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627B1 -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 Google Patents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627B1
KR101295627B1 KR1020130080850A KR20130080850A KR101295627B1 KR 101295627 B1 KR101295627 B1 KR 101295627B1 KR 1020130080850 A KR1020130080850 A KR 1020130080850A KR 20130080850 A KR20130080850 A KR 20130080850A KR 101295627 B1 KR101295627 B1 KR 10129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ifting
platform
pillow
operation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욱
Original Assignee
이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욱 filed Critical 이계욱
Priority to KR102013008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627B1/ko
Priority to PCT/KR2014/006142 priority patent/WO20150056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에 쿠션부재가 안착되는 머리지지판이 구비되고 머리지지판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하부가 개방된 수납케이싱이 형성되고 각 수납케이싱의 상판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가이드관이 고정설치된 상부베개부재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 일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승강조절판이 고정설치되고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가이드관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이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된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승강대와 제2승강대가 링크축에 의해 교차되게 연결된 상태로 제1승강대의 후방은 수납케이싱의 상판 하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고 제2승강대의 후방은 베이스판의 상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며 제1승강대와 제2승강대의 전방 사이는 복원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좌우측 승강조절부재와, 승강조절판에 정역회전되게 연결설치되는 조작노브가 구비되고 조작노브의 권취축에는 좌우측 승강조절부재의 제1승강대 전방끝부분과 각각 연결된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함께 권취되면서 조작노브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측 승강조절부재가 상부베개부재를 승강시키게 하는 승강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조절식 건강베개{A health pillow of an ascent and descent type}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 등이 간편한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맞는 높이로 조절되면서 편안한 수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기능이 부가된 건강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에 쿠션부재가 안착되는 머리지지판이 구비되고 머리지지판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하부가 개방된 수납케이싱이 형성되고 각 수납케이싱의 상판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가이드관이 고정설치된 상부베개부재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 일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승강조절판이 고정설치되고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가이드관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이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된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승강대와 제2승강대가 링크축에 의해 교차되게 연결된 상태로 제1승강대의 후방은 수납케이싱의 상판 하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고 제2승강대의 후방은 베이스판의 상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며 제1승강대와 제2승강대의 전방 사이는 복원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좌우측 승강조절부재와, 승강조절판에 정역회전되게 연결설치되는 조작노브가 구비되고 조작노브의 권취축에는 좌우측 승강조절부재의 제1승강대 전방끝부분과 각각 연결된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함께 권취되면서 조작노브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측 승강조절부재가 상부베개부재를 승강시키게 하는 승강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머리를 일정 높이로 받쳐주어 수면시 기도유지를 통한 편안한 수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물품으로, 베개는 통상 원통형이나 장방형의 주머니에 왕겨나 솜 등의 충전물을 넣어 일정한 형상이 유지되게 한 것과 나무를 사각형으로 깍아 만든 것으로서 베개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고정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베개는 통상적으로 바로 누워서 수면을 취할 경우 머리를 지지하여 기도를 유지하고 어깨 등의 근육에 긴장이 유발되지 않은 상태에서 머리를 지지하는 것이나, 종래의 베개는 그 높낮이가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게 유지되어 있어 자신에게 맞지 않는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면에 들기 어렵고 기도가 유지되지 않아 코골이가 유발될 뿐 아니라 머리높이 유지를 위하여 어깨근육이 긴장되어 수면을 취하고 났을 때 목이 결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어깨결림이 장기간 지속되면 목디스크와 어깨오십견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베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44481호에서는 베개에 있어서, 상하로 분리되며 두 개의 머리지지판과, 머리지지판에 외측에 결합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두 개의 머리지지판의 양 측부를 힌지 결속시켜 수면자세의 변경에 따른 머리 위치 변경에 따라 베개 높낮이가 조절되게 하는 수면자세 높이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면자세 높이고정수단은 두 개의 머리지지판 중 하나 이상의 머리지지판은 중앙부분에 접어지게 형성한 절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첩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의 지지판부재을 구비하여 구성하며, 두개의 머리지지판을 힌지 결속시키는 힌지부를 머리지지판을 구성하는 양측의 지지판부재의 중앙부분에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건강 베개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머리를 움직이는 경우 베개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구비된 접철부를 축으로 힌지부에 의해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머리지지판이 단순히 경사지도록 되어 있어 베개 전체의 높낮이가 상하로 조절되지 않는 구조이며, 사용자의 머리 위치변경에 따라 머리지지판의 굴곡 및 유동이 심하고 자연스러운 유동이 이루어지 지지않아 편안한 수면에 이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61140호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선등록고안은 하부지지부재에 구비된 베이스판의 상면부 좌우양측의 수납케이싱에 각각 높이고정수단이 좌우이동되게 설치되어 좌우측 높이고정수단을 양손으로 함께 외측으로 잡아당기거나 내측으로 함께 밀어 넣어야만 상부베개부재의 높이조절 및 높이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양손을 함께 사용해야 함으로써 조작이 불편하고 좌우측 높이고정수단의 걸림쇠가 각각 별도로 좌우이동되면서 상부베개부재의 내측삽입판에 천공된 복수개의 걸림홀에 동시에 맞게 삽입되지 않아 상부배게부재의 좌우수평 및 고정이 틀어지거나 맞지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판의 상부에 상하이동되게 결합된 상부베개부재를 구비하되 상부베개부재 좌우양측의 수납케이싱에 각각 고정설치된 가이드관에 베이스판의 가이드봉이 상하로 삽입되어 상부베개부재의 좌우수평유지와 함께 안정되게 승강작동되게 하며, 또한 베이스판의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상부베개부재의 수납케이싱과 연결되게 설치된 좌우측 승강조절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판 일측의 승강조절판에 정역회전되게 설치된 조작노브의 권취축에 좌측 승강조절부재의 제1승강대 전방끝부분과 연결된 제1와이어 및 우측 승강조절부재의 제1승강대 전방끝부분과 연결된 제2와이어가 함께 권취되면서 조작노브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1,2와이어가 좌우측 승강조절부재를 잡아당기거나 당김해제하여 상부베개부재의 높이를 승강조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에 쿠션부재가 안착되는 머리지지판이 구비되고 머리지지판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하부가 개방된 수납케이싱이 형성되고 각 수납케이싱의 상판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가이드관이 고정설치된 상부베개부재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 일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승강조절판이 고정설치되고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가이드관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이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된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승강대와 제2승강대가 링크축에 의해 교차되게 연결된 상태로 제1승강대의 후방은 수납케이싱의 상판 하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고 제2승강대의 후방은 베이스판의 상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며 제1승강대와 제2승강대의 전방 사이는 복원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좌우측 승강조절부재와, 승강조절판에 정역회전되게 연결설치되는 조작노브가 구비되고 조작노브의 권취축에는 좌우측 승강조절부재의 제1승강대 전방끝부분과 각각 연결된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함께 권취되면서 조작노브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측 승강조절부재가 상부베개부재를 승강시키게 하는 승강조작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판의 상부에 상하이동되게 결합된 상부베개부재가 구비되어 있되 상부베개부재 좌우양측의 수납케이싱에 각각 고정설치된 가이드관에 베이스판의 가이드봉이 상하로 삽입되어 상부베개부재의 좌우수평유지와 함께 안정되게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베이스판의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상부베개부재의 수납케이싱과 연결되게 설치된 좌우측 승강조절부재가 구비되고 베이스판 일측의 승강조절판에 정역회전되게 설치된 조작노브의 권취축에 좌측 승강조절부재의 제1승강대 전방끝부분과 연결된 제1와이어 및 우측 승강조절부재의 제1승강대 전방끝부분과 연결된 제2와이어가 함께 권취되면서 조작노브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1,2와이어가 좌우측 승강조절부재를 잡아당기거나 당김해제하여 상부베개부재의 높이를 승강조작할 수 있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 등이 베개의 높낮이를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기도유지를 통한 코골이방지 및 어깨근육 등의 이완으로 편안한 수면이 이루어지는 건강베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의 베이스판 상면부에 좌우측 승강조절부재가 연결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의 상부베개부재가 하강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의 상부베개부재가 상승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의 승강조절판에 승강조작부가 결합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의 승강조절판에 승강조작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의 승강조절판에 승강조작부가 조립된 상태로 조작노브가 누름조작되어 조작노브의 걸림봉이 승강조절판의 걸림홀에 걸림체결되면서 조작노브가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의 조작노브의 정회전에 따른 제1,2와이어의 당김작동으로 좌우측 승강조절부재의 제1승강대 전방끝부분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부베개부재가 상승이동되는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에서 조작노브의 역회전에 따른 제1,2와이어의 당김해제로 좌우측 승강조절부재의 제1승강대 전방끝부분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부베개부재가 하강이동되는 상태의 단면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승강조절식 건강베개(1)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 등이 간편한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맞는 높이로 조절되면서 편안한 수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기능이 부가된 베개로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에 쿠션부재(3)가 안착되는 머리지지판(4)이 구비되고 머리지지판(4)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하부가 개방된 수납케이싱(5)이 형성되고 각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가이드관(6)이 고정설치된 상부베개부재(2)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 일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승강조절판(9)이 고정설치되고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가이드관(6)에 삽입되는 가이드봉(10)이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된 베이스판(8)과, 베이스판(8)의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가 링크축(19)에 의해 교차되게 연결된 상태로 제1승강대(17)의 후방은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고 제2승강대(18)의 후방은 베이스판(8)의 상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며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의 전방 사이는 복원스프링(20)에 의해 연결된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와, 승강조절판(9)에 정역회전되게 연결설치되는 조작노브(28)가 구비되고 조작노브(28)의 권취축(32)에는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과 각각 연결된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가 함께 권취되면서 조작노브(28)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가 상부베개부재(2)를 승강시키게 하는 승강조작부(27)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베개부재(2)는 도 1 내지 4,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승강조절되면서 사용자가 수면시 베고 눕는 부분으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에는 솜 등의 각종 충진재가 채워지거나 라텍스 등의 재질로 된 쿠션부재(3)가 안착되는 장방형의 머리지지판(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머리지지판(4)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하부가 개방된 수납케이싱(5)이 형성되고 각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가이드관(6)이 고정설치되어 있되, 상기 수납케이싱(5)은 머리지지판(4)의 좌우양측에 각각 한쪽 측면 하부가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머리지지판(4)의 좌우양측에 각각 수납케이싱(5)이 좌우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일측에 위치된 수납케이싱(5)의 일측판에는 가운데부분에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판(8)의 상면부 일측의 승강조절판(9)에 설치되는 조작노브(28)가 개구부(7)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면서 상부베개부재(2)의 승강작동시 수납케이싱(5)에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관(6)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 전방에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된 상태로 베이스판(8)의 상면부 좌우양측 전방에 각각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된 가이드봉(10)이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어 상하로 안정되게 가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쿠션부재(3)는 머리지지판(4)의 크기에 부합되는 크기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머리지지판(4) 및 머리지지판(4)의 좌우양측에 고정부착된 각 수납케이싱(5)의 상면부를 한꺼번에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8)은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불위나 바닥면 등에 올려지면서 상부베개부재(2)를 하부에서 받침지지하는 부분으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 일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승강조절판(9)이 고정설치되고 상면부 좌우양측 전방에는 각 수납케이싱(5)의 가이드관(6)에 부합되게 삽입되어 상부베개부재(2)의 승강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10)이 각각 수직상방으로 고정부착되어 있되, 상기 베이스판(8)은 수평으로 위치되는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상부베개부재(2)의 하부에 부합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판(8)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승강조절판(9)은 전후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일측에 위치된 수납케이싱(5)의 내측에 수납가능한 높이로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판(8)의 상면부 좌우양측 후방에는 각각 가이드롤러(11a)(11b)가 설치되어 있어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롤러(11a)는 좌측 승강조절부재(16a)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과 연결되는 제1와이어(29)를 가이드하고 우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롤러(11b)는 제1와이어(29) 및 우측 승강조절부재(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과 연결되는 제2와이어(30)를 함께 가이드하여 상기 가이드롤러(11a)(11b)에 의해 조작노브(28)의 정역회전에 따른 제1와이어(29)와 제2와이어(30)의 원활한 당김 및 당김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판(9)은 도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부분에 중심축관통홀(12)이 천공되어 있어 승강조작부(27)에 구비된 조작노브(28)의 중심축(31)이 중심축관통홀(12)의 일측을 통해 관통되면서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노브(28)의 중심축(31)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권취축(32)은 승강조절판(9)의 타측부분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조절판(9)의 일측면에는 중심축관통홀(12)의 외곽부분에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의 걸림볼안착홈(13)이 형성되어 있어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28)의 중심축(31)에 연결설치된 회전몸체(33)가 조작노브(28)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몸체(33)에 설치된 걸림볼(36)의 일부가 걸림볼안착홈(13)에 삽입되어 일시걸림체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조작노브(28)의 회전시 걸림볼(36)의 일시걸림체결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부베개부재(2)의 승강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승강조절판(9)에는 복수개의 걸림볼안착홈(13)과 중심축관통홀(12) 사이 부분에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의 걸림홀(14)이 천공되어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볼안착홈(13)에 회전몸체(33)의 걸림볼(36)이 일시걸림체결된 상태에서 조작노브(28)의 누름작동시 조작노브(28)에 설치된 걸림봉(39)이 걸림홀(14)에 관통개재되면서 조작노브(28)가 더이상 회전작동되지 않아 상부베개부재(2)의 높이가 고정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판(9)은 도 5,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면 하부 후방에 가이드롤러(11c)가 설치되어 있어 가이드롤러(11a)(11b)를 거쳐 조작노브(28)의 권취축(32)에 권취되는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의 끝부분을 함께 가이드하여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의 원활한 당김 및 당김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승강조절판(9)은 일측면 중 걸림볼안착홈(13)이 형성된 부분의 외곽부분에 걸림돌기(15)가 돌출되게 고정설치되어 있어 승강조작부(27)의 회전몸체(33)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멈춤돌기(40)가 조작노브(28)의 회전에 따른 회전몸체(33)의 회전시 걸림돌기(15)에 맞닿아 걸리면서 조작노브(28)가 360° 범위내에서만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는 도 1 내지 4,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조작부(27)의 조작에 따라 상부베개부재(2)를 승강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판(8)의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가 링크축(19)에 의해 교차되게 연결된 상태로 제1승강대(17)의 후방은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고 제2승강대(18)의 후방은 베이스판(8)의 상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며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의 전방 사이는 복원스프링(20)에 의해 연결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가 서로 교차되게 맞닿은 가운데부분에 관통개재된 링크축(19)을 중심으로 가위식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승강대(17)는 전방끝부분에 하부휠(21)이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판(8)의 상면부 전방에 하부휠(21)이 맞닿아 전후방향으로 구름이동되고 후방끝부분은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 후방에 고정설치된 상부설치편(22)에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어 위치고정된 상태로 힌지식으로 작동되며, 상기 제2승강대(18)는 전방끝부분에 상부휠(23)이 설치되어 있어 상부베개부재(2)에 구비된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 전방에 상부휠(23)이 맞닿아 전후방향으로 구름이동되고 후방끝부분은 베이스판(8)의 상면부 후방에 고정설치된 하부설치편(24)에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어 위치고정된 상태로 힌지식으로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승강조절부재(16a)는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에 제1와이어(29)의 일측끝단이 연결되고 우측 승강조절부재(16b)의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에는 제2와이어(30)의 일측끝단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의 타측끝단이 조작노브(28)의 권취축(32)에 함께 권취되면서 조작노브(28)의 정회전에 따라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이 후방으로 잡아당겨지거나 조작노브(28)의 역회전에 따라 당김해제되면서 복원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이 전방으로 원상회복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이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에 의해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면 도 4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과 제2승강대(18)의 전방끝부분 사이의 상하간격이 벌어지면서 상부베개부재(2)가 상승작동하고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의 전방 사이에 연결설치된 복원스프링(20)이 상하로 길이신장되어 탄성력이 발생되며, 상기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이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에 의해 당김해제되면 도 3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과 제2승강대(18)의 전방끝부분 사이의 상하간격이 좁아져 상부베개부재(2)가 하강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는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에 설치된 하부휠(21)의 휠축(25)에 와이어연결볼트(26)가 나사체결식으로 관통체결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연결볼트(26)에는 제1와이어(29) 또는 제2와이어(30)의 일측끝단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연결볼트(26)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조작부(27)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를 조작하여 상부베개부재(2)가 승강조절되게 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판(8)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승강조절판(9)에 정역회전되게 연결설치되는 조작노브(28)가 구비되고 조작노브(28)의 권취축(32)에는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과 각각 연결된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가 함께 권취되면서 조작노브(28)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가 상부베개부재(2)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되, 상기 조작노브(28)는 중심부에 승강조절판(9)의 중심축관통홀(12)에 좌우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회전되게 설치되는 원기둥형상의 중심축(3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31)의 끝부분에는 권취축(32)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승강조절판(9)의 중심축관통홀(12)에 중심축(31)이 관통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조절판(9)의 타측면 외측으로 권취축(32)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권취축(32)에는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의 타측끝단이 연결고정되어 있어 상기 조작노브(28)의 정회전시 권취축(32)의 외주면에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가 함께 권취되어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이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면서 상부베개부재(2)가 상승작동되고 상기 조작노브(28)의 역회전시 권취축(32)의 외주면에 권취된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가 함께 당김해제되면서 풀려져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부베개부재(2)가 하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31)은 승강조절판(9)의 중심축관통홀(12)을 관통하여 타측으로 돌출된 중심축(31)의 외주면에 이탈방지링(41)이 끼움결합되어 중심축(31)이 중심축관통홀(1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와이어(29)는 도 1 내지 4,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승강조절부재(16a)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에 일측끝단이 연결되고 베이스판(8)의 상면부 후방 좌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1a)와 가이드롤러(11b) 및 승강조절판(9)의 타측면 후방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1c)를 거쳐 권취축(32)에 타측끝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와이어(30)는 우측 승강조절부재(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에 일측끝단이 연결되고 가이드롤러(11b)와 가이드롤러(11c)를 거쳐 권취축(32)에 타측끝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노브(28)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31)에 디스크형상으로 된 회전몸체(33)가 끼워진 상태로 중심축(31)과 함께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회전몸체(33)는 승강조절판(9)의 일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고 중심축(31)과 회전몸체(33)의 경계부분에는 연결키(34)가 관통개재되어 있어 원기둥형의 중심축(31)과 디스크형상의 회전몸체(33)가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몸체(33)의 외곽부분에는 좌우수평방향으로 걸림볼설치홀(35)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걸림볼설치홀(35)에 걸림볼(36)과 탄성스프링(37)과 마감볼트(38)가 차례로 삽입체결되면서 걸림볼(36)의 일부가 걸림볼설치홀(35)의 타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탄성스프링(37)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림볼(36)은 승강조절판(9)의 일측면 외곽부분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볼안착홈(13)에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일시걸림체결되어 상부베개부재(2)의 단계별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노브(28)는 중심축(31)의 일측끝부분에 중심축(3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노브(28)의 외곽부분에는 걸림봉(39)이 조작노브(28)의 누름작동에 따라 회전몸체(33)를 좌우수평방향으로 관통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볼안착홈(13)에 회전몸체(33)의 걸림볼(36)이 일시걸림체결된 상태에서 조작노브(28)의 누름작동시 조작노브(28)에 설치된 걸림봉(39)이 승강조절판(9)에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걸림홀(14) 중 어느 하나에 관통개재되면서 조작노브(28)가 더이상 회전작동되지 않아 상부베개부재(2)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몸체(33)는 외주면에 멈춤돌기(40)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멈춤돌기(40)는 조작노브(28)의 회전에 따른 회전몸체(33)의 회전시 승강조절판(9)의 일측면 중 걸림볼안착홈(13)이 형성된 부분의 외곽부분에 돌출되게 고정설치된 걸림돌기(15)에 맞닿아 걸리면서 조작노브(28)가 360° 범위내에서만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1)는 상부베개부재(2)와 베이스판(8)이 상하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측에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판소재 등과 같은 신축성있는 재질의 커버부재(42)가 전체적으로 덮혀 씌워지도록 되어 있어 외부에서 상부베개부재(2)와 베이스판(8) 사이의 벌어진 틈새 및 승강조작부(27)가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조절식 건강베개(1)를 사용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 등이 수면시 사용자에게 알맞는 높이로 베개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편안한 수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4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8)의 상면부 일측에 고정설치된 승강조절판(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승강조작부(27)의 조작노브(28)를 일정각도로 정회전시키면 조작노브(28)의 권취축(32)에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가 함께 일정길이 권취되면서 제1와이어(29)가 좌측 승강조절부재(16a)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을 후방으로 잡아당기고 제2와이어(30)가 우측 승강조절부재(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을 후방으로 잡아당겨 링크축(19)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연결치되어 가위식으로 작동되는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의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과 제2승강대(18)의 전방끝부분 사이의 상하간격이 벌어지면서 상부베개부재(2)가 상승작동하며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 전방사이에 상하로 연결설치된 복원스프링(20)이 길이신장되면서 탄성력이 발생되며, 반대로 상기 승강조작부(27)의 조작노브(28)를 일정각도로 역회전시키면 도 3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노브(28)의 권취축(32)에 권취되어 있는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가 함께 풀려지면서 상기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의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이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에 의해 당김해제되고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 전방 사이에 연결설치된 복원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과 제2승강대(18)의 전방끝부분 사이의 상하간격이 좁아져 상부베개부재(2)가 하강작동하게 되며, 상기 조작노브(28)의 정역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몸체(33)에 구비된 걸림볼(36)이 승강조절판(9)의 일측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걸림볼안착홈(13)에 일시걸림체결되면서 단계별로 일정높이로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맞는 높이로 상부베개부재(2)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걸림볼안착홈(13)에 회전몸체(33)의 걸림볼(36)이 일시걸림체결된 상태에서 승강조작부(27)의 조작노브(28)를 누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노브(28)가 중심축(31)을 따라 승강조절판(9)쪽으로 이동되고 이와 함께 조작노브(28)의 외곽부분에 구비된 걸림봉(39)이 조작노브(28)의 누름작동에 따라 회전몸체(33)를 좌우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승강조절판(9)에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걸림홀(14) 중 어느 하나에 관통개재되면서 조작노브(28)가 더이상 회전작동되지 않아 상부베개부재(2)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1.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2. 상부베개부재
3. 쿠션부재 4. 머리지지판
5. 수납케이싱 6. 가이드관
7. 개구부 8. 베이스판
9. 승강조절판 10. 가이드봉
11a, 11b, 11c. 가이드롤러 12. 중심축관통홀
13. 걸림볼안착홈 14. 걸림홀
15. 걸림돌기 16a, 16b. 승강조절부재
17. 제1승강대 18. 제2승강대
19. 링크축 20. 복원스프링
21. 하부휠 22. 상부설치편
23. 상부휠 24. 하부설치편
25. 휠축 26. 와이어연결볼트
27. 승강조작부 28. 조작노브
29. 제1와이어 30. 제2와이어
31. 중심축 32. 권취축
33. 회전몸체 34. 연결키
35. 걸림볼설치홀 36. 걸림볼
37. 탄성스프링 38. 마감볼트
39. 걸림봉 40. 멈춤돌기
41. 이탈방지링 42. 커버부재

Claims (10)

  1.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에 쿠션부재(3)가 안착되는 머리지지판(4)이 구비되고 머리지지판(4)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하부가 개방된 수납케이싱(5)이 형성되고 각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가이드관(6)이 고정설치된 상부베개부재(2)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부 일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승강조절판(9)이 고정설치되고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가이드관(6)에 삽입되는 가이드봉(10)이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된 베이스판(8)과, 베이스판(8)의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가 링크축(19)에 의해 교차되게 연결된 상태로 제1승강대(17)의 후방은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고 제2승강대(18)의 후방은 베이스판(8)의 상면부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되며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의 전방 사이는 복원스프링(20)에 의해 연결된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와, 승강조절판(9)에 정역회전되게 연결설치되는 조작노브(28)가 구비되고 조작노브(28)의 권취축(32)에는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과 각각 연결된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가 함께 권취되면서 조작노브(28)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가 상부베개부재(2)를 승강시키게 하는 승강조작부(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싱(5)은 머리지지판(4)의 좌우양측에 각각 한쪽 측면 하부가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머리지지판(4)의 좌우양측에 각각 수납케이싱(5)이 좌우수평으로 나란히 위치되고 일측에 위치된 수납케이싱(5)의 일측판에는 가운데부분에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판(8)의 상면부 일측의 승강조절판(9)에 설치되는 조작노브(28)가 개구부(7)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8)은 상부베개부재(2)의 하부에 부합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베이스판(8)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승강조절판(9)은 전후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일측에 위치된 수납케이싱(5)의 내측에 수납가능한 높이로 고정설치되고 베이스판(8)의 상면부 좌우양측 후방에는 각각 가이드롤러(11a)(11b)가 설치되어 있어 좌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롤러(11a)는 좌측 승강조절부재(16a)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과 연결되는 제1와이어(29)를 가이드하고 우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롤러(11b)는 제1와이어(29) 및 우측 승강조절부재(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과 연결되는 제2와이어(30)를 함께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판(9)은 가운데부분에 중심축관통홀(12)이 천공되어 있어 승강조작부(27)에 구비된 조작노브(28)의 중심축(31)이 중심축관통홀(12)의 일측을 통해 관통되면서 회전되게 설치되고 승강조절판(9)의 타측면 하부 후방에는 가이드롤러(11c)가 설치되어 있어 가이드롤러(11a)(11b)를 거쳐 조작노브(28)의 권취축(32)에 권취되는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의 끝부분을 함께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제1승강대(17)와 제2승강대(18)가 서로 교차되게 맞닿은 가운데부분에 관통개재된 링크축(19)을 중심으로 가위식으로 작동하며 상기 제1승강대(17)는 전방끝부분에 하부휠(21)이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판(8)의 상면부 전방에 하부휠(21)이 맞닿아 전후방향으로 구름이동되고 후방끝부분은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 후방에 고정설치된 상부설치편(22)에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어 위치고정된 상태로 힌지식으로 작동되며, 상기 제2승강대(18)는 전방끝부분에 상부휠(23)이 설치되어 있어 상부베개부재(2)에 구비된 수납케이싱(5)의 상판 하면부 전방에 상부휠(23)이 맞닿아 전후방향으로 구름이동되고 후방끝부분은 베이스판(8)의 상면부 후방에 고정설치된 하부설치편(24)에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어 위치고정된 상태로 힌지식으로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승강조절부재(16a)는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에 제1와이어(29)의 일측끝단이 연결되고 우측 승강조절부재(16b)의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에는 제2와이어(30)의 일측끝단이 연결되어 있어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의 타측끝단이 조작노브(28)의 권취축(32)에 함께 권취되면서 조작노브(28)의 정회전시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이 후방으로 잡아당겨져 상부베개부재(2)가 상승작동되며 조작노브(28)의 역회전시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가 당김해제되어 권취축(32)에 권취된 부분이 풀려지면서 복원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이 전방으로 원상회복되어 상부베개부재(2)가 하강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승강조절부재(16a)(16b)는 제1승강대(17)의 전방끝부분에 설치된 하부휠(21)의 휠축(25)에 와이어연결볼트(26)가 나사체결식으로 관통체결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연결볼트(26)에는 제1와이어(29) 또는 제2와이어(30)의 일측끝단이 연결되어 있어 와이어연결볼트(26)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28)는 중심부에 원기둥형상의 중심축(31)이 구비되어 있어 승강조절판(9)의 중심축관통홀(12)에 좌우수평방향으로 중심축(31)이 관통되면서 회전되게 설치되며 중심축(31)의 끝부분에는 권취축(32)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승강조절판(9)의 타측면 외측으로 권취축(32)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권취축(32)에는 제1와이어(29) 및 제2와이어(30)의 타측끝단이 연결고정되어 있되, 상기 제1와이어(29)는 좌측 승강조절부재(16a)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에 일측끝단이 연결되고 베이스판(8)의 상면부 후방 좌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1a)와 가이드롤러(11b)를 거쳐 권취축(32)에 타측끝단이 연결되며 제2와이어(30)는 우측 승강조절부재(16b)의 제1승강대(17) 전방끝부분에 일측끝단이 연결되고 가이드롤러(11b)를 거쳐 권취축(32)에 타측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28)는 중심부에 구비된 중심축(31)에 디스크형상으로 된 회전몸체(33)가 끼워진 상태로 중심축(31)과 함께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회전몸체(33)는 승강조절판(9)의 일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외곽부분에는 좌우수평방향으로 걸림볼설치홀(35)이 천공되어 있어 걸림볼설치홀(35)에 걸림볼(36)과 탄성스프링(37)과 마감볼트(38)가 차례로 삽입체결되면서 걸림볼(36)의 일부가 걸림볼설치홀(35)의 타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탄성스프링(37)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걸림볼(36)은 승강조절판(9)의 일측면 외곽부분에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걸림볼안착홈(13)에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일시걸림체결되어 상부베개부재(2)의 단계별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10.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28)는 중심부에 구비된 중심축(3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조작노브(28)의 외곽부분에는 걸림봉(39)이 조작노브(28)의 누름작동에 따라 회전몸체(33)를 좌우수평방향으로 관통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조작노브(28)의 누름작동시 조작노브(28)의 걸림봉(39)이 승강조절판(9)에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걸림홀(14) 중 어느 하나에 관통개재되면서 조작노브(28)가 더이상 회전작동되지 않아 상부베개부재(2)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KR1020130080850A 2013-07-10 2013-07-10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KR10129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850A KR101295627B1 (ko) 2013-07-10 2013-07-10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PCT/KR2014/006142 WO2015005666A1 (ko) 2013-07-10 2014-07-09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850A KR101295627B1 (ko) 2013-07-10 2013-07-10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627B1 true KR101295627B1 (ko) 2013-08-16

Family

ID=4922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850A KR101295627B1 (ko) 2013-07-10 2013-07-10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5627B1 (ko)
WO (1) WO20150056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42U (ko) * 2014-07-04 2016-01-13 이강천 베개
CN110074624A (zh) * 2019-06-06 2019-08-02 梁慧明 一种可调节的升降枕头及枕头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8867A1 (en) 2016-04-13 2017-10-19 Reddy Jordi Pillow
US10524595B2 (en) 2016-12-30 2020-01-07 David Rager Sleep system
CN112932948B (zh) * 2021-04-14 2022-06-28 赣南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眼科术前处理用多位贴合式眼部清洁操作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583Y1 (en) * 1984-03-31 1986-12-15 Jo Chol Ho A piloow that can regulate its height
KR860003699Y1 (en) * 1984-04-20 1986-12-30 Jo Chol Ho A pillow
KR20120047433A (ko) * 2010-11-04 2012-05-14 김영훈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0461140Y1 (ko) 2012-05-18 2012-06-28 이계욱 높이조절식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534U (ja) * 2001-05-02 2001-11-09 春男 陳
KR200384001Y1 (ko) * 2004-12-13 2005-05-11 강상각 쾌면베개
KR20100007619U (ko) * 2009-01-20 2010-07-29 이국희 동력 식 자동 높이 조절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583Y1 (en) * 1984-03-31 1986-12-15 Jo Chol Ho A piloow that can regulate its height
KR860003699Y1 (en) * 1984-04-20 1986-12-30 Jo Chol Ho A pillow
KR20120047433A (ko) * 2010-11-04 2012-05-14 김영훈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0461140Y1 (ko) 2012-05-18 2012-06-28 이계욱 높이조절식 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42U (ko) * 2014-07-04 2016-01-13 이강천 베개
KR200481901Y1 (ko) 2014-07-04 2016-11-23 이강천 베개
CN110074624A (zh) * 2019-06-06 2019-08-02 梁慧明 一种可调节的升降枕头及枕头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5666A1 (ko)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627B1 (ko)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US3763507A (en) Pediatric bed
JP7386467B2 (ja) 多機能車いす
US8336142B1 (en) Body and head support
US20100037397A1 (en) Bed
US3474473A (en) Adjustable hand rail attachment for a bed and mattress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US20080178388A1 (en) Adjustable bed
KR101822786B1 (ko) 운동기능 침대
KR101674286B1 (ko) 환자용 침대
US8876138B2 (en) Height adjustable wheelchair seat
KR101470402B1 (ko) 승강 테이블을 구비한 평상
KR101258954B1 (ko) 승강식 건강베개
US20170105892A1 (en) Conjugal aid chair
US4266759A (en) Cardiac patient support
US20090193579A1 (en) Piece of furniture
KR200474317Y1 (ko) 수면공간대
KR10148517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
JP3213246U (ja) 介護用車椅子
CN107854271A (zh) 一种全自动理疗床
KR200472678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학생용 의자
KR20047913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발판을 가진 책상
KR20200002852U (ko) 간병인이 용이하게 환자를 케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
JP5390234B2 (ja) 椅子
PT1613195E (pt) Espreguiçadeira ou cama regulá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