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912A -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912A
KR20130012912A KR20120049243A KR20120049243A KR20130012912A KR 20130012912 A KR20130012912 A KR 20130012912A KR 20120049243 A KR20120049243 A KR 20120049243A KR 20120049243 A KR20120049243 A KR 20120049243A KR 20130012912 A KR20130012912 A KR 2013001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lever
chair
ce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49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621B1 (ko
Inventor
류태희
심영수
김성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디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to KR1020120049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621B1/ko
Priority to PCT/KR2012/004845 priority patent/WO2013015526A1/ko
Publication of KR2013001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2Chairs convertible into children's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걸이와 등판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의하면,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팔걸이부를 가진 일체형 등판셀; 좌판지지부 및 상기 좌판지지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팔걸이지지부를 가진 하부프레임; 및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팔걸이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등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등판셀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경사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CHAIR WITH INTEGRATED BACK}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걸이와 등판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 좌판의 일측에 결합된 등판, 및 좌판의 하측에 결합된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좌판 또는 등판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armrest)와, 등판의 상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이때,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팔걸이나 등판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의자는 팔걸이와 등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팔걸이와 등판이 각각 위치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최적화된 팔걸이와 등판의 위치를 시행착오에 의해 각각 조절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특히, 성장이 빠른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등판의 전후 위치와 팔걸이의 상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등판이 등의 위치보다 멀리 있으면 사용자가 등을 제대로 기대지 못해 상체가 앞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또한 등판에 기대려고 하면 누운 자세가 되어 허리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신체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등판을 전방 하측으로 하는 동시에 팔걸이를 낮게 해야 하며, 신체가 큰 사용자의 경우 등판을 후방 상측으로 하고 팔걸이를 높게 해야 한다.
종래의 의자에 의하면, 등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거나, 또는 등판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종래의 의자에 의하면, 팔걸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거나, 또는 팔걸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적정한 등판의 전후 위치와 팔걸이의 상하 위치를 서로 연계하여 동시에 조절해 주어야 하는데, 등판과 팔걸이의 위치를 사용자 스스로 동시에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550호(2010.10.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6009호(2003.12.0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팔걸이와 등판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의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팔걸이부를 가진 일체형 등판셀; 좌판지지부 및 상기 좌판지지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팔걸이지지부를 가진 하부프레임; 및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팔걸이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등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등판셀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경사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등판블록은 상기 팔걸이부에 고정되며, 상기 등판블록은 상기 팔걸이지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팔걸이지지부의 일측에 제1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등판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레일과 대응 결합되는 제2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팔걸이지지부의 일측에 제1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등판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레일과 대응 결합되는 이동롤러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팔걸이지지부는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등판블록에 마련된 복수개의 고정구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팔걸이부를 상기 팔걸이지지부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팔걸이부에는 레버결합홀이 마련되고, 상기 팔걸이지지부에는 복수개의 레버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레버의 레버축부는 상기 레버결합홀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레버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레버가 상기 팔걸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레버 이탈 방지핀이 상기 레버결합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축부에는 상기 고정레버를 상기 팔걸이부의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판블록의 일측에 상기 레버축부가 대응 결합되는 인서트너트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등판셀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경사이동하는 각도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는, 팔걸이와 등판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의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에 있어서, 적정한 등판의 전후 위치와 팔걸이의 상하 위치를 서로 연계하여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정한 착석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우수한 착석감을 제공하고, 잘못된 자세에 의한 척추 변형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등판블록 및 팔걸이지지부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팔걸이지지부와 팔걸이부 간의 경사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과 롤러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팔걸이부 및 고정레버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3의 팔걸이지지부 및 고정레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블록결합부의 관통홀에 인서트 너트가 개재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등받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등판쿠션이 등받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등판쿠션이 등받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등판쿠션이 등받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a)는 도 13에 도시된 스냅의 평면도.
도 14(b)는 도 13에 도시된 스냅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이하, '의자')(1)는 일체형 등판셀(10)과, 일체형 등판셀(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20)을 포함한다.
또한, 의자(1)는 하부프레임(20)의 하측에 결합된 다리부(30), 일체형 등판셀(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판쿠션(40), 및 하부프레임(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쿠션(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등판셀(10)은 하부프레임(20)에 대해 경사이동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등판셀(10)은 등받이부(11)와 이 등받이부(11)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팔걸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체형 등판셀"이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부(11)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는 팔걸이부(12)가 서로 결합된 형태의 부재를 의미하며, 반드시 등받이부(11)와 팔걸이부(12)가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체형 등판셀(10)에는 허리받이부(요추지지대)를 비롯한 다른 요소가 일체로 또는 별개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20)은 좌판지지부(21)와 이 좌판지지부(2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팔걸이지지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판지지부(21)의 상측에는 좌판 또는 좌판쿠션(50)이 결합될 수 있으며, 팔걸이지지부(22)는 일체형 등판셀(10)의 팔걸이부(12)와 경사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일체형 등판셀(10)의 팔걸이부(12)와 하부프레임(20)의 팔걸이지지부(22)의 사이에는 등판블록(60)이 배치된다.
이때, 등판블록(60)은 예컨대 일체형 등판셀(10)의 팔걸이부(12)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에 삽입되어, 팔걸이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형 등판셀(10)의 팔걸이부(12) 하단과, 하부프레임(20)의 팔걸이지지부(22) 상단이 서로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일체형 등판셀(10)은 하부프레임(20)에 대해 경사이동 가능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등판셀(10)은 고정된 하부프레임(20)에 대해 각각 A 방향 및 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이동에 의하여 등받이부(11)와 팔걸이부(12)의 수직 위치 및 전후 위치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체형 등판셀(10)이 하부프레임(20)에 대해 A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등받이부(11)가 낮아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즉, 좌판에서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동시에 팔걸이부(12)도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일체형 등판셀(10)이 하부프레임(20)에 대해 B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등받이부(11)가 높아지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즉, 좌판에서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이 커지게 된다), 동시에 팔걸이부(12)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등받이부(11)와 팔걸이부(12)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간단하며 컴팩트한 구조의 의자(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적정한 착석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잘못된 자세에 의한 척추 변형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일체형 등판셀(10)이 하부프레임(20)에 대해 경사이동하는 각도가 너무 크거나 작으면 등받이부(11)와 팔걸이부(12)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하는 의미가 반감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적정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어린이의 성장 속도에 맞는 등판의 깊이와 팔걸이의 높이 조절 비율은 대략 1:1이 된다.
따라서, 일체형 등판셀(10)이 하부프레임(20)에 대해 경사이동하는 각도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경사이동각도가 30° 보다 작으면 팔걸이부(12)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경사이동각도가 60° 보다 크면 등받이부(11)의 깊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3의 등판블록 및 팔걸이지지부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팔걸이지지부와 팔걸이부 간의 경사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의 팔걸이지지부(22)의 상단부 일측에는 "ㄱ"자 형상의 상측결합부(220)가 형성되며, 이 상측결합부(220)의 일측에 수용홈(221)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프레임(20)의 상측결합부(220)는 후술하는 등판블록(60)의 수용홈(63)에 대응 결합되고, 하부프레임(20)의 수용홈(221)에는 후술하는 등판블록(60)의 블록결합부(62)가 대응 결합된다.
또한, 상측결합부(2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레버수용홈(222), 볼트수용홈(223), 및 탄성체수용홈(224)이 마련된다. 탄성체수용홈(224)에는 탄성체(24) 및 고정구(25)가 삽입될 수 있는데, 탄성체(24)는 예컨대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며, 고정구(25)는 예컨대 철제구(쇠구슬)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수용홈(224)에 탄성체(24) 및 고정구(25)가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구이탈방지프레임(26)이 볼트(23)를 통해 팔걸이지지부(22)의 상측결합부(22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구(25)는 탄성체(24)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외주면 일측이 고정구이탈방지프레임(26)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고정구(25)의 외주면 일측은 등판블록(60)에 예를 들어 쐐기형태로 마련된 복수개의 고정구수용홈(65)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일체형 등판셀(10)이 하부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고정구(25)는 등판블록(60)과의 접촉압력에 의해 탄성체(2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후 고정구(25)는 새로운 고정구수용홈(65)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체형 등판셀(10)이 하부프레임(20)에 대해 단계적으로(이때, 단계의 개수는 고정구수용홈의 개수에 따라 정해짐)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등판블록(60)은 블록본체부(61)와 블록본체부(61)의 하단부 일측에 "ㄴ"자 형상으로 결합된 블록결합부(62)를 포함하며, 이 블록결합부(62)의 일측에는 수용홈(63)이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등판블록(60)의 블록결합부(62) 및 수용홈(63)은 하부프레임(20)의 수용홈(221) 및 상측결합부(220)와 서로 대응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팔걸이지지부(22)의 상측결합부(220)와 등판블록(60)의 블록결합부(62)는 이동레일(70)에 의해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동레일(70)은 서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일(71) 및 제2 레일(72)을 포함하며, 제1 레일(71)은 상측결합부(220)에, 제2 레일(72)은 블록결합부(62)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등판블록(60)이 팔걸이지지부(2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과 롤러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측결합부(220)에 고정 설치되는 제1레일(71)과, 블록결합부(62)에 고정 설치되는 제2 레일(72)에 의해, 등판블록(60)이 팔걸이지지부(2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일(72) 대신에 이동롤러(73)가 블록결합부(6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이동롤러(73)는 제1 레일(71)의 레일홈에 회전 가능하게 대응 결합되고, 이동롤러(73)의 회전축(74)은 블록결합부(62)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이동롤러(73)가 제1 레일(71)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할 때, 일체형 등판셀(10)이 등판블록(60)과 함께 하부프레임(20)의 팔걸이지지부(2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3의 팔걸이부 및 고정레버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팔걸이지지부 및 고정레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부(12)의 외측에는 원통형의 축지지부(13)가 돌출 형성되고, 이 축지지부(13)에 마련된 레버결합홀(14)을 통해 삽입된 고정레버(80)는, 등판블록(60) 및 팔걸이지지부(22)와 결합되어 팔걸이부(12)를 팔걸이지지부(22)에 고정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버(8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레버수부(81) 및 이 레버수부(81)로부터 돌출 연장된 레버축부(82)를 포함한다.
그리고, 레버축부(82)의 중간부에는 직경이 작아지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레버 이탈 방지핀(90)의 단부가 이 단차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고정레버(80)가 팔걸이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레버(80)의 레버축부(82)는 그 단부가 축지지부(13)의 레버결합홀(14)과, 블록결합부(62)의 관통홀(64), 및 고정구이탈방지프레임(26)의 결합공(27)을 차례로 통과하여, 전술한 팔걸이지지부(22)의 복수개의 레버수용홈(22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레버축부(82)의 단부에는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고정구이탈방지프레임(26)의 결합공(27)에는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레버축부(82)를 고정구이탈방지프레임(26)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으며, 레버수용홈(222)에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축지지부(13)의 일측에는 핀결합홈(15)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핀결합홈(15)을 통해 레버 이탈 방지핀(90)이 삽입될 수 있는데, 레버 이탈 방지핀(90)의 단부는 레버축부(82)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단차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즉, 레버축부(82)의 이동거리는 레버축부(82)의 단차에 걸린 레버 이탈 방지핀(90)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레버(80)와 축지지부(13) 사이에는 고정레버(80)에 대하여 팔걸이부(12)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3)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정레버(80)의 레버축부(82) 외주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고정레버(80)의 레버축부(82)가 고정구이탈방지프레임(26)의 결합공(27)에 나사 결합되면 팔걸이부(12)와 팔걸이지지부(22) 및 등판블록(60)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후, 고정레버(80)의 레버축부(82)를 고정구이탈방지프레임(26)의 결합공(27)으로부터 분리해내면, 스프링(8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레버(80)의 레버수부(81)가 팔걸이부(12)의 외측으로 튀어나와 사용자의 인지를 돕게 되며, 팔걸이지지부(22)는 등판블록(60) 및 팔걸이부(12)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레버 이탈 방지핀(80)의 단부가 레버축부(82)의 단차에 걸리게 되므로, 고정레버(80)가 팔걸이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팔걸이지지부(22)가 등판블록(60) 및 팔걸이부(12)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팔걸이부(12)를 팔걸이지지부(22)에 대해 경사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블록결합부의 관통홀에 인서트 너트가 개재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결합부(62)의 관통홀(64)에 인서트 너트(66)가 개재된다.
따라서, 고정레버(80)의 레버축부(82)가 고정구이탈방지프레임(26)의 결합공(27)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레버축부(82)의 단부가 인서트 너트(66)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레버(80)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인서트 너트(66)는 레버축부(82)의 결합방향을 안내함으로써, 고정레버(8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이때,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버 이탈 방지핀(90)이 설치되어 고정레버(8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레버축부(82)의 외주면에 스프링(83)이 개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도 3의 등받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등판쿠션이 등받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등판셀(10)의 등받이부(11)에는 등판쿠션(4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등받이부(11)와 등판쿠션(4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일체형 등판셀(10)의 등받이부(11)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10)가 마련되고, 이 돌출부(110)에는 볼트수용홈(111)이 마련된다.
이때, 영구자석과 같은 자성체(M)가 볼트(112)에 의해 돌출부(110)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으며, 등판쿠션(40)의 본체부(41)에는 돌출부(110)에 대응하여 결합부재(42)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42)는 자성체(M)와 결합될 수 있는 철물일 수 있으며, 이러한 철물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등판쿠션(40)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결합부재(42)가 자성체일 수도 있다.
한편, 등판쿠션(40)은 직물이나 가죽, 수지 등의 소재로 되어 사용자에게 안착감을 주는 쿠션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쿠션부(43)는 본체부(41)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본체부(41)를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등판쿠션(40)은 일체형 등판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착석감이 향상되고, 등판쿠션(40)의 오염시 세탁이나 청소의 편의성도 높아진다.
한편, 앞에서는 등받이부(11)에 자성체(M)가 마련되고, 등판쿠션(40)에 결합부재(42)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이와 달리 등받이부(11)에 결합부재가 마련되고, 등판쿠션(40)에 자성체가 마련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등판쿠션이 등받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등판쿠션(40)이 자성체(M)에 의해 등받이부(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며 다만, 결합부재(42)에 체결공(421)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등판쿠션(40) 본체부(41)의 결합부재(42)에 자성체(M)가 부착된 상태에서, 이 체결공(421)을 통해 볼트수용홈(111)에 볼트(112)를 체결함으로써 등판쿠션(40)을 등받이부(11)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11의 실시예와 같이, 돌출부(110)에 자성체(M)가 고정된 상태에서 등판쿠션(40) 본체부(41)의 결합부재(42)가 자성체(M)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체결공(421)을 통해 자성체(M)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등판쿠션(40)을 등받이부(11)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부(110)와 자성체(M) 사이에 자력 강화를 위한 와셔(113)가 개재될 수 있는데, 이 와셔(113)는 도 11을 참고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등판쿠션이 등받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a)는 도 13에 도시된 스냅의 평면도이며, 도 14(b)는 도 13에 도시된 스냅의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등판쿠션(40)은 스냅(100)에 의해 등받이부(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일체형 등판셀(10)의 등받이부(11)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10)가 마련되고, 원통형의 스냅(100)이 볼트(112)에 의해 돌출부(110)의 전방에 고정된다.
또한, 등판쿠션(40)의 본체부(41)에는 돌출부(110)에 대응하여 체결공(421)이 형성된 결합부재(42)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 체결공(421)에 스냅(100)이 끼워짐으로써 등판쿠션(40)과 등받이부(11)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냅(100)은 도 14(a)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중공을 가진 원통형상의 몸체(101)와, 몸체(101) 상단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03)를 포함하며, 걸림부(103)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절개홈(105)이 절개 형성되어, 걸림부(103)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몸체(101)의 바닥면에는 중공의 테두리를 따라 볼트(112)의 헤드부를 지지하는 볼트지지부(107)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판쿠션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볼트(112)를 사용하여 스냅(100)을 돌출부(110)에 체결하며, 이때 볼트(112)의 헤드부는 스냅(100)의 볼트지지부(107)에 지지된다.
다음, 결합부재(42)가 스냅(100)과 대향하도록 등판쿠션(40)을 위치시킨 후, 등판쿠션(40)을 등받이부(11) 방향으로 가압하여 스냅(100)의 걸림부(103)가 결합부재(42)의 체결공(421) 테두리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부(103)의 외주면이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걸림부(103)는 탄성변형되면서 체결공(421)에 삽입되며, 걸림부(103)가 체결공(421)을 통과하면 걸림부(103)는 체결공(421)의 테두리에 탄성 지지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의자
10 : 일체형 등판셀 11 : 등받이부
12 : 팔걸이부 20 : 하부프레임
21 : 좌판지지부 22 : 팔걸이지지부
24 : 탄성체 25 : 고정구
26 : 고정구이탈방지프레임 30 : 다리부
40 : 등판쿠션 41 : 본체부
42 : 결합부재 50 : 좌판쿠션
60 : 등판블록 61 : 블록본체부
62 : 블록결합부 70 : 레일
71 : 제1 레일 72 : 제2 레일
73 : 이동롤러 80 : 고정레버
81 : 레버수부 82 : 레버축부
90 : 레버 이탈 방지핀 100 : 스냅

Claims (11)

  1. 등받이부(11) 및 상기 등받이부(11)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팔걸이부(12)를 가진 일체형 등판셀(10);
    좌판지지부(21) 및 상기 좌판지지부(21)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팔걸이지지부(22)를 가진 하부프레임(20); 및
    상기 팔걸이부(12)와 상기 팔걸이지지부(22)의 사이에 배치되는 등판블록(60)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등판셀(10)은 상기 하부프레임(20)에 대해 경사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판블록(60)은 상기 팔걸이부(12)에 고정되며, 상기 등판블록(60)은 상기 팔걸이지지부(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지지부(22)의 일측에 제1 레일(71)이 설치되고, 상기 등판블록(6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레일(71)과 대응 결합되는 제2 레일(7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지지부(22)의 일측에 제1 레일(71)이 설치되고, 상기 등판블록(6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레일(71)과 대응 결합되는 이동롤러(7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지지부(22)는 탄성체(24)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25)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25)는 상기 등판블록(60)에 마련된 복수개의 고정구수용홈(65)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12)를 상기 팔걸이지지부(22)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레버(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12)에는 레버결합홀(14)이 마련되고, 상기 팔걸이지지부(22)에는 복수개의 레버수용홈(222)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레버(80)의 레버축부(82)는 상기 레버결합홀(14)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레버수용홈(22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80)가 상기 팔걸이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레버 이탈 방지핀(90)이 상기 레버결합홀(14)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버축부(82)에는 상기 고정레버(80)를 상기 팔걸이부(12)의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83)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등판블록(60)의 일측에 상기 레버축부(82)가 대응 결합되는 인서트 너트(6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등판셀(10)이 상기 하부프레임(20)에 대해 경사이동하는 각도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KR1020120049243A 2011-07-26 2012-05-09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KR10147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243A KR101476621B1 (ko) 2011-07-26 2012-05-09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PCT/KR2012/004845 WO2013015526A1 (ko) 2011-07-26 2012-06-19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4237 2011-07-26
KR1020110074237 2011-07-26
KR1020120049243A KR101476621B1 (ko) 2011-07-26 2012-05-09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912A true KR20130012912A (ko) 2013-02-05
KR101476621B1 KR101476621B1 (ko) 2014-12-26

Family

ID=4760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243A KR101476621B1 (ko) 2011-07-26 2012-05-09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6621B1 (ko)
WO (1) WO20130155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063B1 (ko) * 2013-03-07 2014-03-27 (주) 파트라 등판 위치조절 가능한 의자
KR20180131707A (ko) * 2017-05-31 2018-12-11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7633B1 (nl) * 2019-10-08 2021-05-06 Pierre Daems Zitmeubel met uitwisselbaar zitvlak en/of rugleun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858A (ja) * 2000-06-30 2002-01-15 Itoki Crebio Corp 椅子における座部の構造
KR200314771Y1 (ko) * 2002-12-20 2003-05-27 노우근 안락의자
JP4295267B2 (ja) * 2005-11-04 2009-07-1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の肘掛け取付構造
KR200448295Y1 (ko) * 2007-08-30 2010-03-30 주식회사 바우코리아 등받이가 전·후 이동되어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기능성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063B1 (ko) * 2013-03-07 2014-03-27 (주) 파트라 등판 위치조절 가능한 의자
KR20180131707A (ko) * 2017-05-31 2018-12-11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621B1 (ko) 2014-12-26
WO2013015526A1 (ko)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622B1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US8991922B2 (en) Lumbar support for a chair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EP3568046B1 (en) Chair back tilt mechanism
KR102314380B1 (ko) 의자용 요추받침대
KR20130012912A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KR101730020B1 (ko)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KR101970736B1 (ko) 의자
KR20100129915A (ko)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와 헤드 각도설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머리받침대 및 의자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102258600B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JP2017113465A (ja) 椅子の背もたれ
KR101563537B1 (ko)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TWM510106U (zh) 具有上下調整功能之椅具頭枕
US9713385B1 (en) Lower-back supporting device of chair
KR101635091B1 (ko) 의자의 등받이 구조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200451948Y1 (ko) 각도조절형 의자
JP2009273585A (ja) 椅子
JP2008302084A (ja) ロッキング椅子
JP6320689B2 (ja) 簡易便器
JP3103415U (ja) 椅子の座りパッドの調整構造
KR101867148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KR20170046235A (ko)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190090158A (ko) 간격 조절 가능한 일체형 책걸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6