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743Y1 -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743Y1
KR200314743Y1 KR20-2003-0007379U KR20030007379U KR200314743Y1 KR 200314743 Y1 KR200314743 Y1 KR 200314743Y1 KR 20030007379 U KR20030007379 U KR 20030007379U KR 200314743 Y1 KR200314743 Y1 KR 200314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buttocks
seat plate
chair
thi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타리
Priority to KR20-2003-0007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7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좌판은 의자의 레그프레임상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의 뒤쪽 중앙부에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착석자의 둔부 일부를 수용 지지하며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둔부리세스와, 이 둔부리세스의 전방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소정 곡률의 곡면바닥을 갖도록 구성되어 착석자의 대퇴부 일부를 수용 지지하는 대퇴부리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둔부리세스와 대퇴부리세스 사이에 국소압박 방지홈이 둔부리세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둔부리세스의 뒤쪽 중앙에 꼬리뼈 수용홈이 둔부리세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은 착석시 좌골결절의 두 끝부분에 집중되는 하중을 둔부의 전체에 비교적 고르게 분산시켜 자세변화 없이 바른 자세로 의자에 장시간동안 편안하게 앉아 있을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Seat board of chair and a student chair using thereof}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둔부(臀部)를 받쳐주는 좌판의 상면을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착석시 사용자의 둔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편안하게 받쳐 줌으로써 안락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의자에 바른 자세로 장시간 앉아 있을 수 있도록 된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고대로부터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중요한 생활가구의 하나로서, 특히 현대인들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생활용품이다. 현대는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육체노동 집약적 생활형태에서 정신노동 집약적 생활형태로 바뀌었고, 그에 따라 동적활동에 비해 정적활동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좌식(座式)문화가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의 상당부분(가정, 학교나 직장, 교통수단 등)에서 의자를 사용하게 되었음은 물론이고, 의자의 사용시간 역시 크게 증가하여 생활의 대부분을 의자와 함께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현대인의 생활에서 의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높다.
따라서, 착석시에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의자를 요구하기에 이르렀을 뿐 아니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져 의자생활에 기인한 건강상의 해악에도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기도 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와 대퇴부를 받쳐주는 좌판과, 이 좌판을 적정높이에 지지해주는 레그프레임(leg frame) 및 등받이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의자가 제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좌판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즉, 의자는 사람이 편안하게 앉기 위한 도구인 바, 착석시의 안락감이 우선시되어야 함은 당연하며, 이를 위해서는 등받이 등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좌판의 역할이 가장 중요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의자는 좌판의 기능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은 채 단순히 시각과 촉각에만 주안점을 두고 제작되어 왔기 때문에,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기 곤란했을 뿐 아니라 착석중에 수시로 몸을 비트는 등 바른 자세로 앉아 있기에 충분하지 못했다.
이러한 현상은 지지장치의 공학적 연구와 인체골격의 구조연구에 비추어 보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산업공학자 브랜턴(Branton)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의자의 편평한 좌판(1)에 앉은 경우, 몸무게의 약 75%가 양쪽 좌골결절(Ischium node:I) 두 끝부분의 약 0.26㎡에 의해 지지됨을 밝힘으로써, 착석시 좌골결절의 두 끝부분에 착석자(U)의 하중이 집중되어 좌골결절(I)에 아주 강한 압박이 가해진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 도면에서 화살표의 크기는 사용자의 둔부(B) 저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산업공학자 티하우어(Tichauer)는 둔부의 압박이 6.5㎠당 38,6∼45.3㎏의 중량이고, 둔부와 딱딱한 의자 표면 사이에 내리 누르는 중량은 6.5㎠당 18.1∼27.2㎏이며, 이 압력은 해당 부위에서 5∼7㎝ 떨어진 위치에서 5.6㎠당 1.8㎏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결국 종래의 좌판(1)은 착석시 좌골결절(I)의 두 끝부분에 인체하중에 의한 압력이 집중되게 됨으로써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둔부(B)에 국소(局所)빈혈증상과 혈액순환장애 등이 발생되어 통증과 마비증상이 일어나 착석자(U)에게 심한 피로와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착석중에 자세를 자주 바꾸거나 몸을 비틀게 됨으로써 척추이상을 유발하게 되고, 이는 특히 성장기의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건강에 큰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 편안한 착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좌판들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986-0001937호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9-004688호 및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5,522,447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986-0001937호는, 좌판의 상면에 착석자의 둔부와 대퇴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대략 U자형의 곡면부를 형성하고, 이 곡면부에 다수의 통기용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착석시의 인체하중분포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둔부 저부와 대퇴부의 형상을 그대로 모방하여 곡면부를 형성한 것이므로 압력분산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여전히 피로와 통증이 초래되었다.
뿐만 아니라, 곡면부의 두 대퇴부 안착부위간에 형성된 돌출부에 착석자의 국소(局所) 부분이 접촉됨으로써 특히 여성의 경우 성적 스트레스(性的 stress)를 받을 우려가 있다.
실용신안공개번호 실1999-004688호는, 좌판의 일부에 둔부안치공을 뚫어서 착석시 둔부 저부가 둔부안치공내로 몰입되도록 함으로써 바른 착석자세를 유지시켜 척추질환을 예방하고, 통풍에 의해 피부질환을 예방하는 장점을 가지지만,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좌골결절 주위에 국부적인 혈액순환장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즉,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석자(U)가 좌판(2)에 앉았을 때 둔부(B)의 저부가 둔부안치공(3) 내로 몰입됨으로써 좌골결절(I)의 두 끝부분도 함께 좌판(2)의 둔부안치공(3) 내로 몰입되어 좌골결절(I)이 허공에 부상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두 좌골결절(I) 끝 부분에는 좌판(2)에 의한 항압이 작용하지 않지만, 둔부안치공(3)의 가장자리와 맞닿는 좌골결절(I) 주위에 인체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해당부위가 좌판(2)에 의해 심한 압박을 받게 되어 혈액순환장애(예컨대 양변기에 장시간 앉았을 때 발생되는 현상과 동일)가 발생, 통증과 마비증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착석자(U)가 좌판(2)에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좌골결절(I)의 두 끝부분은 시간이 지날수록 둔부안치공(3)내로 몰입되는 바,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골결절(I)의 양측에 좌판(2)의 둔부안치공(3) 주면에 의한 강한 압력이작용하게 되어 좌골결절(I)이 변형될 우려도 있었다.
한편,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5,522,447호는, 말발굽 형태의 제1조각과, 제1조각내에 위치하는 말발굽 형태의 제2조각과, 제2조각내에 위치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테이퍼링 되는 쐐기형태의 제3조각 및 제3조각의 후단부를 감싸도록 제2조각내에 위치하여 폭방향으로 긴 타원형태의 제4조각으로 이루어지되, 제1 및 제3조각은 비교적 딱딱하고 제2 및 제4조각은 비교적 부드러운 다공성 탄성재로 구성됨으로써 착석시 인체의 해부학적 형태에 대응하여 둔부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기술은 좌판을 이루는 1∼4조각들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편평한 몸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착석하기 어렵고 착석위치가 부정확할 경우에는 둔부에 작용하는 압력이 불균일해지게 된다.
또한, 착석자세를 바르게 유지하기도 곤란할 뿐 아니라, 특히 비교적 딱딱한 제3조각에 착석자의 국소부위가 접촉되어 남성의 경우에는 압박을, 여성의 경우에는 성적 스트레스를 받을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착석시 좌골결절의 두 끝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을 둔부에 고르게 분산시켜 줌으로써 압력집중으로 인한 혈액순환장애와 통증 및 국부 마비증상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면서 착석자의 둔부를 소정의 착석위치에 고정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세의 흐트러짐 없이 의자에 바른 자세로 장시간동안 편안하게 앉아 있을 수 있는 의자용 좌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석시 좌골결절의 두 끝부분 다음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는 대퇴부의 압력도 적절히 분산시켜 주고, 꼬리뼈에 가해지는 압력을 없애 착석시 전반적으로 원활한 혈액순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의자용 좌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착석시 남성에게는 국소부분의 압박으로 인한 혈액순환장애를 방지해 주고, 여성에게는 국소압박에 의한 성적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의자용 좌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의 좌판을 이용하여 장시간 앉아 있어야 하는 강의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학생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의자용 좌판에 앉았을 때 둔부에 작용하는 하중분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 좌판의 다른 예의 문제점을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용 좌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용 좌판의 평면도,
도5는 도4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6은 도4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7은 도4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8은 도4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9는 착석자의 상체를 뒤로 젖혔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에 의한 학생용 의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1은 도10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12는 도11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
도13은 좌판의 체결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14a 및 도14b는 등받이의 작용과 위치조정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좌판 몸체 11: 둔부리세스
12: 대퇴부리세스 13: 국소압박 방지홈
14: 꼬리뼈 수용홈 15: 쿠션재
20: 레그프레임 24: 브래킷
30: 등받이 31: 백프레임
32: 백패널 33: 스프링브래킷
34: 지지판 35: 고정노브
40: 좌판 41: 둔부리세스
42: 대퇴부리세스 43: 국소압박 방지홈
44: 꼬리뼈 수용홈 50: 선반
60: 발받침 U: 착석자
I: 좌골결절 B: 둔부
T: 대퇴부 C: 꼬리뼈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의자용 좌판은, 의자의 레그프레임상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의 뒤쪽 중앙부에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착석자의 둔부 일부를 수용 지지하며,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둔부리세스(臀部recess); 이 둔부리세스의 전방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소정 곡률의 곡면바닥을 갖도록 구성되어 착석자의 대퇴부 일부를 수용 지지하는 대퇴부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둔부리세스와 대퇴부리세스 사이에 국소압박 방지홈이 둔부리세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둔부리세스의 뒤쪽 중앙에 꼬리뼈 수용홈이 둔부리세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학생용 의자는, 봉재를 연속 절곡하여 소정형태로 구성한 레그프레임; 상면의 뒤쪽 중앙부에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착석자의 둔부 일부를 수용하는 둔부리세스와, 이 둔부리세스의 전방 양측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각각 위치되어 착석자의 대퇴부 일부를 수용하는 대퇴부리세스와, 둔부리세스와 대퇴부리세스간에 둔부리세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국소압박 방지홈 및 둔부리세스의 뒤쪽 중앙에 둔부리세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꼬리뼈 수용홈을 가지고 레그프레임 상에 체결되는 좌판; 레그프레임의 후단에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등받이; 좌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레그프레임에 설치되는 선반; 및 선반의 전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착석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2개의 발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착석자의 좌골결절에 작용하는 압력이 적절히 분산되면서 둔부가 고정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여 피로감을 줄여주고 항상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도록 해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좌골결절의 두 끝부분 다음으로 큰 하중이 작용되는 대퇴부의 압력도 적절한 분산으로 감소됨은 물론, 국소부분과 꼬리뼈에 가해지는 압박이 최소화되므로 의자의 안락감과 신뢰성 및 안전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3 및 도4에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용 좌판은, 몸체(10)의 상면에 착석자 (U)의 둔부(B) 일부를 수용하는 둔부리세스(11)와, 착석자(U)의 두 대퇴부(T) 일부를 각각 수용하는 대퇴부리세스(12)와, 착석자(U)의 국소부위가 안치되는 국소압박 방지홈(13) 및 착석자(U)의 꼬리뼈(C)를 수용하는 꼬리뼈 수용홈(1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몸체(10)는 둔부리세스(11)의 깊이를 감안한 소정두께의 평판에 둔부리세스 (11) 등의 요소들을 그 상면으로부터 파내어 구성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전체적으로 일정두께를 갖는 경질재의 판재에 둔부리세스(11) 등의 소요 요소들을 벤딩(bending)형태로 성형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합판이나 개량목재 또는 합성수지 등을 소정의 금형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둔부리세스(11)는 몸체(10)의 상면 뒤쪽 중앙부에 위치되며, 인체의 골격구조 등을 고려한 인체공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둔부리세스(11)는 평면에서 보아 장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타원형상을 가지되,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석시 둔부(B)의 저부 일부만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며, 착석자(U)의 좌골결절(I) 두 끝이 그 바닥면(11a)에 살짝 닿으면서 둔부(B)의 저부 가장자리가 둔부리세스(11) 주위의 몸체(10) 상면에 걸쳐질 수 있는 깊이를 갖는다.
그리고, 둔부리세스(11)의 벽면(11b)은 그에 수용된 착석자(U)의 둔부(B) 저부, 즉 좌골결절(I)의 둘레를 부드럽게 감싸듯이 지지할 수 있도록 둔부(B) 저부의 곡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둔부리세스(11)는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때, 둔부리세스(11)의 벽면(11b)과 각각 만나는 몸체(10)의 상면 및 바닥면(11a)의 모서리 부분은 적정반경의 부드러운 원호형상의 곡면으로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둔부리세스(11)의 크기는 착석자(U)의 신체조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즉, 성장기의 어린이나 청소년 또는 완전히 성숙한 성인은 그 체형이 각기 다르므로 사용계층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며, 각 계층별 크기는 해당계층의 평균 체형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 남성의 경우 좌골결절(I) 두 끝부분의 간격이 평균적으로 140∼160㎜이고, 여성의 경우 150∼170㎜인 바, 성인용 의자의 경우에는 좌골결절 (I)의 형상에 둔부의 살 두께를 감안하여 장축크기 a=240±30㎜, 단축크기 b=160 ±20㎜, 깊이 d=20±5㎜에 벽면(11b)의 기울기가 바닥면(11a)을 기준으로 약 30∼ 45°의 경사도를 갖는 완만한 곡선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대퇴부리세스(12)는 몸체(10)의 상면 앞쪽, 즉 둔부리세스(11)의 전방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석자(U)의 대퇴부(T) 저부를 부드럽게 감싸듯이 지지해 주도록 정면에서 보아 소정곡률의 호형 단면을 가지며, 그 앞쪽 단부는 대퇴부리세스(12)의 길이보다 긴 착석자(U)의 대퇴부(T) 저부가 확실히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러한 대퇴부리세스(12)의 크기 역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적절히 변경 구성되며, 그 크기는 사용계층의 평균적인 대퇴부(T) 크기에 살 두께를 감안하여 구성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착석자(U)가 의자에 앉았을 때 그 대퇴부(T)는 정확히 수평을 이루지 않고 무릎쪽이 약간 하위 레벨에 위치하는 바, 대퇴부리세스(12)의 깊이는 바람직하기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도록 구성되어 측면에서 볼 때 그 전단쪽이 약간 내려간 완만한 기울기를 갖는다.
아울러, 대퇴부리세스(12)는 착석자(U)의 대퇴부(T)를 전부위에서 균일하게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보아 그 좌우 폭이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착석자(U)가 의자에 앉았을 때 양 대퇴부(T)는 둔부(B)를 중심으로 양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다 편안한 착석을 위해 각 대퇴부리세스 (12)는 평면에서 보아 둔부리세스(11)의 단축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벌어져 대략 V자형을 이룬다.
한편, 사람마다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가 조금씩 다른데, 특히 다리의 경우에는 두 발을 바닥에 고르게 대고 곧게 세운 자세를 취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두발을 앞으로 어느 정도 내밀어 뻗거나 또는 무릎을 약간 구부려 두 발을 좌판의 하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 경우, 좌판의 전단(前端), 즉 대퇴부리세스(12)의 전단에 대퇴부의 하중이 몰려 대퇴부(T)의 해당부위가 좌판에 의해 압박받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좌판은 착석자(U)의 다리 위치에 관계없이 대퇴부(T)의 특정부위에의 압력집중이 최소화되도록 두 대퇴부리세스(12)의 개방된 전단에 적정 곡률로 꺾어진 플레어부 (flare部:12a)를 갖는다.
국소압박 방지홈(13)은 둔부리세스(11)와 대퇴부리세스(12)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며, 둔부리세스(11)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국소압박 방지홈(13)은 여성의 경우 국소부위의 접촉을 방지할 수만 있으면 되지만, 남성의 경우 국소부위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남성의 국소부위 크기를 감안하여 적정크기로 형성된다.
꼬리뼈 수용홈(14)은 둔부리세스(11)의 뒤쪽 중앙에 위치하여 둔부리세스 (11)와 연통된다. 이 꼬리뼈 수용홈(14)은 착석시 꼬리뼈(C)의 하단이 좌판에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압박을 방지해주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착석자(U)가 상체를 뒤로 젖혔을 때 둔부(B)의 뒤쪽이 둔부리세스(11)내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다.
나머지 부호 16은 좌판을 레그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해 몸체(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보스(boss)이고, 17은 레그프레임이며, 18은 등받이이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용 좌판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게 되면 착석자(U)의 둔부(B) 저부 일부가 둔부리세스(11)내에 몰입되어 안착됨과 함께, 두 대퇴부(T)의 저부가 좌판상의 대응하는 대퇴부리세스(12)에 각각 안착된다.
이때, 둔부(B)의 좌골결절(I) 두 끝부분은 둔부리세스(11)의 바닥면(11a)에 살짝 닿게 되고, 좌골결절(I) 둘레의 둔부(B) 저부는 둔부리세스(11)의 벽면(11b)에 접촉되며, 둔부(B)의 저부 가장자리 부위는 둔부리세스(11) 둘레의 좌판 몸체 (10) 상면 위에 놓이게 됨으로써 둔부(B)가 그 골격구조에 대응하여 좌판에 고르게 접촉된다.
따라서, 인체하중이 종래와 같이 어느 특정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둔부(B) 저부의 전부분에 골고루 분산되어 둔부리세스(11) 둘레의 좌판 상면에 맞닿는 둔부 (B) 저부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둔부리세스(11)내로 몰입된 좌골결절(I)의 두 끝부분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고르게 작용하게 된다.
즉, 인체의 골격구조상 착석시 좌골결절(I)의 두 끝에 집중되던 대부분의 하중이 인체 골격구조에 대응하는 형태의 좌판에 의해 둔부(B)의 저부 외측 부분으로 넓게 분산되어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압력집중으로 인한 둔부(B) 저부의 혈액순환장애가 발생되지 않아 통증과 국부 마비증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더라도 몸을 비틀거나 자세를 바꾸는 등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둔부(B)가 둔부리세스(11)에 의해 위치고정되므로 착석자(U)가 바른 자세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특히 성장기에 있으면서 오랜 시간 의자생활을 해야 하는 유소년과 청소년의 척추이상을 방지하면서 정상적인 신체발달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둔부리세스(11)가 착석시 둔부(B)의 착석기준을 제공하게 되어 착석 중에 둔부(B)가 이 기준위치를 벗어나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면, 바른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둔부(B)가 자연스럽게 둔부리세스(11)로 회귀하는 현상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의자의 경우처럼 쿠션재를 이용하여 둔부(B)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과 달리, 본 고안은 좌판의 재질에 관계없이 미끄러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석시 좌골결절(I)의 끝부분 다음으로 큰 하중이 걸리는 두 대퇴부 (T)의 저부 역시 대응하는 대퇴부리세스(12)에 각각 수용되어 고르게 접촉 지지되는 바, 하중이 각 접촉부위로 분산 작용하게 되어 압력집중 현상이 최소화된다. 특히, 대퇴부리세스(12)는 전방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기울어져 있으므로 착석시 대퇴부(T)의 저부가 좌판에 자연스럽게 골고루 접촉되어 대퇴부(T)에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주게 된다.
또한, 둔부리세스(11)의 전방 중앙에 국소압박 방지홈(13)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남성의 경우에는 국소부분이 그에 수용됨으로써 압박이 방지되어 국소부위의 혈액순환장애가 방지됨은 물론, 여성의 경우에는 국소부위에 아무런 접촉도 없게 되므로 성적스트레스를 전혀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둔부리세스(11)의 후방 중앙에 꼬리뼈 수용홈(14)이 형성되어 있어 착석시 꼬리뼈(C)가 아무런 압박도 받지 않으므로 예컨대 착석상태에서 상체를 뒤로 젖히더라도 꼬리뼈(C)가 좌판에 접촉됨으로써 야기되는 통증도 결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도9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용 좌판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좌판 몸체(10)의 상면에 적정쿠션을 갖는 쿠션재(15)를 더 부착한 구성이며, 바람직하기로 쿠션재(15)는 좌판 몸체(10)에 형성된 둔부리세스(11), 대퇴부리세스(12), 국소압박 방지홈(13) 및 꼬리뼈 수용홈 (14)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곡면형태를 갖는다. 이때, 좌판 몸체(10)의 각 리세스 (11,12)와 홈(13,14)들은 쿠션재(15)의 두께를 감안하여 단독으로 형성될 때보다 더욱 크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보다 착석시의 안락감을 높여주면서 둔부(B)에 작용하는 압력을 더욱 감소시켜 보다 편안한 착석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 의자용 좌판은 어떠한 형태의 의자에도 적용할 수있는데, 특히 매우 긴 시간동안 의자에 앉아 생활해야 하는 학생용 의자에 적합하게 채택할 수 있는 바, 강의실에 비치하기 위한 학생용 의자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10 내지 도12에서, 본 고안에 의한 학생용 의자는, 레그프레임(20)과, 이 레그프레임(20)의 후단에 지지되는 등받이(30)와, 레그프레임(20) 상에 장착되는 좌판(40)과, 좌판(4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레그프레임(20)의 중간에 설치되는 선반(50) 및 선반(50)의 전단에 장착되는 2개의 발받침(60)으로 구성된다.
레그프레임(20)은 적정지름을 갖는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절곡하여 제작되며, 측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태를 가진다. 또한, 레그프레임(20)은 안정된 지지를 위해 상부는 좁고, 하부는 큰 구조를 갖는다.
레그프레임(20)의 두 상부 수평부(21)에는 좌판(40)을 장착하기 위한 판상의 브래킷(bracket:24)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레그프레임(20)의 두 수직부(22)간에는 보강바(補强bar:25)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용접된다.
바람직하기로, 레그프레임(20)의 대향하는 두 하부 수평부(23) 양 단부에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된 지지블록(26)이 장착되는데, 이 지지블록(26)은 예를 들어 그 상부에 대략 C형의 클립(clip:27)을 일체로 구비하여 레그프레임(20)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등받이(30)는 레그프레임(20)의 브래킷(24)에 용접되는 백프레임(31)과, 이백프레임(31)에 장착되는 백패널(32)로 구성된다. 백프레임(31)은 파이프를 U자형으로 절곡한 뒤, 이를 다시 대략 L자형으로 절곡하여 구성된다. 백패널(32)은 인체의 등을 감싸듯이 지지해줄 수 있도록 기하학적 형태의 곡면형상으로 구성되며, 예컨대 합성수지나 목재 등의 경질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그 표면에 적절한 쿠션재(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백패널(32)은 백프레임(31)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인체의 역동성을 고려하여 백패널(32)에 적절한 유동이 부여될 수 있도록 소정형태의 스프링브래킷(33)을 통해 장착된다.
즉, 도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패널(32)의 후면에 서로 대응하도록 양단이 다단으로 절곡형성된 스프링브래킷(33)을 체결하여 이 스프링브래킷(33)을 백프레임(31)의 전면에 대고, 백프레임(31)의 후면에 지지판(34)을 댄 후 지지판(34)과 스프링브래킷(33)에 고정노브(35)를 나사결합 함으로써 장착하는 것이다.
이때, 지지판(34)을 백프레임(31)에 접합하지 않고 단순히 스프링브래킷(33)과의 탄성에 의해 위치고정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도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노브(35)를 풀었다 조여 주는 동작을 통해 백패널(32)의 위치를 착석자(U)의 체형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게 된다.
좌판(40)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를 사출성형 함으로써 제작되는데, 목재나 합판 등의 경질재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좌판(40)의 상면 뒤쪽 중앙부에 착석자(U)의 둔부(B) 일부가 수용 안착되는 둔부리세스(41)가 형성되고, 이 둔부리세스(41)의 전방 양측에는 착석자(U)의 두 대퇴부(T) 일부가 수용 안착되는 2개의 대퇴부리세스(42)가 형성된다.
또한, 둔부리세스(41)와 대퇴부리세스(42) 사이에는 착석자(U)의 국소부위가 수용되는 국소압박 방지홈(43)이 둔부리세스(41)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둔부리세스(41)의 후방에는 착석자(U)의 꼬리뼈(C)가 수용되는 꼬리뼈 수용홈(44)이 역시 둔부리세스(41)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좌판(40)의 상면에 그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쿠션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좌판(40)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의 4곳에 체결용 보스 (45)를 돌출되게 구비하여 레그프레임(20)의 브래킷(24)에 볼트(47)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좌판(40)의 보스(45)에는 좌판(40)의 성형시 너트(46)가 일체적으로 인서트(insert) 성형된다.
한편, 이와 같은 좌판(40)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좌판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선반(50)은 학생들이 가방 등의 물품을 간편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정지름을 갖는 강재를 메시(mesh)형태로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그 가장자리에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적정높이의 테두리(51)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선반(50)은 앞쪽 가장자리가 레그프레임(20)의 보강바(25)에 접합되고, 그 뒤쪽 가장자리는 별도의 지지바(52)에 접합되어 이 지지바(52)를 레그프레임(20)의 하부 수평부(23)에 용접함으로써 레그프레임(20)에 설치된다.
한편, 발받침(60)은 예컨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레그프레임(20)의 보강바 (25) 양측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 이때, 각 발받침(60)은 착석자(U)의 인체공학을 감안하여 그 전단이 하향 경사지도록 적정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받침(60)은 착석중에 발(F)을 자연스럽게 올려놓을 수 있어, 기존의 학생용 의자들이 착석중에 발을 뒤쪽으로 위치시키고자 할 때 레그프레임(20)에 구비된 선반에 간섭되는 불편을 해소하면서 보다 편안한 상태로 착석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학생용 의자의 작용효과는 등받이(30)와 선반(50) 및 발받침(60)을 제외하고 전술한 좌판과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의자용 좌판에 의하면, 착석시 좌골결절의 두 끝부분에 집중되는 대부분의 인체하중을 둔부의 저부 전체로 분산됨은 물론, 좌골결절 다음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는 대퇴부의 하중도 적절히 분산되어전체적으로 비교적 고른 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더라도 착석중에 잦은 자세의 변화를 꾀하지 않으면서 바른 자세로 편안하게 앉아 있을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착석시 둔부의 착석위치를 제공하여 착석자가 제위치를 벗어날 경우 자연스럽게 본래의 위치로 회귀하는 현상을 유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항시 바른 자세로 착석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성장기에 있는 유소년이나 청소년의 올바른 골격형성과 척추교정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국소압박 방지홈에 의해 착석자의 국소부위 압박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남성의 경우 국소빈혈을 예방할 수 있고, 여성의 경우에는 성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어 비뇨기질환의 예방에도 기여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한 학생용 의자 역시 전술한 좌판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등받이를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최적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고 착석중에 양발을 편안하게 발받침에 거치할 수 있어 많은 시간을 의자에서 생활해야 하는 학생들에게 최적의 착석자세와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의자의 안락감과 신뢰성 및 안전성 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장시간 착석으로 인한 비뇨기질환의 예방 및 척추교정 등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Claims (14)

  1. 의자의 레그프레임상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의자용 좌판으로서,
    상면의 뒤쪽 중앙부에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착석자의 둔부 일부를 수용 지지하며,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둔부리세스;
    상기 둔부리세스의 전방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소정 곡률의 곡면바닥을 갖도록 구성되어 착석자의 대퇴부 일부를 수용 지지하는 대퇴부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리세스와 대퇴부리세스 사이에 국소압박 방지홈이 둔부리세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리세스의 뒤쪽 중앙에 꼬리뼈 수용홈이 둔부리세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리세스의 깊이가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리세스의 앞쪽 단부에 하방으로 부드럽게 꺾어진 플레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대퇴부리세스가 상기 둔부리세스의 전후방향 단축에 대해 각각 적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7. 제6항에 있어서, 몸체가 일정두께를 갖는 경질재로 구성되고, 상기 둔부리세스, 대퇴부리세스, 국소압박 방지홈 및 꼬리뼈 수용홈은 몸체를 소요형태로 성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위에 적정탄성을 갖는 쿠션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가 몸체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10. 봉재를 연속 절곡하여 소정형태로 구성한 레그프레임;
    상면의 뒤쪽 중앙부에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착석자의 둔부 일부를 수용하는 둔부리세스와, 이 둔부리세스의 전방 양측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각각 위치되어 착석자의 대퇴부 일부를 수용하는 대퇴부리세스와, 둔부리세스와 대퇴부리세스간에 둔부리세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국소압박 방지홈 및 둔부리세스의 뒤쪽 중앙에 둔부리세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꼬리뼈 수용홈을 가지고 상기 레그프레임상에 체결되는 좌판;
    상기 레그프레임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등받이;
    상기 좌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레그프레임에 설치되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의 전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착석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2개의 발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의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이 일정두께를 갖는 경질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둔부리세스, 대퇴부리세스, 국소압박 방지홈 및 꼬리뼈 수용홈이 좌판을 소요형태로 성형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의자.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위에 적정탄성을 갖는 쿠션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의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가, 상기 레그프레임에 접합되는 백프레임과, 이 백프레임에 장착되어 착석자의 등을 접촉 지지하는 백패널과, 양 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다단계로 절곡되고 상기 백패널의 후면에 고정되어 백프레임의 전면에 접촉되는 스프링브래킷과, 상기 백프레임의 후면에 접촉되는 지지판 및 이 지지판과 상기 스프링브래킷에 동시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노브를 구비하여, 상기 백패널이 백프레임에 대해 위치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의자.
  14.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프레임의 하단부 네 코너부에 지지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의자.
KR20-2003-0007379U 2003-03-12 2003-03-12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200314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379U KR200314743Y1 (ko) 2003-03-12 2003-03-12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379U KR200314743Y1 (ko) 2003-03-12 2003-03-12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413A Division KR100414831B1 (ko) 2003-03-12 2003-03-12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743Y1 true KR200314743Y1 (ko) 2003-05-27

Family

ID=4940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379U KR200314743Y1 (ko) 2003-03-12 2003-03-12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7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548B1 (ko) * 2009-05-06 2012-01-31 김기환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KR102303524B1 (ko) * 2020-11-16 2021-09-23 주식회사 로이첸 자세교정 의자
KR102597324B1 (ko) * 2022-10-31 2023-11-06 주식회사 로이첸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548B1 (ko) * 2009-05-06 2012-01-31 김기환 디스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방석
KR102303524B1 (ko) * 2020-11-16 2021-09-23 주식회사 로이첸 자세교정 의자
KR102597324B1 (ko) * 2022-10-31 2023-11-06 주식회사 로이첸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6369B2 (ja) 姿勢保持具
EP1980177A1 (en) Chair having shape memory sponge mounted on back rest
JP2021023544A (ja) 着座用クッション体
WO2017197414A1 (en) Meditation seat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KR101928262B1 (ko) 프레임의자
KR100414831B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200314743Y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US11857079B2 (en) Internal support system for cushions, mattresses and the like
US5997095A (en) Supporting seat
JP3137036U (ja) 椅子
US7350869B2 (en) Chair
KR20090013321A (ko) 오 엑스 오 의자
KR20060109602A (ko) 자세교정방석
KR200351308Y1 (ko) 척추교정용 방석
JP3245175U (ja) 椅子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US10667611B1 (en) Active seating apparatus
KR102614324B1 (ko) 의자 시트
CN211092850U (zh) 一种坐具
WO2001000061A1 (en) An improved open-angle seat for a chair
KR200346110Y1 (ko) 둔부받침용 좌식 방석
CN212073794U (zh) 缓腰式坐垫
JP3152536U (ja) 座禅用座具
KR20230025301A (ko) 기능성 좌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