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306Y1 -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 Google Patents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306Y1
KR200431306Y1 KR2020060022427U KR20060022427U KR200431306Y1 KR 200431306 Y1 KR200431306 Y1 KR 200431306Y1 KR 2020060022427 U KR2020060022427 U KR 2020060022427U KR 20060022427 U KR20060022427 U KR 20060022427U KR 200431306 Y1 KR200431306 Y1 KR 200431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operating
rod
fixing rod
exercis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성
Original Assignee
한일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정공(주) filed Critical 한일정공(주)
Priority to KR2020060022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3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의자의 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동의자의 시트부 하측에 길이가변되는 수평봉에 하부매트를 설치하여 하부매트가 시트부의 전면으로 출몰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매트의 상측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매트를 형성하되, 상기 하부매트의 상면과 상부매트의 하면에 각각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각각 하부고정봉과 상부고정봉을 형성하면서 타측에 하부작동봉과 상부작동봉을 전후진가능하게 형성하며, 상기 하부고정봉과 상부작동봉 그리고 상부고정봉과 하부작동봉을 'X'자 형태가 되도록 작동간으로 연결하고, 상부고정봉과 상부작동봉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시키며,
상기 하부매트의 일면에 형성된 손잡이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작동봉을 전후진시켜 상부매트가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재를 하부플레이트 내부에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서, 등받이가 수평상으로 눕혀지는 운동의자를 사용할때 하부매트를 시트부로부터 인출한 후 간단한 손잡이 조작으로 상부매트를 일정높이 상승시켜 편리하게 발을 올려놓고 쉴 수 있도록 한 운동의자의 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운동의자, 발 받침대, 하부매트, 상부매트, 하부플레이트, 작동부재,

Description

운동의자의 발받침대{Leg rest assy}
도 1 은 본 고안의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발받침대를 상세히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받침판이 상승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발받침대를 보인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작동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트부, 2: 등받이,
3: 하부매트, 4: 수평봉,
5: 상부매트, 6: 하부플레이트,
7: 상부플레이트, 8: 하부고정봉,
9: 하부작동봉, 10: 가이드,
11: 상부고정봉, 12: 상부작동봉,
13: 가이드, 14,15: 작동간,
16: 스프링, 17: 삽입관,
20: 손잡이, 21: 작동축,
22: 작동편, 23: 작동링크,
24: 외피,
본 고안은 운동의자의 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등받이가 수평상으로 눕혀지는 운동의자를 사용할때 하부매트를 시트부로부터 인출한 후 간단한 손잡이 조작으로 상부매트를 일정높이 상승시켜 편리하게 발을 올려놓고 쉴 수 있도록 한 운동의자의 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트부에 대하여 등받이가 탄력적으로 젖혀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시트부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로 등받이를 젖혀가면서 복근운동할 수 있도록 된 운동의자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의자에는 등받이를 수평상으로 젖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하려고 할때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발 받침대가 제공된다.
종래의 발 받침대는 시트부의 저면에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발 받침대는 시트부의 전면으로 쭉 뽑았을때 받침대의 높이가 시트부 보다 낮아지게되어 사용자의 발 끝부분이 아래쪽으로 쳐지는 느낌을 받게되므로 편안함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 받침대상에 일정두께의 매트를 밴딩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동의자의 시트부 하측에 길이가변되는 수평봉에 하부매트를 설치하여 하부매트가 시트부의 전면으로 출몰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매트의 상측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매트를 형성하되, 상기 하부매트의 상면과 상부매트의 하면에 각각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각각 하부고정봉과 상부고정봉을 형성하면서 타측에 하부작동봉과 상부작동봉을 전후진가능하게 형성하며, 상기 하부고정봉과 상부작동봉 그리고 상부고정봉과 하부작동봉을 'X'자 형태가 되도록 작동간으로 연결하고, 상부고정봉과 상부작동봉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시키며,
상기 하부매트의 일면에 형성된 손잡이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작동봉을 전후진시켜 상부매트가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재를 하부플레이트 내부에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서, 등받이가 수평상으로 눕혀지는 운동의자를 사용할때 하부매트를 시트부로부터 인출한 후 간단한 손잡이 조작으로 상부매트를 일정높이 상승시켜 편리하게 발을 올려놓고 쉴 수 있도록 한 운동의자의 발 받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의하여,
시트부에 대하여 등받이가 탄력적으로 젖혀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시트부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로 등받이를 젖혀가면서 복근운동할 수 있도록 된 운동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하측에 길이가변되는 수평봉에 하부매트를 설치하여 하부매트가 시트부의 전면으로 출몰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매트의 상측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매트를 형성하되, 상기 하부매트의 상면과 상부매트의 하면에 각각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각각 하부고정봉과 상부고정봉을 형성하면서 타측에 하부작동봉과 상부작동봉을 전후진가능하게 형성하며, 상기 하부고정봉과 상부작동봉 그리고 상부고정봉과 하부작동봉을 'X'자 형태가 되도록 작동간으로 연결하고, 상부고정봉과 상부작동봉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시키며,
상기 하부매트의 일면에 형성된 손잡이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작동봉을 전후진시켜 상부매트의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재를 하부플레이트 내부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 작동축을 하부플레이트의 중간부에 형성하고, 상기 작동축에 작동편을 형성하며, 일단이 상기 하부작동봉에 연결된 작동링크의 타단을 상기 작동편에 힌지로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3 항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링크는 중간부가 상향 돌출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운동의자의 시트부를 나타내고, 상기 시트부(1)의 뒤쪽에는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탄력적으로 젖혀짐이 가능하도록 등받이(2)가 결합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시트부(1)의 하측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인출되고, 시트부(1)와 동일한 높이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등받이(2)를 수평상으로 젖힌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고 편히 쉴수 있도록 한 발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위하여, 상기 시트부(1)의 하측에 슬라이딩 작동되어 출몰되는 수평봉(4)을 형성하고, 이 수평봉(4)의 끝단부에 하부매트(3)를 결합하며, 상기 하부매트(3)의 상측으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부매트(5)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매트(3)의 상면과 상부매트(5)의 하면에 각각 하부플레이트(6)와 상부플레이트(7)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6)(7)의 일측에 각각 하부고정봉(8)과 상부고정봉(11)을 형성하면서 타측에 하부작동봉(9)과 상부작동봉(12)을 전후진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6)와 상부플레이트(7)의 일측에는 하부작동봉(9)과 상부 작동봉(12)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10,13)를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봉(8)과 상부작동봉(12) 그리고 상부고정봉(11)과 하부작동봉(9)을 'X'자 형태가 되도록 작동간(14,15)으로 연결하고, 상기 작동간(14,15)이 교차하는 부분을 핀으로 결속시켜 작동간(14,15)이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따라 상부매트(5)가 하부매트(3)로 부터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고정봉(11)과 상부작동봉(12) 사이에 상부작동봉(12)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16)을 개재시켜 상부매트(5)의 상승동작이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매트(3)의 일면에 형성된 손잡이(2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작동봉(9)을 전후진시켜 상부매트(5)의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재를 하부플레이트(6) 내부에 형성하는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손잡이(20)에 연결된 작동축(21)을 하부플레이트(6)의 중간부에 형성하고, 상기 작동축(21)에 작동편(22)을 형성하며, 일단이 상기 하부작동봉(9)에 연결된 작동링크(23)의 타단을 상기 작동편(22)에 힌지로서 결합하여 구성하고, 작동링크(23)는 중간부가 상향 돌출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매트(5)와 하부매트(3) 사이에는 탄력을 갖는 천으로 이루어진 외피(24)를 형성하여 상부매트(5)와 하부매트(3) 사이의 구조물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와 같이 상부매트(5)가 하강하여 하부매트(3)에 밀착된 상태로 존재하 면, 작동부재의 작동편(22)과 작동링크(23)가 도 6 (c)와 같이 펼쳐진 상태가 되고, 스프링(16)은 인장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0)를 도면상의 왼쪽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게되면, 도 6 (b)와 같이 작동편(2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작동편(22)과 작동링크(23)의 수평상태가 깨지면서 하부작동봉(9)가 도면상의 좌측으로 움직이게되고, 이때부터 스프링(16)의 수축력에 의해 작동간(14,15)이 도 3 과 같이 펼쳐지면서 상부매트(5)가 하부매트(3)로 부터 상승하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작동부재의 작동편(22)과 작동링크(23)는 도 6 (a)와 같이 작동링크(23)의 유선형부분이 작동축(21)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작동편(22)이 반대편으로 회전하여 작동편(22)과 작동링크(23)의 힌지 연결부위와 하부작동봉(9)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되며, 이때에는 사용자가 힘으로 상부매트(5)를 하강시키려 하여도 하강하지 않게된다.
상기와같이 상승한 상부매트(5)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20)를 다시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작동편(2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작동링크(23)를 도면상의 우측으로 밀어내게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상부매트(5)를 누르게되면 상부매트(5)가 하강하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운동의자의 시트부 하측에 길이가변되는 수평봉에 하부매트를 설치하여 하부매트가 시트부의 전면으로 출몰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매트의 상측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매트를 형성하되, 상기 하부매트의 상면과 상부매트의 하면에 각각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각각 하부고정봉과 상부고정봉을 형성하면서 타측에 하부작동봉과 상부작동봉을 전후진가능하게 형성하며, 상기 하부고정봉과 상부작동봉 그리고 상부고정봉과 하부작동봉을 'X'자 형태가 되도록 작동간으로 연결하고, 상부고정봉과 상부작동봉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시키며,
상기 하부매트의 일면에 형성된 손잡이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작동봉을 전후진시켜 상부매트가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재를 하부플레이트 내부에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서, 등받이가 수평상으로 눕혀지는 운동의자를 사용할때 하부매트를 시트부로부터 인출한 후 간단한 손잡이 조작으로 상부매트를 일정높이 상승시켜 편리하게 발을 올려놓고 쉴 수 있도록 한 운동의자의 발 받침대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시트부(1)에 대하여 등받이(2)가 탄력적으로 젖혀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시트부(1)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로 등받이(2)를 젖혀가면서 복근운동할 수 있도록 된 운동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1) 하측에 길이가변되는 수평봉(4)에 하부매트(3)를 설치하여 하부매트(3)가 시트부(1)의 전면으로 출몰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매트(3)의 상측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매트(5)를 형성하되, 상기 하부매트(3)의 상면과 상부매트(5)의 하면에 각각 하부플레이트(6)와 상부플레이트(7)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6)(7)의 일측에 각각 하부고정봉(8)과 상부고정봉(11)을 형성하면서 타측에 하부작동봉(9)과 상부작동봉(12)을 전후진가능하게 형성하며, 상기 하부고정봉(8)과 상부작동봉(12) 그리고 상부고정봉(11)과 하부작동봉(9)을 'X'자 형태가 되도록 작동간(14,15)으로 연결하고, 상부고정봉(11)과 상부작동봉(12) 사이에 스프링(16)을 개재시키며,
    상기 하부매트(3)의 일면에 형성된 손잡이(2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작동봉(9)을 전후진시켜 상부매트(5)의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재를 하부플레이트(6) 내부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의자의 발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손잡이(20)에 연결된 작동축(21)을 하부플레이트(6)의 중간부에 형성하고, 상기 작동축(21)에 작동편(22)을 형성하며, 일단이 상기 하부작동봉(9)에 연결된 작동링크(23)의 타단을 상기 작동편(22)에 힌지로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의자의 발 받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링크(23)는 중간부가 상향 돌출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의자의 발 받침대.
KR2020060022427U 2006-08-22 2006-08-22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KR200431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427U KR200431306Y1 (ko) 2006-08-22 2006-08-22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427U KR200431306Y1 (ko) 2006-08-22 2006-08-22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306Y1 true KR200431306Y1 (ko) 2006-11-23

Family

ID=4177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427U KR200431306Y1 (ko) 2006-08-22 2006-08-22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3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80Y1 (ko) 2014-09-05 2015-01-27 강동윤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76081Y1 (ko) 2014-09-05 2015-02-04 강동윤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직립식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KR20200083277A (ko) * 2018-12-31 2020-07-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팝업 시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80Y1 (ko) 2014-09-05 2015-01-27 강동윤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76081Y1 (ko) 2014-09-05 2015-02-04 강동윤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직립식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KR20200083277A (ko) * 2018-12-31 2020-07-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팝업 시트
KR102287171B1 (ko) 2018-12-31 2021-08-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팝업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9801B2 (en) Leg lift mechanism for electric bed or chair
JP3088288U (ja) 腰支え部を備えた椅子
JP3130693U (ja) ローイングマシン
KR200431306Y1 (ko)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US20110101749A1 (en) Lower-back supporting structure for a bed or a chair
JP4555633B2 (ja) 理美容用椅子
JP2018153371A (ja) 便座装置
KR20130007300U (ko)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CN2936219Y (zh) 一种简支撑的曲面椅床
KR200390797Y1 (ko) 의자가 일체로 구비된 컴퓨터용 책상
CN210961755U (zh) 助力坐便装置
JP7053016B2 (ja) 入浴補助装置
CN108434676B (zh) 折叠健身装置
CN220918033U (zh) 划船训练装置
KR100990509B1 (ko) 의자
JP6773317B2 (ja) 入浴介護装置
JP6695070B2 (ja) 便座装置
CN114532790A (zh) 一种高度调节装置及升降沙发
CA2991732C (en) Electric bed with independent adjusting device for waist rest
CN213640280U (zh) 一种改进型多功能变形电动床
CN216534542U (zh) 电动调节座椅
CN210383333U (zh) 一种可调位美容床
CN210962922U (zh) 一种老年人助行器
CN219556749U (zh) 一种脚支撑可调式会议室座椅
CN216166361U (zh) 一种可实时调节角度的舞台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