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277A - 유아용 팝업 시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팝업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277A
KR20200083277A KR1020190174572A KR20190174572A KR20200083277A KR 20200083277 A KR20200083277 A KR 20200083277A KR 1020190174572 A KR1020190174572 A KR 1020190174572A KR 20190174572 A KR20190174572 A KR 20190174572A KR 20200083277 A KR20200083277 A KR 20200083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op
adjustment shaft
withdrawa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171B1 (ko
Inventor
전의식
신동석
주영조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8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6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means,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chair or stool for varying height of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팝업 시트에 관한 것으로, 격납공간이 형성된 시트본체; 상기 격납공간에 위치하여 인출될 수 있는 인출시트; 및 상기 격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인출시트를 인출시키는 팝업 구동부; 를 포함한다.
상기 팝업 구동부는, 상기 인출시트와 결합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인출시트의 인출방향과 동일하며 상기 인출시트를 따라 이동하는 조절축; 상기 조절축과 결합되어 상기 조절축의 위치를 고정하는 락킹 제어부; 상기 시트본체와 상기 인출시트를 연결하는 링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제어부의 일부분은 상기 격납공간에서 상기 시트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락킹 제어부가 상기 조절축의 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인출시트는 움직여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팝업 시트{Pop up sheet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팝업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안전이 중시되고 있는 풍토와 더불어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어린이 전용 시트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그 높낮이가 조절되거나 접이식 동작이 가능하거나 설치와 분리의 동작이 원터치(one touch)식으로 적용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어린이 시트가 출시되고 있다.
어린이 시트의 경우 대략 6세 ~ 13세의 어린이 체격에 맞게 제작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에 어린이 시트를 1세 ~ 6세 정도의 유아의 체격에는 적합하지 않다. 유아가 어린이 시트를 사용할 경우 사고의 위험이 더 증가한다.
따라서, 유아 체격에 맞는 시트 사용 후 어린이 체격에 맞는 시트로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시트 교체에 따른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였다.
이에, 시트의 쿠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시트들이 출시되었으나, 이들은 쿠션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조절하는 위치가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인위적인 위치를 설정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1194호 (1998.12.0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05833호 (1997.02.19.)
본 발명은 마찰력을 이용하여 복합한 링크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인출시트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유아용 팝업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팝업 시트는, 격납공간이 형성된 시트본체, 상기 격납공간에 위치하여 인출될 수 있는 인출시트 및 상기 격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인출시트를 인출시키는 팝업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팝업 구동부는 상기 인출시트와 결합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인출시트의 인출방향과 동일하며 상기 인출시트를 따라 이동하는 조절축, 상기 조절축과 결합되어 상기 조절축의 위치를 고정하는 락킹 제어부 및 상기 시트본체와 상기 인출시트를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 제어부의 일부분은 상기 격납공간에서 상기 시트본체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절축은, 10㎜ X 40㎜의 직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제어부는, 상기 조절축의 감싸고 있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절축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시트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조절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에는 상기 조절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은 10㎜ X 44㎜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길이면과 폭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폭면은 상기 조절축의 폭면과 마주하고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면 방향으로 10°각도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조절레버는, 상기 락킹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트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플레이트는 상기 시트본체와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폭면은 상기 조절축의 폭면과 접하거나 떨어질 수 있고, 상기 관통홀의 폭면이 상기 조절축의 폭면으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조절축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인출시트는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링크부는, 힌지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링크바, 상기 인출시트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링크바의 상단이 접속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 블록, 상기 제1 링크바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격납공간의 바닥에 고정된 제1 링크바 고정블록, 상기 제2 링크바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인출시트와 결합된 제2 링크바 고정블록 및 상기 제2 링크바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격납공간의 바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이용자의 체형에 따라 인출시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이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시트의 이용이 용이하며 이용자 체형에 맞는 시트를 각기 구입하지 않아도 되어 시트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의 폭면이 조절축의 폭면과 접하면서 조절축이 고정된다. 이에 조작자가 선택한 위치에서 조절축이 고정되므로 인출시트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가 아닌 조작자가 선택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에 인출시트의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팝업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출시트가 시트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팝업 구동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3의 팝업 구동부의 분해도.
도 5는 도 3의 락킹 제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락킹 제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3의 팝업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팝업 시트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팝업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출시트가 시트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팝업 구동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팝업 구동부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락킹 제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락킹 제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3의 팝업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팝업 시트(1)는, 시트본체(10), 인출시트(20) 및 팝업 구동부(30)를 포함하며 마찰력을 이용하여 복합한 링크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인출시트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시트본체(10)의 상면에는 유아 또는 어린이가 앉을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시트본체(10)의 후방으로 등받이가 배치되어 있다. 등받이는 시트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등받이는 시트본체(10)와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시트본체(10)의 내부에는 상면으로 개방된 격납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격납공간(11)의 일부분은 시트본체(10)의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에 시트본체(10)의 전면에는 격납공간(11)과 연결된 본체 개방홀(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트본체(10)는 스펀지, 직물 따위를 포함하며 착석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한다. 또한, 시트본체(10)는 차량 등의 시트에 설치될 수 있다.
인출시트(20)는 격납공간(11)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시트(20)의 상면과 전면은 시트본체(10)의 상면과 전면 일부분에서 노출되어 있다. 인출시트(20)의 상면과 시트본체(10)의 상면, 그리고 인출시트(20)의 전면과 시트본체(10)의 전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인출시트(20)의 내부에는 전면으로 개방된 인출 개방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 개방홀(21)은 본체 개방홀(12) 그리고 격납공간(11)과 연결되어 있다.
인출시트(20)는 격납공간(11)에서 직선 이동하며 개방된 상면을 통해 시트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유아용 팝업 시트(1)가 설치된 설치면을 기준으로 인출시트(20)의 상면이 시트본체(10)의 상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한다. 이에 유아용 팝업 시트(1)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인출시트(20)는 시트본체(10)와 동일한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유아용 팝업 시트(1)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시트본체(10)와 인출시트(20)의 색상, 재질 등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팝업 구동부(30)는 조절축(31), 락킹 제어부(32) 및 링크부(34)를 포함하며, 인출시트(20)의 인출은 제어한다.
조절축(3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단이 인출시트(20)와 결합되어 있다. 조절축(31)은 인출시트(20)의 하면과 수직하다. 여기서 조절축(31)의 하부는 격납공간(11)의 바닥을 관통하여 시트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조절축(31)의 하부는 시트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시트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는 조절축(31)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조절축(31)의 길이 방향이 인출시트(20)의 인출 방향과 동일하다. 조절축(31)은 인출시트(20)를 따라 움직인다. 조절축(31)은 폭면(31W)과 길이면(31L)을 가지며, 그 규격은 10㎜ X 40㎜의 직사각 단면으로 형성된다. 조절축(31)의 규격은 유아용 팝업 시트(1)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조절축(31)의 폭면(31W)은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절축(31)의 길이면(31L)은 폭면(31W) 보다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조절축(31)은 강도를 갖는 금속, 강화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락킹 제어부(32)는 탄성부재(321),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 및 한 쌍의 조절레버(324, 325)를 포함하며, 조절축(31)의 위치를 고정하여 인출시트(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탄성부재(321)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21)는 조절축(31)의 둘레를 감싸고 있다.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는 각각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관통홀(322a)이 상하 관통되어 있다. 관통홀(322a)은 폭면(322W)과 길이면(322L)을 가지며 폭면(322W)은 락킹 플레이트(322, 323)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8° 내지 12°각도로 경사져 있다. 폭면(322W)의 경사 각도(322R)는 10°일수 있다.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는 탄성부재(321)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조절축(31)이 관통홀(322a)을 관통하고 있다.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의 일측은 시트본체(10)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는 탄성부재(321)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 한다. 이에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는 힌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다.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점진적으로 벌어진다.
하지만,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의 타측에 외력이 가해지면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는 힌지를 기준으로 타측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조절축(31)과 직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조절축(31)이 관통홀(322a)을 관통하고 있는 관통홀(322a)의 폭면(322W)은 조절축(31)의 폭면(31W)과 마주한다. 이때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가 조절축(31)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경우 폭면(322W)의 일부분은 조절축(31)의 폭면(31W)과 접하면서 간섭이 발생한다. 이때 조절축(31)이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에 고정되어 조절축(31)은 움직이지 못한다. 이에 따라 인출시트(20) 또한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가 조절축(31)과 직각을 이루면 폭면(322W)은 조절축(31)의 폭면(31W)과 떨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조절축(31)과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조절축(31)은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인출시트(20)를 격납공간(11)에서 인출하거나, 인출된 인출시트(20)를 격납공간(11)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조절레버(324, 325)는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조절레버(324, 325)는 연결부(324a) 및 손잡이(324b)를 각각 포함한다.
연결부(331)는 락킹 플레이트(322, 323)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331)는 락킹 플레이트(322, 323)와 평행하다.
손잡이(324b)는 연결부(331)에서 8° 내지 12°각도(324R)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손잡이(324b)는 연결부(331)에서 10°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손잡이(324b)는 본체 개방홀(12)을 통해 시트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손잡이(324b)를 잡을 수 있다.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가 힌지를 기준으로 경사져 있을 때 손잡이(324b)들은 평행하게 마주한다. 이때 손잡이(324b)들의 끝을 잡고 움켜쥐면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가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이며 손잡이(324b)들의 끝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움직이는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가 탄성부재(321)에 압력을 가하고, 탄성부재(321)는 압축된다.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는 조절축(31)과 직각을 이루고 폭면(31W, 322W)들은 떨어지게 된다. 이에 조절축(31)이 움직일 수 있어 인출시트(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인출시트(2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움켜쥐고 있던 손잡이(324b)를 놓으면 탄성부재(321)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된다. 압축된 탄성부재(321)는 팽창하고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322, 323)의 타측은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떨어져 있는 폭면(31W, 322W)이 서로 접하면서 조절축(31)이 고정된다. 조절축(31)의 고정으로 인출시트(20)는 현재 위치에서 고정된다.
링크부(34)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절축(3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고 있다. 링크부(34)는 제1 링크바(341), 제2 링크바(342), 가이드블록(343), 제1 링크바 고정블록(344), 제2 링크바 고정블록(345) 및 슬라이딩부재(346)를 포함하며 인출시트(20)가 이동할 때 인출시트(20)가 반듯하게 이동하고, 시트본체(1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가이드블록(343)과 제2 링크바 고정블록(345)은 인출시트(20)의 하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블록(343)과 제2 링크바 고정블록(345)은 인출시트(20)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블록(34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홀(343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346)와 제1 링크바 고정블록(344)은 격납공간(11)의 바닥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346)는 가이드블록(343)과 마주하며, 제1 링크바 고정블록(344)은 제2 링크바 고정블록(345)과 마주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재(346)는 격납공간(11)의 바닥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링크바 고정블록(344)은 고정되어 있다.
제1 링크바(341)와 제2 링크바(342)는 그 중앙 부분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바(341)와 제2 링크바(342)는 힌지를 기준으로 "X" 모양으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링크바(341)와 제2 링크바(342)는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링크바(341)의 상부는 가이드홀(343a)에 삽입되어 있으며 하부는 제1 링크바 고정블록(344)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링크바(342)의 상부는 제2 링크바 고정블록(345)과 힌지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슬라이딩부재(346)와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인출시트(20)가 격납공간(11)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링크바(341)와 제2 링크바(342)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가까워지며(도 7 참조), 이와 반대로 인출된 인출시트(20)가 격납공간(11)으로 인입될 때 제1 링크바(341)와 제2 링크바(342)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8 참조). 이때 제1 링크바(341)는 하단이 제1 링크바 고정블록(34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이 가이드홀(343a)을 따라 움직인다. 그리고 제2 링크바(342)는 상단이 제2 링크바 고정블록(345)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단의 슬라이딩부재(346)가 함께 격납공간(11)의 바닥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에 링크부(34)는 인출시트(20)와 시트본체(10)를 결합하여 인출시트(20)가 시트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움직임을 가이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격납공간(11)에는 팝업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팝업 탄성부재는 복수 배치되며 인출시트(20)가 격납공간(11)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팝업 탄성부재가 인출시트(20)에 의해 눌려 압축된 상태에서 폭면(31W, 322W)이 서로 떨어지면 인출시트(20)는 압축된 팝업 탄성부재에 의해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용 인출시트(20)는 인출시트(20)가 격납공간(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조절레버(324, 325)를 상하 방향으로 움켜줘서 락킹 플레이트(322, 323)가 조절축(31)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인출시트(20)를 위쪽 방향으로 당겨 인출한다. 인출시트(20)의 인출이 완료되면 조절레버(324, 325)의 움켜쥠을 해제하여 락킹 플레이트(322, 323)가 조절축(31)에 밀착되도록 하여 조절축(31)의 위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마찰력을 이용하여 복잡한 링크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유아용 팝업 시트이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유아용 팝업 시트 10: 시트본체
11: 격납공간 12: 본체 개방홀
20: 인출시트 21: 인출 개방홀
30: 팝업 구동부 31: 조절축
31W, 322W: 폭면 31L, 322L: 길이면
32: 락킹 제어부 321: 탄성부재
322, 323: 락킹 플레이트 322a: 관통홀
324, 325: 조절레버 324a: 연결부
324b: 손잡이 34: 링크부
341: 제1 링크바 342: 제2 링크바
343: 가이드블록 343a: 가이드홀
344: 제1 링크바 고정블록 345: 제2 링크바 고정블록
346: 슬라이딩부재

Claims (7)

  1. 격납공간이 형성된 시트본체;
    상기 격납공간에 위치하여 인출될 수 있는 인출시트; 및
    상기 격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인출시트를 인출시키는 팝업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 구동부는,
    상기 인출시트와 결합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인출시트의 인출방향과 동일하며 상기 인출시트를 따라 이동하는 조절축;
    상기 조절축과 결합되어 상기 조절축의 위치를 고정하는 락킹 제어부;
    상기 시트본체와 상기 인출시트를 연결하는 링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 제어부의 일부분은 상기 격납공간에서 상기 시트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유아용 팝업 시트.
  2. 제1항에서,
    상기 조절축은, 10㎜ X 40㎜의 직사각 단면을 가지는 유아용 팝업 시트.
  3. 제1항에서,
    상기 락킹 제어부는,
    상기 조절축의 감싸고 있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절축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시트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조절레버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락킹 플레이트에는 상기 조절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은 10㎜ X 44㎜의 홀로 형성된
    유아용 팝업 시트.
  4. 제3항에서,
    상기 관통홀은 길이면과 폭면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의 폭면은 상기 조절축의 폭면과 마주하고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10°각도로 경사져 있는 유아용 팝업 시트.
  5. 제3항에서,
    상기 한 쌍의 조절레버는,
    상기 락킹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트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
    를 포함하는
    유아용 팝업 시트.
  6. 제5항에서,
    상기 락킹 플레이트는 상기 시트본체와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폭면은 상기 조절축의 폭면과 접하거나 떨어질 수 있고, 상기 관통홀의 폭면이 상기 조절축의 폭면으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조절축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인출시트는 움직일 수 있는
    유아용 팝업 시트.
  7. 제1항에서,
    상기 링크부는,
    힌지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링크바;
    상기 인출시트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링크바의 상단이 접속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 블록;
    상기 제1 링크바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격납공간의 바닥에 고정된 제1 링크바 고정블록;
    상기 제2 링크바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인출시트와 결합된 제2 링크바 고정블록; 및
    상기 제2 링크바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격납공간의 바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재;
    를 포함하는
    유아용 팝업 시트.
KR1020190174572A 2018-12-31 2019-12-24 유아용 팝업 시트 KR102287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31 2018-12-31
KR20180173631 2018-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277A true KR20200083277A (ko) 2020-07-08
KR102287171B1 KR102287171B1 (ko) 2021-08-09

Family

ID=7160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572A KR102287171B1 (ko) 2018-12-31 2019-12-24 유아용 팝업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1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7U (ja) * 1991-06-27 1993-01-14 富士機工株式会社 子供用に変形可能な車両用座席装置
KR970005833A (ko) 1995-07-05 1997-02-19 어린이용 시트로 전환가능한 차량용 시트
KR0181194B1 (ko) 1994-06-21 1999-03-20 전성원 어린이용 파워시트 구조장치
KR200431306Y1 (ko) * 2006-08-22 2006-11-23 한일정공(주)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WO2014003963A1 (en) * 2012-06-27 2014-01-03 Brian Chapman Adjustable booster seat
KR101479647B1 (ko) * 2013-07-05 2015-01-09 김채연 유아용 식탁 의자
KR101852746B1 (ko) * 2018-03-05 2018-04-27 최창원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7U (ja) * 1991-06-27 1993-01-14 富士機工株式会社 子供用に変形可能な車両用座席装置
KR0181194B1 (ko) 1994-06-21 1999-03-20 전성원 어린이용 파워시트 구조장치
KR970005833A (ko) 1995-07-05 1997-02-19 어린이용 시트로 전환가능한 차량용 시트
KR200431306Y1 (ko) * 2006-08-22 2006-11-23 한일정공(주)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WO2014003963A1 (en) * 2012-06-27 2014-01-03 Brian Chapman Adjustable booster seat
KR101479647B1 (ko) * 2013-07-05 2015-01-09 김채연 유아용 식탁 의자
KR101852746B1 (ko) * 2018-03-05 2018-04-27 최창원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171B1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455B2 (en) Locking device and headrest
JP4297941B2 (ja) 椅子のための高さ調節機構
KR102173773B1 (ko) 위치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US10314401B2 (e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JP2004331055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CN109310211B (zh) 扶手及椅子
ITVE20120004A1 (it) Bracciolo, in particolare per sedie da ufficio.
KR101725413B1 (ko)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440918B1 (ko) 의자용 팔걸이
ITTO960612A1 (it) Appoggiatesta per sedili di autoveicoli.
KR102382087B1 (ko) 의자의 탄성력 있는 굴곡조절모듈
KR20200083277A (ko) 유아용 팝업 시트
KR10190277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616738B1 (ko) 의자의 좌판유닛
KR20180131707A (ko) 의자
JP4605980B2 (ja) 肘掛け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
KR102341836B1 (ko) 전후방 이동부를 구비한 의자
KR102007515B1 (ko) 의자
KR101484653B1 (ko) 의자용 팔걸이
KR200350920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카시트
KR20200132139A (ko)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JP2015171652A5 (ko)
JP2008302083A (ja) ロッキング椅子
JP6491049B2 (ja) 椅子及び椅子の調整方法
KR102104922B1 (ko)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