내지 제12실시예의 두부가압 수단이 기계적 혹은 물체의 중량에 의한 것이였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 두부가압수단이 본인 또는 타인의 손발등의 인위적인 가압수단에 적용가능한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인 인체두부 가압장치(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체두부 가압수단(150)은, 당접면(151)을 갖는 두부당접부재(152)와 이 두부당접부재(152)의 상부에 부착된 복수의 스프링(153, 153)와 스프링(153, 153)의 상단부에 고정된 천판(154)를 갖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두부당접부재(152)는 가압을 받는 본인 또는 타인의 손(155)(타인의 경우는 발등이라도 좋음)에 의한 적당 가압력을 강약 및 가압 방향을 조절하면서 두부(2)에 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더욱, 이와 같은 인위적인 가압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12실시예에서 표시한 구성의 두부·견부·배부·각부의 각 당접부재를 단체(單體)로서 적용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두부에 접촉시키는 두부당접부재와, 상기 두부당접부재를 상기 인체 두부측에 누름하는 두부가압수단을 갖추고 있음으로, 뼈에 악영향을 부여하는 일없이 가압치료 방법에 적합한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로 할 수 있다.
또 인체두부에 접촉되는 두부당접부재와, 상기 두부당접부재를 상기 인체두부측에 누르는 두부가압수단과 상기 인체에 접촉되는 인체당접부재를 상기 인체에 누르는 인체가압수단을 갖추고 있음으로서 척추의 굽음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척추의 굽음 이외의 증상에 의하여 어긋난 인체의 중심까지도 효과적으로 교정시킬 수가 있다.
더욱, 상기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가 직립한 상태에서 사용됨으로서 인체에 대하여 일직선상으로 압력을 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가 앉은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인체의 두부로부터 요부에 걸쳐서 집중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가 누름상태에서 사용됨으로서 인체에 근육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압력을 가할 수가 있고, 인체의 근육의 기시(起始)부와 정지부의 거리가 짧고, 인체 전체가 이완된 상태에서 가압을 할 수 있다.
더욱, 상기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가 보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되므로서 통상 생활조건하에 있어서 가압을 할 수 있다.
한편 두부당접부재의 상기 두부와 당접하는 당접면은 탄성가뇨막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두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가압을 할 수가 있고 두부로의 가압에 쓸데없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두부의 형상에 따라 형상의 당접면으로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다른 한편, 두부당접부재의 상기 인체와의 당접면에는 마찰방지용 블록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두부로의 가압과 동시에 두피(頭皮)의 마사아지 효과를 부하시킬 수 있고 그리고, 두부를 가압하고 있을 때의 당접면에 어긋남이 생기기 어렵다.
또 상기 각 가압수단은 기계적 구성에 의한 것이므로, 엄밀한 압력을 상기 인체에 가할 수가 있다.
더욱, 상기 각 가압수단은 본인 또는 타인의 인력에 의한 인위적 수단인 것으로서 용이 그리고 저렴한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가압수단은 물체중량에 의한 중량수단인 것이므로 일정의 가압력을 균일하게 가할 수가 있다.
또 각 가압수단에는 상기 인체에 대한 당접방향을 변경하는 가변수단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인체의 중심의 어긋남을 각 방향에서 교정할 수가 있다. 더욱,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 의견부와 당접하는 견부당접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두부와 견부를 하나의 가압수단으로 강압할 수가 있다.
한편 인체가압수단은 상기 인체의 견부와 당접하는 견부당접부재와 그 견부당접부재를 상기 인체측으로 가압하는 견부가압수단을 갖는 인체 견부가압장치이므로, 인체의 가압을 두부에만 집중시키는 일없이 인체로의 부담을 분산시킬 수가 있다.
다른 한편, 인체가압수단은, 상기 인체의 배부와 당접하는 배부당접부재와 그 배부당접부재를 상기 인체측으로 가압하는 배부가압수단을 갖는 인체배부 가압장치인 것으로서 두부로부터의 가압과 동시에 척추의 굽음을 중심측에 눌러 붙일 수가 있고, 한층 효과적인 중심위치의 치료장치로 할 수 있다.
그외에 인체가압수단은, 상기 인체의 발의 안과 당접하는 각부 당접부재와 그 각부 당접부재를 상기 인체측으로 가압하는 각부 가압수단을 갖는 인체 각부 가압장치인 것으로서 인체의 상하 방향에서 가압을 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인체가압수단은 상기 인체견부 가압장치, 상기 인체배부 가압장치, 상기 인체 각부 가압장치의 조합인 것으로 인하여, 보다 한층 복합적인 중심위치 교정을 할 수 있다.
그외에 가변수단은, 상기 인체의 중심위치를 검지하는 중심위치 검지장치로부터의 중심위치 정보를 받아, 상기 당접부재의 당접방향을 변경가능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척추의 굽음을 엄밀히 살펴 알아서 자동적으로 교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척추의 굽은 이외의 증상에 의하여 어긋난 인체의 중심까지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가 있다.
또 인체 각부 가압장치는 이동 고정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체의 양발을 개폐시키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하방으로부터의 가압의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고 인체의 중심의 어긋남 등을 교정할 수가 있다.

Claims (20)

  1. 인체두부에 접촉시키는 두부당접부재와, 상기 두부당접부재를 상기 인체두부측에 누르는 두부가압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2. 인체두부에 접촉되는 두부당접부재와, 상기 두부당접부재를 상기 인체 두부측에 누르는 두부가압수단과, 상기 인체에 접촉되는 인체당접부재를 상기 인체에 누르는 인체가압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가 직립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위치 교정 치료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가 앉은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위치 교정 치료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가 보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위치 교정 치료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압수단에는 상기 인체에 대한 당접방향을 변경하는 가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당접부재의 상기 두부와 당접하는 당접면은 탄성가뇨막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두부의 형상에 따라 형상의 당접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당접부재의 상기 인체와의 당접면에는 마찰방지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당접부재는 상기 인체의 견부와 당접하는 견부당접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압수단은 기계적 구성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압수단은 본인 또는 타인의 인력에 의한 인위적 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처리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물체중량에 의한 중량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가압수단은, 상기 인체의 견부와 당접하는 견부당접부재와, 그 견부당접부재를 상기 인체측으로 가압하는 견부가압수단을 갖는 인체견부 가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가압수단은, 상기 인체의 배부와 당접하는 배부당접부재와 그 배부당접부재를 상기 인체측으로 가압하는 배부가압수단을 갖는 인체배부 가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가압수단은, 상기 인체의 발의 안과 당접하는 각부 당접부재와 그 각부 당접부재를 상기 인체측으로 가압하는 각부 가압수단을 갖는 인체 각부 가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가압수단은, 상기 인체견부 가압장치, 상기 인체배부 가압장치, 상기 인체 각부 가압장치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인체의 중심위치를 검지하는 중심위치 검지장치로부터의 중심위치 정보를 받아, 상기 당접부재의 당접방향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20. 제15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각부 가압장치는 이동 고정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체의 양발을 개폐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KR1019910018607A 1990-10-22 1991-10-22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KR950001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85151A JPH04158861A (ja) 1990-10-22 1990-10-22 脊椎加圧装置
JP90-285151 1990-10-22
JP2404512A JPH04220254A (ja) 1990-12-20 1990-12-20 人体重心矯正治療装置
JP90-404512 1990-12-20
JP91-193253 1991-08-01
JP19325391A JPH0661346B2 (ja) 1991-08-01 1991-08-01 人体重心矯正治療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606A KR920007606A (ko) 1992-05-27
KR950001376B1 true KR950001376B1 (ko) 1995-02-18

Family

ID=2732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607A KR950001376B1 (ko) 1990-10-22 1991-10-22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82988B1 (ko)
KR (1) KR950001376B1 (ko)
AU (1) AU8602391A (ko)
CA (1) CA2053732A1 (ko)
DE (1) DE6911650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656A (en) * 1992-12-23 1995-10-10 Skovira; Gregory M. Device for massaging an anatomical portion of a body of a person
FR2726184B1 (fr) * 1994-10-28 1997-04-18 Gedouin Jean Appareil de reeducation de la colonne vertebrale humaine
FR2755003B1 (fr) * 1996-10-31 1998-12-24 Aboville Marc D Dispositif pour mettre en charge la colonne vertebrale d'un patient allonge en vue d'une prise d'image par un dispositif d'imagerie medicale
FR2824481B1 (fr) * 2001-05-10 2003-08-15 Cassiau Haurie Daniel Appareil de reeducation corporelle pour traiter la colonne vertebrale et les membres
WO2003088888A2 (en) 2002-04-18 2003-10-30 University Of Florida Musculoskeletal loa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58848C (de) * 1936-07-23 1938-08-04 Dresdner Orthopaedische Werkst Vorrichtung zur aktiven Behandlung skoliotischer Verkruemmungen der Wirbelsaeule
FR897782A (fr) * 1941-08-12 1945-03-30 Appareil auto-extenseur vertébral
FR1532069A (fr) * 1967-07-20 1968-07-05 Casque masseur
FR2328487A1 (fr) * 1975-10-20 1977-05-20 Leroy Gerard Appareil permettant la reeducation de la colonne vertebrale
FR2462157A1 (fr) * 1979-07-26 1981-02-13 Thomas Ephyse Marcel Dispositif pour la reeducation vertebrale des patients par autograndissement contre resistance
US4951654A (en) * 1989-07-24 1990-08-28 Gambale Anthony G Traction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16501T2 (de) 1996-09-19
CA2053732A1 (en) 1992-04-23
AU8602391A (en) 1992-05-07
EP0482988B1 (en) 1996-01-17
DE69116501D1 (de) 1996-02-29
KR920007606A (ko) 1992-05-27
EP0482988A1 (en) 199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031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равновесия человеческого тела
US6540707B1 (en) Orthoses
US20050043660A1 (en) Orthoses
US5192304A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back muscles
EP0911015B1 (en) Orthopedic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units
JP2017530834A (ja) 身体のバランスを復元させる下半身及び脊椎関節運動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
US46869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curvature to the spine
KR950001376B1 (ko) 인체중심 교정 치료장치
KR102377632B1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WO2007027573A2 (en) Lumbar lordosis brace
KR101739686B1 (ko)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
US5174282A (en) Massage apparatus
EP0231282A1 (en) Apparatus for restoring curvature to the spine
KR101123693B1 (ko) 신체교정용 장치, 신체교정용 장치의 제어기 및 제어 방법
JPH08187261A (ja) 人体の整復運動装置
KR101397393B1 (ko) 체인형 리프팅 수단을 이용한 척추 교정장치
US5887589A (en) Skeletal realignment system
KR20050023810A (ko) 물리치료용 베드
JPH0531132A (ja) 人体重心矯正治療装置
KR20140013749A (ko) 척추 교정장치
US20240156668A1 (en) Compression suit for use in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or psychiatric disorders
JPH04220254A (ja) 人体重心矯正治療装置
KR101113242B1 (ko) 신체교정용 장치 및 그의 확장프레임
KR20220077948A (ko) 진동형 스마트 도립기
CN2413686Y (zh) 多功能倒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