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707A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707A
KR20180131707A KR1020170067717A KR20170067717A KR20180131707A KR 20180131707 A KR20180131707 A KR 20180131707A KR 1020170067717 A KR1020170067717 A KR 1020170067717A KR 20170067717 A KR20170067717 A KR 20170067717A KR 20180131707 A KR20180131707 A KR 20180131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rame
guide
sea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736B1 (ko
Inventor
박주환
강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to KR102017006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73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등판 및 시트의 이동이 편리한 의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의자는 시트부, 틸트부, 백 포스트부 그리고 제1조정레버부를 포함한다. 시트부는 시트쿠션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틸트부는 시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이동프레임과 연결되고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프레임을 가진다. 백 포스트부는 등받이를 후방에서 지지하고 팔걸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과, 경사프레임을 따라 경사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와, 등판 프레임 및 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가진다. 제1조정레버부는 백 포스트부에 힌지 결합되며,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백 포스트부와 틸트부의 결속력이 해제되도록 하고,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백 포스트부가 고정되도록 결속력을 발생한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판 및 시트의 이동이 편리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 좌판에 결합된 등판, 및 좌판의 하측에 결합된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좌판 또는 등판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Armrest)와, 등판의 상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팔걸이나 등판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의자는 팔걸이와 등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팔걸이와 등판이 각각 위치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팔걸이와 등판의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특히, 성장이 빠른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등판의 전후 위치와 팔걸이의 상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중요하다. 등판이 등의 위치보다 멀리 있으면 사용자가 등을 제대로 기대지 못해 상체가 앞으로 구부러지거나, 등판에 기대려고 하면 누운 자세가 되어 허리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신체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등판을 전방 하측으로 하는 동시에 팔걸이를 낮게 해야 하며, 신체가 큰 사용자의 경우 등판을 후방 상측으로 하고 팔걸이를 높게 해야 한다.
종래의 의자에 의하면, 등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거나, 또는 등판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종래의 의자에 의하면, 팔걸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거나, 또는 팔걸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적정한 등판의 전후 위치와 팔걸이의 상하 위치를 서로 연계하여 동시에 조절해 주어야 하는데, 등판과 팔걸이의 위치를 사용자 스스로 동시에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36009호(2003.12.12.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등판 및 시트의 이동이 편리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시트쿠션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과 연결되고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프레임을 가지는 틸트부; 등받이를 후방에서 지지하고 팔걸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을 따라 경사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등판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가지는 백 포스트부; 그리고 상기 백 포스트부에 힌지 결합되며,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백 포스트부와 상기 틸트부의 결속력이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백 포스트부가 고정되도록 결속력을 발생하는 제1조정레버부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정레버부는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레버와, 상기 경사프레임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제1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설치공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1바와, 상기 제1바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레버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결합공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되는 제2바를 가지는 결속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력이 적용되는 레버몸체와, 상기 레버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틸트부 및 상기 백 포스트부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캠부를 가지고, 상기 캠부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결합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레버가 제1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가압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 완료 시,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수직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보다 하측에서 상기 결합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캠부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2바가 상기 제1결합공으로부터 완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백 포스트부에 걸려 상기 레버의 회전 범위를 구속하는 스토퍼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마운트부에는 커버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마운트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공과 상기 제1결합공의 사이에서 상기 제1결합공 및 상기 제2결합공을 연결하는 제1연결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높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제2결합공으로 삽입되도록 볼을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볼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2연결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바와, 상기 안내바와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단차부에 결합되어 상기 틸트부와 상기 시트부를 결합하는 걸림부를 가지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시트부의 전후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는 제2조정레버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조정레버부는 상기 시트부와 상기 제2조정레버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은 외측면에 상기 경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와, 상기 외측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를 가지는 한 쌍의 커버가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백 포스트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틸트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슬라이딩가이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가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 캠부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가 멈춤부에 걸릴 수 있어서 회전 범위가 구속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바가 마운트부의 제2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캠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부는 레버가 제2방향으로 회전이 완료되었을 때 결합플레이트에 수직하고, 회전축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보다 하측에서 결합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의 제2방향 회전이 완료되었을 때, 결합플레이트에서 가압돌기부로 적용되는 힘은 레버가 제2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모멘텀(Momentum)으로 작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레버에서 손을 떼더라도 레버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어 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가이드부는 커버가이드부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면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의자에 앉은 사용자에 의해 등받이에 가해지는 하중이 백 포스트부에 전달되어 슬라이딩가이드부에 집중되더라도, 슬라이딩가이드부에 집중되는 하중은 커버가이드부로 전달되어 분산될 수 있이며, 이를 통해, 백 포스트부는 틸트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틸트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백 포스트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제1조정레버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제1조정레버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이동프레임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이동프레임을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자는 시트부(100), 틸트부(200), 백 포스트부(300) 그리고 제1조정레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100)는 시트쿠션(101)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틸트부(200)는 시트부(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프레임(210)과 경사프레임(250)을 가질 수 있다. 이동프레임(210)은 시트부(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210)과 시트부(100)는 이동프레임(210)을 기준으로 시트부(100)가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경사프레임(250)은 이동프레임(210)과 연결되고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210) 및 경사프레임(25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틸트부(200)에는 기둥프레임(910)이 결합되고, 기둥프레임(910)에는 다리부(920)가 결합될 수 있다.
백 포스트부(300)는 등판 프레임(310), 슬라이딩부(320) 및 연결프레임(390)을 가질 수 있다.
등판 프레임(310)은 등받이(301)를 후방에서 지지하고 팔걸이(302)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20)는 경사프레임(2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경사프레임(250)을 따라 경사 이동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390)은 등판 프레임(310) 및 슬라이딩부(3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320)가 경사프레임(250)의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이동되면, 등받이(301) 및 팔걸이(302)가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어, 신체가 작은 사람에서 적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20)가 경사프레임(250)의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이동되면, 등받이(301) 및 팔걸이(302)가 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어, 신체가 큰 사람에서 적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조정레버부(400)는 백 포스트부(3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1조정레버부(400)는 백 포스트부(3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백 포스트부(300)와 틸트부(200)의 결속력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조정레버부(400)는 백 포스트부(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백 포스트부(300)와 틸트부(200)의 결속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백 포스트부(3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조정레버부(400)만을 조작하여 용이하게 등받이(301) 및 팔걸이(30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틸트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백 포스트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제1조정레버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제1조정레버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조정레버부(400)는 레버(410), 결합플레이트(420) 및 결속바(43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레버몸체(411)는 레버(410)와 캠부(415)를 가질 수 있다.
레버(410)는 레버몸체(411) 및 백 포스트부(30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백 포스트부(300)의 슬라이딩부(320)의 후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버(410)에는 외력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레버(410)의 내측에는 설치공간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공간부(412)의 내측면에는 레버(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 홈(4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 홈(413)은 설치공간부(412)의 내측면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캠부(415)는 레버(41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캠부(415)는 레버(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캠부(415)에는 제1관통공(416)이 형성될 수 있고, 제1관통공(416)에는 회전축(417)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버(410)는 회전축(41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은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레버(410)에 적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캠부(415)에는 가압돌기부(418)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부(418)는 캠부(415)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버(4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부(418)는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410)가 백 포스트부(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회전이 완료되었을 때, 결합플레이트(420)에 수직하고, 회전축(417)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L)보다 하측에서 결합플레이트(420)를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캠부(415)에는 스토퍼부(419)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419)는 캠부(415)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버(4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419)는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410)가 백 포스트부(3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백 포스트부(300)에 구비되는 멈춤부(360)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해, 레버(410)는 백 포스트부(3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전 범위가 구속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420)에는 제1결합공(4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공(421)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플레이트(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공(421)은 결합플레이트(420)의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플레이트(420)에는 제2결합공(4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공(422)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플레이트(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공(422)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결합공(42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420)는 경사프레임(25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플레이트(420)는 경사프레임(250)에 형성되는 안착부(251)에 결합될 수 있다. 안착부(251)는 경사프레임(250)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251)의 바닥면에는 삽입홈(25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52)은 안착부(25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52)은 제1결합공(421)의 지름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공(421)의 총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252)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결합공(421)의 이격 간격에 대응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252)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420)는 안착부(251)에 체결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속바(430)는 제1바(431) 및 제2바(432)를 가질 수 있다.
제1바(431)는 레버(410)의 설치공간부(4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바(431)의 양단부는 제1가이드 홈(4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바(431)는 양단부가 제1가이드 홈(4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 홈(413)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제2바(432)는 제1바(431)의 양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바(431)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바(432) 및 제1바(4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바(432)는 결합플레이트(420)의 제1결합공(421)의 수평방향으로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바(432)는 제1결합공(42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버몸체(4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한 쌍의 제2바(432)는 한 쌍의 제1결합공(421)을 관통하여 한 쌍의 삽입홈(252)에 동시에 삽입되거나, 한 쌍의 삽입홈(252)으로부터 동시에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20)는 중앙에 마운트부(321)를 가질 수 있다. 마운트부(321)는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프레임(250)의 안착부(251)로 삽입되어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마운트부(321)에는 커버 플레이트(3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운트부(321)의 상부에는 단차홈(3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홈(322)은 커버 플레이트(3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 플레이트(330)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30)가 단차홈(322)에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커버 플레이트(330)와 마운트부(321)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운트부(321)가 안착부(25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더라도 커버 플레이트(330)에 의한 걸림, 마찰이 발생되지 않아 마운트부(321)는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마운트부(321)에는 제2관통공(3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공(323)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공(323)은 결합플레이트(420)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42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운트부(321)에는 설치홈(324)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324)은 제2관통공(323)을 기준으로 결합플레이트(420)의 제2결합공(4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홈(324)에는 제1탄성부재(32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탄성부재(325)는 볼(326)을 탄발 지지할 수 있다.
볼(326)은 결합플레이트(420)의 제2결합공(422)에 삽입될 수 있는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탄성부재(325)에 의해 탄발 지지되어 제2결합공(422)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330)에는 제1연결공(331) 및 제2연결공(3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공(331)은 마운트부(321)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32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공(331)은 제2관통공(323)과 제1결합공(421)의 사이에서 제1결합공(421) 및 제2결합공(42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바(432)는 제2관통공(323), 제1연결공(331) 및 제1결합공(421)을 통과하여 삽입홈(25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연결공(332)은 볼(326)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연결공(332)은 볼(326)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볼(326)의 일부분이 제2결합공(42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20)는 제1고정부(340)를 가질 수 있다. 제1고정부(340)는 마운트부(32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340)에는 제1요홈부(3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요홈부(341)에는 회전축(417)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340)에는 제2고정부(35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부(350)는 제2요홈부(351)를 가질 수 있으며, 제2요홈부(351)는 회전축(417)의 지름에 대응되는 내측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고정부(350)가 제1고정부(340)에 결합되면, 회전축(417)은 제1고정부(340) 및 제2고정부(35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고정부(350) 및 제1고정부(340)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조정레버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b)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410)가 회전축(417)을 중심으로 백 포스트부(30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제1방향(R1)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바(432)는 삽입홈(252) 및 제1결합공(42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레버(410)의 제1방향(R1)으로의 회전은 스토퍼부(419)가 멈춤부(360)에 걸려 회전이 구속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410)가 제1방향(R1)으로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바(432)는 제1관통공(416)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스토퍼부(419)가 멈춤부(360)에 걸려 레버(410)의 회전 범위가 구속됨에 따라, 제2바(432)가 마운트부(321)의 제2관통공(32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레버(410)가 제1방향(R1)으로 회전이 완료되면, 캠부(415)의 가압돌기부(418)는 결합플레이트(420)에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운트부(321)와 결합플레이트(420)의 결속력이 해제되게 되며, 커버 플레이트(330)와 함께 마운트부(321)는 경사프레임(250)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백 포스트부(300)는 경사프레임(250)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볼(326)이 제2결합공(422)에 삽입됨에 따른 결합력은 백 포스트부(300)를 틸트부(2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력으로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410)를 제1방향(R1)으로 회전시킨 후, 백 포스트부(300)를 이동시킬 때, 볼(326)은 제2결합공(422)에서 빠져 나오고 제1탄성부재(325)는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백 포스트부(300)가 이동되어 볼(326)이 다른 제2결합공(422)의 위치에 도달되면 제1탄성부재(325)의 탄성력에 의해 볼(326)은 해당 제2결합공(422)에 삽입될 수 있다. 백 포스트부(300)의 이동 시에 볼(326)이 제2결합공(422)에 삽입됨에 따른 걸림력은 사용자로 하여금 백 포스트부(300)의 이동거리를 인지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한편,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410)가 백 포스트부(300)에 가까워지는 방향, 즉, 제1방향(R1)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R2)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바(432)는 제1연결공(331) 및 제1결합공(421)을 통과해 삽입홈(25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410)가 제2방향(R2)으로 회전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가압돌기부(418)는 결합플레이트(420)를 가압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가압돌기부(418)는 결합플레이트(420)에 수직하고 회전축(417)의 중심을 지나는 가장의 기준선(L)보다 하측에서 결합플레이트(420)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410)의 제2방향(R2) 회전이 완료되었을 때, 결합플레이트(420)에서 가압돌기부(418)로 적용되는 힘은 가상의 기준선(L)의 하측으로 적용되어 레버(410)가 제2방향(R2)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모멘텀(Momentum)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레버(410)에서 손을 떼더라도 레버(410)가 제1방향(R1)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이동프레임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이동프레임을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210)에는 가이드 슬릿(211) 및 걸림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211)은 이동프레임(21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211)은 시트부(10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211)은 단차부(213)를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12)은 시트부(1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12)은 가이드 슬릿(21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100)에는 결합부(110) 및 제2조정레버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10)는 안내바(111) 및 걸림부(112)를 가질 수 있다. 안내바(111)는 시트부(100)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슬릿(211)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112)는 안내바(111)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슬릿(211)에 형성되는 단차부(2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걸림부(112)에 의해 단차부(213)가 구속될 수 있으며, 틸트부(200)는 시트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슬릿(211)은 안내바(111)에 의해 직선 이동이 안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틸트부(200)를 기준으로 시트부(100)는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조정레버부(120)는 힌지축(121)을 가질 수 있으며, 시트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조정레버부(120)는 걸림돌기(122)를 가질 수 있다. 걸림돌기(122)는 걸림홈(2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홈(212)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제2조정레버부(120) 및 시트부(100)의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30)의 상단부는 시트부(100)에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10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탄성부재(130)의 하단부는 제2조정레버부(120)의 상부에 상기 제1고정돌기(102)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돌기(123, 도 1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30)는 걸림돌기(122)가 걸림홈(21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2조정레버부(120)가 회전되도록 제2조정레버부(120)를 탄발 지지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30)의 탄발력이 제2조정레버부(120)에 가해짐에 따라 걸림돌기(122)는 걸림홈(212)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틸트부(200)에 시트부(100)는 구속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2조정레버부(120)를 회전시켜 걸림돌기(122)가 걸림홈(21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시트부(100)를 의자의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걸림돌기(122)가 다른 걸림홈(212)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틸트부(200)를 기준으로 시트부(10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250)은 커버가이드부(260)를 가질 수 있다. 커버가이드부(260)는 안착부(251)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가이드부(260)는 가이드홈부(261) 및 보강부(262)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홈부(261)는 커버가이드부(260)의 외측면에 경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262)는 커버가이드부(260)의 외측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부(261)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262)는 커버가이드부(2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커버가이드부(260)의 외측으로 경사프레임(250)에는 레일(263)이 커버가이드부(260)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20)는 슬라이딩가이드부(370)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부(370)는 마운트부(321, 도 4 참조)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부(370)는 가이드홈부(261)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부(37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가이드부(370)의 내측에는 슬라이딩커버(372)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커버(372)는 레일(263)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라이딩가이드부(370)는 커버가이드부(260)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면서 레일(26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의자에 앉은 사용자에 의해 등받이(301, 도 1 참조)에 가해지는 하중은 백 포스트부(300)에 전달되어 슬라이딩가이드부(370)에 집중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가이드부(370)는 커버가이드부(260)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슬라이딩가이드부(370)에 집중되는 하중은 커버가이드부(260)로 전달되어 분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백 포스트부(300)에 많은 힘이 가해지더라도 백 포스트부(300)는 틸트부(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1: 제1방향 R2: 제2방향
100: 시트부 110: 결합부
120: 제2조정레버부 200: 틸트부
210: 이동프레임 250: 경사프레임
260: 커버가이드부 300: 백 포스트부
320: 슬라이딩부 321: 마운트부
323: 제2관통공 330: 커버 플레이트
370: 슬라이딩가이드부 400: 제1조정레버부
415: 캠부 418: 가압돌기부
419: 스토퍼부 420: 결합플레이트
430: 결속바

Claims (10)

  1. 시트쿠션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과 연결되고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프레임을 가지는 틸트부;
    등받이를 후방에서 지지하고 팔걸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을 따라 경사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등판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가지는 백 포스트부; 그리고
    상기 백 포스트부에 힌지 결합되며,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백 포스트부와 상기 틸트부의 결속력이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백 포스트부가 고정되도록 결속력을 발생하는 제1조정레버부를 포함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정레버부는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레버와,
    상기 경사프레임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제1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설치공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1바와, 상기 제1바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레버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결합공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되는 제2바를 가지는 결속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력이 적용되는 레버몸체와,
    상기 레버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틸트부 및 상기 백 포스트부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캠부를 가지고,
    상기 캠부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결합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레버가 제1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가압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 완료 시,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수직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보다 하측에서 상기 결합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2바가 상기 제1결합공으로부터 완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백 포스트부에 걸려 상기 레버의 회전 범위를 구속하는 스토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마운트부에는 커버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마운트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공과 상기 제1결합공의 사이에서 상기 제1결합공 및 상기 제2결합공을 연결하는 제1연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높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제2결합공으로 삽입되도록 볼을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볼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2연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바와, 상기 안내바와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단차부에 결합되어 상기 틸트부와 상기 시트부를 결합하는 걸림부를 가지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시트부의 전후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는 제2조정레버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조정레버부는 상기 시트부와 상기 제2조정레버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은 외측면에 상기 경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와, 상기 외측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를 가지는 한 쌍의 커버가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백 포스트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틸트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슬라이딩가이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70067717A 2017-05-31 2017-05-31 의자 KR10197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717A KR101970736B1 (ko) 2017-05-31 2017-05-31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717A KR101970736B1 (ko) 2017-05-31 2017-05-31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707A true KR20180131707A (ko) 2018-12-11
KR101970736B1 KR101970736B1 (ko) 2019-04-23

Family

ID=6467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717A KR101970736B1 (ko) 2017-05-31 2017-05-31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617A (zh) * 2019-04-11 2019-07-30 云南农业大学 一种基于人机工程学的座椅辅助装置及其控制系统与控制方法
KR102585464B1 (ko) * 2023-03-13 2023-10-06 (주)베스툴 3d 모션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99B1 (ko) 2021-02-05 2021-07-27 (주) 파트라 등판과 팔걸이가 동시에 경사 이동되는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949A (ko) * 2005-06-17 2005-08-11 백남준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20130012912A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시디즈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KR101378063B1 (ko) * 2013-03-07 2014-03-27 (주) 파트라 등판 위치조절 가능한 의자
KR200472240Y1 (ko) * 2014-01-08 2014-04-11 부호체어원(주) 의자의 좌판 이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949A (ko) * 2005-06-17 2005-08-11 백남준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20130012912A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시디즈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KR101378063B1 (ko) * 2013-03-07 2014-03-27 (주) 파트라 등판 위치조절 가능한 의자
KR200472240Y1 (ko) * 2014-01-08 2014-04-11 부호체어원(주) 의자의 좌판 이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617A (zh) * 2019-04-11 2019-07-30 云南农业大学 一种基于人机工程学的座椅辅助装置及其控制系统与控制方法
KR102585464B1 (ko) * 2023-03-13 2023-10-06 (주)베스툴 3d 모션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736B1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736B1 (ko) 의자
US20120025584A1 (en) Armrest adjustment device
KR102314380B1 (ko) 의자용 요추받침대
WO2005065490A1 (en) Horizontally adjustable chair armrest
KR101476622B1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KR101534414B1 (ko) 의자 팔걸이 조정 장치
WO2020233434A1 (zh) 多档位支撑调节机构以及可调式坐具
KR101476675B1 (ko) 등받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JP4298877B2 (ja) 椅子
US8172324B2 (en) Preference control mechanism
KR101476621B1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JP5438045B2 (ja) 座の前後位置調整装置
CN211641926U (zh) 一种头枕高度调节机构
KR102258600B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2072935B1 (ko) 일체형 등좌판의 이동고정기능을 구비한 의자좌판
JP419996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2009273585A (ja) 椅子
JP3661406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H11225851A (ja) パチンコ店舗専用椅子の前後スライド装置
KR102012104B1 (ko) 차량 시트 슬라이드 고정장치
JPH07124040A (ja) 幼児用椅子
JP3103415U (ja) 椅子の座りパッドの調整構造
JP4234253B2 (ja) 椅子の肘掛け等の高さ調節装置
JP7330781B2 (ja) 什器
JP3776749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