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065A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07065A KR20040007065A KR1020020041711A KR20020041711A KR20040007065A KR 20040007065 A KR20040007065 A KR 20040007065A KR 1020020041711 A KR1020020041711 A KR 1020020041711A KR 20020041711 A KR20020041711 A KR 20020041711A KR 20040007065 A KR20040007065 A KR 200400070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ing
- lifting
- outer frame
- guide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에 외곽 프레임이 돌출되고 그 내측에는 하측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슬롯이 형성된 내측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돌출된 플레이트;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 한 쌍의 작동레버; 상기 외곽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사이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동작에 의해 교차된 상태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승·하강되도록 작동레버와 연결된 승·하강부; 상기 내측 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부와 연결되어 승·하강부의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외곽 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되며 다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높낮이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높이를 설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높낮이 유지부; 및 상기 승·하강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장착되며 그 상측에 쿠션이 놓여지되 상기 승·하강부와 다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로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로 또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 따른 머리 높이의 변화와 취향 그리고 사용 목적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바로 눕거나 옆으로 눕는 등 누운 자세에 따라 변하는 목과 머리의 높이 그리고 취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취침 시 또는 누워서 휴식을 취할 때 사용하는 침구의 일종이다.
상기와 같은 베개는 취침 시 또는 누워서 휴식을 취할 때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근본적인 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누워서 다소 높은 위치에 있는 텔레비전을 볼 경우에는 높이가 높은 베개를 사용하고, 취침을 할 때에는 높이가 비교적 낮은 베개를 사용하고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누워있는 자세에 따라 베개는 여러 가지 다른 높이를 유지해야하므로 사용자에 따라 다수개의 베개를 준비해야하는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베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 그리고 사용 목적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전체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서 접혀진 상태의 골격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작동레버의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승·하강부재의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서 펼쳐진 상태의 골격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안내부의 동작전 상태와 동작 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구조를 간결하게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승·하강부재를 생략한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플레이트 2;작동레버
3;승·하강부 4;안내부
5;지지부재 6;높낮이 조절부
7;높낮이 유지부 8;탑 플레이트
11;외곽 프레임 12;내측 프레임
21;작동간 22;작동편
23;작동봉 30;승·하강부재
32;승·하강 안내바 33;승·하강 안내부재
34;승·하강 안내관 34a;홀
35;승·하강 안내봉 36;승·하강 안내편
37;연결바 37a;경사부
38;작동핀 40;안내기어
41;좌·우 이동기어 42;관통봉
43;지지판 50;스프링
60;구동풀리 61;조절 다이얼
62;종동풀리 63;벨트
64;회전축 65;나사산
66;스토퍼 70;레버
71;작동 샤프트 71a;작동 후육부
72;멈춤부재 73,73';걸림턱
74;걸림판 75;스토퍼
76;회전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측에 외곽 프레임이 돌출되고 그 내측에는 하측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슬롯이 형성된 내측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돌출된 플레이트;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 한 쌍의 작동레버; 상기 외곽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사이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동작에 의해 교차된 상태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승·하강되도록 작동레버와 연결된 승·하강부; 상기 내측 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부와 연결되어 승·하강부의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외곽 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되며 다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높낮이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높이를 설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높낮이 유지부; 및 상기 승·하강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장착되며 그 상측에 쿠션이 놓여지되 상기 승·하강부와 다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로는,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된 외곽 프레임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에 상응하여 연장된 작동간; 상기 작동간의 양단부 하측에 절곡 형성된 작동편; 및 상기 작동간의 일측 상방에 일단부가 고정설치되며 그 외측에 탄성부재가 게재되되 타단부에 일측에 위치된 상기 작동편의 상측이 끼워지되 양측 상방에 동작편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3 실시 예로는,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외곽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사이 양측에 장착되되 외측을 향한 일측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내측을 향한 타측이 상기 절결부를 통하여 관통하는 연결핀에 의해 연결된 자유단을 갖되 다수개의 핀에 의해 "X"자 형상으로 교차된 상태에서 지지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승·하강부재; 양단부는 상기 작동레버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다수개의 축지부에 의해 축지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지부에 탄력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일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는 승·하강 안내바; 상기 승·하강 안내바의 양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승·하강 안내부재; 외측을 향하고 있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측에 축설되며 다각형상의 홀이 형성된 승·하강 안내관; 상기 승·하강 안내관에 하측이 끼워지며 상측은 상기 승·하강 부재의 대략적인 중앙부 상측에 핀에 의해 고정된 승·하강 안내봉; 상측은 상기 승·하강 안내봉에 끼워지고 하측은 상기 승·하강 안내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승·하강 안내관의 일측과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승·하강 안내편; 한 쌍의 상기 승·하강 안내바에 그 상·하측이 고정되고 상기 슬롯을 통과하되 일 측에는 경사부가 구비된 연결 바; 상기 연결 바와 인접하는 상기 내측 프레임에 일측이 지지된 고정단을 갖고 타측은 상기 경사부를 향하여 만곡된 자유단을 갖되 다각형상의 홈이 형성된 작동핀; 및 상기 경사부와 인접하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핀을 상기 경사부에 대해 상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4 실시 예로는, 상기 안내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양측에 지지판에 의해 고정되며 하측에 구동 치차가 설치된 한 쌍의 안내기어; 상기 내측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양측에는 한 쌍의 상기 안내기어의 원주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맞물리도록 지지되는 기어가 양측에 설치된 좌·우 이동기어; 및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좌·우 이동기어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연결바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홈에 관통되는 관통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5 실시 예로는,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일 측의 상기 외곽 프레임에 축설되며 내·외측에 각각 구비된 구동풀리 및 조절다이얼; 상기 외곽 프레임의 타측에 축설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 설치된 종동풀리; 일단부는 상기 종동풀리를 관통하여 상기 외곽 프레임에 축설되고 타단부는 대향되는 외곽 프레임에 축설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측에 일정구간 구비된 나사산; 상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좌·우로 진퇴하며 상기 안내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조절다이얼의 내측에 설치된 조절 기어; 그리고 상기 조절기어와 치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된 표시부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내측으로 상향 만곡되며 그 높낮이가 표시되는 플랙시블한 래크기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6 실시 예로는, 상기 높낮이 유지부는 일 측의 상기 외곽 프레임의 외측에 해당되는 플레이트에 축설되되 일측은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그 양측에 한 쌍의 정지턱이 구비된 레버; 상기 레버의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의 축지부에 의해 타측의 외곽 프레임측까지 연결된 작동샤프트; 상기 내측 프레임의 일측에 축설된 샤프트에 축설되며 상측은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고 하측은 하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며 그 사이에 작동샤프트가 위치되는 멈춤부재; 상기 멈춤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작동샤프트에 일체로 폭넓게 구비된 작동 후육부; 상기 안내부의 일 측 상방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턱이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걸림판; 상기 내측 프레임의 타측에 부착 고정되며 그 상측에는 스프링과 볼이 구비된 관체가 축설된 스토퍼; 상기 볼의 하측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작동샤프트의 일측에 축설되는 회전캠; 및 일측은 상기 멈춤부재와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최초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작동레버를 동작시킴에 따라 승·하강부가 동작되며 지지부재와 탑 플레이트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상측에 외곽 프레임(11)이돌출되고 그 내측에는 하측에 절결부(13)가 형성되고 상측에 슬롯(14)이 형성된 내측 프레임(12)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돌출된 플레이트(1)가 구비된다.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 한 쌍의 작동레버(2)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로는, 상기 작동레버(2)는 상기 플레이트(1)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된 외곽 프레임(11)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내측에 상응하여 연장된 작동간(21)과, 상기 작동간(21)의 양단부 하측에 절곡 형성된 작동편(22) 그리고 상기 작동간(21)의 일측 상방에 일단부가 고정설치되며 그 외측에 탄성부재(24)가 게재되되 타단부에 일측에 위치된 상기 작동편(22)의 상측이 끼워지며 걸림 지지되는 작동봉(23)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외곽 프레임(11)과 내측 프레임(12)의 사이 양측에는 상기 작동레버(2)의 동작에 의해 교차된 상태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승·하강되도록 승·하강부(3)가 상기 작동레버(2)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부(3)는 상기 외곽 프레임(11)과 내측 프레임(12)의 사이 양측에 장착되되 외측을 향한 일측이 고정핀(P)에 의해 고정되고 내측을 향한 타측이 상기 절결부(13)를 통하여 관통하는 연결핀(P')에 의해 연결된 자유단을 갖되 다수개의 핀에 의해 "X"자 형상으로 교차된 상태에서 지지간(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승·하강부재(30)와, 양단부는 상기 작동레버(2)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의 상측면에 배열된 다수개의 축지부(31)에 의해 축지되되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지부(31)에 탄력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S)에 의해 일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는 승·하강 안내바(32)와, 상기 승·하강 안내바(32)의 양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승·하강 부재(33)와, 외측을 향하고 있는 상기 승·하강부재(33)의 내측에 축설되며 다각형상의 홀(34a)이 형성된 승·하강 안내관(34)과, 상기 승·하강 안내관(34)에 하측이 끼워지며 상측은 상기 승·하강 부재(30)의 대략적인 중앙부 상측에 핀에 의해 고정된 승·하강 안내봉(35)과, 상측은 상기 승·하강 안내봉(35)에 끼워지고 하측은 상기 승·하강 안내부재(33) 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승·하강 안내관(34)의 일측과 탄성부재(36a)에 의해 연결되는 승·하강 안내편(36)과, 한 쌍의 상기 승·하강 안내바(32)에 그 상·하측이 고정되고 상기 슬롯(14)을 통과하되 일 측에는 경사부(37a)가 구비된 연결 바(37)와, 상기 연결 바(37)와 인접하는 상기 내측 프레임(12)에 일측이 지지된 고정단을 갖고 타측은 상기 경사부(37a)를 향하여 만곡된 자유단을 갖되 다각형상의 홈(38a)이 형성된 작동핀(38) 및 상기 경사부(37a)와 인접하는 상기 내측 프레임(12)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핀(38)을 상기 경사부(37a)에 대해 상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핀(39)으로 구비된다.
또, 상기 내측 프레임(12)의 사이에는 상기 승·하강부(3)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의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부(4)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4)는 상기 내측 프레임(12)의 양측에 지지판(43)에 의해 고정되며 하측에 구동 치차(40a)가 설치된 한 쌍의 안내기어(40)와, 상기 내측 프레임(12)의 내측에 설치되며 양측에는 한 쌍의 상기 안내기어(40)의 원주방향에대해 평행하게 맞물리도록 지지되는 기어가 양측에 설치된 좌·우 이동기어(41) 및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좌·우 이동기어(41)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연결바(37)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홈에 관통되는 관통봉(42)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스프링(50)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후술하는 승·하강부(3)의 동작에 의해 승·하강되는 지지부재(5)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5)는 외측에 배치되는 가장 큰 지지부재는 상기 플레이트(1) 에 대해 일체로 장착되도록 그 가장자리 측에 볼트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보스가 배열되고, 내측에 배치되는 가장 작은 지지부재는 그 내,외 어느 일측에 후술하는 탑 플레이트(8)에 대해 일체로 장착되도록 볼트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보스가 배열된다.
한편.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는 그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비틀림 스프링(51)에 의해 연결되고 그 내측에 배치되는 다른 지지부재들은 연속하여 인장코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다.
또 상기 작동레버(2)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에는 상기 승·하강부(3)의 높낮이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6)가 구비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6)는 일 측의 상기 외곽 프레임(11)에 축설되며 내·외측에 각각 구비된 구동풀리(60) 및 조절다이얼(61)과, 상기 외곽 프레임(11) 의 타측에 축설되며 상기 구동풀리(60)와 벨트(63)에 의해 연결 설치된 종동풀리 (62)와, 일단부는 상기 종동풀리(62)를 관통하여 상기 외곽 프레임(11)에 축설되고 타단부는 대향되는 외곽 프레임(11)에 축설된 회전축(64)과, 상기 회전축(64)의 일단부측에 일정구간 구비된 나사산(65)과, 상기 나사산(65)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64)의 회전시 좌·우로 진퇴하며 상기 안내부(4)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66)와, 상기 조절다이얼(61)의 내측에 설치된 조절 기어(67)와, 상기 조절기어(67)와 치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플레이트(1)의 외측으로 노출된 표시부(68a)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내측으로 상향 만곡되며 그 높낮이가 표시되는 플랙시블한 래크기어(68)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는 래크기어(6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플레이트 또는 내측 프레임의 내측벽면 등에 설치되어여 한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6)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에는 상기 승·하강부(3)의 높이를 설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높낮이 유지부(7)가 구비된다.
상기 높낮이 유지부(7)는 일 측의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외측에 해당되는 플레이트(1)에 축설되되 일측은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그 양측에 한 쌍의 정지턱(70a)이 구비된 레버(70)와, 상기 레버(7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의 축지부(77)에 의해 타측의 외곽 프레임(11)측까지 연결된 작동샤프트(71)와, 상기 내측 프레임(12)의 일측에 축설된 샤프트(78)에 축설되며 상측은 내측으로 걸림턱(73)이 형성되고 하측은 하측으로 걸림턱(73')이 형성되며 그사이에 작동샤프트(71)가 위치되는 멈춤부재(72)와, 상기 안내부(4)의 일 측 상방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턱(73')이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걸림판(74) 과, 상기 내측 프레임(12)의 타측에 부착 고정되며 그 상측에는 스프링(75b)과 볼(75c)이 구비된 관체(75a)가 축설된 스토퍼(75)와, 상기 볼(75c)의 하측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작동샤프트(71)의 일측에 축설되는 회전캠(76)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멈춤부재(72)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작동 샤프트(71)의 일부 구간에는 좀더 두꺼운 두께 또는 폭을 갖는 작동 후육부(71a)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멈춤부재(72)를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멈춤부재(72)와 상기 샤프트(78)와의 사이에는 상기 멈춤부재(72)를 상시 하향시키는 동작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9)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3)와 상기 지지부재(5)의 상측에는 그 상측면에 쿠션(81)이 놓여지되 상기 승·하강부(3)와 다수개의 스프링(80)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8)가 구비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8)는 스프링(80)을 매개로 상기 승·하강부(3)와 연결되어 상시 상측으로 동작되려는 힘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최초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작동레버를 동작시킴에 따라 승·하강부가 동작되며 지지부재와 탑 플레이트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사용 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는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최초의 상태는 탑 플레이트(8)와 승·하강부(3)측을 상호 연결하는 스프링(80)은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상기 승·하강부(3)의 연결바(37) 일측에 구비된 경사부(37a)에 작동핀(38)의 절곡된 부위가 밀착되고 그 작동핀(38)의 다각형상의 홈(38a)에 끼워진 상기 안내부(4)의 관통봉(42)은 그 외주면이 상기 홈(38a)의 내주면과 상호 엇갈리게 면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되며 스프링(80)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는 승·하강부(3)의 승·하강 안내관(34)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홀(34a)의 내측에 위치된 다각형상의 승·하강 안내봉(35) 역시 그 외주면이 홀(34a)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베개의 높이를 높게 조절할 때에는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양측으로 돌출된 작동레버(2)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작동레버(2)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작동레버(2)와 일체로 연결된 작동간(21)과 작동편(22)이 순차적으로 이동되며 작동편(22)에 끼워진 작동봉(23)이 일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봉(23)이 일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동봉(23)과 연결된 연결바(37)가 일 방향으로 움직이게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바(37)에 설치된 경사부(37a)는 그 경사면에 지지된 상기 작동핀(38)을 탄지하던 탄성핀(39)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며 일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연결바(37)에 구비된 경사부(37a)가 탄성핀(39)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며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면 결국 도 6의 a 내지 b와 같이, 작동핀(38)과 상기 연결바(37)는 평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작동핀(38)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홈(38a)에 관통되는 관통봉(42)은 그 내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동시에 상기 작동봉(23)의 양측 상방에 구비된 동작편(23a)은 그 상측에 위치된 승·하강 안내편(36)의 하측을 상측으로 밀어 들어올리게 되고 승·하강 안내편(36)은 탄성부재(36a)의 탄성력을 극복하게된다.
따라서, 승·하강 안내관(34)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홀(34a)의 내측으로 관통된 승·하강 안내봉(35)은 상기한 작동핀(38)과 마찬가지로 상호 면 접촉되는 것이 없이 활주 가능하게됨에 따라 승·하강부재(30)는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때에는 상기 안내부(4)의 좌·우 이동기어(41)는 도 6의 b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안내기어(40)에 형성된 구동치차(40a)와 치합된 상태에서 그 중심을 축으로 양측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며 상기의 모든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하게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탑 플레이트(8)와 상기 승·하강부(3)의 사이에 상호간을 지지하던 스프링(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부(3)의 승·하강부재(30) 는 다수개의 핀을 축으로 상측으로 교차하며 승강하게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5) 중 가장 외측에 배열된 지지부재와 비틀림스프링(51)에 의해 연결된 그 내측의 지지부재가 비틀림 스프링의 동작에 의해 가장 먼저 승강되고, 그 내측에 배치된 다른 지지부재들이 이어서 순차적으로 승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모든 일련의 동작은 동시에 진행되고, 이때 동작을 시켰던 작동레버(2)의 동작을 해제시키면 상기했던 모든 동작은 원 위치되며 상기 연결바(37)와 그 일측에 부착된 경사부(37a)의 경사가 시작되는 부위에 작동핀(38)이 다시 위치되고, 그 일측을 탄성핀(39)이 탄성력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최초의 상태, 즉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승·하강부재를 동작시킨 후 임의적으로 그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다시 작동레버(2)를 동작시킨 후 승강된 탑 플레이트(8)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임의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동작에 의해 승강된 승·하강부재는 최고점의 높이까지 승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높낮이 조절부(6)를 동작시켜 베개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때에는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외측으로 노출된 조절 다이얼(61)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되면, 그 구동풀리(60)는 회전되며 벨트(63)를 매개로 종동풀리(62)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회전축(64)은 공회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회전축(64)은 공회전 하더라도 그 나사산(65)에 나사 결합된 스토퍼(66)는 회전 방향에 따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전·후진된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66)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된 후 설정된 위치에 정지하게되면 이때는 상기의 승·하강부(3)의 동작과 같이 상측으로 이동시키려 해도 상기 스토퍼(66) 측에 위치된 좌·우 이동기어(41)의 가장자리측에 구비된 테두리가 스토퍼(66)에 걸림 지지되므로 스토퍼(66)가 설치된 위치까지만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때에는 스토퍼(66)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승·하강부재(30)가 최대한 벌어지는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그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절 다이얼(61)을 회전시킬 때에는 조절기어(67)가 일체로 회전되며 그 하방에 치합된 플랙시블한 래크기어(68)를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게된다. 동시에 상기 래크기어(68)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표시부(68a)는 외측 프레임(11)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이동되며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형성된 높이 표시눈금에 도달되므로 적당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높낮이 유지부(7)를 동작시킬 때에는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외측으로 노출된 레버(70)를 일 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상기와 같이 레버(70)가 동작되면 상기 작동 샤프트(71)가 회전되며 그 일측에 설치된 회전캠(76)은 "딸깍"소리를 발생하며 회전하게된다.
따라서, 그 상측에 놓여진 스토퍼(75), 즉 관체(75a)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75b)에 탄지된 볼(75c)은 회전캠(76)의 회전에 따른 위치를 스프링(75b)의 탄성 복원력과 구름 접촉하는 볼(75c)에 의해 한정하고, 그 타측에 설치된 작동 후육부(71a)는 상기 멈춤부재(72)에 구비된 걸림턱(73)을 상향 지지하고 있던 상태에서 일측으로 젖혀짐과 동시에 그 지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멈춤부재(7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며 그에 따라 그 하측에 위치된 걸림턱(73')은 상기 좌·우 이동기어(41)의 일측단 상측에 설치된 걸림판(74)의 내측에서 지지되므로 그 이상 좌·우 이동기어(41)가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70)의 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멈춤부재(72)의 걸림턱(73')까지만 좌·우 이동기어(41)가 동작되므로 승·하강부(3), 즉 승·하강부재(30)의 높이를 한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향 그리고 사용 목적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Claims (6)
- 상측에 외곽 프레임이 돌출되고 그 내측에는 하측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슬롯이 형성된 내측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돌출된 플레이트;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 한 쌍의 작동레버;상기 외곽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사이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동작에 의해 교차된 상태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승·하강되도록 작동레버와 연결된 승·하강부;상기 내측 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부와 연결되어 승·하강부의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부;상기 외곽 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되며 다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지지부재;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높낮이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높이를 설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높낮이 유지부; 및상기 승·하강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장착되며 그 상측에 쿠션이 놓여지되 상기 승·하강부와 다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된 외곽 프레임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에 상응하여 연장된 작동간;상기 작동간의 양단부 하측에 절곡 형성된 작동편; 및상기 작동간의 일측 상방에 일단부가 고정설치되며 그 외측에 탄성부재가 게재되되 타단부에 일측에 위치된 상기 작동편의 상측이 끼워지되 양측 상방에 동작편이 일체로 구비된 작동봉을 포함하는 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외곽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사이 양측에 장착되되 외측을 향한 일측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내측을 향한 타측이 상기 절결부를 통하여 관통하는 연결핀에 의해 연결된 자유단을 갖되 다수개의 핀에 의해 "X"자 형상으로 교차된 상태에서 지지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승·하강부재;양단부는 상기 작동레버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다수개의 축지부에 의해 축지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지부에 탄력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일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는 승·하강 안내바;상기 승·하강 안내바의 양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승·하강 안내부재;외측을 향하고 있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측에 축설되며 다각형상의 홀이 형성된 승·하강 안내관;상기 승·하강 안내관에 하측이 끼워지며 상측은 상기 승·하강 부재의 대략적인 중앙부 상측에 핀에 의해 고정된 승·하강 안내봉;상측은 상기 승·하강 안내봉에 끼워지고 하측은 상기 승·하강 안내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승·하강 안내관의 일측과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승·하강 안내편;한 쌍의 상기 승·하강 안내바에 그 상·하측이 고정되고 상기 슬롯을 통과하되 일측에는 경사부가 구비된 연결 바;상기 연결 바와 인접하는 상기 내측 프레임에 일측이 지지된 고정단을 갖고 타측은 상기 경사부를 향하여 만곡된 자유단을 갖되 다각형상의 홈이 형성된 작동핀; 및상기 경사부와 인접하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핀을 상기 경사부에 대해 상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핀을 포함하는 베개.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안내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양측에 지지판에 의해 고정되며 하측에 구동 치차가 설치된 한 쌍의 안내기어;상기 내측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양측에는 한 쌍의 상기 안내기어의 원주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맞물리도록 지지되는 기어가 양측에 설치된 좌·우 이동기어; 및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좌·우 이동기어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연결바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홈에 관통되는 관통봉을 포함하는 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일 측의 상기 외곽 프레임에 축설되며 내·외측에 각각 구비된 구동풀리 및 조절다이얼;상기 외곽 프레임의 타측에 축설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 설치된 종동풀리;일단부는 상기 종동풀리를 관통하여 상기 외곽 프레임에 축설되고 타단부는 대향되는 외곽 프레임에 축설된 회전축;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측에 일정구간 구비된 나사산;상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좌·우로 진퇴하며 상기 안내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상기 조절다이얼의 내측에 설치된 조절 기어; 그리고상기 조절기어와 치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된 표시부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내측으로 상향 만곡되며 그 높낮이가 표시되는 플랙시블한래크기어로 구비된 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높낮이 유지부는 일 측의 상기 외곽 프레임의 외측에 해당되는 플레이트에 축설되되 일측은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그 양측에 한 쌍의 정지턱이 구비된 레버;상기 레버의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의 축지부에 의해 타측의 외곽 프레임측까지 연결된 작동샤프트;상기 내측 프레임의 일측에 축설된 샤프트에 축설되며 상측은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고 하측은 하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며 그 사이에 작동샤프트가 위치되는 멈춤부재;상기 멈춤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작동샤프트에 일체로 폭넓게 구비된 작동 후육부;상기 안내부의 일 측 상방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턱이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걸림판;상기 내측 프레임의 타측에 부착 고정되며 그 상측에는 스프링과 볼이 구비된 관체가 축설된 스토퍼;상기 볼의 하측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작동샤프트의 일측에 축설되는 회전캠; 및일측은 상기 멈춤부재와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베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1711A KR20040007065A (ko) | 2002-07-16 | 2002-07-16 | 베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1711A KR20040007065A (ko) | 2002-07-16 | 2002-07-16 | 베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7065A true KR20040007065A (ko) | 2004-01-24 |
Family
ID=3731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1711A KR20040007065A (ko) | 2002-07-16 | 2002-07-16 | 베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07065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9356B1 (ko) * | 2005-11-08 | 2006-12-19 | 서점란 | 기능 베개 |
CN102670015A (zh) * | 2011-03-14 | 2012-09-19 | 睡眠科技有限公司 | 头枕 |
KR101520432B1 (ko) * | 2014-03-03 | 2015-05-14 | 주식회사 모텍스 | 높낮이 조절 베개 |
WO2017142129A1 (ko) * | 2016-02-15 | 2017-08-24 | 주식회사 모텍스 | 높낮이 조절 베개 |
KR20230093925A (ko) * | 2021-12-20 | 2023-06-2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도 확보를 위한 각도 조절 베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46121A (en) * | 1979-05-04 | 1980-11-14 | Otsuka Hiroshi | Automatic pillow |
JPH0284560A (ja) * | 1988-08-19 | 1990-03-26 | Unitika Ltd | アラントイン化合物含有熱接着性短繊維及びその製造法 |
JPH034750A (ja) * | 1989-02-24 | 1991-01-10 | Unilever Nv | 脂肪組成物のフライにおける用途 |
JPH0381534A (ja) * | 1989-08-25 | 1991-04-05 | Mitsubishi Motors Corp | モータ駆動式スロットル装置 |
KR200226878Y1 (ko) * | 2000-11-27 | 2001-06-15 | 정병준 | 베개 내장 높낮이조절판 |
-
2002
- 2002-07-16 KR KR1020020041711A patent/KR20040007065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46121A (en) * | 1979-05-04 | 1980-11-14 | Otsuka Hiroshi | Automatic pillow |
JPH0284560A (ja) * | 1988-08-19 | 1990-03-26 | Unitika Ltd | アラントイン化合物含有熱接着性短繊維及びその製造法 |
JPH034750A (ja) * | 1989-02-24 | 1991-01-10 | Unilever Nv | 脂肪組成物のフライにおける用途 |
JPH0381534A (ja) * | 1989-08-25 | 1991-04-05 | Mitsubishi Motors Corp | モータ駆動式スロットル装置 |
KR200226878Y1 (ko) * | 2000-11-27 | 2001-06-15 | 정병준 | 베개 내장 높낮이조절판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9356B1 (ko) * | 2005-11-08 | 2006-12-19 | 서점란 | 기능 베개 |
CN102670015A (zh) * | 2011-03-14 | 2012-09-19 | 睡眠科技有限公司 | 头枕 |
KR101520432B1 (ko) * | 2014-03-03 | 2015-05-14 | 주식회사 모텍스 | 높낮이 조절 베개 |
WO2017142129A1 (ko) * | 2016-02-15 | 2017-08-24 | 주식회사 모텍스 | 높낮이 조절 베개 |
KR20230093925A (ko) * | 2021-12-20 | 2023-06-2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도 확보를 위한 각도 조절 베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9136B1 (ko) |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 |
RU2505261C2 (ru) | Плавно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 высоте опора матрас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а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 |
JP2005532145A (ja) | ベッド、マットレス、ひじ掛け椅子などに使用する調整装置および調整可能な支持装置 | |
JP5658120B2 (ja) | ベッド装置 | |
KR20040007065A (ko) | 베개 | |
KR101317423B1 (ko) |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 |
KR20160127374A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 |
KR100339486B1 (ko) | 침대 승강장치 | |
US6507964B1 (en) | Surgical table | |
CN112912048A (zh) | 床装置 | |
US2308714A (en) | Adjustable chair | |
CN102166077B (zh) | 一种可伸缩变形的沙发床 | |
CN108887869A (zh) | 一种升降桌 | |
KR20100066201A (ko) |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 |
US2212488A (en) | Bed table | |
KR200431306Y1 (ko) |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 |
JP3620421B2 (ja) | Oa用机 | |
EP1230877A1 (en) | Sofa-bed which can take a "chaise-longue" configuration | |
KR200336943Y1 (ko) | 학생용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 |
CN209172752U (zh) | 一种全自动翻身床 | |
CN113693397A (zh) | 一种可调节的床架 | |
KR200325079Y1 (ko) | 수동식 매트리스높이 조절기 | |
JP3610451B2 (ja) | ベッド | |
JP4212335B2 (ja) | ベッド | |
KR20100056088A (ko) | 차량용 암레스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